KR19990013265U - 일체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65U
KR19990013265U KR2019970026509U KR19970026509U KR19990013265U KR 19990013265 U KR19990013265 U KR 19990013265U KR 2019970026509 U KR2019970026509 U KR 2019970026509U KR 19970026509 U KR19970026509 U KR 19970026509U KR 19990013265 U KR19990013265 U KR 19990013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artition wall
air conditioner
motor mount
hold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1707Y1 (ko
Inventor
엄남섭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6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모터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하중으로 인한 모터의 처짐 및 하중의 불평형으로 인한 모터의 진동시 발생되는 소음 및, 운전중 모터 샤프트 틈새로의 냉기 누설 등을 최소화하고, 모터를 적절히 냉각시켜 주므로써 공기조화기의 냉각 성능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실내팬(1)과 모터(2)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3)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턱(4)을 가지는 모터 마운트(5)를 격벽(3) 후방의 실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격벽(3)과 상기 모터 마운트(5)와의 사이에 상부 및 좌·우측으로 개방된 유로를 형성시키므로써, 응축기(6)의 냉각을 위해 모터(2)쪽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이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
본 고안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모터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조화기의 기기 신뢰성 및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기기중의 하나로서, 시원하거나 따뜻한 공기를 제공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출발하여 요즈음엔 공기정화등의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모터(2)를 기기 내에 설치할 경우,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모터 마운트(Motor mount)(5a)와 마운트 써포트(Mount support)(23)를 전기적인 용접에 의하여 결합시키거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체결한 후, 일차적으로 조합된 구조물에 모터(2)를 체결하게 된다.
이어서, 모터(2)가 체결된 구조물을 격벽(3)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격벽(3)을 다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격벽(3) 하부에 설치된 저판(7)의 고정 위치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모터 체결 방식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2)를 격벽(3)에 스크류로 직접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상기 모터 샤프트(19)가 관통 부위의 격벽(3)과 모터(2) 사이에는 모터(2)의 진동을 다소나마 감쇠시키기 위해 방진고무(24)가 삽입된다.
한편, 도 5는 종래의 모터(2) 체결 방식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2)를 받쳐주는 모터 마운트(5a)를 저판(7) 상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모터(2)를 얹은 구조로, 모터 샤프트(19)가 지나가는 부위의 격벽(3)과 모터 마운트(5a)와의 틈새에는 스폰지(25)를 삽입하여 틈새를 해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2) 체결 구조는 모터(2)의 불평형으로 인한 공진이 격벽(3) 등에 직접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시키거나 공기조화기의 수명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모터(2)의 하중으로 인해 모터 샤프트(19)의 처짐이 발생하므로써, 실내팬(1) 및 실외팬(26)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팬(1) 및 실외팬(26)의 회전시 무게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모터(2) 전·후방의 베어링 측면 마모가 일어나 베어링의 수명 저하를 초래하거나 소음을 유발시키게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터(2) 체결 구조에서는 모터(2)의 진동이 격벽(3)에 전달되지 않도록 거의 차단할 수 있으나, 모터 마운트(5a)가 안치되는 저판(7) 부위의 평탄도 및 모터(2)가 안치되는 부분에서의 형상 불균일 등으로 인해, 모터(2) 전·후 중심축이 변형되므로써 전술한 바와 동일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모터의 처짐 및 불평형등이 발생하지 않도록하여 모터의 진동이 격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모터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 및 운전중 모터 샤프트 틈새로의 냉기 누설 등을 최소화하는 한편, 모터를 적절히 냉각시켜 주므로써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터 마운트를 및 마운트 써포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모터 체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 모터 체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모터 마운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모터 마운트 및 이에 장착된 모터가 격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Ⅱ-Ⅱ선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의 A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모터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마운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모터 마운트 및 이에 결합된 모터가 격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마운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모터 마운트 및 이에 결합된 모터가 격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9의 방진부재의 다른 설치방식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실내팬 2:모터
3:격벽 4:간격유지턱
4a:수평면 4b:수직면
5:모터 마운트 6:응축기
7:저판 8:반원형 라운드부
9:요입부 10:모터 샤프트 관통공
11:버링부 12:브라켓
13:방진부재 14:방열공
15:모터 하우징 16:보스
17:삽입공 18:플랜지부
19:모터 샤프트 20:통공
21:벤딩면 22:체결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실내팬과 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턱을 가지는 모터 마운트를 격벽 후방의 실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격벽과 상기 모터 마운트와의 사이에 상부 및 좌·우측으로 개방된 유로를 형성시키므로써, 응축기의 냉각을 위해 모터쪽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이다.
