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591A -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 Google Patents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591A
KR19980703591A KR1019970706996A KR19970706996A KR19980703591A KR 19980703591 A KR19980703591 A KR 19980703591A KR 1019970706996 A KR1019970706996 A KR 1019970706996A KR 19970706996 A KR19970706996 A KR 19970706996A KR 19980703591 A KR19980703591 A KR 19980703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methanol
tlc
methylene chloride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게오르크 레르헨
카르스텐 폰뎀부르흐
우베 페테르젠
예르크 바움-가르텐
노르베르트 필
호르스트-페터 안토니체크
발터 바이헬
미카엘 스페르젤
클라우스 디터 브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로이터
바이엘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로이터, 바이엘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클라우스로이터
Publication of KR1998070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59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2Halogenated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03Monocyclic carbocyclic rings other than cyclohexane rings; Bicyclic carbocyclic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9/001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the peptide sequence having less than 12 amino acids and not being part of a r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에 의해 개질시킴으로써 종양 특이성인 세포 증식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스페이서는 혈청 안정성 및 동시에 세포내 작용을 보증한다.

Description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본 발명은 탄수화물에 의한 개질로 인하여 종양 특이성인 세포 증식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스페이서는 혈청 안정성 및 동시에 세포내 작용을 보증한다.
종양 질환의 화학 요법은 다른 조직의 증식하는 세포에 대한 화학 요법의 독성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한다. 수년 동안 과학자들은 사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선택성을 개선시키는 문제를 다루어 왔다. 종종 수행하던 하나의 접근법으로는 pH의 변화에 의해(Tietze 등의 독일 특허 제4 229 903호 참조), 효소에 의해(예, 글루크로니다제, Jacquesy 등의 유럽 특허 제511 917호; Bosslet 등의 유럽 특허 제595 133호 참조) 또는 항체-효소 콘쥬게이트(Bagshawe 등의 국제 특허 공개 제88/07378호; Senter 등의 미국 특허 제4 975 278호; Bosslet 등의 유럽 특허 제595 133호)에 의해 표적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보다 많거나 또는 보다 적게 유리되는 프로드럭의 합성이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문제점은 특히 다른 조직 및 장기에서의 콘쥬게이트의 안정성의 부족, 및 구체적으로 종양 조직에서의 활성 화합물의 세포내 유리를 수행하는 활성 화합물의 편재 분포이다.
종양 세포의 표면에 대한 명백한 렉틴 패턴(문헌 [Gabius; Onkologie12, (1989), 175] 참조)은 대응 탄수화물 단위를 세포 증식 억제제에 결합시킴으로써 종양 세포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중요한 가능성을 열었다. 이러한 전망은 유사 탄수화물 특이성을 갖는 렉틴(갈락토오스, 락토오스, 만노오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푸코오스 등)이 또한 다른 조직, 특히 간에서도 발생한다는 사실에 의해 제한된다(문헌 [Ashwell 등, Annu. Rev. Biochem.46(1982), 531]; [Stahl 등., Proc. Natl. Acad. Sci. USA74(1977), 1521]; [Hill 등, J. Biol. Chem.262(1986), 7433]; [Jansen 등, J. Biol. Chem.266(1991), 3343] 참조). 상기와 같은 개질되지 않은 당이 사용될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글리코콘쥬게이트가 간 및 렉틴이 풍부한 다른 장기에 상당한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의 헤테로시클릭 아민 바트라실린은 각종 장 암 모델에서 양호한 항암 작용을 나타낸다(미국 특허 제4 757 072호 참조).
시험관내 작용이 양호하고 보다 바람직한 용해도 특성을 가진 화학식 1의 펩티드 콘쥬게이트는 동물 연구에 있어서 바트라실린보다 내성이 더 불량하다(미국 특허 제4 180 343호 참조). 유럽 특허 제501 250호에 기재된 푸코오스 콘쥬게이트는 간에 매우 집중된다.
하기 화학식 2의 퀴놀론-a, 즉 7-[(3aRS,4RS,7aSR)-4-아미노-1,3,3a,4,7,7a-헥사히드로-이소인돌-2-일]-8-클로로-1-시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은 또한 현저한 항균 활성 이외에도 각종 종양 세포주에 대해 매우 양호한 활성을 나타낸다(유럽 특허 제520 240호, 일본 특허 제4 253 973호 참조). 그러나, 이는 상당한 독성학적 문제(예, 생체내 유전독성, 골수 독성, 매우 급성인 독성 등)에 직면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세포 증식 억제제를 새롭게 개질함으로써 다음 특성에 의해 구별되는 새로운 군의 콘쥬게이트를 발견하게 되었다.
탄수화물과 세포 증식 억제제(예, 바트라실린, 퀴놀론-a)의 신규 결합으로 혈청 안정성인 글리코콘쥬게이트를 유도한다. 이 작용은 활성 화합물의 세포외 이탈에 의존하지는 않는다. 각종 종양 세포주에 대한 시험관내 활성은 그들이 기초로 하는 세포 증식 억제제의 시험관내 활성과 비교할만한다. 세포 특이적인 흡착성은 탄수화물에 의존한다.
세포 및 조직 선택성(특히, 간에 대한 종양)은 기재된 콘쥬게이트의 탄수화물 부분에 있어서 위치 선택적인 개질에 의해 상당히 개선된다.
생체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쥬게이트는 활성 화합물 및 상응하는 펩티드 콘쥬게이트에 비해 상당이 개선된 내성에 의해 구별된다.
또한, 그들이 기초로 하는 세포 증식 억제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쥬게이트는 상당히 개선된 용해도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I로 표시된다.
K - Sp - L - AA1 - AA2 - C
상기 식 중,
K는 비치환 또는 위치 선택적으로 개질된 탄수화물 라디칼이고,
Sp는 임의 치환 아릴렌 또는 알킬렌이고,
L은(여기서, R은 염소 또는 히드록시알킬아미노임)이고,
Sp에 대한 결합은 NH기를 통한 것이다.
AA1은 제2 K-Sp-L 그룹(여기서, K, Sp 및 L은 다른 K-Sp-L 그룹과 독립적으로 상기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임의 포함할 수 있는 D 또는 L 배열의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다. 아미노산 라디칼은 둘 다 α-아미노산기를 통하여 L에 결합될 수 있고, 적합할 경우 측쇄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 및 또한 양쪽 관능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AA1이 관능기를 더 포함할 경우, 이들은 차단기 제거된 형태 또는 공지의 보호기로 보호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기의 예로는 아세틸, 알릴옥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알릴, 벤질, 메틸 또는 tert-부틸이 있다.
AA2는 제2 K-Sp-L 그룹(여기서, K, Sp 및 L은 다른 K-Sp-L 그룹과 독립적으로 상기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임의 포함할 수 있는 D 또는 L 배열의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다. 아미노산 라디칼은 둘 다 α-아미노산기를 통하여 AA1에 결합될 수 있고, 적합할 경우 측쇄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 및 또한 양쪽 관능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AA2가 관능기를 더 포함할 경우, 이들은 차단기 제거된 형태 또는 공지의 보호기로 보호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기의 예로는 벤질옥시카르보닐, 아세틸, 알릴옥시카르보닐,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알릴, 벤질, 메틸 또는 tert-부틸이 있다.
C는 아미노기 또는 히드록실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세포 증식 억제제 또는 세포 증식 억제제 유도체의 라디칼이다. C는 층간 물질,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항대사물, 알킬화제, 세관 억제제, 티로신 포스포키나제 억제제, 단백질 키나제-C-억제제 또는 또다른 또는 미지의 세포 증식 억제성 또는 세포독성 작용 메카니즘을 갖는 활성 화합물일 수 있다. C는 예를 들면 뉴클레오시드, 엔디인 항생물질, 퀴놀론카르복실산 또는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 또는 예를 들면 일군의 돌라스타틴으로부터의 세포독성 펩티드 항생물질일 수 있다. C는 바트라실린, 퀴놀론-a, 5-플루오로우라실, 사이토신 아라비노시드, 메토트렉세이트, 에토포시드, 캄프토테신, 다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탁솔,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다이네마이신, 칼리키아마이신, 에스페라마이신, 케르세틴, 수라민, 에르브스타틴, 시클로포스파미드, 미토마이신 C, 멜팔란, 시스플라틴, 블레오마이신, 스타우로스포린 또는 항신생물 작용을 갖는 다른 활성 화합물일 수 있다.
구조 요소인 -Sp-L-AA1-AA2-는 전체적으로 K 및 C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K가 하기 화학식 II의 탄수화물 라디칼인 화합물이다.
상기 식 중,
A는 메틸, 히드록시메틸, 카르복실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와 아미드, 알콕시메틸, 아실옥시메틸 또는 카르복시알킬옥시메틸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와 아미드이다. 또한 A는 CH2-B(여기서, B는 다시 아노머 중심을 통하여 결합되는 화학식 II의 탄수화물 라디칼일 수 있음)일 수 있다.
R2, R3, R4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함께 H, 히드록실, 알킬옥시, 카르복시알킬옥시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와 아미드, 히드록시알킬옥시, 아미노알킬옥시, 아실옥시, 카르복시알킬카르보닐옥시, 술페이토, 포스페이토, 할로겐 또는 동일 구조에서 개질되고 아노머 중심을 통하여 결합되는 화학식 II의 다른 탄수화물 라디칼이다. 또한 R2는 추가로 아미노 또는 아실아미노일 수 있다. 라디칼 R2, R3및 R4중 2개가 함께 에폭시드기를 나타낼 수 있다.
탄수화물 구조 단위의 아노머 중심에 대한 입체 화학은 α 또는 β일 수 있다. 다른 중심에 대한 입체 화학으로부터 글루코, 만노, 갈락토, 굴로, 람노 또는 푸코 배열을 유도할 수 있다.
Sp는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서 K 및 L로 개질되고 또한 서로 독립적이거나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H, 메틸, 메톡시, 히드록실, 카르복실, 메톡시카르보닐,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술포닐 또는 술폰아미드일 수 있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아릴렌 라디칼이고, 또한 Sp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라디칼일 수 있다.
L은(여기서, R은 염소 또는 히드록시알킬아미노임)이다.
AA1은 제2 K-Sp-L 그룹(여기서, K, Sp 및 L은 다른 K-Sp-L 그룹과 독립적으로 상기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임의 포함할 수 있는 D 또는 L 배열의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다. 아미노산 라디칼은 둘 다 α-아미노산기를 통하여 L과 결합될 수 있고, 적합할 경우 측쇄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 및 또한 양쪽 관능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AA1이 관능기를 더 포함할 경우, 이들은 차단기 제거된 형태 또는 공지의 보호기로 보호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기의 예로는 아세틸, 알릴옥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알릴, 벤질, 메틸 또는 tert-부틸이 있다.
AA2는 제2 K-Sp-L 그룹(여기서, K, Sp 및 L은 다른 K-Sp-L 그룹과 독립적으로 상기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임의 포함할 수 있는 D 또는 L 배열의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다. 아미노산 라디칼은 둘 다 α-아미노산기를 통하여 AA1과 결합될 수 있고, 적합할 경우 측쇄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 및 또한 양쪽 관능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AA2가 관능기를 더 포함할 경우, 이들은 차단기 제거된 형태 또는 공지의 보호기로 보호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기의 예로는 벤질옥시카르보닐, 알릴옥시카르보닐, 아세틸,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알릴, 벤질, 메틸 또는 tert-부틸이 있다.
C는 예를 들면 뉴클레오시드의 라디칼, 엔디인 항생물질 또는 예를 들면 일군의 돌라스타틴으로부터의 세포독성 펩티드 항생물질, 또는 다음에 정의된 바와 같은 퀴놀론카르복실산 또는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C는 예를 들면 바트라실린, 퀴놀론-a, 5-플루오로우라실, 사이토신 아라비노시드, 메토트렉세이트, 에토포시드, 캄프토테신, 다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탁솔,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다이네마이신, 칼리키아마이신, 에스페라마이신, 케르세틴, 수라민, 에르브스타틴, 시클로포스파미드, 미토마이신 C, 멜팔란, 시스플라틴, 블레오마이신, 스타우로스포린 또는 항신생물 작용을 갖는 다른 활성 화합물일 수 있다. 세포 증식 억제제는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를 통하여 AA2와 결합된다.
화학식 I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K가 하기 화학식 II의 탄수화물 라디칼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상기 식 중,
A는 메틸, 히드록시메틸, 카르복실 및 메톡시카르보닐메틸, 및 CH2-B(여기서, B는 다시 아노머 중심을 통하여 결합되는 화학식 II의 탄수화물 라디칼일 수 있음)이다.
R2, R3, R4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함께 H, 히드록실, C1-C3-알킬옥시, 카르복시-C1-C3-알킬옥시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C1-C3-알킬 에스테르와 아미드, 히드록시알킬옥시, 아실옥시, 카르복시-(C1-C3-알킬)-카르보닐옥시, 술페이토 또는 R3또는 R4위치에서 아노머 중심을 통하여 결합되는 다른 탄수화물 라디칼이다. 또한, 라디칼 R2, R3및 R4중 2개가 함께 에폭시드기를 나타낼 수 있다.
아노머 중심에 대한 입체 화학은 α 또는 β일 수 있다. 다른 중심에 대한 입체 화학으로부터 D-만노, D-갈락토, L-굴로, D-글루코, L-람노 또는 L-푸코 배열을 유도할 수 있다.
Sp는 오르토 또는 파라 위치에서 K 및 L로 개질되고 또한 수소 원자 이외에도 메톡시, 니트로 또는 염소일 수 있는 또다른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는 아릴렌 라디칼이고,
L은(여기서, R은 염소 또는 히드록시알킬아미노임)이다.
AA1은 D 또는 L 배열의 리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오르니틴, 티로신, 발린 또는 세린과 같은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다. 아미노산 라디칼은 둘 다 α-아미노산기를 통하여 L과 결합될 수 있고, 적합할 경우 측쇄 아미노 관능기 및 또한 양쪽 관능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그룹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또다른 K-Sp-L 그룹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AA1이 관능기를 더 포함할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차단기 제거된 형태이다.
AA2는 D 또는 L 배열의 알라닌, 리신, 글리신, 세린, 오르니틴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과 같은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다. 아미노산 라디칼은 둘 다 α-아미노산기를 통하여 AA1과 결합될 수 있고, 적합할 경우 측쇄 아미노 관능기 및 또한 양쪽 관능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그룹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또다른 K-Sp-L 그룹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AA2가 관능기를 더 포함할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차단기 제거된 형태이다.
C는 바트라실린, 메토트렉세이트, 퀴놀론-a, 에토포시드, 멜팔란, 탁솔, 캄프토테신, 다우노마이신 또는 독소루비신, 또는 다음 정의된 바와 같은 퀴놀론카르복실산 또는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세포 증식 억제제는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를 통하여 AA2와 결합된다.
유리체로서 사용되는 퀴놀론카르복실산 또는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 구조 단위 C는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될 수 있다.
T - Q
상기 식 중,
Q는 식,,또는[여기서, Ra는 할로겐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 비닐, 1 또는 2개의 불소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비시클로[1.1.1]펜트-1-일, 1,1-디메틸프로파르길, 3-옥세타닐, 메톡시, 아미노,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또는 할로겐,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페닐을 나타내거나, 또는 Re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Rb는 히드록실,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콕시 또는 니트로메틸을 나타내고,
Rc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Rg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Rd는 수소, CH3, CH2F 또는 =CH2를 나타내고,
X1은 수소, 할로겐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X2는 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실, 메톡시, 메르캅토, 메틸, 할로겐노메틸 또는 비닐을 나타내고,
Y는 N 또는 C-Re(여기서, Re는 수소, 할로겐, CF3, OCH3, OCHF2, CH3, CN, CH=CH2또는 C≡CH를 나타내거나, 또는 Ra와 함께 구조식 -*O-CH2-CH-CH3, -*S-CH2-CH2-, -*S-CH2-CH-CH3, -*CH2-CH2-CH-CH3또는 -*O-CH2-N-Rf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Rf는 수소, 메틸 또는 포르밀을 나타냄)를 나타내고,
D는 N 또는 C-Rg(여기서, Rg는 수소, 할로겐, CF3, OCH3, OCHF2또는 CH3를 나타내거나, 또는 Rc와 함께 구조식 -*O-CH2-, -*NH-CH2-, -*N(CH3)-CH2-, -*N(C2H5)-CH2-, -*N(C3H5)-CH2- 또는 -*S-CH2-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D의 탄소 원자와 결합됨)를 나타내고,
n은 1, 2 또는 3을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하고,
T는 식[여기서, Rh는 O-,, -CH2-O- 또는(여기서, Rk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i는 수소, C1-C3-알킬 또는 시클로프로필을 나타냄)를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세포 증식 억제제 C로서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Q가 식또는[여기서, Ra는 1개의 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되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알킬, 1개의 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되는 시클로프로필 또는 불소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페닐을 나타내고,
Rb는 히드록실 또는 탄소 원자수 1 또는 2의 알콕시를 나타내고,
Rc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Rg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X1은 불소를 나타내고,
X2는 수소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Y는 N 또는 C-Re(여기서, Re는 수소, 불소, 염소, CF3, OCH3, OCHF2또는 C≡CH를 나타내거나, 또는 Ra와 함께 구조식 -*O-CH2-CH-CH3또는 -*O-CH2-N-Rf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Rf는 메틸을 의미함)를 나타내고,
D는 N 또는 C-Rg(여기서, Rg는 수소, 불소, 염소, CF3, OCH3또는 CH3를 나타내거나, 또는 Rc와 함께 구조식 -*O-CH2-, -*NH-CH2-, -*N(CH3)-CH2- 또는 -*S-CH2-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D의 탄소 원자와 결합됨)를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하고,
T가 식[여기서, Rh(여기서, Rk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i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냄)를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하는 화합물이다.
캄프토테신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의 글리코콘쥬게이트도 마찬가지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K, Sp 및 L이 수소를 나타내고, C가 캄프토테신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물질은 신규하며, 중간체 생성물로서 반응시켜 또다른 화학식 I의 유도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특히 세포 증식 억제제로서의 관심있는 제약 작용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와 같은 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예를 들면 라세메이트와 같은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순수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모두에 관한 것이다.
필요할 경우,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결정화 공정에 의해 입체 이성질적으로 균일한 구성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그의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 염기 또는 산과의 염 및 분자내 염을 언급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산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염산 및 브롬화수소산, 특히 염산과 같은 할로겐화수소산 및 또한 인산, 질산, 황산, 일관능성 및 이관능성 카르복실산 및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 말레산, 말론산, 옥살산, 글루콘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살리살산, 소르브산 및 락트산, 및 술폰산, 예를 들면 p-톨루엔술폰산, 1,5-나프탈렌-디술폰산 또는 캄포르술폰산이 있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마찬가지로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 예를 들면 에틸아민, 디 또는 트리에틸아민, 디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아르기닌, 리신, 에틸렌디아민 또는 펜에틸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염이 있다.
