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609B1 -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609B1
KR100517609B1 KR10-2003-0018001A KR20030018001A KR100517609B1 KR 100517609 B1 KR100517609 B1 KR 100517609B1 KR 20030018001 A KR20030018001 A KR 20030018001A KR 100517609 B1 KR100517609 B1 KR 10051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ditioner
vibration
dustproof member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898A (ko
Inventor
김찬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6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자체의 체결수단을 통해 파이프에 고정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는 파이프를 에워싸는 수용부와 연결되는 절개부를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를 이루는 양측 절개면에는 끼움돌기와 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상기 파이프가 상기 방진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 Damping apparatus for pipe of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자체의 체결수단을 통해 파이프에 고정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외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미도시)의 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열교환기(4)와, 상기 열교환기(4)를 방열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팬(6)과, 상기 송풍팬(6)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0)와 상기한 기기들이 배치되는 하부패널(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에는 상기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되도록 파이프(12)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압축기(2)가 동작될 때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복수개의 방진부재(20)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파이프(12)를 에워싸도록 길이방향으로 수용부(2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진부재(20)에는 상기 파이프(12)가 상기 방진부재(20)의 원주면에서 상기 수용부(20a)의 방향으로 내설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0a)와 연결되도록 절개부(20c)가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절개부(20c)로 인하여 상호 접하게 되는 절개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2)가 상기 수용부(20a)에 내설된 후, 상기 방진부재(20)가 파이프(12)를 따라 유동되거나 상기 파이프(12)가 상기 절개부(20c)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등의 체결부재(30)로써 상기 방진부재(20)의 양측 절개면을 압박하여 상기 방진부재(20)를 상기 파이프(12)에 단단히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방진부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30)가 안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원주방향으로 안착홈(20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20b)에는 상기 방진부재(20)를 상기 파이프(12)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30)가 감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외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실내기(미도시)에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2)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후, 상기 파이프(12)를 통해 열교환기(4)의 냉매관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4)의 구동으로 상기 송풍팬(6)이 회전되면 상기 실외기 외측의 공기는 실외기 내부로 흡입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실외기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2)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2)에서 진동이 발생되며, 이러한 진동은 상기 파이프(12)를 매개로 외부로 전달되며 소음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12)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된 상기 방진부재(20)는 압축기(2)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여 실외기 전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러한 상기 방진부재(20)는 상기 파이프(12)를 상기 방진부재(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절개부(20c)를 통해 수용부(20a) 방향으로 끼워 넣어 상기 수용부(20a)에 내설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12)가 내설된 후에는 체결부재(30)를 사용하여 상기 방진부재(20)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아서 상기 방진부재(20)가 상기 파이프(12)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방진부재(20)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20)는 파이프(12)가 상기 방진부재(20)에 내설된 후, 절개부(20c)를 통해 상기 방진부재(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30)를 사용하여 상기 방진부재(20)를 체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파이프(12)가 상기 수용부(20a)에 비하여 직경이 작을 경우, 상기 방진부재(20)가 상기 파이프(12)에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므로써 상기 파이프(12)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에 방진부재를 체결하는데 있어,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방진부재를 상기 파이프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방지부재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는 파이프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파이프가 상기 수용부로 내설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절개부의 일측 절개면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기 절개면과 접하는 타측 절개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가 내설된 후 유동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의 설치과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파이프(52)가 내설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수용부(6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2)가 상기 방진부재(60)의 외측면에서 상기 수용부(60a)의 방향으로 내설되도록 절개부(60)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절개부(60)로 인하여 서로 접하게 되는 양측 절개면 중 일측 절개면에는 끼움돌기(60c)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 절개면에는 상기 끼움돌기(60c)에 대응되어 상기 끼움돌기(60c)가 끼움되므로써 상기 절개부(6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홈(60d)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60a)에서 상기 절개부(60) 방향으로의 원주면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방진부재(60)가 상기 파이프(5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곤란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방진부재(60)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절개면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60c)와 상기 홈(60d)은 체결 후, 상기 파이프(52)의 진동으로 인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파이프(52)와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52)에 심한 진동이 전달되었을 경우, 상기 수용부(60a)에 내설된 파이프(52)가 상기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절개부(60)를 통하여 상기 방진부재(6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곤란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절개부(60)는 상기 절개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60a)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52)가 상기 수용부(60a)에 내설된 후, 상기 파이프(52)의 외주면 둘레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상기 방진부재(60)가 상기 파이프(52) 상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52)의 직경이 상기 수용부(60a)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경우에도 상기 파이프(52)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60e)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진동부재(6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미도시)에서 유입된 냉매가 실외기(미도시) 내의 압축기(미도시)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후,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파이프(52)를 통해 열교환기(미도시)로 이동되고, 실외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실외기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에서 진동이 발생되고, 이같은 진동은 상기 파이프(52)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2)가 수용부(60a)에 내설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52)의 외측을 둘러싸며 설치된 상기 방진부재(60)는 상기 파이프(5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파이프(52)의 진동폭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소음을 약화시킨다 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재(60)의 수용부(60a)와 연결된 절개부(60)를 이루는 절개면은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 상기 파이프(52)의 강한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파이프(52)가 상기 수용부(60a)를 빠져나와 상기 방진부재(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52)용 방진부재(60)를 상기 파이프(52)에 조립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52)가 상기 방진부재(60)의 수용부(60a)로 내설가능하도록 상기 방진부재(60)의 절개부(60)를 이루는 양측 절개면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상기 절개부(60)를 벌린 후, 상기 파이프(52)를 상기 방진부재(60)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부(60a) 방향으로 내설한다.
상기 파이프(52)가 상기 수용부(60a)에 내설되면, 일측 절개면에 형성된 끼움돌기(60c)를 타측 절개면에 형성된 홈(60d)에 끼움으로써, 상기 양측 절개면이 접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절개부(60)가 닫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60c)와 홈(60d)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방진부재(60)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상기 파이프(52)에 고정되게 설치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는 파이프가 내설되는 수용부와 연결되는 절개부를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를 이루는 양측 절개면에는 끼움돌기와 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상기 파이프가 상기 방진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 상기 수용부에 내설된 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상기 파이프의 직경이 상기 수용부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경우에도 상기 파이프의 진동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외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의 설치과정이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파이프 60: 방진부재
60a: 수용부 60b: 절개부
60c: 끼움돌기 60d: 홈
60e: 지지돌기