이하,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6 내지 1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모터 마운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모터 마운트 및 이에 장착된 모터가 격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Ⅱ-Ⅱ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모터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실내팬(1)과 모터(2)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3)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턱(4)을 가지는 모터 마운트(5)를 격벽(3) 후방의 실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격벽(3)과 모터 마운트(5)와의 사이에 상부 및 좌·우측으로 개방된 유로를 형성시키므로써, 응축기(6)의 냉각을 위해 모터(2)쪽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모터 마운트(5)는 격벽(3) 및 상기 격벽(3) 하부의 저판(7)에 각각 체결되며, 모터(2)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종래에 분리되어 있던 마운트 써포트(23)가 모터 마운트(5)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3)과 모터 마운트(5)와의 간격유지를 위해, 모터 마운트(5)의 상단부 양측에는 격벽(3)과 상기 모터 마운트(5)의 모터 하우징(15) 장착면과의 간격 유지를 위한 간격유지턱(4)은 "ㄴ"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마운트(5)의 상단부 중앙에는 응축기(6)를 냉각시키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한 반원형 라운드부(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격벽(3) 내측의 일정 영역에는 격벽(3) 외측면에 비해 상기 모터(2) 반대편에 설치된 실내팬(1) 쪽으로 요입된 형상을 가짐과 더불어, 모터(2)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요입부(9)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2) 전단부중 일부가 상기 격벽(3)의 요입부(9)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3)의 모터 샤프트 관통공(20)(10) 가장자리에는 실내측으로부터의 냉기 누설이 최소화되도록 요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버링부(11)(burring portion)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마운트(5)의 간격유지턱(4)이 격벽(3)에 체결되도록 상기 격벽(3)의 간격유지턱(4) 장착부위에는, 격벽(3)을 일부 절개하여 벤딩함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턱(4)의 수평면(4a)과 면접하게 되는 브라켓(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턱(4)의 수평면(4a) 선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수직면(4b)은 상기 격벽(3)의 브라켓(12)에 의해 개구된 영역을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3)의 브라켓(12)과 간격유지턱(4) 사이에는 모터(2)의 진동이 간격유지턱(4)과 이에 결합된 격벽(3)의 브라켓(12)을 통해 격벽(3)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모터(2)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키는 고무 등의 방진부재(1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방진부재(13)는 수평면(4a) 및 수직면(4b)을 갖는 간격유지턱(4)의 형상에 조응하여 "ㄴ"자 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2) 전단부에는, 비산되는 응축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공(14)이 모터(2) 전단면의 일부 또는 전면적에 걸쳐 소정의 크기로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2) 전단부 중심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5)과 모터 마운트(5)의 조립시, 상기 격벽(3)의 버링부(11) 외곽을 둘러싸므로써 실내측 냉기의 실외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보스(16)가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모터(2) 체결시, 먼저, 모터 마운트(5)를 저판(7) 및 격벽(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그 후, 모터 마운트(5)의 모터 하우징(15) 장착면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공(17)으로 모터(2)를 삽입한 상태에서 모터 하우징(15) 가장자리에 성형된 플랜지부(18)를 이용하여 모터 하우징(15)을 스크류로 모터 마운트(5)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2)는 격벽(3)에 실내팬(1) 방향으로 형성된 요입 형성된 요입부(9) 내에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체결되며, 모터(2) 전단부에 모터 샤프트(19)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보스(16)는 격벽(3)의 모터 샤프트(19) 통과공 부위에 모터(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버링부(11)를 둘러싸므로써 실내측으로 부터의 냉기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모터 마운트(5)는 종래의 모터 마운트(5)와는 달리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부 및 좌·우측으로 모터(2)의 하중을 견디는데 필요한 부분 이외에는 모두 제거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모터 마운트(5)의 상단부 중앙에는 반원형 라운드부(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축기(6)를 식히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터 마운트(5) 상단 양측에는 "ㄴ"형상의 간격유지턱(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격벽(3)과 모터 마운트(5)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마운트(5)의 간격유지턱(4)이 격벽(3)에 체결되도록 상기 격벽(3)의 간격유지턱(4) 장착부위에는 상기 간격유지턱(4)의 수평면(4a)과 면접하게 되는 브라켓(12)이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간격유지턱(4)의 수평면(4a) 선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수직면(4b)은 상기 격벽(3)의 브라켓(12)에 의해 개구된 영역을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3)의 