실시예 시리즈 A : 생물학적 시험
실시예 A.1
바트라실린과 퀴놀론-a의 글리코콘쥬게이트의 세포독성 결정을 위한 성장 억제 시험
인간의 결장 세포주 SW 480 및 HT 29(ATCC 번호 CCL 228 및 HBT-38) 및 쥐의 색소세포종 세포주 B 16 F 10을 루(ROUX)의 접시 중 10 %의 FCS가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물의 항트립신성을 파괴한 후 RPMI와 10 %의 FCS에 분해시켜 혈구수가 50,000 세포/ml가 되게 하였다. 웰 당 세포 현탁액 100 ㎕를 96 마이크로웰 플레이트에 도입하고, CO2인큐베이션 캐비넷 중 37 ℃에서 1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추가의 RPMI 배지 100 ㎕ 및 시험 물질을 포함하는 디메틸 술폭시드 1 ㎕를 첨가하였다. 3일 및 6일 후 성장을 체크하였다. 초기 농도가 H2O 5 mg/ml인 MTT 용액(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린 브로마이드) 40 ㎕를 각 마이크로파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CO2인큐베이션 캐비넷 중 37 ℃에서 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흡인 제거한 후 웰 당 i-프로판올 100 ㎕를 첨가하였다. H2O 100 ㎕로 30분 동안 진탕시킨 후, 타이터텍 멀티스칸(Titertek Multiskan) MCC/340(Flow)을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상기한 바트라실린의 글리코콘쥬게이트의 세포독성 작용을 각각 SW 480 및 HT 29 세포주에 대한 IC50값으로서 표 1aa 내지 1ad에 나타내었다.
SW 480, HT 29 및 B 16 F 10 세포주에 대한 퀴놀론-a 글리코콘쥬게이트의 IC50값을 표 1ba 내지 1bb에 요약하였다.
탄수화물에 대한 생물학적 작용의 의존성은 추가로 탄수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 화합물, N-[Nα, Nε-비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및 N-[Nα, Nε-비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및 N-[Nα, Nε-비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IC50값 250)의 불활성에 의해 입증되며, 이는 실시예 시리즈 5, 6 및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A.2
글리코콘쥬게이트의 분할성의 시험관내 조사
인간 혈액을 사용한 분할 동력학
인간 혈액 1.225 ml를 37 ℃에서 PBS 1.25 ml 및 기질 원액(PBS 중 3 %의 디메틸 술폭시드 중 1 mg/ml) 25 ㎕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1시간 및 24시간 후 각 경우의 샘플 1 ml를 취하여 에탄올 1 ml와 혼합하고 4 ℃에서 20분 동안 정치시켰다. 원심분리(3500 rpm에서 5분) 후, 상등액 100 ㎕를 취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세포를 사용한 분할 동력학
PBS 2.25 ml를 37 ℃에서 세포 현탁액 225 ㎕(30 mg/ml) 및 기질 원액(PBS 중 3 %의 디메틸 술폭시드 중 1 mg/ml) 25 ㎕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1시간 및 24시간 후 각 경우의 샘플 1 ml를 취하여 에탄올 1 ml와 혼합하고 4 ℃에서 20분 동안 정치시켰다. 원심분리(3500 rpm에서 5분) 후, 상등액 100 ㎕를 취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조건
장치 : 워터스(Waters) 유닛
칼럼 : 비쇼프 하이퍼실(Bischoff Hypersil) OCS RP 18, 5 ㎛, 250 × 4 ㎜
용출액 : A : 10 mM 인산칼륨 완충액, pH 4.5
B : 80 % 아세토니트릴/20 % 물
유속 : 1 ml/분
파장 : 372 nm
농도 구배 : 0분 10 % B
10분 60 % B
15분 60 % B
18분 10 % B
20분 60 % B
퀴놀론-a 콘쥬게이트에 대한 용출액 : A : 100 % 메탄올
B : 10 mM 인산칼륨 완충액, pH 2.2; 10 mM 헵탄술폰산
실시예 인간 혈액 분할율(%) SW-480 분할율(%) 간암 분할율(%)
1시간 24시간 1시간 24시간 1시간 24시간
3.4 n.d. n.d. 74* n.d. 98* n.d.
3.9 0 54* 28* 100* 32* 100*
4.4 0 0 0 0 0 0
5.9 0 0 0 0 0 0
6.2 n.d. n.d. 0 0 0 0
6.12 n.d. n.d. 0 0 0 0
7.3 0 0 0 0 0 0
*: 분할 생성물이 N-[D-알라닐]-바트라실린이다.
실시예 인간 혈액 분할율(%) SW-480 분할율(%) 간암 분할율(%)
1시간 24시간 1시간 24시간 1시간 24시간
11.2 0 0 0 0 0 0
11.6 0 11 % 0 8 % 0 12 %
11.7 0 0 0 0 0 0
12.1 0 0 0 0 0 0
12.3 0 0 0 0 0 0
12.8 0 0 0 0 0 0
실시예 A.3
장기 분포의 조사
드럭 디벨롭먼트 래보레토리, 온코테스트 게엠바하(Drug Development Laboratory, Oncotest GmbH, Prof. H.H. Fiebig, Freiburg)에서 기른 무감각의 벌거숭이 쥐(균주 NMRI nu/nu)를 모든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동물은 박편 유동 조건하에 마크롤론(Macrolon) 우리에 두었다. 벌거숭이 쥐에서 여러 경로로 미리 성장시킨 세포주 SW 480의 조직을 종양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동물 당 2개의 종양을 6 내지 8주령의 벌거숭이 쥐의 2개의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이 동물을 무작위화 시간까지 26 내지 27일간 방치하였다. 평균 종양 크기는 500 mg이었고, 이는 종양 직경 약 10 mm에 상응하였다.
약물 동력학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조사하고자 하는 물질을 벌거숭이 쥐에게 주입하고, 1/2시간 및 4시간 후 샘플을 취할 때까지 쥐를 우리어 다시 넣었다. 샘플 채취는 혈액 샘플링으로 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쥐를 마취용 에테르로 마취시켰다(1/2 내지 1분 동안 지속). 물질 주입 후 0.5시간 및 4시간에 복강을 개방하고, 쥐를 1 내지 2분에 걸쳐 대정맥 꼬리측을 통하여 마취하에 교환수혈한 후 단두시켜 희생시켰다. 그 결과 중추 순환 정지가 발생하였고 장기 재관류가 억압되었다. 이어서, 개별 장기들을 노출 제거하였고, 그 조작은 약 5분 걸렸다. 그 직후 장기 샘플에 이어 신체 나머지의 중량을 재고 액체 질소 중에서 동결시켰다.
물질 콘쥬게이트 1은 체중 1 kg 당 300 mg의 양으로 복강내(i.p.) 투여하고, 물질 콘쥬게이트 2는 1 kg 당 100 mg의 양으로 꼬리 정맥으로 정맥내(i.v.) 투여하였다. 물질 및 시간 당 5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콘쥬게이트 1에 대한 분포 결과는 표 3에 요약하고, 콘쥬게이트 2에 대해서는 표 4에 요약하였다.
A. 캘리브레이션 시리즈
에탄올 물(1:1, v/v)에 용해시킨 물질 5, 10, 50, 100 및 200 ㎍을 소의 간 1 g에 투여하였다. 샘플을 바다 모래 1 g 및 냉각시킨 에탄올/물(1:1, v/v) 2.5 ml와 함께 막자사발에서 분쇄하고, 3500 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에탄올/물 2.5 ml와 재혼합하고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한데 합하였다. 각 경우, 100 ㎖를 취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조건
장치 : 워터스(Waters) 유닛
칼럼 : 비쇼프 하이퍼실(Bischoff Hypersil) OCS RP 18, 5 ㎛, 250 × 4 ㎜
용출액 : A : 80 % 아세토니트릴/20 % 물
B : 10 mM 인산칼륨 완충액, pH 4.5
농도 구배 : 0분 90 % B
10분 40 % B
15분 40 % B
18분 90 % B
20분 90 % B
유속 : 1 ml/분
파장 : 372 nm
B. 장기의 워크업(working up)
장기들을 A와 유사하게 워크업하고, 전체 장기를 에탄올/물 2.5 ml에 분해시키고 추출하였다.
C. 혈액의 워크업
채취한 소정량의 혈액을 에탄올/물(1:1, v/v) 2.5 ml와 혼합하고, 3500 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따라 버렸다. 잔류물에 에탄올/물 2.5 ml를 재첨가하고, 혼합물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한데 합하였다. 각 경우, 한데 합한 상등액 100 ㎕를 취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A에 사용된 HPLC 조건을 사용하였다.
콘쥬게이트 1(유럽 특허 제501 250-A1호)
콘쥬게이트 2(실시예 3.9)
장기 샘플의 평가
장기 물질 평균 1시간(㎍/g 장기) 평균 4시간(㎍/g 장기)
혈액 콘쥬게이트 1 31.2 -
바트라실린 - -
종양 콘쥬게이트 1 56.6 24.4
바트라실린 - -
콘쥬게이트 1 770 126
바트라실린 34.1 22.4
신장 콘쥬게이트 1 81 78.4
바트라실린 26.1 27.5
콘쥬게이트 1 - -
바트라실린 - -
장기 샘플의 평가
장기 물질 평균 0.5시간(㎍/g 장기) 평균 4시간(㎍/g 장기)
혈액 콘쥬게이트 2 6.5 -
바트라실린 - -
종양 콘쥬게이트 2 2.0 -
바트라실린 2.5 3.12
콘쥬게이트 2 0.9 1.2
바트라실린 - -
신장 콘쥬게이트 2 17.5 0.5
바트라실린 10.7 0.8
콘쥬게이트 2 - -
바트라실린 - -
실시예 A.4
바트라실린의 글리코콘쥬게이트의 급성 독성의 측정(단일 투여)
바트라실린 유도체의 급성 독성을 nu/nu 벌거숭이 쥐에서 측정하였다.
수용액으로서 정맥내 투여한 물질 및 디메틸 술폭시드 중의 용액으로서 복강내 투여한 물질은 쥐 1 kg 당 물질 400 mg 이하의 농도로 한번에 주사하였다.
개별 내성 투여량은 투여 후 21일까지의 동물의 체중 감소 및 생존한 동물의 수로부터 계산하였다.
저항할 수 있는 물질의 개별 투여량은 표 5로부터 알 수 있다.
물질 3.16, 3.33, 3.9, 6.12, 6.14, 6.2, 6.81 및 8.2에 대하여, 쥐 1 kg 당 물질 200 mg 이상이었다. 물질 3.33, 6.12, 6.14, 6.2 및 6.81에 대해서는 400 mg/kg의 투여량에서도 여전히 급성 독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반대로, 당을 포함하지 않는 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2.13)은 25 내지 50 mg/kg 쥐의 개별 투여량에서 이미 상당히 독성이었다.
저항할 수 있는 바트라실린 유도체 및 퀴놀론-a 유도체의 개별 최대 투여량
실시예 개별 내성 투여량(mg/kg 쥐)
i.p. i.v.
2.13 50 25
3.4 200 100(동물 2마리 사망)
3.9 200 200
3.16 200 n.d.
3.33 n.m. 400
6.2 400 n.m.
6.12 n.m. 400
6.14 400 n.m.
6.81 n.m. 400
8.2 200 n.d.
퀴놀론-a n.d. 25
12.3 n.d. 200
실시예 A.5
수회 투여 후 급성 독성의 측정
물질을 1일 내지 4일 및 7일 내지 10일 또는 1, 5 및 9일에 매일 부분적으로 정맥내 및 부분적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투여량은 400, 200 및 100 mg/kg/일이었다. 21일까지의 중량의 감소 및 생존 동물의 수에 따라 평가하였다. 실험에 대하여 물질 및 투여량 당 5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요약하였다.
다중 투여에 대한 최대 내성 투여량
투여 투여 일수 MTD mg/kg/일
3.9 i.v. 1-4, 7-10 약 50
1-4 약 100
3.33 i.v. 1, 5, 9 400
6.2 i.p. 1-4, 7-10 약 400
1, 5, 9 400
6.12 i.v. 1-4, 7-10 400
1, 5, 9 400
6.14 i.p. 1, 5, 9 400
6.81 i.v. 1-4, 7-10 약 200
1, 5, 9 400
바트라실린 i.p. 1, 5, 9 약 100
실시예 A.6
기초로 하는 활성 화합물과 비교한 퀴놀린-a의 글리코콘쥬게이트의 조혈 활성
물질 및 방법
시험관내:
골수 세포를 쥐의 대퇴골로부터 플러싱하였다. 105개의 세포를 쥐의 재조합 GM-CSF(Genzyme; 모세포 콜로니 형성) 및 물질 (10-4내지 100 ㎍/ml)과 함께 37 ℃ 및 7 % CO2에서 맥코이(McCoy) 5A 배지(0.3 % 한천)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7일 후 콜로니(50개 세포) 및 클러스터(17-50개 세포)를 카운팅하였다.
생체내:
쥐를 화합물 1, 3, 10 또는 30 mg/kg으로 피하 처리하였다. 다양한 시간(주입 3, 24, 48, 72p)에 대퇴골을 제거하고, 골수 세포를 단리하였다. 2 × 105개의 세포를 상기한 바와 같은 GM-CSF를 사용하여 인큐베이션하고, 7일 후 콜로니 및 클러스터를 카운팅하였다.
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사된 글리코콘쥬게이트는 퀴놀론-a와 비교하여 105내지 103의 인자만큼 감소된 골수 모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내 실험에서는 퀴놀론-a와 비교하여 30 mg/kg까지의 화합물 12.3으로는 모세포 증식 억제가 관찰되지 않았다. 모세포 증식의 대규모 억제는 퀴놀론-a 3 mg/kg으로 이미 유도하였다(도 1).
쥐의 골수 모세포의 LSF-유도된 증식
실시예 IC50[㎍/㎖]
퀴놀론-a 0.0002
11.2 22.5
11.7 2.9
12.1 0.21
12.3 0.27
12.6 0.3
12.8 0.3
14.1 2.9
14.2 3.6
14.4 3.6
실시예 A.7
퀴놀론-a 콘쥬게이트의 항신생물 활성
퀴놀론-a의 글리코콘쥬게이트의 시험관내 활성을 문헌 [Hamburger 및 Salmon, Science 197: 461-463]에 따른 2층 연질 한청 배양 시스템에서 인간 종양 이종이식물 상에서 측정하였다.
수술로 얻고 기계적으로 분쇄한 무감각의 벌거숭이 쥐(NMRI nu/nu)에서 먼저 단단한 종양을 성장시켰다. 개별 세포를 RPMI 중 콜라게나제 0.05 %, DNAse 0.07 % 및 히알루로니다제 0.1 %의 효소 혼합물 중에서 37 ℃하에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여 얻었다. 이 세포를 2회 세척하고, 200 ㎛ 및 20 ㎛ 메쉬 폭의 체를 통과시켰다.
다음의 배양 방법을 사용하였다.
베이스층은 송아지 태아 혈청 20 % 및 한천 0.7 %를 포함하는 이스코브즈(Iscoves) 개질된 둘베코 배지 0.2 ml를 함유하였다. 동일 배지 0.2 ml 및 한천 0.4 % 중의 40,000 내지 200,00개 세포를 24 다중웰 플레이트 중 상기 층에 가하였다. 세포 증식 억제 물질을 배지 0.2 ml에 첨가하였다.
배양물을 37 ℃에서 7 % CO2분위기하에 6 내지 15일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콜로니를 인버팅 현미경하에서 카운팅하고, 생존 콜로니를 평가 24시간 전에 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염료로 염색하였다.
활성 화합물의 효과를 미처리 플레이트의 콜로니수와 비교한 생존 콜로니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T/C = 처리 콜로니수 × 100/미처리 대조군수).
T/C 값이 ≤ 30 %일 경우 물질은 활성이다.
이 값을 표 8에 IC70값(㎍/㎖)으로서 나타내었다.
실시예 IC70(㎍/㎖)
11.7 12.1 12.3 12.5 퀴놀론-a
CXF 280 100 70 5 0.3 6
HT 29 56 6 5 11 20
SW 480 18 8 11 10 3
LXFL 529 4 0.9 2 2 3
LXFS 538 18 0.4 0.5 0.3 0.3
MEXF 989 3 0.3 0.3 0.5 0.3
OVXF 899 234 45 162 55 2
OVXF 1023 136 12 10 9 0.5
실시예 A.8
생체내 시험
방법:
쥐를 0일에 5 × 106B 16 F 10 종양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종양 세포가 이식된 동물은 단단한 복막 종양을 발전시켰고, 이어서 시험 물질 또는 비히클 대조로 매일 치료하였다. 대조군에서는 동물의 50 %가 통상 14일 및 20일 사이에 사망하였다. 시험 물질은 0.7 % 염화나트륨 용액 중 20 % 메탄올 및 20 % 디메틸 술폭시드를 함유하는 완충액 또는 유기 용매 계에 포함시켜 투여하였다.
비히클 투여는 동물의 생존 시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결과는 치료된 동물의 생존 시간의 연장으로부터 나타났다. 화합물의 내성은 종양을 포함하지 않는 동물 상에서 평행 분석하였다. 치료 인덱스는 내성 및 생존 시간의 연장으로부터 평가할 수 있다.
생존율(%)
0일 20일 25일 30일 35일
대조 100 70 30 10 10
11.12 (1 mg/kg) 100 90 60 30 30
11.12 (100 mg/kg) 100 100 100 90 90
퀴놀론-a(0.1 mg/kg) 100 100 100 60 40
에토포시드(5 mg/kg) 100 90 80 80 70
표 9는 B 16 F 10 종양이 이식된 쥐에 대한 실시예 11.12의 화합물의 치료 활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A.9
벌거숭이 쥐 모델을 사용한 종양 성장의 생체내 억제
물질:
무감각의 벌거숭이 쥐(NMRI nu/nu 균주)를 종양 성장의 억제 조사를 위한 모든 생체내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택된 큰 세포 폐암 LXFL 529를 벌거숭이 쥐에서 일련의 경로로 발전시켰다. 인간 유래의 종양은 동등효소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입증하였다.
실험 구성:
종양을 6 내지 8주령의 nu/nu 벌거숭이 쥐의 양쪽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종양의 직경이 5 내지 7 mm에 도달하자마자 이배화 시간과 관계없이 처리를 개시하였다. 쥐를 무작위적으로 처리군 및 대조군으로 할당하였다(8 내지 10개의 평가 종양에 대하여 군 당 5마리의 쥐). 대조군의 개별 종양은 모두 점진적으로 성장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슬라이딩 게이지에 의해 이차원적으로 측정하였다. 세포수와 매우 관계있는 종양 부피를 모든 평가에 사용하였다. 부피는 방정식 길이 × 폭 × 폭/2([a × b2]/2, a와 b는 2가지 직각 파라미터를 나타냄)에 따라 계산하였다. 상대 종양 부피(RTV) 값은 X일의 종양 크기를 0일(무작위화 시간)의 종양 크기로 나누어 각 개별 종양에 대해 계산하였다. 평균 RTV 값은 또다른 평가에 사용하였다.
종양 부피 감소의 억제율(시험군/대조군의 종양 부피, T/C(%))이 결론 측정값이었다.
처리:
모든 화합물을 1일, 5일 및 9일 각 경우에 간헐적 계획에 따라 투여하였다. 또한, 모든 화합물을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복강내(i.p.) 투여하였다.