Claims (3)

  1. 파이프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파이프가 상기 수용부로 내설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절개부의 일측 절개면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기 절개면과 접하는 타측 절개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가 내설된 후 유동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상기 수용부에 내설된 파이프가 진동으로 인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3. 삭제
KR10-2003-0018001A 2003-03-22 2003-03-22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KR10051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001A KR100517609B1 (ko) 2003-03-22 2003-03-22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001A KR100517609B1 (ko) 2003-03-22 2003-03-22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98A KR20040086898A (ko) 2004-10-13
KR100517609B1 true KR100517609B1 (ko) 2005-09-28

Family

ID=3736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001A KR100517609B1 (ko) 2003-03-22 2003-03-22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92B1 (ko) * 2005-09-27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CN103836733B (zh) * 2012-11-20 2016-07-06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空调外机管路固定橡胶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98A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2191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17609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부재
KR10036023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KR101013259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진동방지 및 절연 구조
US713128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vibration dampening device
WO202106498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9186061A (ja) 室外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1233489B1 (ko) 별도의 끼움부재를 갖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송풍기 모터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풍기 모터 고정방법
KR10226520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232359Y1 (ko) 패키지에어콘의송풍기고정장치
KR100512528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냉매파이프용 진동방지장치
KR100315515B1 (ko) 공기조화기의 소음차단장치
KR0111787Y1 (ko) 냉동공조기용 방진구
KR19980062989U (ko) 머플러를 구비한 냉장고의 석션파이프
KR20030000210A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구
KR200203883Y1 (ko) 소음방지용 이격부재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 커버
KR100270868B1 (ko) 에어컨의소음저감장치
KR100488021B1 (ko) 실외기 샤시
KR20030077283A (ko) 압축기의 소음 차단을 위한 실외기 내부구조
KR20000027872A (ko) 에어컨 실외기의 소음방지구조
KR0120751Y1 (ko) 공기조화기 모세관의 방진구조
JPWO2020170363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291324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압축기 조립구조
KR100429462B1 (ko) 압축기의 소음 저감 구조
KR20030014501A (ko) 에어컨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