브라켓(12)과 간격유지턱(4) 사이에는 방진고무 등의 방진부재(1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터(2)의 진동이 간격유지턱(4)과 이에 결합된 브라켓(12)을 통해 격벽(3)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모터(2)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방진고무는 수평면(4a) 및 수직면(4b)을 갖는 간격유지턱(4)의 형상에 조응하여 "ㄴ"자 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시, 격벽(3) 내측의 일부 영역은 격벽(3) 외측면에 비해 상기 모터(2) 반대편에 설치된 실내팬(1) 쪽으로 요입된 형상을 가짐과 더불어 모터(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2)의 전단부중 일부가 격벽(3)의 요입부(9) 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3)의 요입부(9) 중앙에 위치하는 모터 샤프트 관통공(20)(10) 가장자리에는 요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버링부(11)(burring)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측으로부터의 냉기 누설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2)의 전단부중 일부가 격벽(3)의 요입부(9) 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모터(2)가 비산되는 응축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모터(2) 전단면의 일부 또는 전면적에 걸쳐 소정의 크기로 복수개의 방열공(14)이 형성가능하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발생되는 열을 상기 방열공(14)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2) 전단부 중심에는 보스(16)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터 하우징(15)과 모터 마운트(5)의 조립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보스(16)가 격벽(3)의 버링부(11) 외곽을 둘러싸게 되므로써 실내측 냉기가 실외측으로 누설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마운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모터 마운트 및 이에 결합된 모터가 격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나머지는 동일한 반면, 상기 모터 마운트(5)의 모터 하우징(15) 장착면 하부에, 응축기(6)의 냉각을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한 통공(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모터 마운트(5)의 모터 하우징(15) 장착면의 면적이 줄어듬에 따라 응축기(6)를 식혀주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받게 되는 유로 저항은 줄어들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마운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모터 마운트 및 이에 결합된 모터가 격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나머지는 동일한 반면, 상기 모터 마운트(5)에 장착된 모터(2)의 수직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벤딩면(21)이 상기 모터 마운트(5) 하단부에 형성되어 모터(2) 하중에 대한 내력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모터 마운트(5) 하단의 벤딩면(21)은 격벽(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딩 지점을 기준으로 그 상부의 모터 하우징(15) 장착면 및 벤딩면(21)에는 응축기(6)의 열을 식히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한 통공(20)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16은 도 9의 방진부재의 다른 설치방식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격벽(3)의 브라켓(12)과 간격유지턱(4) 사이에 방진고무 설치시, 상기 브라켓(12)과 간격유지턱(4)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2)의 머리부 하부면에 방진고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모터(2)의 진동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2)를 통해 격벽(3)의 브라켓(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응축기(6)를 방열시키고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모터 마운트(5)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써 정압 손실을 낮출 수 있고, 모터(2)의 진동이 격벽(3) 등의 구조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모터 마운트(5)와 격벽(3)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턱(4)이 성형되고, 모터(2) 중심선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인해 모터(2)에 내장된 베어링 마모를 균일하게 하므로써 모터(2)의 진동 유발 및 수명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격벽(3)에 성형된 요입부(9) 내측으로 모터(2) 전단부의 일부가 들어감으로 인해, 운전중 응축수 비산으로 말미암아 모터(2)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모터(2)의 열을 발열시켜 공기조화기의 냉각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열공(14)을 모터(2) 전단면 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중으로 인한 모터(2)의 처짐 및 하중의 불평형으로 인한 모터(2)의 진동시 발생되는 소음 및, 운전중 모터 샤프트(19) 틈새로의 냉기 누설 등을 최소화하고, 모터(2)를 적절히 냉각시켜 주므로써 공기조화기의 효율 및 기기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실내팬과 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턱을 가지는 모터 마운트를 격벽 후방의 실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격벽과 상기 모터 마운트와의 사이에 상부 및 좌·우측으로 개방된 유로를 형성시키므로써, 응축기의 냉각을 위해 모터쪽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가 격벽 및 상기 격벽 하부의 저판에 각각 체결되며, 모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의 상단부 양측에, 격벽과 상기 모터 마운트의 모터 하우징 장착면과의 간격 유지를 위한 "ㄴ"자형의 간격유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의 상단부 중앙에, 응축기를 식히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한 