처리 투여량a)[mg/kg/일] 생존 시간 (일) 종양 수 상대 종양 부피 (0일의 %)b) 최적 T/Cb)
대조군 - 19 21 21 21 14 10 1552 100 %
12.6 100 23 26 26 26 26 8 300.7 19.4 %
12.8 50 21 21 21 21 21 9 502.2 32.3 %
12.14 25 23 26 19 26 26 8 519.5 33.5 %
a) : 최대 내성 투여량 (MTD)
b) : 19일
이 시험에서, 실시예 시리즈 18의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대체로 거의 동등한 작용 또는 더 양호한 작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시리즈 B : 합성 실시예
실시예 1.1
p-아미노페닐 2-O-메틸-β-L-푸코시드
1.1.a) p-니트로페닐 3,4-O-이소프로필리덴-β-L-푸코시드
p-톨루엔술폰산 65 mg 및 30분 간격으로 2-메톡시프로펜 5 × 100 ㎕를 0 ℃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디옥산 1:2 40 ml 중의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 750 mg(2.6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정제하였다. 농축시킨 후 백색 고체 710 mg(83 %)을 얻었다.
1.1.b) p-니트로페닐 2-O-메틸-3,4-O-이소프로필리덴-β-L-푸코시드
실시예 1.1.a)의 화합물 100 mg(0.307 mmol)을 먼저 요오드화메틸 96 ㎕와 함께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에 도입하고, 이어서 수소화나트륨(80 % 농도) 11 m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추가의 요오드화메틸 96 ㎕ 및 수소화나트륨 11 mg으로 토핑하였다(topping up). 20 ℃에서 16시간 동안더 교반시킨 후, 약간의 물 및 염화메틸렌 100 ml를 첨가하였다. 이 배치를 물로 2회 진탕시킴으로써 추출하고,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8:1)로 정제하였다. 수득량 : 78 mg(75 %).
1.1) p-아미노페닐 2-O-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2-O-메틸-3,4-O-이소프로필리덴-β-L-푸코시드 78 mg(0.23 mmol)을 80 % 농도의 아세트산 중에서 20 ℃하에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아세트산을 진공중에서 제거하고, 이 배치에 메탄올 10 ml를 첨가하고, 이산화백금을 첨가한 후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은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7.5:2.5)로 정제한 후 표적 화합물 77 mg(80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42].
실시예 1.2
p-아미노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1.2.a) p-니트로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디부틸주석 산화물 784 g(31.5 mmol)을 무수 메탄올 300 ml 중의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 6 g(21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건조시키고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 300 ml에 분해시켰다. 요오드화메틸 15.7 ml를 첨가한 후, 이 배치를 70 ℃에서 4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액을 진공중에서 제거한 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300 ml에 분해시켰다.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잔류하는 용액을 다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정제하였다. 농축시킨 후 표적 화합물 381.5 mg(61 %)을 얻었다.
1.2) p-아미노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3.81 g(12.73 mol)을 실시예 1.1.과 유사하게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수득량 : 3 g(88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53].
실시예 1.3
p-아미노페닐 3-O-메틸-α-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α-L-푸코시드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2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율 : 2단계에 걸쳐 63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39].
실시예 1.4
p-아미노페닐 4-O-메틸-β-L-푸코시드
1.4.a) p-니트로페닐 2-O-벤질-4-O-아세틸-β-L-푸코시드
p-톨루엔술폰산 31 mg 및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 1134 mg(7 mmol)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ml 중의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 1 g(3.5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5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에 분해시키고, 브롬화벤질 4165 ㎕ 및 수소화나트륨(60 % 농도) 21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80 % 농도의 아세트산 1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정제하였다. 농축 건조시킨 후 표적 생성물 1236 mg(85 %)을 얻었다.
1.4.b) p-니트로페닐 2-O-벤질-3-O-아세틸-4-O-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2-O-벤질-4-O-아세틸-β-L-푸코시드 1000 mg(2.39 mmol)을 벤젠 60 ml에 용해시켰다. 요오드화메틸 2988 ㎕ 및 산화은 1109 mg을 첨가한 후, 이 배치를 환류하에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형성된 생성물 혼합물의 성분들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분리하였다. p-니트로페닐 2-O-벤질-3-O-아세틸-4-O-메틸-β-L-푸코시드 239 mg(23 %)을 단리하였고, 이외에 p-니트로페닐 2-O-벤질-3-O-아세틸-4-O-아세틸-β-L-푸코시드 이성질체 653 mg(63 %)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4.c) p-아미노페닐 4-O-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2-O-벤질-3-O-아세틸-4-O-메틸-β-L-푸코시드 224 mg(0.52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시키고, 1 N 소듐 메틸레이트 용액 390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80 % 농도의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 분해시켰다. 유기상을 1 N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20 ml에 분해시키고, 팔라듐/활성탄 상에서 실시예 1.1과 유사하게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농축시킨 후, 생성물을 물에 분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백색 비결정질 고체 119 mg(88 %)을 단리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38].
실시예 1.5
p-아미노페닐 3-O-n-프로필-β-L-푸코시드
1.5.a) p-니트로페닐 2-O-벤질-3-O-n-프로필-4-O-아세틸-β-L-푸코시드
화합물 1.4.a)와 요오드화프로필로부터 실시예 1.4.b)와 유사하게 3- 및 4-프로필화 생성물 이성질체를 제조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p-니트로페닐 2-O-벤질-3-O-n-프로필-4-O-아세틸-β-L-푸코시드를 49 %의 수율로 얻었고, 이외에 p-니트로페닐 2-O-벤질-3-O-아세틸-4-O-n-프로필-β-L-푸코시드를 29 %의 수율로 얻었다.
1.5.b) p-아미노페닐 3-O-n-프로필-β-L-푸코시드
실시예 1.5.a)의 분획물 (1)로부터 실시예 1.4와 유사하게 합성하였다. 수율 : 78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42].
실시예 1.6
p-아미노페닐 3-데옥시-β-L-푸코시드
1.6.a) p-니트로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4-O-아세틸-β-L-글루코시드
p-톨루엔술폰산 31 mg 및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 1134 mg(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ml 중의 p-니트로페닐 β-L-글루코시드 1 g(3.5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5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염화메틸렌 중 염화수소 포화 용액 100 m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정제하였다. 표적 생성물 793 mg(65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36].
1.6.b) p-니트로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β-L-글루코시드
p-니트로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4-O-아세틸-β-L-글루코시드 375 mg(1.08 mmol)을 메탄올 25 ml에 용해시키고, 1 N 소듐 메틸레이트 용액 10 방울을 첨가하였다. 20분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산성화하여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400 ml 및 물 6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건조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켰다. 표적 생성물 315 mg(96 %)을 얻었다.
1.6) p-아미노페닐 3-데옥시-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β-L-글루코시드 315 mg(1.04 mmol)을 메탄올 4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상의 팔라듐 200 mg 및 트리에틸아민 290 ㎕를 첨가하고,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4일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여과, 세척 농축시키고,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7.5:2.5)로 정제하였다. 데옥시 화합물 160 mg(65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18].
실시예 1.7
p-아미노페닐 3,4-디데옥시-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4-O-아세틸-β-L-글루코시드(실시예 1.6.a) 400 mg(1.16 mmol)을 메탄올 55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323 ㎕를 첨가하고, 약간의 승압하 수소 분위기하에 팔라듐/활성탄(10 %) 상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세정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 100 ml에 다시 분해시켰다. 1 N 소듐 메틸레이트 용액 1.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를 아세트산으로 중화시켜 농축시키고, 형성된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7.5:2.5)로 분리하였다. 상응하는 분획물을 농축시킨 후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표적 화합물[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31] 120 mg(46 %)를 얻었고, 이외에 p-아미노페닐 3-데옥시-β-L-푸코시드[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18] 77 mg(28 %)을 얻었다.
실시예 1.8
p-아미노페닐 3,4-에폭시-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4-O-아세틸-β-L-글루코시드(실시예 1.6.a) 80 mg(0.23 mmol)을 메탄올 55 ml에 분해시키고, 1 N 소듐 메틸레이트 용액 345 ㎕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혼합물을 80 % 농도의 아세트산으로 산성화시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관련된 분획물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에 분해시키고, 팔라듐/활성탄(10 %) 상에서 실시예 1.1과 유사하게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표적 화합물 46 mg(75 %)을 얻었다. FAB-MS : m/e = 238 = M+1.
실시예 1.9
p-아미노페닐 4-데옥시-β-L-푸코시드
본 화합물은 문헌 [T. Lindhorst 및 J. Thiem, Carbohydr. Res. 209 (1991), 119]의 지시와 유사하게,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를 출발 물질로 하고 p-니트로페닐 2,3-디-O-벤질-4,6-디데옥시-4-요오도-β-L-푸코시드를 거쳐 제조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0:10, Rf= 0.3].
실시예 1.10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시드
1.10.a)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 1 g(3.5 mmol) 및 디부틸주석 산화물 1.3 g(5.2 mmol)을 환류하에 메탄올 50 ml 중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옥산 50 ml에 분해시킨 후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2 m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00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물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표적 화합물 455 mg(37 %)을 얻었다.
1.10)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 282 mg(0.79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시키고, 2 N 수산화리튬 용액 440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산 이온 교환기 SC108을 사용하여 pH 3이 되게 하고 여과시켰다.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를 사용하여 1.5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고, 촉매를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 표적 생성물을 86 %의 수율(212 mg)로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아세트산 5:1:0.2, Rf= 0.24].
실시예 1.11
p-아미노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실시예 1.10.a) 250 mg(0.7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시키고, 약간의 승압하에 활성탄 상의 팔라듐 상에서 수소를 사용하여 1.5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촉매를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농축시키고 물에 분해시키고 동결 건조하여 표적 생성물 195 mg(85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43; FAB-MS : m/e = 328 = M+1.].
실시예 1.12
p-아미노페닐 3-O-히드록시에틸-β-L-푸코시드
1.12.a) p-니트로페닐 3-O-히드록시에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3-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 1000 mg(2.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60 ml와 물 40 ml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붕소나트륨 53 mg을 첨가하였다. 10분 후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5:5)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물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키고, 혼합물을 동결 건조하여 표적 생성물 362 mg(40 %)을 얻었다.
1.12) p-아미노페닐 3-O-히드록시에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12.a)로부터의 화합물 362 mg을 실시예 1.1과 유사하게 수소 첨가 반응시켜 표적 생성물 270 mg(82 %)을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3].
실시예 1.13
p-아미노페닐 2-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시드
1.13.a) p-니트로페닐 2-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 250 mg(0.88 mmol)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5 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에 용해시켰다. 80 % 농도의 수소화나트륨 80 mg(2.6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벤질 브로모아세테이트 35 ㎕를 첨가하였다. 벤질 브로모아세테이트를 35 ㎕씩 10분 간격으로 3회 더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메탄올로 퀀칭하였다. 추가의 10분 후, 80 % 농도의 아세트산 5 ml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으로 연속적으로 증류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는 이동상 계로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을 사용하여 개시하였다. 동일 계의 비율을 나중에 80:20:2로 변화시켰다. 상응하는 분획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다이제스트하여 초기 용출액으로부터 표적 화합물 157 mg(42 %)을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5]. 나중의 용출액으로부터 3-O-알킬화 화합물 이성질체를 얻었다(33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54].
1.13) p-아미노페닐 2-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2-O-메톡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 150 mg을 실시예 1.1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가수분해 및 수소 첨가 반응시켜 표적 생성물 109 mg을 83 % 수율로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5].
실시예 1.14.a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의 위치 이성질성 모노숙시닐화 생성물의 합성 방법
p-니트로페닐 β-L-푸코시드 1100 mg(3.86 mmol)을 피리딘 50 ml에 용해시키고, 숙신 무수물 580 mg(5.79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으로 2회 증류시켰다. 생성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부터 침전시키고, 분리되지 않는 물질의 혼합물 1 g을 얻었다. 이를 메탄올/물에 분해시키고, 탄산세슘 846 mg(2.6 mmol)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분해시키고, 벤질 브로마이드 618 ㎕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브롬화세슘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와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건조 농축시켰다. 이동상 계 염화메틸렌/메탄올 99:1에서 성분들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분획물 (1) : p-니트로페닐 3-O-(3-벤질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닐)-β-L-푸코시드 87 mg(4.8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45].
분획물 (2) : p-니트로페닐 2-O-(3-벤질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닐)-β-L-푸코시드 27 mg(1.5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34].
분획물 3 : p-니트로페닐 4-O-(3-벤질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닐)-β-L-푸코시드 190 mg(10.3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28].
실시예 1.14
p-아미노페닐 3-O-숙시닐-β-L-푸코시드
실시예 1.14.a)의 분획물 (1) 85 mg(0.1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와 물 1 ml에 분해시켰다. 이산화백금 20 mg을 첨가하고, 8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물로 세척하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생성물 57 mg(94 %)을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5].
실시예 1.15
p-아미노페닐 2-O-숙시닐-β-L-푸코시드
실시예 1.14.a의 분획물 (2)를 실시예 1.14의 지시와 유사하게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수득량 : 16 mg(87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2].
실시예 1.16
p-아미노페닐 4-O-숙시닐-β-L-푸코시드
실시예 1.14.a의 분획물 3을 실시예 1.14의 지시와 유사하게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수득량 : 125 mg(88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3].
실시예 1.17
p-아미노페닐 3,4-디-O-메틸-β-L-푸코시드
1.17.a) p-니트로페닐 2-O-벤질-3,4-O-이소프로필리덴-β-L-푸코시드
실시예 1.1.a)의 화합물 377 mg(1.16 mmol)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에 용해시키고, 브롬화벤질 690 ㎕와 수소화나트륨 52 mg을 연속하여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4시간 및 6시간 후에 추가의 브롬화벤질 및 수소화나트륨 690 ㎕로 토핑하였다. 이 배치를 실시예 1.1.b)와 유사하게 워크업하여 표적 화합물 245 mg(51 %)을 얻었다.
1.17.b) p-니트로페닐 2-O-벤질-3,4-디-O-메틸-β-L-푸코시드
p-니트로페닐 2-O-벤질-3,4-이소프로필리덴-β-L-푸코시드 245 mg(0.59 mmol)을 80 % 농도의 아세트산 중에서 20 ℃하에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펜탄으로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흡인 여과한 후 잔류물을 건조시키고, 잔류하는 생성물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에 분해시키고, 80 % 농도의 수소화나트륨 45 mg을 첨가하고, 15분 후 요오드화메틸 160 ㎕를 주입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메탄올과 빙초산으로 퀀칭시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건조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00:1)로 정제하였다. 농축시킨 후 상응하는 분획물을 건조시켜 표적 생성물 188 mg(79 %)을 얻었다.
1.17) p-아미노페닐 3,4-디-O-메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17.b)의 화합물 180 mg(0.45 mmol)을 활성탄 상의 팔라듐 50 mg을 첨가한 후 메탄올 15 ml와 염화메틸렌 3 ml의 혼합물 중에서 실온하에 2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97.5:2.5)로 정제하였다. 표적 화합물 86 mg(68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21].
실시예 1.18
p-아미노페닐 3-O-카르바모일메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11의 화합물 100 mg(0.305 mmol)을 메탄올 10 ml에 용해시키고, 17 % 농도의 수산화암모늄 용액 0.5 ml를 첨가하였다. 4시간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켜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화합물 95 mg(정량)을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3].
실시예 1.19
p-아미노페닐 2-O-히드록시에틸-β-L-푸코시드
이 화합물은 p-니트로페닐 2-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L-푸코시드(실시예 1.13.a) 200 mg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12.a 및 1.12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득량 76 mg(2단계에 걸쳐 45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2].
실시예 1.20
p-아미노페닐 3,6-디데옥시-3-클로로-β-L-글루코시드
실시예 1.6.b)의 화합물 50 mg(0.165 mmol)을 팔라듐/활성탄 상에서 1시간 동안 메탄올 5 ml 중에서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세정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켜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화합물 45 mg(89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35].
실시예 1.21
p-아미노페닐 α-L-람노시드
이 화합물은 p-니트로페닐 α-L-람노시드(Sigma) 300 mg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율 : 96 %.
실시예 1.22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α-L-람노시드
1.22.a)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L-람노시드
p-니트로페닐 α-L-람노시드 481 mg(1.63 mmol)을 메탄올 30 ml에 분해시키고, 디부틸주석 산화물 629 mg(2.4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2시간 동안 가열하여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옥산 30 ml에 분해시켰다.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85 mg 및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95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적합할 경우 추가의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1 ml로 토핑하고, 반응 시간을 연장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L-람노시드를 염화메틸렌/메탄올 99:1로 용출시키고 건조시킨 후 408 mg(70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Rf= 0.36].
1.22)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α-L-람노시드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L-람노시드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10과 유사하게 합성을 완결하였다. 표적 생성물을 80 % 수율로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26].
실시예 1.23
p-아미노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3.0 g(10 mmol)을 메탄올/물 1:1 5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상의 팔라듐(Pd 10 %) 200 mg을 첨가한 후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3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고온의 메탄올/물 1:1 10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무색 결정 2.11 g(78 %)을 얻었다. TLC[메탄올] : Rf= 0.62; [α]20= -39.5°(c = 1.0/H2O); 융점 = 166 ℃.
실시예 1.24
p-아미노페닐 2-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24.a) p-니트로페닐 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무수 피리딘 100 ml 중의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9.0 g(30 mmol), 클로로트리페닐메탄 16.7 g(60 mmol) 및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609 mg(5 mmol)의 용액을 60 ℃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진공 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3:2, 각 경우 트리에틸아민 0.5 % 포함]로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9.23 g(57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15:3:0.2] : Rf= 0.55; 융점 = 82 ℃.
1.24.b) p-니트로페닐 3,4-O-이소프로필리덴-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디메톡시프로판 400 ml 및 촉매량의 (±)-캄포르-10-술폰산 400 mg(1.7 mmol)을 상기 화합물 8.7 g(16 mmol)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후 트리에틸아민 240 ㎕(1.7 mmo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하여 무색 발포체 6.2 g(66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46; [α]20= -42.1°(c = 0.94/CH2Cl2).
1.24.c) p-니트로페닐 2-O-메틸-3,4-O-이소프로필리덴-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4.b) 5.83 g(10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 및 요오드화메틸 2.5 ml(40 mmol)에 소량씩 용해시키고, 광유 중 수소화나트륨 450 mg(15 mmol)의 80 % 농도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후 메탄올 10 ml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100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물 500 ml와 함께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50 g 상에서 건조시켜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2:1 → 8:1]로 정제하였다. 무색 발포체 4.72 g(79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72; [α]20= -35.7°(c = 1.0/CH3OH).
1.24.d) p-니트로페닐 2-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99 % 농도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를 염화메틸렌 200 ml 중의 상기 화합물 4.48 g(7.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2:1]로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1.09 g(4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2; 융점 = 177 ℃.
1.24) p-아미노페닐 2-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4.d) 946 mg(3 mmol)을 메탄올 50 ml에 용해시키고, 물 0.5 ml 및 염기성 라니 니켈 약 200 mg을 첨가한 후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2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메탄올 100 ml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켜 갈색 발포체 579 mg(68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28; [α]20= -39.3°(c = 0.15/CH3OH).
실시예 1.25
p-아미노페닐 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25.a) p-니트로페닐 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디부틸주석 산화물 1.87 g(7.5 mmol)을 무수 메탄올 40 ml 중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1.5 g(5.0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3시간 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를 무수 디옥산 40 ml에 분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에 요오드화메틸 1.9 ml(30 mmol)를 첨가하고, 이 배치를 100 ℃의 조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1.32 g(84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4; 융점 = 196 ℃; [α]20= -53.3°(c = 1.0/CH3OH).
1.25) p-아미노페닐 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946 mg(3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키고, 생성물을 워크업하였다. 갈색 결정 656 mg(77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21; 융점 = 196 ℃; [α]20= -25.2°(c = 0.1/CH3OH).
실시예 1.26
p-아미노페닐 4-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아세테이트
1.26.a) p-니트로페닐 3-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시드
디부틸주석 산화물 1.87 g(7.5 mmol)을 무수 디옥산 40 ml 중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1.5 g(5.0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3시간 후 얻어진 용액에 브롬화벤질 3.6 ml(30 mmol)를 첨가하고, 이 배치를 환류하에 48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1:1]로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1.58 g(81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69; 융점 = 127 ℃.
1.26.b) p-니트로페닐 3-O-벤질-4,6-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6.a) 6.26 g(16 mmol)을 실시예 1.24.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3:1] 후 무색 발포체 6.54 g(95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34; [α]20= -38.9°(c = 1.0/CH2Cl2).
1.26.c) p-니트로페닐 2,3-디-O-벤질-4,6-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5.b) 4.31 g(10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 및 요오드화벤질 12 ml(100 mmol)에 용해시키고, 광유 중 수소화나트륨 450 mg(15 mmol)의 80 % 농도의 현탁액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후 메탄올 10 ml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1000 ml에 분해시키고, 용액을 물 500 ml와 함께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50 g 상에서 건조시켜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0:1 → 15:1 → 10:1]로 정제하였다. 여전히 오염된 무색 오일 2.72 g(52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62.
1.26.d) p-니트로페닐 2,3-디-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6 g(5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비등시켜 추출하여 무색 결정 805 mg(33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23; 융점 = 160 ℃.
1.26.e) p-니트로페닐 2,3-디-O-벤질-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6.d 722 mg(1.5 mmol)을 실시예 1.24.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5:1 → 10:1 → 5:1] 후 무색 발포체 880 mg(81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79; [α]20= -25.3°(c = 0.3/CH2Cl2).
1.26.f) p-니트로페닐 2,3-디-O-벤질-4-O-메틸-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724 mg(1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5:1] 후 무색 발포체 662 mg(90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Rf= 0.66; [α]20= -38.7°(c = 0.2/CH2Cl2).
1.26) p-아미노페닐 4-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아세테이트
상기 화합물 590 mg(0.8 mmol)을 90 % 농도의 아세트산 5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상의 팔라듐(Pd 10 %) 200 mg을 첨가한 후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16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메탄올 100 ml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석유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무색 결정 253 mg(92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12.
실시예 1.27
p-아미노페닐 6-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27.a) 화합물 1.24.b의 벤질화 방법
화합물 1.24.b 5.84 g(10 mmol)을 실시예 1.26.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벤질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5:1 → 12:1 → 5:1 → 에틸 아세테이트, 각 경우 트리에틸아민 0.5 % 포함] 후 2가지 생성물 분획물을 얻었다.
분획물 (1) : p-니트로페닐 2-O-벤질-3,4-O-이소프로필리덴-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 황색 발포체 1.71 g(25 %);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72; [α]20= -8.1°(c = 1.0/CH2Cl2).
분획물 (2) : p-니트로페닐 2-O-벤질-3,4-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 황색 발포체 806 g(19 %);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45; [α]20= +2.8°(c = 1.2/CH3OH).
1.27.b) p-니트로페닐 2-O-벤질-3,4-O-이소프로필리덴-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27.a로부터의 분획물 (2) 777 mg(1.8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8:1] 후 갈색 오일 730 mg(91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54; [α]20= -11.6°(c = 1.1/CH2Cl2).
1.27.c) p-니트로페닐 2-O-벤질-6-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668 mg(1.5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약간의 디에틸 에테르로 비등시켜 추출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연한 베이지색 결정 388 mg(64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15; 융점 = 143 ℃.
1.27) p-아미노페닐 6-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7.c 324 mg(0.8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16시간 동안 환원시켰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약간의 디에틸 에테르로 비등시켜 추출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베이지색 결정 184 mg(81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5; 융점 = 115 ℃(분해).
실시예 1.28
p-아미노페닐 2,3-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28.a)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의 이소프로필리덴화 방법
무수 톨루엔술폰산 500 mg을 무수 아세톤 100 ml 중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7.5 g(2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아세톤 250 ml를 30분에 걸쳐 상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그 직후 혼합물에 탄산칼륨 500 mg을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1000 ml로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1:1 → 3:2]로 정제하였다. 이 과정으로 2가지 생성물 분획물을 얻었다.
분획물 (1) : p-니트로페닐 3,4-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 무색 발포체 3.74 g(44 %);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9; [α]20= -54.2°(c = 0.38/CH3OH).
분획물 (2) : p-니트로페닐 4,6-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 무색 발포체 4.3 g(50 %);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4; [α]20= -81.0°(c = 0.31/CH3OH).
1.28.b) p-니트로페닐 2,3-디-O-메틸-4,6-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28.a의 분획물 (2) 4.1 g(12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2:1] 후 무색 발포체 293 g(66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42; [α]20= -52.6°(c = 0.34/CH3OH).
1.28.c) p-니트로페닐 2,3-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77 g(7.5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1시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디에틸 에테르/석유 에테르 1:1 100 ml로 다이제스트하여 무색 결정 1.11 g(4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24; 융점 = 156 ℃.
1.28) p-아미노페닐 2,3-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8.c 989 mg(3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무색 오일 396 mg(44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0; [α]20= -19.4°(c = 0.16/CH3OH).
실시예 1.29
p-아미노페닐 2,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29.a) 화합물 1.26.a의 트리틸화 방법
화합물 1.26.a 11.7 g(30 mmol)을 실시예 1.24.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7:1 → 5:1, 각 경우 트리에틸아민 0.5 % 포함] 후 2가지 생성물을 얻었다.
분획물 (1) : 트리페닐메틸 2-O-(p-니트로페닐)-3-O-벤질-6-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 무색 발포체 8.5 g(32 %);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68; [α]20= +42.8°(c = 1.0/CH2Cl2).
분획물 (2) : p-니트로페닐 3-O-벤질-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 무색 발포체 9.0 g(47 %);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22; [α]20= -22.6°(c = 1.03/CH2Cl2).
1.29.b) p-니트로페닐 2,4-디-O-메틸-3-O-벤질-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29.a의 분획물 (2) 7.6 g(12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5:1 → 10:1] 후 무색 발포체 7.07 g(89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79; [α]20= -35.8°(c = 1.09/CH3OH).
1.29.c) p-아미노페닐 2,4-디-O-메틸-3-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6.0 g(9 mmol)을 실시예 1.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48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무색 결정 1.39 g(40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20; 융점 = 148 ℃.
1.29) p-아미노페닐 2,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9.c 779 mg(2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5일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한데 합한 여액을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50 ml로 2회 비등시켜 추출한 후 약간 녹색의 결정 391 mg(6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16; 융점 = 260 ℃(분해).
실시예 1.30
p-아미노페닐 2,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0.a) p-니트로페닐 2,6-디-O-메틸-3,4-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28.a의 분획물 (1) 4.1 g(12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8:1 → 5:1] 후 무색 오일 3.25 g(73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65.
1.30.b) p-니트로페닐 2,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77 g(7.5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후 무색 결정 1.63 g(6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31; 융점 = 222 ℃.
1.30) p-아미노페닐 2,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0.b 989 mg(3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무색 오일 597 mg(6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6; [α]20= -53.1°(c = 0.49/CH3OH).
실시예 1.31
p-아미노페닐 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아세테이트
1.31.a)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3,4-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28.a의 분획물 (1) 4.1 g(12 mmol)을 실시예 1.26.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벤질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6:1] 후 황색 오일 5.3 g(8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76; [α]20= +8.8°(c = 1.2/CH3OH).
1.31.b)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4.69 g(9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30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무색 결정 2.89 g(67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42; 융점 = 133 ℃; [α]20= -64.2°(c = 1.0/CH3OH).
1.31.c)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4 g(5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무색 결정 1.74 g(69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74; 융점 = 149 ℃.
1.31) p-아미노페닐 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아세테이트
화합물 1.31.c 1.52 g(3 mmol)을 실시예 1.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무색 결정 664 mg(62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7; 융점 = 140 ℃(분해).
실시예 1.32
p-아미노페닐 3,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2.a) p-니트로페닐 3-O-메틸-6-O-(tert-부틸디메틸실릴)-β-D-갈락토피라노시드
이미다졸 1 g(15 mmol) 및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1.25 g(8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50 ml 중 화합물 1.25.a 1.58 g(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염화메틸렌 1000 ml로 희석시키고, 유기상을 물 1000 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20 g 상에서 건조시켜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5:1 → 10:1 → 5:1] 후, 여전히 약간 오염된 황색 발포체 826 mg(38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59; [α]20= -56.3°(c = 1.0/CH2Cl2).
1.32.b) p-니트로페닐 2,4-디-O-벤질-3-O-메틸-6-O-(tert-부틸디메틸실릴)-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773 mg(1.8 mmol)을 실시예 1.26.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벤질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0:1 → 5:1] 후 무색 발포체 810 mg(74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Rf= 0.58.
1.32.c) p-니트로페닐 2,4-디-O-벤질-3-O-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2.b 732 mg(1.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6 ml에 용해시키고, 0 ℃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2.4 ml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 M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3:1 → 2:1] 후 무색 결정 512 mg(86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36; 융점 = 177 ℃.
1.32.d) p-니트로페닐 2,4-디-O-벤질-3,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446 mg(0.9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0:1 → 10:1 → 8:1] 후 무색 오일 401 mg(87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70; [α]20= -56.5°(c = 0.96/CH2Cl2).
1.32) p-아미노페닐 3,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2.d 357 mg(0.7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한데 합한 여액을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비등시켜 추출한 후 무색 결정 207 mg(99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02; 융점 = 280 ℃(분해).
실시예 1.33
p-아미노페닐 4,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3.a) p-니트로페닐 2,3-디-O-벤질-4,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6.d 2.4 g(5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3:1] 후 무색 결정 1.89 g(74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76; 융점 = 100 ℃.
1.33) p-아미노페닐 4,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3.a 1.53 g(3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무색 결정 890 mg(99 %)을 얻었다. TLC[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71; 융점 = 180 ℃(분해).
실시예 1.34
p-아미노페닐 2,3,4-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4.a) p-니트로페닐 2,3,4-트리-O-메틸-6-O-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4.a 1.63 g(3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3:1] 후 무색 발포체 1.24 g(71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54; [α]20= -53.6°(c = 0.3/CH3OH).
1.34.b) p-니트로페닐 2,3,4-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1.17 g(2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 → 2:1] 후 무색 결정 468 mg(68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12; 융점 = 104 ℃; [α]20= -68.2°(c = 0.47/CH3OH).
1.34) p-아미노페닐 2,3,4-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4.b 343 mg(1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베이지색 결정 224 mg(71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67; 융점 = 138 ℃.
실시예 1.35
p-아미노페닐 2,3,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5.a) p-니트로페닐 2,3,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0.b 2.63 g(3 mmol)을 실시예 1.2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5:1 → 2:1] 후 갈색 오일 890 mg(32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37; [α]20= -63.3°(c = 0.9/CH2Cl2).
1.35) p-아미노페닐 2,3,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858 mg(2.5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베이지색 발포체 519 mg(6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23; [α]20= -34.5°(c = 0.86/CH3OH).
실시예 1.36
p-아미노페닐 2,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6.a) p-니트로페닐 2,4,6-트리-O-메틸-3-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26.a 1.96 g(5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8:1] 후 무색 결정 1.47 g(68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Rf= 0.46; 융점 = 164 ℃.
1.36) p-아미노페닐 2,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1.3 g(3 mmol)을 실시예 1.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무색 결정 642 mg(68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12; 융점 = 147 ℃(분해).
실시예 1.37
p-아미노페닐 3,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7.a) p-니트로페닐 2-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27.a의 분획물 (1) 1.17 g(2 mmol)을 실시예 1.24.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 → 2:1] 후 무색 결정 468 mg(68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12; 융점 = 104 ℃; [α]20= -68.2°(c = 0.47/CH3OH).
1.37.b) p-니트로페닐 2-O-벤질-3,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391 mg(1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5:1] 후 연황색 결정 303 mg(70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81; [α]20= -76.5°(c = 1.1/CH2Cl2).
1.37) p-아미노페닐 3,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7.b 260 mg(0.6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베이지색 결정 161 mg(8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20; 융점 = 132 ℃.
실시예 1.38
p-아미노페닐 2,3,4,6-테트라-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38.a) p-니트로페닐 2,3,4,6-테트라-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904 mg(3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8:1 → 6:1 → 4:1 → 2:1] 후 무색의 왁스성 고체 633 mg(59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67; [α]20= -55.7°(c = 0.9/CH2Cl2).
1.38) p-아미노페닐 2,3,4,6-테트라-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3.a 536 mg(1.5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한데 합한 여액을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비등시켜 추출한 후 무색 결정 412 mg(84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42; 융점 = 204 ℃(분해).
실시예 1.39
p-아미노페닐 α-D-만노피라노시드
p-니트로페닐 α-D-만노피라노시드 3.0 g(10 mmol)을 실시예 1.2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켜 무색 결정 2.03 g(75 %)을 얻었다. TLC[메탄올] : Rf= 0.69; [α]20= +102.7°(c = 1.0/H2O); 융점 = 161 ℃.
실시예 1.40
p-아미노페닐 3-O-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1.40.a) p-니트로페닐 6-O-트리페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p-니트로페닐 α-D-만노피라노시드 3.0 g(10 mmol)을 실시예 1.24.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틸화하였다. 무색 결정 4.35 g(80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2; [α]20= +104.0°(c = 1.0/CH3OH); 융점 = 102-104 ℃.
1.40.b) p-니트로페닐 3-O-메틸-6-O-트리페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72 g(5 mmol)을 실시예 1.26.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요오드화메틸 2 ml(30 mmol)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하고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1.83 g(6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68; [α]20= +106.4°(c = 1.0/CH3OH); 융점 = 104 ℃.
1.40) p-아미노페닐 3-O-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화합물 1.40.b 1.4 g(2.5 mmol)을 메탄올 5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상의 팔라듐(Pd 10 %) 300 mg을 첨가한 후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메탄올 100 ml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 50 ml로 세척하고,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동결 건조시켰다. 갈색의 비결정질 고체 709 mg(99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3; [α]20= +92.9°(c = 1.1/CH3OH).
실시예 1.41
p-아미노페닐 2,3-디-O-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1.41.a) p-니트로페닐 4,6-O-벤질리덴-α-D-만노피라노시드
벤즈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 3.2 ml(21.4 mmol) 및 디에틸 에테르 중 테트라플루오로붕산의 54 % 농도의 용액 2.7 ml(20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20 ml 중 p-니트로페닐 α-D-만노피라노시드 6.0 g(2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트리에틸아민 2.8 ml(20 mmo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한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 → 톨루엔/에탄올 20:1] 후 무색 결정 6.48 g(83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82; [α]20= +170.7°(c = 1.0/CH2Cl2); 융점 = 116 ℃.
1.41.b) p-니트로페닐 2,3-디-O-메틸-4,6-O-벤질리덴-α-D-만노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3.9 g(10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0:1 → 7:1] 후 무색 발포체 3.2 g(77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67; [α]20= +167.3°(c = 1.05/CH3OH).
1.41) p-아미노페닐 2,3-디-O-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화합물 1.41.b 1.25 g(3 mmol)을 실시예 1.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에틸 아세테이트, 각 경우 트리에틸아민 0.5 % 포함] 후 적갈색 발포체 480 mg(53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1; [α]20= +83.6°(c = 0.76/CH3OH).
실시예 1.42
1.42.a)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D-갈락토피라노시드
디부틸주석 산화물 9.3 g(37.5 mmol)을 무수 디옥산 180 ml 중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7.53 g(2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4시간 후, 얻어진 용액에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8.3 ml(90 mmo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9.25 g(25 mmol)을 첨가하고, 이 배치를 환류하에 3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발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50:1 → 20:1]로 정제하였다. 약간의 부산물 이외에 화합물 1.42.a를 무색 결정으로서 4.05 g(43 %)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4; [α]20= -62.0°(c = 1.0/CH3OH); 융점 = 176 ℃.
1.42) p-아미노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42.a 3.73 g(10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킨 후 무색 결정 2.98 g(87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9; [α]20= -36.3°(c = 1.07/CH3OH); 융점 = 155 ℃.
실시예 1.43
1.43.a) p-니트로페닐 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나트륨염
물 5 ml 중 수산화나트륨 400 mg(10 mmol)의 용액을 메탄올 100 ml 중 화합물 1.42.a 3.73 g(10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5분 동안 비등시키고, 얼음조에서 냉각시킨 후, 고체를 여과하여 무색 결정 3.66 g(96 %)을 얻었다. TLC[메탄올] : Rf= 0.62; [α]20= -50.0°(c = 1.0/CH3OH); 융점 = 180-185 ℃.
1.43)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나트륨염
상기 화합물 3.05 g(8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에탄올 50 ml로 비등시켜 추출한 후 무색 결정 2.03 g(72 %)을 얻었다. TLC[메탄올] : Rf= 0.70; [α]20= -22.4°(c = 1.0/CH3OH); 융점 = 180-182 ℃.
실시예 1.44
p-아미노페닐 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44.a) p-니트로페닐 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25 % 농도의 암모니아 수용액 10 ml를 메탄올 30 ml 중 화합물 1.42.a 373 mg(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에탄올 3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5분 동안 비등시키고, 얼음조에서 냉각시킨 후 무색 결정 306 mg(85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14; [α]20= -41.7°(c = 1.0/CH3OH); 융점 = 229 ℃(분해).
1.44)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87 mg(0.8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207 mg(79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10; 융점 = 205 ℃(분해).
실시예 1.45
p-아미노페닐 3-O-(N-메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45.a) p-니트로페닐 3-O-(N-메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30 % 농도의 메틸아민 수용액 10 ml를 메탄올 30 ml 중 화합물 1.42.a 373 mg(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무색 결정 372 mg(100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3; [α]20= -36.7°(c = 1.0/CH3OH); 융점 = 205 ℃(분해).
1.45) p-아미노페닐 3-O-(N-메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45.a 298 mg(0.8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180 mg(6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16; 융점 = 239 ℃.
실시예 1.46
p-아미노페닐 3-O-(N-프로필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46.a) p-니트로페닐 3-O-(N-프로필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42.a 373 mg(1 mmol)을 실시예 1.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n-프로필아민 823 ㎕(10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켰다. 무색 결정 340 mg(85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9; [α]20= -32.4°(c = 1.0/CH3OH); 융점 = 155 ℃.