반원형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내측의 일부 영역은 격벽 외측면에 비해 상기 모터 반대편에 설치된 실내팬 쪽으로 요입된 형상을 가짐과 더불어 모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모터 전면부중 일부가 격벽의 요입부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감싸는 모터 하우징의 모터 전단부에, 비산되는 응축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공이 모터 전단면의 일부 또는 전면적에 걸쳐 소정의 크기로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요입부 중앙에 위치하는 모터 샤프트 관통공 가장자리에는 실내측으로부터의 냉기 누설이 최소화되도록 요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버링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의 간격유지턱이 격벽에 체결되도록 상기 격벽의 간격유지턱 장착 부위에는 격벽을 절개하여 벤딩함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턱의 수평면과 면접하게 되는 브라켓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턱의 수평면 선단으로부터 수직면이 연장형성되어, 실내측의 냉기가 실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면이 격벽의 브라켓 형성시 절개되어 개구된 영역을 폐쇄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브라켓과 간격유지턱 사이에는 모터의 진동이 간격유지턱과 이에 결합된 브라켓을 통해 격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모터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키는 방진고무 등의 방진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고무는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간격유지턱의 형상에 조응하여 "ㄴ"자 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브라켓과 간격유지턱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고무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과 간격유지턱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머리부 하부면에 위치하여 방진작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전단부 중심에, 상기 모터 하우징과 모터 마운트의 조립시, 상기 격벽의 버링부 외곽을 둘러싸 실내측 냉기의 실외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보스가 축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의 모터 하우징 장착면 하부에, 응축기의 냉각을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한 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 하단부에, 상기 모터 마운트에 장착되는 모터의 수직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벤딩면이 형성되어 모터 하중에 대한 내력이 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 하단에 형성된 벤딩면이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지점을 기준으로 그 상부의 모터 하우징 장착면 및 벤딩면에는 응축기의 열을 식히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받는 유로 저항을 줄이기 위한 통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9970026509U 1997-09-24 1997-09-24 일체형공기조화기 KR200181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09U KR200181707Y1 (ko) 1997-09-24 1997-09-24 일체형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09U KR200181707Y1 (ko) 1997-09-24 1997-09-24 일체형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65U true KR19990013265U (ko) 1999-04-15
KR200181707Y1 KR200181707Y1 (ko) 2000-05-15

Family

ID=1951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509U KR200181707Y1 (ko) 1997-09-24 1997-09-24 일체형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2322A (zh) * 2018-10-26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机支架及具有其的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27B1 (ko) 2006-11-06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410550B1 (ko) 2021-08-17 2022-06-16 박종길 공조기용 팬 샤프트의 유지보수를 위한 착탈식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2322A (zh) * 2018-10-26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机支架及具有其的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707Y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707Y1 (ko) 일체형공기조화기
JPH11243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用圧縮機の固定構造
JP3272044B2 (ja) ファンモータの支持装置
JP3148042U (ja) 電子機器冷却用ファンの防振構造
CN220570848U (zh) 弹性套以及电子设备
JPH0922942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2323239A (ja) 空気調和機の圧縮機取付構造
JP2609713B2 (ja) 密閉形圧縮機
JPH08136106A (ja) 電子冷蔵庫
JP2001004169A (ja) 除湿機
JP2926554B2 (ja) ハードディスクの消音構造
JPH11304294A (ja) 空気調和機
KR200351401Y1 (ko) 냉장고 압축기 지지구조.
KR100333625B1 (ko) 압축기 지지장치
KR20000066525A (ko) 에어컨 실외기의 압축기 고정구조
JPH081428Y2 (ja) 冷凍冷蔵庫のファンモータ固定構造体
JP2002081851A (ja) 冷蔵庫機械室内の放熱パイプ取付用ホルダ
KR20040083724A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100517609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KR20050112304A (ko) 팬모터 조립체의 방진구조 및 방진방법
JPS6333068Y2 (ko)
KR20060024506A (ko) 모터의 고정 브라켓 방진 구조
KR960001201Y1 (ko) 냉장고의 압축기 냉각팬구조
JPH0316742Y2 (ko)
JP2002031373A (ja) 冷凍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