1.46) p-아미노페닐 3-O-(N-프로필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46.a 320 mg(0.8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킨 후 무색 결정 188 mg(63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1; 융점 = 154 ℃.
실시예 1.47
p-아미노페닐 3-O-(N-부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47.a) p-니트로페닐 3-O-(N-부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42.a 373 mg(1 mmol)을 실시예 1.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n-부틸아민 900 ㎕(10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켰다. 무색 결정 413 mg(100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1; [α]20= -26.8°(c = 1.0/CH3OH); 융점 = 92 ℃(분해).
1.47) p-아미노페닐 3-O-(N-부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47.a 332 mg(0.8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킨 후 무색 결정 105 mg(34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2; 융점 = 135 ℃.
실시예 1.48
p-아미노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1.48.a)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6-O-트리페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화합물 1.40.a 13.6 g(25 mmol)을 실시예 1.42.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후 약간의 부산물 이외에 무색 결정 2.79 g(18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50; 융점 = 95-97 ℃.
1.48) p-아미노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화합물 1.48.a 1.23 g(2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갈색 비결정질 고체 250 mg(3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5.
실시예 1.49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1.49.a) p-니트로페닐 3-O-메톡시카르보닐메틸-6-O-트리페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화합물 1.40.a 13.6 mg(25 mmol)을 실시예 1.42.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벤질 브로모아세테이트 14.4 ml(90 mmol)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0:1 → 10:1] 후 약간의 부산물 이외에 황색 발포체 5.0 g(29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66; [α]20= +74.8°(c = 1.0/CH2Cl2).
1.49)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2.08 g(3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36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n-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에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을 다시하여 무색 결정 495 mg(50 %)을 얻었다. TLC[메탄올] : Rf= 0.53; 융점 = 205-207 ℃.
실시예 1.50
p-아미노페닐 3-O-카르바모일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1.50.a) p-니트로페닐 3-O-카르바모일메틸-6-O-트리페닐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화합물 1.49.a 1.04 g(1.5 mmol)을 실시예 1.44.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오일 펌프 진공하에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3]로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561 mg(62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67; [α]20= +91.3°(c = 1.0/CH2Cl2); 융점 = 125-127 ℃.
1.50) p-아미노페닐 3-O-카르바모일메틸-α-D-만노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541 g(0.9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48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완전히 세척하여 무색 결정 134 mg(45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21; 융점 = 126-128 ℃.
실시예 1.51
p-아미노페닐 3-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시드
1.51.a)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4-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 3 ml(16.3 mmol) 및 톨루엔술폰산 20 mg을 염화메틸렌 20 ml 중 화합물 1.31.b 2.7 g(5.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후, 이 배치를 염화메틸렌 200 ml로 희석시키고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50 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여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무색 발포체를 80 % 농도의 아세트산 15 ml에 용해시켰다. 추가로 실온에서 30분 후 이 배치를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200 ml에 붓고, 클로로포름 75 ml로 3회 추출하고, 한데 합한 유기상을 물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에탄올/석유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2.43 g(83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Rf= 0.64; [α]20= -62.1°(c = 1.0/CH2Cl2); 융점 = 83 ℃.
1.51.b)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3-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4-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염화메틸렌 30 ml 중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 2 ml(11.8 mmol)의 용액을 -20 ℃에서 아르곤하에 염화메틸렌 30 ml와 피리딘 3 ml의 혼합물 중 화합물 1.51.a 2.3 g(4.4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20 ℃에서 1시간 후, 이 배치를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200 ml에 붓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 →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20:1] 후 무색 결정 2.39 g(83 %)을 얻었다. TLC[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5:1] : Rf= 0.55; [α]20= -61.4°(c = 1.0/CH2Cl2); 융점 = 105 ℃.
1.51.c)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3-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1.31 g(2 mmol)을 톨루엔 25 ml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보로하이드레이트 1.54 g(6 mmol)을 첨가하였다. 80 ℃에서 2시간 후, 이 배치를 염화메틸렌 200 ml로 희석시키고, 물 50 ml로 1회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7:1] 후 무색 결정 596 mg(65 %)을 얻었다. TLC[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5:1] : Rf= 0.10; [α]20= -81.3°(c = 1.0/CH2Cl2); 융점 = 114 ℃.
1.51) p-아미노페닐 3-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51.c 465 mg(1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6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석유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206 mg(81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22.
실시예 1.52
p-아미노페닐 3,4-디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시드
1.52.a)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3,4-디-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31.b 2.12 g(4.4 mmol)을 실시예 1.51.b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 4 ml(23.6 mmol)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 →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50:1] 후 황색 오일 2.75 g(84 %)을 얻었다. TLC[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5:1] : Rf= 0.67; [α]20= -22.5°(c = 1.0/CH2Cl2).
1.52.b) p-니트로페닐 2,6-디-O-벤질-3,4-디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52.a 1.49 g(2 mmol)을 실시예 1.51.c에 기재된 바와 같이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보로하이드레이트 2.31 g(9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50:1] 후 무색 결정 629 mg(70 %)을 얻었다. TLC[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5:1] : Rf= 0.53; [α]20= -79.1°(c = 1.0/CH2Cl2); 융점 = 89 ℃.
1.52) p-아미노페닐 3,4-디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52.b 450 mg(1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5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석유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183 mg(7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7; [α]20= -115.1°(c = 1.0/CH3OH); 융점 = 187 ℃.
실시예 1.53
p-아미노페닐 6-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53.a) p-니트로페닐 6-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아세토니트릴 20 ml 중 피리딘 2 ml(25 mmol)과 염화아세틸 1.85 ml(26 mmol)의 갓 제조한 용액을 0 ℃에서 무수 아세토니트릴 80 ml 중 p-니트로페닐 β-D-갈락토피라노시드 7.53 g(25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50:1 → 20:1] 후 무색 결정 4.02 g(47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0.
1.53) p-아미노페닐 6-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화합물 1.53.a 1.72 g(5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2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1.34 g(8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4; [α]20= -41.0°(c = 0.56/CH3OH); 융점 = 180 ℃(분해).
실시예 1.54
p-아미노페닐 3,4-디-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1.54.a) 화합물 1.24.a의 아실화 방법
화합물 1.24.a 1.36 g(3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5 ml 및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1 ml(10.6 mmol)에 용해시키고, 광유 중 수소화나트륨 300 mg(10 mmol)의 80 % 농도의 현탁액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5시간 후 광유 중 수소화나트륨 75 mg(2.5 mmol) 및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250 ㎕(2.65 mmol)를 다시 첨가하였다. 추가로 2시간 후 메탄올 5 ml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250 ml에 분해시키고, 용액을 물 100 ml와 함께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10 g 상에서 건조시켜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 7:1 → 5:1]로 정제하였다. 3가지 생성물 분획물을 얻었다.
분획물 (1) : p-니트로페닐 2,3,4-트리-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 무색 발포체 401 mg(21 %);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47; [α]20= -51.9°(c = 0.26/CH3OH).
분획물 (2) : 미확인; 무색 발포체 88 mg;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39; [α]20= -61.5°(c = 0.26/CH3OH).
분획물 (3) : p-니트로페닐 3,4-디-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 무색 발포체 275 mg(16 %);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30; [α]20= -38.6°(c = 0.28/CH3OH).
1.54) p-아미노페닐 3,4-디-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54.a의 분획물 (3) 206 mg(0.3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16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비등시켜 추출하여 회색 결정 45.6 mg(37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22; 융점 = 155 ℃(분해).
실시예 1.55
p-아미노페닐 2,3,4-트리-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
실시예 1.54.a의 분획물 (1) 380 mg(0.5 mmol)을 실시예 1.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16시간 동안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비등시켜 추출하여 황갈색 오일 46.8 mg(19 %)을 얻었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29; 융점 = 106 ℃(분해).
실시예 1.56
p-아미노페닐 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p-니트로페닐 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갈락토피라노시드 4.63 g(10 mmol)을 실시예 1.2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반응시켰다. 무색 결정 3.04 g(70 %)을 얻었다. TLC[메탄올] : Rf= 0.55; 융점 = 235-237 ℃(분해).
실시예 1.57
p-아미노페닐 4-O-(3'-술페이토-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염
1.57.a) p-니트로페닐 4-O-(3',4'-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디메톡시프로판 400 ml 및 촉매량의 (±)-캄포르-10-술폰산 400 mg(1.7 mmol)을 p-니트로페닐 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갈락토피라노시드 23.2 g(50 mmol)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일 후 트리에틸아민 240 ㎕(1.7 mmo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결정을 메탄올/물 10:1 500 ml에 분해시키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6시간 동안 비등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5:1 → 10:1, 각 경우 트리에틸아민 0.5 % 포함] 후 무색 결정 15.2 g(60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49; 융점 = 253-255 ℃(분해).
1.57.b)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질-4-O-(2',6'-디-O-벤조일-3',4'-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0 ℃에서 피리딘 300 ml 중 화합물 1.57.a 15.1 g(30 mmol)의 용액에 염화벤조일 50 ml(430 mmol)를 30분에 걸쳐 서서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시키고, 이 배치를 교반하면서 얼음물 2000 ml에 부었다. 15분 후 석출된 결정을 여과 제거하고 염화메틸렌 1500 ml에 분해시켰다. 용액을 물 500 ml로 2회 및 1 N 중탄산나트륨 용액 500 ml로 2회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50 g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26.7 g(87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0:1] : Rf= 0.49; [α]20= +23.6°(c = 1.08/CH2Cl2); 융점 = 272-274 ℃.
1.57.c)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조일-4-O-(2',6'-디-O-벤조일-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염화메틸렌 400 ml 중 화합물 1.57.b 20.5 g(20 mmol)의 용액에 99 % 농도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1 N 중탄산나트륨 용액 200 ml로 2회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10 g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였다. 무색 결정 18.0 g(91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Rf= 0.18; 융점 = 234 ℃.
1.57.d)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질-4-O-(2',6'-디-O-벤조일-4'-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화합물 1.57.c 5.5 g(5.6 mmol)을 실시예 1.5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 → 1:1] 후 무색 결정 4.03 g(70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Rf= 0.67; 융점 = 118 ℃.
1.57.e)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조일-4-O-(2',6'-디-O-벤조일-3'-술페이토-4'-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염
삼산화황-피리딘 착물 4.5 g(28 mmol)을 피리딘 200 ml 중 화합물 1.57.d 3.59 g(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2시간 동안에 이어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 50 ml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0:1]로 정제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염화메틸렌/메탄올 1:1 200 ml에 분해시키고, 앰벌라이트(Amberlite) IR120(Na+ 형태) 10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하였다. 무색 결정 3.64 g(92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2:1] : Rf= 0.87; 융점 = 168 ℃.
1.57.f) p-니트로페닐 4-O-(3'-술페이토-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염
화합물 1.57.e 3.4 g(3 mmol)을 무수 메탄올 150 ml에 용해시키고, 소듐 메틸레이트 200 mg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60 ℃에서 7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혼합물을 르와티트(Lewaitit) SC108(H+ 형태)로 중화시킨 후 여과하였다. 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여액을 pH를 7 내지 8로 상승시키고,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약간 갈색의 결정 1.30 g(77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2:1] : Rf= 0.55; 융점 = 230 ℃(분해).
1.57) p-아미노페닐 4-O-(3'-술페이토-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염
상기 화합물 1.13 g(2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50 ml로 비등시켜 추출한 후 무색 결정 983 mg(92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2:1] : Rf= 0.22; 융점 = 176 ℃(분해).
실시예 1.58
p-아미노페닐 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1.58.a) p-니트로페닐 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선택적인 메틸화 방법
p-니트로페닐 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2.3 g(5 mmol)을 실시예 1.2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10:1 → 5:1]하여 2가지 생성물을 얻었다.
분획물 (1) : p-니트로페닐 2-O-메틸-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무색 결정 264 mg(11 %);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46; [α]20= -73.9°(c = 1.0/CH3OH); 융점 = 228 ℃(분해).
분획물 (2) : p-니트로페닐 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무색 결정 1.0 g(42 %);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29; [α]20= -65.3°(c = 1.1/CH3OH); 융점 = 220 ℃.
1.58) p-아미노페닐 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실시예 1.58.a의 분획물 (2) 955 mg(2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디에틸 에테르 50 ml로 세척한 후 무색 결정 894 mg(100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08; 융점 = 129 ℃(분해).
실시예 1.59
p-아미노페닐 2-O-메틸-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실시예 1.58.a의 분획물 (1) 265 mg(0.5 mmol)을 실시예 1.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시켰다.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세척한 후 무색 결정 186 mg(81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13; [α]20= -3.6°(c = 1.0/CH3OH); 융점 = 105 ℃.
실시예 1.60
p-아미노페닐 4-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1.60.a)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질-4-O-(2',6'-디-O-벤질-3',4'-O-이소프로필리덴-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화합물 1.57.a 5.0 g(10 mmol)을 실시예 1.26.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브롬화벤질 30 ml(250 mmol)와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에 분해시키고, 용액을 물 2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10 g 상에서 건조시켜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석유 에테르 5:1 → 염화메틸렌]로 정제하였다. 갈색 오일 5.3 g(5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0:1] : Rf= 0.70; [α]20= -23.2°(c = 1.08/CH2Cl2).
1.60.b)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질-4-O-(2',6'-디-O-벤질-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상기 화합물 4.77 g(5 mmol)을 실시예 1.57.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석유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3.94 g(8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0:1] : Rf= 0.36; 융점 = 116 ℃.
1.60.c) p-니트로페닐 2,3,6-트리-O-벤질-4-O-(2',6'-디-O-벤질-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화합물 1.60.b 1.8 g(2 mmol)을 실시예 1.24.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화하였다. 염화메틸렌/석유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무색 결정 1.55 g(82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 50:1] : Rf= 0.74; 융점 = 161-162 ℃.
1.60) p-아미노페닐 4-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화합물 1.60.c 1.41 g(1.5 mmol)을 메탄올 5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상의 수산화팔라듐(습윤, Pd 20 %) 500 mg을 첨가한 후 약간의 승압하에 수소 분위기에서 6일 동안 수소 첨가 반응을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메탄올 100 ml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으로 세척하여 갈색 고체 425 mg(61 %)을 얻었다. 융점 = 124 ℃(분해).
실시예 2.1
N-알라닐-바트라실린
2.1.a) N-[N-(tert-부톡시카르보닐)-알라닐]-바트라실린
N-(tert-부톡시카르보닐)-알라닐 3.3 g(17.5 mmol) 및 2-이소부톡시-1-이소부톡시카르보닐-1,2-디히드로퀴놀린 6.8 ml(23 mmol)를 염화메틸렌 10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350 ml 중 바트라실린 4.1 g(16.5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배치를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진공중에서 50 ml로 농축시키고, 농축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토핑하고, 즉시 비점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필터 상의 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다시 비등시켜 추출하였다. 교반하면서 0 ℃로 냉각시켜 황색 결정 6.18 g(84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57; 융점 = 246-247 ℃(분해).
2.1) N-알라닐-바트라실린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0 ml 중 화합물 2.1.a 10.5 g(25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 배치를 진공중에서 30 ml로 농축시키고, 이를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1000 ml에 부었다. 10분 동안 계속 교반하고, 혼합물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물, 약간의 이소프로판올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황색 결정 7.15 g(89 %)으로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6; 융점 = 261-262 ℃(분해).
실시예 2.2
N-[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2.a)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N,N-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신 2.1 g(6 mmol) 및 2-이소부톡시-1-이소부톡시-카르보닐-1,2-디히드로퀴놀린 2.4 ml(8 mmol)를 염화메틸렌 2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40 ml 중 화합물 2.1 1.6 g(5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배치를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더 교반시켰다. 이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 → 1:1 →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2.89 g(89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52; 융점 = 203-204 ℃.
2.2) N-[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를 염화메틸렌 25 ml 중 상기 화합물 2.6 g(4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 100 ml를 첨가하여 잔류물을 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황색 결정 2.68 g(99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5; 융점 = 144-146 ℃(분해).
실시예 2.3
N-[D-알라닐]-바트라실린
2.3.a) N-[N-벤질옥시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N-벤질옥시카르보닐-D-알라닌 3.9 g(17.5 mmol)을 실시예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워크업하였다. 얻어진 황색 결정 6.4 g(80 %)을 여과시켜 분리하고, 한데 합한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2 → 1:1]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추가로 1.35 g(17 %)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45; 융점 = 256 ℃; [α]20= +75.1°(c = 1.0/CH2Cl2) + 0.5 % CH3OH).
2.3) N-[D-알라닐]-바트라실린
화합물 2.3.a 11.4 g(25 mmol)을 빙초산 100 ml 중 브롬화수소의 33 % 농도의 용액에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30분 후, 이 배치를 진공중에서 30 ml로 농축시키고,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농축액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1000 ml에 부었다. 10분 동안 계속 교반하고, 혼합물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물, 약간의 이소프로판올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생성물 7.87 g(98 %)을 황색 결정으로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6; 융점 = 267 ℃(분해).
실시예 2.4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2.4.a)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 5.3 g(11.3 mmol) 및 2-이소부톡시-1-이소부톡시카르보닐-1,2-디히드로퀴놀린 4 ml(14 mmol)를 염화메틸렌 4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80 ml 중 화합물 2.3 3.2 g(1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배치를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더 교반시켰다. 이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100 ml에 현탁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디에틸 에테르 300 ml로 토핑하였다. 여과시키고 필터 상의 물질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한 후 황색 결정 5.65 g(6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45; 융점 = 186 ℃.
2.4)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상기 화합물 5.6 g(7.3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 ml에 용해시켰다. 피페리딘 50 ml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1 → 15:5:0.1]로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2.5 g(62 %)을 얻었다. 융점 = 217 ℃(분해).
실시예 2.5
N-[Nα-(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5.a) N-[Nα-(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Nε-(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Nα-(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Nε-(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신 5.3 g(11.3 mmol)을 실시예 2.4.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7.0 g(80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51; 융점 = 223 ℃.
2.5) N-[Nα-(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5.a 6.17 g(8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황색 결정 6.8 g(97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5; 융점 = 224 ℃(분해).
실시예 2.6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4.a 6.17 g(8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황색 결정 5.97 g(9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4; 융점 = 188 ℃(분해).
실시예 2.7
N-[리실-D-아스파르길]-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7.a) N-[N-(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D-아스파르길-(β-tert-부틸 에스테르)]-바트라실린
N-(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D-아스파르길-(β-tert-부틸 에스테르) 7.2 g(17.5 mmol)을 실시예 2.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1000 ml에 분해시키고, 혼합물을 1 N 염산 200 ml로 2회 및 1 N 중탄산나트륨 용액 200 ml로 1회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20 g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100 ml로 농축시키고 석유 에테르를 첨가한 후, 화합물 2.7.a를 황색 결정의 형태로 9.7 g(86 %)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71; 융점 = 195 ℃.
2.7.b) N-[D-아스파르길-(β-tert-부틸 에스테르)]-바트라실린
상기 화합물 6.4 g(10 mmol)을 염화메틸렌 100 ml에 용해시켰다. 모르폴린 50 ml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4:1 → 에틸 아세테이트 →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0:1]로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3.44 g(82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21; 융점 = 209 ℃(분해).
2.7.c)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아스파르길-(β-tert-부틸 에스테르)]-바트라실린
화합물 2.7.b 2.1 g(5 mmol)을 실시예 2.2.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황색 결정 1.71 g(4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61; 융점 = 142 ℃.
2.7) N-[리실-D-아스파르길]-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7.c 1.65 g(2.2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1.5 g(95 %)을 얻었다. 융점 = 154-155 ℃(분해).
실시예 2.8
N-[리실-D-글루타밀]-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2.8.a) N-[N-(tert-부톡시카르보닐)-D-글루타밀-(β-벤질 에스테르)]-바트라실린
N-(tert-부톡시카르보닐)-D-글루타밀-(β-벤질 에스테르) 5.9 g(17.5 mmol)을 실시예 2.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9.45 g(9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61; [α]20= +53.1°(c = 1.0/CH2Cl2); 융점 = 159 ℃.
2.8.b) N-[D-글루타밀-(β-벤질 에스테르)]-바트라실린
화합물 2.8.a 9.1 g(10 mmol)을 포름산 10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 100 ml에 분해시키고, 25 %의 암모니아 수용액을 주의깊게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8로 상승시켰다. 진공중에서 다시 농축시킨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0:1]하여 황색 결정 4.2 g(5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6.
2.8.c)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글루타밀-(β-벤질 에스테르)]-바트라실린
상기 화합물 3.75 g(8 mmol)을 실시예 2.2.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 2.26 g(35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40; [α]20= +32.1°(c = 1.2/CH2Cl2).
2.8) N-[리실-D-글루타밀]-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화합물 2.8.c 2.0 g(2.5 mmol)을 빙초산 50 ml 중 브롬화수소의 33 % 농도의 용액에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1시간 후, 이 배치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황적색 결정 1.63 g(98 %)으로 얻었다. 융점 = 207-209 ℃(분해).
실시예 2.9
N-[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9.a) N-[N-(tert-부톡시카르보닐)-글리실]-바트라실린
N-(tert-부톡시카르보닐)-글리실 3.07 g(17.5 mmol)을 실시예 2.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3일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 200 ml에 분해시켰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30분 동안 교반시켜 여과하고 냉각시킨 후 표적 화합물 4.73 g(66 %)을 황색 결정 형태로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44; 융점 = 279 ℃(분해).
2.9.b) N-글리실-바트라실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상기 화합물 4.1 g(10 mmol)을 초음파 조 중에서 가열하면서 염화메틸렌 1200 ml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에테르 100 ml 중의 염화수소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에탄올 200 ml를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10분 동안 교반시켜 여과하고 냉각시킨 후, 생성물 3.21 g(94 %)을 황색 결정 형태로 얻었다. 융점 = 297-299 ℃(분해).
2.9.c)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N,N-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신 2.1 g(6 mmol) 및 2-이소부톡시-1-이소부톡시카르보닐-1,2-디히드로-퀴놀린 2.4 ml(8 mmol)를 염화메틸렌 2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화합물 2.9.b 1.71 g(5 mmol),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86 ml(5 mmol)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40 m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배치를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이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1 →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1.69 g(53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1:1] : Rf= 0.31; 융점 = 211 ℃(분해).
2.9) N-[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9.c 1.4 g(2.2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1.33 g(91 %)을 얻었다. 융점 = 153 ℃(분해).
실시예 2.10
N-[리실-세릴]-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10.a) N-[N-(tert-부톡시카르보닐)-세릴]-바트라실린
N-(tert-부톡시카르보닐)-세린 3.6 g(17.5 mmol)을 실시예 2.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48시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100 ml로 농축시킨 후, 염화메틸렌 2 l를 농축물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물 500 ml로 1회, 0.5 N 염산 250 ml로 2회 및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250 ml로 1회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50 g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류 제거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하여 화합물 2.10.a 4.6 g(64 %)을 황색 결정 형태로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아세트산 100:1] : Rf= 0.38; 융점 = 219 ℃(분해); [α]20= -61.0°(c = 0.5/CH2Cl2+ 0.5 % CH3OH).
2.10.b) N-세릴-바트라실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진한 염산 10 ml를 교반하면서 디옥산 70 ml 중 상기 화합물 4.6 g(10.4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이를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에탄올 100 ml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환류하에 15분 동안 비등시켰다. 냉각시키고 흡인 여과하여 오렌지색 결정 1.97 g(9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05; [α]20= +51.8°(c = 1.0/H2O); 융점 = 270 ℃(분해).
2.10.c)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2.10.b 1.86 g(5 mmol)을 실시예 2.9.c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에틸 아세테이트] 후 황색 결정 1.18 g(36 %)을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아세트산 100:1] : Rf= 0.24; 융점 = 188 ℃(분해); [α]20= -13.1°(c = 0.5/CH2Cl2+ 0.5 % CH3OH).
2.10) N-[리실-세릴]-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10.c 1.0 g(1.5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1.0 g(96 %)을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10; 융점 = 188-190 ℃(분해).
실시예 2.11
N-[리실-D-세릴]-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2.11.a) N-[N-(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O-(tert-부틸)-D-세릴]-바트라실린
N-(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O-(tert-부틸)-D-세린 6.7 g(17.5 mmol)을 실시예 2.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하여 화합물 2.11.a 5.64 g(52 %)을 황색 결정 형태로 얻었다. TLC[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87; 융점 = 225-226 ℃(분해).
2.11.b) N-[O-(tert-부틸)-D-세릴]-바트라실린
상기 화합물 2.89 g(4.7 mmol)을 실시예 2.7.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2 → 에틸 아세테이트]하여 황색 결정 1.15 g(62 %)을 얻었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 : Rf= 0.11; 융점 = 197 ℃(분해).
2.11.c)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O-(tert-부틸)-D-세릴]-바트라실린
상기 화합물 1.1 g(2.8 mmol)을 실시예 2.2.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황색 결정 1.94 g(96 %)을 얻었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 : Rf= 0.59; 융점 = 208 ℃.
2.11.d) N-[리실-O-(tert-부틸)-D-세릴]-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11.c 1.08 g(1.5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1.1 g(98 %)을 얻었다. TLC [메탄올/아세트산 10:1] : Rf= 0.30; 융점 = 128 ℃.
2.11) N-[리실-D-세릴]-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화합물 2.11.d 1.05 g(1.4 mmol)을 실시예 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적색 결정 846 mg(96 %)을 얻었다. 융점 = 247-248 ℃.
실시예 2.12
N-[리실-D-트레오닐]-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2.12.a) N-[N-(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O-(tert-부틸)-D-트레오닐]-바트라실린
N-(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O-(tert-부틸)-D-트레오닌 6.96 g(17.5 mmol)을 실시예 2.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하여 화합물 2.12.a 7.45 g(68 %)을 황색 결정 형태로 얻었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 Rf= 0.63; 융점 = 225-226 ℃(분해).
2.12.b) N-[O-(tert-부틸)-D-트레오닐]-바트라실린
화합물 2.12.a 3.8 g(6 mmol)을 실시예 2.7.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생성물 1.9 g(78 %)을 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 : Rf= 0.21; 융점 = 110-111 ℃.
2.12.c)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O-(tert-부틸)-D-트레오닐]-바트라실린
화합물 2.12.b 1.8 g(4.5 mmol)을 실시예 2.2.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켰다. 황색 결정 2.6 g(79 %)을 얻었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 : Rf= 0.59; 융점 = 112 ℃.
2.12.d) N-[리실-O-(tert-부틸)-D-트레오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상기 화합물 2.5 g(3.4 mmol)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2.5 g(96 %)을 얻었다. TLC [메탄올/아세트산 10:1] : Rf= 0.30; 융점 = 142 ℃(분해).
2.12) N-[리실-D-트레오닐]-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화합물 2.12.d 2.29 g(3 mmol)을 실시예 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적색 결정 1.86 g(97 %)을 얻었다. 융점 = 232 ℃(분해).
실시예 2.13
N-[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13.a) N-[Nα,Nε-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Nα,Nε-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신 6 g(17.3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75 ml에 용해시키고, 0 ℃에서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3 g(26 mmol)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4.29 g(20.8 mmol)을 첨가하였다. 3시간 후, 형성된 요소를 여과 제거하고, 여액에 N-[D-알라닐]-바트라실린(실시예 2.3) 5 g(15.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남아있는 요소를 여과하여 버렸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로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다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로 다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여과하고, 필터 잔류물을 한데 합하였다. 이들을 염화메틸렌/메탄올 10:1에 용해시키고, 생성물을 에테르로 침전시켰다. 결정질 표적 화합물 8.22 g(81 %)을 얻었다.
2.13) N-[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13.a 8.2 g으로부터 실시예 2.2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득량 : 7.58 g(89 %).
실시예 2.14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14.a)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 및 바트라실린으로부터 실시예 2.4.a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율 : 78 %.
2.14)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14.a로부터 실시예 2.5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율 : 90 %.
실시예 2.15
N-[리실-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15.a) N-[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화합물 2.14 3240 mg(4.54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 ml에 용해시키고, Nα,Nε-디-(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신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2550 mg(5.45 mmol) 및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938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켜 농축하고, 잔류물을 먼저 에테르로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필터 잔류물을 메탄올/에테르 1:1로 다시 교반시켰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흡인 여과시키고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3881 mg(92 %)을 얻었다.
2.15) N-[리실-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15.a를 실시예 2.2와 유사하게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화메틸렌 1:1로 차단기 제거하였다. 수율 : 95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6:0.6, Rf= 0.08].
실시예 2.16
N-[리실-Nβ-(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α,β-디아미노프로피오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상기 펩티드 콘쥬게이트는 바트라실린 및 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β-(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디아미노프로피온산으로부터 4단계를 거쳐 실시예 2.14 및 실시예 2.15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5:1:0.2, Rf= 0.15].
실시예 2.17
N-[리실]-바트라실린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실시예 2.14)로부터 실시예 2.4와 유사하게 Fmoc를 분리하였다. 수율 : 65 %.
실시예 2.18
N-[세릴-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18.a) N-[N-(tert-부톡시카르보닐)-세릴-D-알라닐]-바트라실린
N-(tert-부톡시카르보닐)-세린 및 N-[D-알라닐]-바트라실린(실시예 2.3)으로부터 실시예 2.13.a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율 : 77 %.
2.18) N-[세릴-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화합물 2.18.a로부터 실시예 2.2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수율 : 98 %.
실시예 2.19
N-[D-알라닐-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2.18과 유사하게 2단계에 걸쳐 제조하였다.
실시예 2.20
M-[글루타밀-D-알라닐]-바트라실린
N-tert-부톡시카르보닐-글루타밀-δ-tert-부틸 에스테르 및 N-[D-알라닐]-바트라실린(실시예 2.3)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2.18과 유사하게 2단계에 걸쳐 제조하였다. Boc를 분리한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키고,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 7이 되게 하고, 베타인을 흡인 여과 제거하였다.
실시예 3.1 - 3.34
일반식
실시예 3.1
N-{Nε-[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3.1.a)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ε-[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티오포스겐 34 ㎕(0.44 mmol)를 교반하면서 디옥산/물 1:1 10 ml 중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55 mg(0.22 mmol)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115 ㎕의 존재하에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실시예 2.4) 109 mg을 포함하는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커플링 반응시켰다. 조 생성물을 메탄올/이소프로판올로부터 2회 침전시킨 후, 표적 화합물 132 mg(75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15].
3.1) N-{Nε-[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1.a의 화합물 127 mg(0.15 mmol)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6 ml를 포함하는 염화메틸렌 10 ml 중에서 0 ℃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5 ml로 3회 연속 증류시키고, 생성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동결 건조시킨 후 표적 생성물 80 mg(71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4, Rf= 0.3].
실시예 3.1과 유사하게, 부분 보호된 실시예 2.4의 콘쥬게이트 또는 유사하게 제조하는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으로부터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N-{Nε-[O-(2-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1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95:5를 사용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 : 55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15:1:0.2, Rf= 0.4].
실시예 3.3
N-{Nε-[O-(2-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1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침전시켜 정제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 : 65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1].
실시예 3.4
N-{Nε-[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97.5:2.5로부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에테르와 함께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수율 : 59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19].
실시예 3.5
N-{Nε-[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침전시켜 정제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 : 36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57].
실시예 3.6
N-{Nε-[O-(3-O-메틸-α-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3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에테르와 함께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켜 정제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 : 44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15].
실시예 3.7
N-{Nε-[O-(3-데옥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6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95:5로부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에테르와 함께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수율 : 35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2].
실시예 3.8
N-{Nε-[O-(3,4-에폭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8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95:5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최종 단계에서는 에테르와 함께 메탄올로부터 수회 침전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교반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9].
실시예 3.9
N-{Nε-[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정제하고, 에테르로 침전시켜 종결시켰다.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을 사용하고 나중에 동일 계 15:6:0.6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물에 분해시키고,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 7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흡인 여과하고, 필터 잔류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물 1:3에 분해시키고,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 1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나트륨염을 물에 분해시키고 동결 건조하였다. 수율 : 43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15].
실시예 3.10
N-{Nε-[O-(3-O-카르바모일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8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교반하면서 메탄올로 정제하고, 에테르로 침전시켜 완결시켰다.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Rf= 0.38]; 융점 = 190 ℃(분해).
실시예 3.11
N-{Nε-[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 D-알라닐}-바트라실린, 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4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 95:5를 사용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농축시킨 후 빙초산 1당량 및 물 10 ml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52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3]. FAB-MS : m/z = 760 = M+1.
실시예 3.12
N-{Nε-[O-(α-D-글루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α-D-글루코시드
중간 단계에서 및 최종 단계에서 교반하면서 메탄올로 정제하고 에테르로 침전시켜 종결시켰다. 수율 : 83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 Rf= 0.48].
실시예 3.13
N-{Nε-[O-(α-D-글루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α-D-글루코시드
실시예 3.12의 이성질체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14
N-{Nε-[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3.12.a) N-{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ε-[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티오포스겐 33.5 ml(0.44 mmol)를 교반하면서 디옥산/물 1:1 10 ml 중 화합물 1.25 62.8 mg(0.22 mmol)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2.4 109.7 mg(0.2 mmol) 및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0:1]로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108.3 mg(62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2]; 융점 = 194-195 ℃(분해).
3.14) N-{Nε-[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tert-부톡시카르보닐을 실시예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 3.14.a 105.1 mg(0.12 mmol)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후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황색 결정 57.4 mg(54 %)을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16]; 융점 = 188-189 ℃(분해).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2.4(각 경우 109.7 mg, 0.2 mmol)로부터 실시예 3.14.a 및 실시예 3.14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15
N-{Nε-[O-(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23 59.7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79.5 mg(46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74; 융점 = 182 ℃.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77.1 mg(44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27; 융점 = 191-192 ℃.
실시예 3.16
N-{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31 79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30:1 → 2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0.7 mg(85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35; 융점 = 197-199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7 mg(76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13; 융점 = 184-186 ℃(분해).
실시예 3.17
N-{Nε-[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2 75.5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30:1 → 25: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24.1 mg(66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0; 융점 = 165 ℃.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7.8 mg(57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53; 융점 = 183 ℃(분해).
실시예 3.18
N-{Nε-[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3 77.3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에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72 mg(91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71; 융점 = 225-228 ℃.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6.5 mg(73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21; 융점 = 217-220 ℃(분해).
실시예 3.19
N-{Nε-[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4 72.2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7.7 mg(75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41; 융점 = 198-201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40.2 mg(75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16; 융점 = 188-190 ℃(분해).
실시예 3.20
N-{Nε-[O-(3-O-(N-메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5 75.3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7: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8.4 mg(85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25; 융점 = 161-163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2.5 mg(70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10; 융점 = 191-193 ℃(분해).
실시예 3.21
N-{Nε-[O-(3-O-(N-프로필-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6 81.5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8: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3.1 mg(80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3; 융점 = 187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4.9 mg(79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21; 융점 = 179 ℃.
실시예 3.22
N-{Nε-[O-(3-O-(N-부틸-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7 84.6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2: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2.7 mg(6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54; 융점 = 180-182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15.2 mg(5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30; 융점 = 176 ℃.
실시예 3.23
N-{Nε-[O-(3,4-디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52 52.6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5: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27.4 mg(77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60; 융점 = 166-167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3.1 mg(61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4; 융점 = 173-175 ℃(분해).
실시예 3.24
N-{Nε-[O-(6-O-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53 78.2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5: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88.3 mg(49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61; 융점 = 196-199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89.6 mg(49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31; 융점 = 186 ℃(분해).
실시예 3.25
N-{Nε-[O-(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39 59.7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1.7 mg(59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79; 융점 = 180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3.1 mg(59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34; 융점 = 177-178 ℃(분해).
실시예 3.26
N-{Nε-[O-(3-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0 62.8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56.6 mg(32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38; 융점 = 191-192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46.6 mg(26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 Rf= 0.13; 융점 = 190-191 ℃(분해).
실시예 3.27
N-{Nε-[O-(2,3-디-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1 66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5: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77.8 mg(44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65; 융점 = 182-183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6.1 mg(37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40; 융점 = 181 ℃.
실시예 3.28
N-{Nε-[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8 75.5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8: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62.1 mg(33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66; 융점 = 165 ℃.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57.6 mg(30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 Rf= 0.43; 융점 = 183-184 ℃.
실시예 3.29
N-{Nε-[O-(3-O-카르복시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49 77.3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에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에 의해 정제하여 나트륨염 173.4 mg(92 %)을 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57; 융점 = 201-205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71.7 mg(92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29; 융점 = 196-198 ℃(분해).
실시예 3.30
N-{Nε-[O-(3-O-카르바모일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탄수화물 1.50 72.2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6.6 mg(5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34; 융점 = 192-194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7.7 mg(5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4:1] : Rf= 0.13; 융점 = 186-187 ℃(분해).
실시예 3.31
N-{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3.31.a) N-{Nα-(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티오포스겐 33.5 ml(0.44 mmol)를 디옥산/물 1:1 10 ml 중 화합물 1.31 79 mg(0.2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2.5 157 mg(0.2 mmol) 및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 1:1에 분해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약간의 빙냉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황색 결정 191 mg(94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35; 융점 = 203 ℃(분해).
3.31) N-{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을 실시예 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 3.31.a 182.2 mg(0.18 mmol)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메탄올/염화메틸렌 1:1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황색 결정 127.1 mg(89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46; 융점 = 158 ℃.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2.5(각 경우 157 mg, 0.2 mmol)로부터 실시예 3.31.a 및 실시예 3.3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32
N-{Nε-[O-(3-O-(피페리딜-N)-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42 75.5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91.2 mg(91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28; 융점 = 208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5.8 mg(88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47; 융점 = 120 ℃(분해).
실시예 3.33
N-{Nε-[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유리체 : 탄수화물 1.43 77.3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92 mg(90 %)을 얻었다. TLC [에탄올/메탄올 1:1] : Rf= 0.05; 융점 = 211-213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10.6 mg(66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33; 융점 = 233-235 ℃(분해).
실시예 3.34
N-{Nε-[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44 72.2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9.2 mg(76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04; 융점 = 177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3.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25.1 mg(76 %)을 얻었다. TLC [메탄올] : Rf= 0.48; 융점 = 106 ℃.
실시예 4.1 - 4.12
일반식
실시예 4.1
4.1.a) N-{Nα-[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140 mg(0.55 mmol)을 먼저 실시예 3.1.a의 지시에 따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전환시킨 후, 생성물을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375 ㎕의 존재하에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실시예 2.5) 430 mg(0.55 mmol)과 커플링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으로부터 침전시킨 후, 조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물 10:1)로 정제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교반시킨 후, 표적 화합물 358 mg(67 %)을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8].
4.1) N-{Nα-[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4.1.a의 화합물 356 mg(0.37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및 피페리딘 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2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를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6:0.6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표적 화합물을 46 % 수율로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11].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부분적으로 보호된 펩티드 콘쥬게이트 2.5로부터 실시예 4.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을 사용하고 나중에 동일 계 15:4:0.5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베타인 단계의 최종 생성물을 교반하면서 물로 정제한 후,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나트륨염으로 전환시키고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65 %. 융점 = 220 ℃.
실시예 4.3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에테르와 함께 염화메틸렌으로 침전시켜 정제하고, 최종 생성물은 에테르와 함께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수회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수율 : 88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28].
실시예 4.4
N-{Nα-[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4의 탄수화물
중간 단계에서는 에테르와 함께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 수회 침전시켜 정제하고, 최종 생성물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로 정제하고 에테르와 함께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 침전시켰다 수율 : 74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0:10:1, Rf= 0.19].
실시예 4.5
N-{Nα-[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4.5.a) N-{Nα-[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티오포스겐 33.5 ml(0.44 mmol)를 디옥산/물 1:1 10 ml 중 화합물 1.31 79 mg(0.2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2.6 157 mg(0.2 mmol) 및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의해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수회 재침전시키고, 마지막으로 약간의 빙냉 메탄올로 세척하여 황색 결정 198 mg(9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23; 융점 = 175 ℃.
4.5) N-{Nα-[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실시예 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 4.5.a 172.1 mg(0.17 mmol)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메탄올/염화메틸렌 1:1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황색 결정 114.5 mg(85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16; 융점 = 206 ℃.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2.6(각 경우 157 mg, 0.2 mmol)으로부터 실시예 4.5.a 및 실시예 4.5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N-{Nα-[O-(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23 59.7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85.8 mg(94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09; 융점 = 182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4.3 mg(8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04; 융점 = 221 ℃(분해).
실시예 4.7
N-{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25 62.8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93.5 mg(97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27; 융점 = 178 ℃(분해). 최종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2:1 → 1: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0.5 mg(84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09; 융점 = 206 ℃(분해).
실시예 4.8
N-{Nα-[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42 75.5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209.8 mg(99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32; 융점 = 235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64.3 mg(99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05; 융점 = 217 ℃(분해).
실시예 4.9
N-{Nα-[O-(3-O-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유리체 : 탄수화물 1.43 77.3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210.3 mg(99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02; 융점 = 185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한 후,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시키고, 투명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pH 10) 교반하면서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 비결정질 고체 150.8 mg(90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04.
실시예 4.10
N-{Nα-[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44 72.2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52.7 mg(73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11; 융점 = 229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한 후, 잔류물을 물/디옥산 1:1 20 ml에 현탁시켰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 비결정질 고체 98.4 mg(61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10; 융점 = +44.9°(c = 0.2/H2O).
실시예 4.11
N-{Nα-[O-(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39 59.7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79.6 mg(91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07; 융점 = 176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137.5 mg(90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09; 융점 = 213 ℃(분해).
실시예 4.12
N-{Nα-[O-(3-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탄수화물 1.40 62.8 mg(0.22 mmol)
중간 단계에서는 실시예 4.5.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94.2 mg(48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Rf= 0.13; 융점 = 173 ℃(분해). 최종 생성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6.6 mg(43 %)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 Rf= 0.07; 융점 = 215 ℃(분해).
실시예 5.1 - 5.23
일반식
실시예 5.1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티오포스겐 30 μl (0.18 mmol)를 10 ml의 디옥산/물 1:1에 용해되어 있는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10) 50 mg (0.16 mmol)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혼합물을 농축시켜 잔류물을 고진공하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수득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82 μl에 있는 실시예 3.4로부터의 콘쥬게이트 109 mg (0.144 mmol)과 합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농축 후에 수득된 물질을 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득량: 89 mg (56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6:0.6 Rf= 0.22].
혼합된 치환체를 갖는 하기 콘쥬게이트를 실시예 5.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실시예 3.10으로부터의 콘쥬게이트
메탄올로부터 초기 생성물을 에테르로 침전시킴으로써 정제. 수율 : 78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5].
실시예 5.3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4.3으로부터의 콘쥬게이트, 4-히드록시-아닐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수율 : 60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31].
실시예 5.4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4.2로부터의 콘쥬게이트, 4-히드록시-아닐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이어서 잔류물을 메탄올/에테르로 교반하였다. 수율 : 55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6:0.6 Rf= 0.3].
실시예 5.5
N-{Nα-[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4.4로부터의 콘쥬게이트, 4-히드록시-아닐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이어서 잔류물을 메탄올/염화메틸렌으로부터 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수율 : 49 % 융점: 128℃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6].
실시예 5.6
N-{Nα-[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3.11로부터의 콘쥬게이트, 4-히드록시-아닐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이어서 잔류물을 물/디옥산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50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9].
실시예 5.7
N-{Nα-[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3.4로부터의 콘쥬게이트, 4-히드록시-아닐린
에테르로 메탄올로부터 잔류물을 침전시킴. 수율 : 76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6].
실시예 5.8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8.10으로부터의 콘쥬게이트,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수율 : 9 % FAB-MS: m/z = 1165 = M+1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Rf= 0.27].
실시예 5.9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아세틸]-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N-[Nε-(아세틸)-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1.10으로부터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후에 동일 계에서 15:4:0.5]. 이어서 잔류물을 물로부터 응결건조시켰다. 수율 : 46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1].
실시예 5.10
N-{Nα-[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아세틸]-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5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되어 있는 실시예 4.4로부터의 콘쥬게이트 51 mg (0.067 mmol)에 무수 아세트산 10 μ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에테르로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켰다. 수득량: 46 mg (86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
실시예 5.11
N-{Nα-[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숙시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2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되어 있는 실시예 4.1로부터의 콘쥬게이트 20 mg (0.027 mmol)에 무수 숙신산 3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녹이고,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 27 μl를 첨가하였다. 수득량: 20 mg (86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0:20:2 Rf= 0.2].
실시예 5.12
N-{Nα-[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2 (37.7 mg, 0.11 mmol)를 펩티드 콘쥬게이트 3.31 (79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10:1]를 실시한 후, 황색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52.9 mg, 45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Rf = 0.14; 융점 = 178℃(분해).
실시예 5.13
N-{Nα-[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3 (38.6 mg, 0.11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3.31 (79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현탁액에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투명 용액을 형성시켰다 (pH<10). 여과시킨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를 수득하였다 (87.9 mg, 74 %); TLC [에탄올]: Rf= 0.17; [α]20= +56.0O(c = 0.1/H2O).
실시예 5.14
N-{Nα-[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4 (36.1 mg, 0.11 mmol)를 펩티드 콘쥬게이트 3.31 (79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황색 결정체 (45.9 mg, 39 %)를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38; 융점 = 219℃(분해).
실시예 5.15
N-{Nα-[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피페리딜-N)-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31 (39.5 mg, 0.11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3.32 (88.7 mg, 0.1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10:1]를 실시한 후, 황색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38.8 mg, 32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79; 융점 = 205℃(분해).
실시예 5.16
N-{Nα-[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피페리딜-N)-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3 (38.6 mg, 0.11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3.32 (88.7 mg, 0.1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현탁액에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투명 용액을 형성시켰다 (pH<10). 여과시킨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를 얻었다 (90.3 mg, 71 %); TLC [에탄올]: Rf= 0.05; [α]20= +39.0O(c = 0.1/H2O).
실시예 5.17
N-{Nα-[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피페리딜-N)-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4 (36.1 mg, 0.11 mmol)를 펩티드 콘쥬게이트 3.32 (88.7 mg, 0.1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황색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44.8 mg, 36 %); TLC [에탄올]: Rf= 0.06; 융점 = 223℃(분해).
실시예 5.18
N-{Nα-[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31 (39.5 mg, 0.11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3.33 (84.2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 (20 ml)를 잔류물에 첨가하며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현탁액에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투명 용액을 형성시켰다 (pH<10). 여과시킨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를 얻었다 (80.7 mg, 68 %); TLC [에탄올]: Rf= 0.09; [α]20= +35O(c = 0.1/H2O).
실시예 5.19
N-{Nα-[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2 (37.7 mg, 0.11 mmol)를 펩티드 콘쥬게이트 3.33 (84.2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 (20ml)를 잔류물에 첨가하며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현탁액에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투명 용액을 형성시켰다 (pH<10). 여과시킨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를 얻었다 (87.5 mg, 71 %); TLC [에탄올]: Rf= 0.10; [α]20= +24.6O(c = 0.11/H2O).
실시예 5.20
N-{Nα-[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4 (36.1 mg, 0.11 mmol)를 펩티드 콘쥬게이트 3.33 (84.2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 (20ml)를 잔류물에 첨가하며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현탁액에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투명 용액을 형성시켰다 (pH<10). 여과시킨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를 얻었다 (78.6 mg, 65 %); TLC [에탄올]: Rf= 0.11; [α]20= -44.0O(c = 0.13/H2O).
실시예 5.21
N-{Nα-[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31 (39.5 mg, 0.11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3.34 (81.9 mg, 0.1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탄올 → 에탄올/메탄올 2:1]를 실시한 후, 황색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17.4 mg, 15 %); TLC [에탄올]: Rf= 0.20; 융점>290℃(분해).
실시예 5.22
N-{Nα-[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2 (37.7 mg, 0.11 mmol)를 펩티드 콘쥬게이트 3.34 (81.9 mg, 0.1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황색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72 mg, 60 %); TLC [에탄올]: Rf= 0.21; 융점 222℃(분해).
실시예 5.23
N-{Nα-[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실시예 3.3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수화물 1.43 (38.6 mg, 0.11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3.34 (81.9 mg, 0.1 mmol)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1:1의 메탄올/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에 현탁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현탁액에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투명 용액을 형성시켰다 (pH<10). 여과시킨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를 수득하였다 (78.2 mg, 65 %); TLC [에탄올]: Rf= 0.07; [α]20= +33.0O(c = 0.1/H2O).
실시예 6.1 - 6.89
일반식
실시예 6.1
N-{Nα,Nε-비스-[O-(2-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교반하면서 1:1의 디옥산/물 (10 ml)에 용해되어 있는 화합물 1.1 (50 mg, 0.19 ml)의 용액에 티오포스겐 (30 μl, 0.4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수득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며, 화합물 2.13 (61 mg, 0.09 mmol) 및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진공에서 농축시키며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로 정제하였다. 에테르로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켰다. 48 mg의 표적 생성물 (50 %)이 황색 결정체로 수득되었다.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6.1과 유사하게 실시예 2.13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L-알라닐 이성질체 (실시예 2.2)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6.2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100 mg (0.38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0.5:0.5; 후에 동일 계에서 15:1:0.1]; 그 후 염화메틸렌/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 수율 : 59 %. 융점 178℃(분해)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51].
실시예 6.3
N-{Nα,Nε-비스-[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4로부터의 탄수화물 115 mg (0.44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그 후 염화메틸렌/메탄올 (1:1)/에테르로부터 침전. 수율 : 58 %. 융점 176℃(분해)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52].
실시예 6.4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115 mg (0.44 mmol)
염화메틸렌/메탄올 (1:1)/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켜 정제. 수율 : 93 %. 융점 192℃(분해)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6].
실시예 6.5
N-{Nα,Nε-비스-[O-(3-O-메틸-α-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3으로부터의 탄수화물 100 mg (0.38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 염화메틸렌/메탄올 (1:1)/에테르로부터 침전. 융점 178℃(분해); FAB-MS: m/z = 1071 = M+1.
실시예 6.6
N-{Nα,Nε-비스-[O-(3-O-n-프로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5로부터의 탄수화물 38 mg (0.127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 염화메틸렌/메탄올 (1:1)/에테르로부터 침전. 수율 : 42 %, 융점: 167 내지 170℃(분해),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Rf= 0.34].
실시예 6.7
N-{Nα,Nε-비스-[O-(3-데옥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6으로부터의 탄수화물 40 mg (0.167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 수율 : 81 %.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6].
실시예 6.8
N-{Nα,Nε-비스-[O-(3,4-디데옥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7로부터의 탄수화물 41 mg (0.183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 95:5]; 물/디옥산으로부터 응결건조시킴. 수율 : 60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22].
실시예 6.9
N-{Nα,Nε-비스-[O-(3-히드록시에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12로부터의 탄수화물 75 mg (0.25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후에 동일 계에서 15:4:0.5].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 수율 : 66 %;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28].
실시예 6.10
N-{Nα,Nε-비스-[O-(2-히드록시에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19로부터의 탄수화물 50 mg (0.167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 물/디옥산으로부터 응결건조시킴. 수율 : 72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9].
실시예 6.11
N-{Nα,Nε-비스-[O-(2-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3으로부터의 50 mg (0.16 mmol)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 나중에 동일 계로 15:10:1]로 정제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다이제스트시키고, 물/디옥산으로 후속 동결 건조하였다. 2 당량의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이나트륨염으로 전환시키고, 후속적으로 물로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49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5 Rf= 0.38]. MS-FAB: FAB-; m/z = 1157 = M - 2Na++ H+.
실시예 6.12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으로부터의 200 mg (0.64 mmol)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나중에 동일 계로 15:8:0.8; 최종적으로 15:10:1]로 정제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다이제스트시키고, 물/디옥산 1:1로 후속 동결 건조시켰다. 2 당량의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이나트륨염으로 전환시키고, 후속적으로 물로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59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Rf= 0.1].
실시예 6.13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18로부터의 60 mg (0.19 mmol)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로 정제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잔류물을 침전시키고, 흡인 장치로 여과하여 물/디옥산 1:1로 후속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36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6]. 융점 : 190 ℃(분해).
실시예 6.14
N-{Nα,Nε-비스-[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100 mg (0.39 mmol)의 p-아미노페닐 β-L-푸코사이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나중에 동일 계로 15:4:0.5]로 정제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잔류물을 에테르로 침전시키고, 흡인 장치로 여과시켰다. 수율 : 48 %; 융점 : 195-198 ℃.
실시예 6.15
N-{Nα,Nε-비스-[O-(α-L-람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1로부터의 158 mg (0.61 mmol)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나중에 동일 계로 15:4:0.5]로 정제하였다. 물/디옥산으로부터 잔류물을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87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25].
실시예 6.16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α-L-람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22로부터의 200 mg (0.64 mmol)의 탄수화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나중에 동일 계로 15:8:0.8; 및 최종적으로 15:10:1]로 정제하였다. 에테르로 잔류물을 다이제스트시키고, 물/디옥산 1:1로 후속적으로 동결 건조시켰다.
아미노 말단 상 완전히 디블로킹된 라이신 구조 단위를 함유한 하기의 글리코콘쥬게이트를 바트라실린의 다양한 펩티드 콘쥬게이트로부터 실시예 6.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17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으로부터의 32 mg (0.1 mmol)의 탄수화물; 32 mg (0.045 mmol)의 N-[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2.9)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 나중에 동일 계로 15:15:1.5]로 정제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 (1:1)로부터 침전시키고, 물/디옥산으로 후속 동결 건조시켰다. 2 당량의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이나트륨염으로 전환시키고, 후속적으로 물로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25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 Rf= 0.19]. FAB-MS: m/z = 1189 = M + 1.
실시예 6.18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60 mg (0.22 mmol)의 탄수화물; 66 mg (0.1 mmol)의 N-[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2.9)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로 정제하고, 메탄올로부터 에테르로 침전시키고, 물/디옥산으로 후속적으로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 68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0:20:2 Rf= 0.62].
실시예 6.19
N-{Nα,Nε-비스-[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리실}-바트라실린:
6.19.a) N-{Nα,Nε-비스-[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유리체 : 297 mg (1 mmol)의 p-아미노페닐 β-L-푸코사이드; 66 mg (0.1 mmol)의 N-[리실-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2.15); 206 ㎕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메탄올/염화메틸렌 (1:1)으로부터 두 개의 침전물을 에테르로 정제하고, 여과 잔류물을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율 : 89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31].
6.19) N-{Nα,Nε-비스-[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리실}-바트라실린:
실시예 6.19.a로부터 화합물 515 mg (0.39 mmol)을 5 ㎖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5 ㎖의 피페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20 ℃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배취를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다이제스트하였다. 혼합물을 흡인 장치로 여과하고 여과 잔류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였다. 에테르로 침전시키고 여과 잔류물을 세척한 후, 335 mg (78 %)의 결정성 표적 생성물이 남는다. FAB-MS: m/z = 1100 = M + 1.
실시예 6.20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디아미노프로피오닐}-바트라실린:
6.20.a)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디아미노프로피오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부터의 60 mg (0.22 mmol)의 탄수화물; 100 mg (0.11 mmol)의 N-[리실-Nβ-(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디아미노-프로피오닐]-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2.16); 76 ㎕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메탄올로부터 두 개의 침전물을 에테르로 정제하고, 여과 잔류물을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율 : 105 mg (73 %).
6.20)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디아미노프로피오닐}-바트라실린:
실시예 6.20.a로부터 103 mg (0.079 mmol)의 화합물을 실시예 19와 유사하게 피페리딘으로 차단기 제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나중에 동일 계로 15:6:0.6)로 정제하였다. 물/디옥산으로 동결 건조하였다. 수율 : 21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2].
실시예 6.21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디아미노프로피오닐}-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본 화합물은 실시예 1.10으로부터의 탄수화물과 실시예 2.16으로부터의 펩티드 콘쥬게이트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6.20의 2단계를 통해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픽 정제는 부산물을 메탄올과 에테르로 다이제스트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물을 2 당량의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이나트륨염으로 전환시켰다. 수율 : 2 단계에 거쳐 66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3].
실시예 6.22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 60 mg (0.22 mmol)의 탄수화물; 76 mg (0.11 mmol)의 N-[리실-세릴]-바트라실린,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2.10)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로 정제하고, 염화메틸렌/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켰다. 수율 : 26 %. [TLC: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39].
실시예 6.23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세릴}-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 60 mg (0.22 mmol)의 탄수화물; 69 mg (0.11 mmol)의 N-[리실-D-세릴]-바트라실린, 디-히드로브로마이드 (실시예 2.11)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로 정제하고,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하였다. 수율 : 29 %. [TLC: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36].
실시예 6.24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 80 mg (0.3 mmol)의 탄수화물; 53 mg (0.14 mmol)의 N-[리실]-바트라실린 (실시예 2.17)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 나중에 동일 계로 15:2:0.2]로 정제하고,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켰다. 수율 : 26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2].
실시예 6.25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10으로부터 60 mg (0.19 mmol)의 탄수화물; 24 mg (0.063 mmol)의 N-[리실]-바트라실린 (실시예 2.17)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나중에 동일 계로 15:4:0.5]로 정제하고, 물로부터 동결 건조하였다. 수율 : 26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25].
실시예 6.26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티오포스겐 (33.5 ㎕, 0.44 mmol)을 디옥산/물 1:1 (10 ㎖)내 화합물 1.31 (79 mg, 0.2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수득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2.17 (37.7 mg, 0.1 mmol)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5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30:1 → 20:1 → 10:1]로 정제한다. 황색 결정 (56.7 mg, 53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72; 융점 = 125 ℃(분해).
실시예 6.27
N-{Nα,Nε-비스-[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화합물 1.42 (75.5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7 (37.7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30:1 → 20:1 → 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51.1 mg, 44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80; 융점 = 176 ℃(분해).
실시예 6.28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화합물 1.43 (77.3 mg, 0.22 mmol)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7 (37.7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잔류물을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하여 황색 결정 (53 mg, 47 %)을 수득하였다; TLC [메탄올]: Rf= 0.75; 융점 = 260 ℃(분해).
실시예 6.29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바트라실린:
화합물 1.44 (72.2 mg, 0.22 mmol)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7 (37.7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잔류물을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하여 황색 결정 (55.6 mg, 48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09; 융점 = 206 ℃(분해).
실시예 6.30
N-{Nα,Nε-비스-[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25 (62.8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 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 1:1 (10 ㎖)에서 용해시키고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 (15 ㎖)를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소량의 빙냉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황색 결정 (46 mg, 41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12; 융점 = 190-191 ℃.
실시예 6.31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p-아미노페닐 β-L-푸코피라노사이드 (56.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탄올]로 정제하고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재침전시킴으로써 황색 결정 (73.8 mg, 70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15; 융점 = 123 ℃.
실시예 6.32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31 (79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7: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43.8 mg, 38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31; 융점 = 176 ℃.
실시예 6.33
N-{Nα,Nε-비스-[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42 (75.5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3: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46.2 mg, 37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12; 융점 = 161 ℃.
실시예 6.34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화합물 1.43 (77.3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시켰다. 황색 결정 (39.2 mg, 31 %)을 수득하였다; TLC [메탄올]: Rf= 0.77; 융점 = 213-215 ℃(분해).
실시예 6.35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44 (72.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66.1 mg, 53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14; 융점 = 192 ℃(분해).
실시예 6.36
N-{Nα,Nε-비스-[O-(3-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40 (62.8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시켰다. 황색 결정 (48.9 mg, 44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Rf= 0.10; 융점 = 204 ℃(분해).
실시예 6.37
N-{Nα,Nε-비스-[O-(2,3-디-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41 (66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7: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52 mg, 45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28; 융점 = 164-165 ℃.
실시예 6.38
N-{Nα,Nε-비스-[O-(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56 (95.4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0 (69.3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 후, 생성물을 뜨거운 메탄올 (50 ㎖)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황색 결정 (61.6 mg, 44 %)을 수득하였다; TLC [메탄올]: Rf= 0.32; 융점 = 222 ℃(분해).
실시예 6.39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세릴}-바트라실린:
p-아미노페닐 β-L-푸코피라노사이드 (56.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1 (62.6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탄올]로 정제하고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잔류물을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하여 황색 결정 (50.9 mg, 48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14; 융점 = 133 ℃.
실시예 6.40
N-{Nα,Nε-비스-[O-(3,4-디-O-메틸-β-L-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31 (79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1 (62.6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 5: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53.8 mg, 47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38; 융점 = 145-146 ℃.
실시예 6.41
N-{Nα,Nε-비스-[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42 (75.5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1 (62.6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 3: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52.4 mg, 42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12; 융점 = 168 ℃.
실시예 6.42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세릴}-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화합물 1.43 (77.3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1 (62.6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시켰다. 황색 결정 (69.2 mg, 55 %)을 수득하였다; TLC [메탄올]: Rf= 0.71; 융점 = 214-216 ℃(분해).
실시예 6.43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세릴}-바트라실린:
화합물 1.44 (72.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1 (62.6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46.4 mg, 38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10; 융점 = 173 ℃.
실시예 6.44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p-아미노페닐 β-L-푸코피라노사이드 (56.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11 (72.1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하여 황색 결정 (69.4 mg, 64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14; 융점 = 185-187 ℃.
실시예 6.45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화합물 1.31 (79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7 (72.1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아세트산 200:1 →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3: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99.5 mg, 85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59; 융점 = 149 ℃(분해).
실시예 6.46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화합물 1.43 (77.3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7 (72.1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하여 황색 결정 (93.4 mg, 73 %)을 수득하였다; 융점 = 220 ℃(분해).
실시예 6.47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화합물 1.44 (72.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7 (72.1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아세트산 400:100:2]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69.7 mg, 57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11; 융점 = 111 ℃.
실시예 6.48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나트륨염:
화합물 6.44 (21.7 mg, 20 mmol)를 물 (10 ㎖)에 현탁시키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pH 10) 교반하면서,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 비결정질 고체 (20.6 mg, 93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49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나트륨염:
화합물 6.45 (23.5 mg, 20 마이크로몰)를 실시예 6.4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켜 생성물을 생성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 (23.9 mg, 100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50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칼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삼나트륨염:
화합물 6.46 (25.6 mg, 20 마이크로몰)를 물 (10 ㎖)에 용해시키고, pH가 8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 비결정질 고체 (24 mg, 92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51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칼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아스파라길}-바트라실린, 나트륨염:
화합물 6.47 (24.7 mg, 20 마이크로몰)을 실시예 6.4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생성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 (23.0 mg, 92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52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글루타밀}-바트라실린:
p-아미노페닐 β-L-푸코피라노사이드 (56.2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8 (66.8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아세트산 200:1 →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아세트산 10:1:0.1]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 (39.5 mg, 36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09; 융점 = 138-139 ℃(분해).
실시예 6.53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칼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글루타밀}-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화합물 1.43 (77.3 mg, 0.22 mmol)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2.8 (66.8 mg, 0.1 mmol)과 반응시켜 생성물을 정제한다. 황색 결정 (97.4 mg, 75 %)을 수득하였다; 융점 = 180 ℃(분해).
실시예 6.54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글루타밀}-바트라실린, 삼나트륨염:
화합물 6.53 (25.6 mg, 20 마이크로몰)를 실시예 6.5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생성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 (24.3 mg, 92 %)을 수득하였다; [α]20= +20.0˚(c = 0.26/H2O).
실시예 6.55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p-아미노페닐 β-L-푸코피라노시드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2.2 ㎎(60 %)를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12; 융점 = 176 ℃.
실시예 6.56
N-{Nα,Nε-비스-[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62.8 ㎎(0.22mmol)의 화합물 1.25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0:1→2: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56.2 ㎎(52 %)를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22; 융점 = 197 ℃.
실시예 6.57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79 ㎎(0.22mmol)의 화합물 1.31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0:1→3: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26.2 ㎎(23 %)를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39; 융점 = 209 ℃.
실시예 6.58
N-{Nα,Nε-비스-[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75.5 ㎎(0.22mmol)의 화합물 1.42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22 ㎎(18 %)를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06; 융점 = 194-195 ℃(분해).
실시예 6.59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77.3 ㎎(0.22mmol)의 화합물 1.43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 생성물을 메탄올, 염화메틸렌 및 디에틸 에테르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황색 결정 86.8 ㎎(71 %)를 수득하였다. 융점 = 230-232 ℃(분해).
실시예 6.60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72.2 ㎎(0.22mmol)의 화합물 1.44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진공에서 농축한 후, 메탄올, 염화메틸렌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여, 황색 결정 40.9 ㎎(35 %)를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05; 융점 = 214-216 ℃(분해).
실시예 6.61
N-{Nα,Nε-비스-[O-(3-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62.8 ㎎(0.22 mmol)의 화합물 1.40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0:1→2: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72.2 ㎎(66 %)를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18; 융점 = 175 ℃.
실시예 6.62
N-{Nα,Nε-비스-[O-(2,3-디-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글리실}-바트라실린:
66 ㎎(0.22 mmol)의 화합물 1.41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6.2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9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0:1→3: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6.6 ㎎(60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0.41; 융점 = 173 ℃.
실시예 6.63
N-{Nα,Nε-비스-[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트레오닐}-바트라실린:
56.2 ㎎(0.22mmol)의 p-아미노페닐 β-L-푸코피라노시드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4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2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에 의해 정제하고,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생성물을 재침전시켜 황색 결정 30.5 ㎎(28 %)를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0.10; 융점 = 172 ℃.
실시예 6.64
N-{Nα,Nε-비스-[O-(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59.7 ㎎(0.22mmol)의 화합물 1.23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1: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8.3 ㎎(64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Rf= 0.49; 융점 = 222-224 ℃(분해).
실시예 6.65
N-{Nα,Nε-비스-[O-(2-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2.8 ㎎(0.22 mmol)의 화합물 1.24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 황색 결정 69.6 ㎎(63 %)을 수득하였다. TLC(에탄올): Rf= 0.24; 융점 = 208 ℃(분해).
실시예 6.66
N-{Nα,Nε-비스-[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2.8 ㎎(0.22 mmol)의 화합물 1.25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5:1→ 10:1 → 5: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94.3 ㎎(85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16; 융점 = 212 ℃(분해).
실시예 6.67
N-{Nα,Nε-비스-[O-(4-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2.8 ㎎(0.22 mmol)의 화합물 1.26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5:1 → 10:1 → 5: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52.6 ㎎(48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Rf= 0.88; 융점 = 192 ℃(분해).
실시예 6.68
N-{Nα,Nε-비스-[O-(6-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2.8 ㎎(0.22 mmol)의 화합물 1.27을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 및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96.7 ㎎(88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04; 융점 = 210 ℃(분해).
실시예 6.69
N-{Nα,Nε-비스-[O-(2,3-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5.9 ㎎(0.22 mmol)의 화합물 1.28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57.4 ㎎(51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0; 융점 = 148 ℃(분해).
실시예 6.70
N-{Nα,Nε-비스-[O-(2,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5.9 ㎎(0.22 mmol)의 화합물 1.29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5:1→ 15:1 →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74.2 ㎎(65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0; 융점 = 140 ℃(분해).
실시예 6.71
N-{Nα,Nε-비스-[O-(2,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5.9 ㎎(0.22 mmol)의 화합물 1.30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15: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43.9 ㎎(40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3; 융점 = 2292 ℃(분해).
실시예 6.72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79 ㎎(0.22 mmol)의 화합물 1.31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6.2 ㎎(59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Rf= 0.39; 융점 = 184 ℃(분해).
실시예 6.73
N-{Nα,Nε-비스-[O-(3,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5.9 ㎎(0.22 mmol)의 화합물 1.32를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5:1 →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57.1 ㎎(50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2; 융점 = 190 ℃(분해).
실시예 6.74
N-{Nα,Nε-비스-[O-(4,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79 ㎎(0.22 mmol)의 화합물 1.33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10:1 → 5: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47.0 ㎎(42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39; 융점 = 169 ℃(분해).
실시예 6.75
N-{Nα,Nε-비스-[O-(2,3,4-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9㎎(0.22 mmol)의 화합물 1.34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3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83.8 ㎎(72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Rf= 0.36; 융점 = 165 ℃(분해).
실시예 6.76
N-{Nα,Nε-비스-[O-(2,3,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9 ㎎(0.22 mmol)의 화합물 1.35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5㎎(91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8; 융점 = 194 ℃(분해).
실시예 6.77
N-{Nα,Nε-비스-[O-(2,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9 ㎎(0.22 mmol)의 화합물 1.36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30:1 →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67 ㎎(58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54; 융점 = 228 ℃(분해).
실시예 6.78
N-{Nα,Nε-비스-[O-(3,4,6-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9 ㎎(0.22 mmol)의 화합물 1.37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 황색 결정 109.3㎎(94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52; 융점 = 180 ℃(분해).
실시예 6.79
N-{Nα,Nε-비스-[O-(2,3,4,6-테트라-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69 ㎎(0.22 mmol)의 화합물 1.38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 황색 결정 99.2㎎(84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Rf= 0.73; 융점 = 188 ℃(분해).
실시예 6.80
N-{Nα,Nε-비스-[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75.5 ㎎(0.22 mmol)의 화합물 1.42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 황색 결정 22㎎(18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33; 융점 = 194-195 ℃(분해).
실시예 6.81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77.3 ㎎(0.22 mmol)의 화합물 1.43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 99.7 ㎎(81 %)을 정제하였다. TLC [메탄올]: Rf= 0.80; 융점 = 230 ℃(분해).
실시예 6.82
N-{Nα,Nε-비스-[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72.2 ㎎(0.22 mmol)의 화합물 1.44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7: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29.4 ㎎(25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3:1]: Rf= 0.23; 융점 = 201-202 ℃
실시예 6.83
N-{Nα,Nε-비스-[O-(3,4-O-디데옥시-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52.6 ㎎(0.22 mmol)의 화합물 1.52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7: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38.8 ㎎(37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Rf= 0.40; 융점 = 175 ℃
실시예 6.84
N-{Nα,Nε-비스-[O-(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59.7 ㎎(0.22 mmol)의 화합물 1.39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 1: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52 ㎎(48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Rf= 0.19; 융점 = 196 ℃
실시예 6.85
N-{Nα,Nε-비스-[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79 ㎎(0.22 mmol)의 화합물 1.31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2와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77.6 ㎎(69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5:3:0.2]: Rf= 0.33; 융점 = 186 ℃
실시예 6.86
N-{Nα,Nε-비스-[O-(4-O-(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95.4 ㎎(0.22 mmol)의 화합물 1.56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진공하에 농축한 후, 잔류물을 뜨거운 메탄올 50 ㎖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황색 결정 102.8 ㎎(73 %)을 수득하였다. TLC [메탄올]: Rf= 0.27 융점 = 225-226 ℃(분해).
실시예 6.87
N-{Nα,Nε-비스-[O-(4-O-(3'-술페이토-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이나트륨염:
117.8 ㎎(0.22 mmol)의 화합물 1.57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152.8 ㎎(95 %)을 수득하였다. 융점 = 232 ℃(분해).
실시예 6.88
N-{Nα,Nε-비스-[O-(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98.4 ㎎(0.22 mmol)의 화합물 1.58을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118.2 ㎎(83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1]: Rf= 0.58; 융점 = 221 ℃(분해).
실시예 6.89
N-{Nα,Nε-비스-[O-(2-O-메틸-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101.5 ㎎(0.22 mmol)의 화합물 1.59를 실시예 6.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67.7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1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5:1 → 10:1 → 5:1]에 의해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101.3 ㎎(70 %)을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2:1]: Rf= 0.58; 융점 = 233 ℃(분해).
실시예 7.1 - 7.13
일반식
다른 아미노산 또는 바트라실린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바트라실린으로부터 하기 글리코콘쥬게이트를 실시예 4.1 a)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7.1
N-{N-[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실시예 2.3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로 정제하였다.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득량 : 42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 0.31].
실시예 7.2
N-{N-[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실시예 2.3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나트륨염으로 전환시켰다. 수득량 : 43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14].
실시예 7.3
N-{N-[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세릴-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실시예 2.18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득량 : 93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Rf = 0.28] FAB-MS: m/z = 705 = M+1.
실시예 7.4
N-{N-[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실시예 2.19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메탄올로 다이제스트시키고, 메탄올/염화메틸렌과 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수득량 : 65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 0.78].
실시예 7.5
N-{N-[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글루타밀-D-알라닐}-바트라실린: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실시예 2.20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4, 이어서 15:6:0.6]으로 정제하였다.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득량 : 92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 Rf = 0.55].
실시예 7.6
N-[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바트라실린:
250 ㎎(1 mmol)의 바트라실린을 50 ㎖의 디옥산에 용해시킨 후, 184 ㎕의 트리포스겐을 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다이제스트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잔류물을 고진공하에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30 ㎖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312 ㎎(1 mmol)의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및 500 ㎕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을 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어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이어서 15:6:0.6]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하고,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득량 : 363 ㎎(60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6:0.6, Rf = 0.38]
실시예 7.7
N-[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바트라실린:
실시예 7.6과 유사하게 바트라실린 및 실시예 1.2의 탄수화물로부터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에 의해 정제, 수득량 : 58 %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 0.39] FAB-MS: m/z = 561 = M+1.
실시예 7.8
N-{N-[O-(3,4-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37.5 ㎎(0.11 mmol)의 화합물 1.31을 실시예 6.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32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30:1]에 의해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49.3 ㎎(75 %)을 수득하였다. TLC [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 2:1]: Rf = 0.81; 융점 = 185 ℃(분해).
실시예 7.9
N-{N-[O-(2,3,4-트리-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34.5 ㎎(0.11 mmol)의 화합물 1.34를 실시예 6.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32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40:1 → 15:1]에 의해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54.9 ㎎(81 %)를 수득하였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Rf = 0.15; 융점 = 190 ℃(분해).
실시예 7.10
N-{N-[O-(3-O-메톡시카르보닐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37.8 ㎎(0.11 mmol)의 화합물 1.42를 실시예 6.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32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10:1]에 의해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44.3 ㎎(63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 0.85; 융점 = 195 ℃(분해).
실시예 7.11
N-{N-[O-(3-O-카르복시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나트륨염:
38.6 ㎎(0.11 mmol)의 화합물 1.43을 실시예 6.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32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3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63.8 ㎎(89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 0.15; 융점 = 217 ℃(분해).
실시예 7.12
N-{N-[O-(3-O-카르바모일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37.8 ㎎(0.11 mmol)의 화합물 1.44를 실시예 6.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32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20:1 → 10:1 → 5:1]에 의해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20 ㎎(29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 0.15; 융점 = 184 ℃(분해).
실시예 7.13
N-{N-[O-(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바트라실린:
28.1 ㎎(0.11 mmol)의 p-아미노페닐-β-L-푸코피라노시드를 실시예 6.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32 ㎎(0.1 mmol)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2.3과 반응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2:1 → 5:1]에 의해 정제하여서, 황색 결정 49.8 ㎎(81 %)을 수득하였다. TLC [에탄올]: Rf = 0.50; 융점 = 173 ℃
실시예 8.1 - 8.12
일반식
실시예 8.1
N-{Nε-[2-클로로-4-[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8.1.a) N-{Nα-[t-부톡시카르보닐]-Nε-[2-클로로-4-[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265 mg(0.98 mmol)의 p-아미노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실시예 1.2) 및 181 mg(0.98 mmol)의 시아누릭 클로라이드를 디옥산/물이 1:1인 50 ml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킨 다음, 83 mg의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한 후 15분 동안 이 온도에서 교반시켰다. 그 다음 14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된 538 mg(0.98 mmol)의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실시예 2.4) 및 추가로 83 mg의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고 실온으로 되도록 혼합물을 두었다.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그 잔류물을 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흡입 여과시키고 필터 잔류물을 고진공하에서 건조시켜 890 mg(96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Rf= 0.26].
8.1) N-{Nε-[2-클로로-4-[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8.1.a로부터의 화합물 100 mg(0.11 mmol)을 0℃에서 30분 동안 5 ml의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5 ml의 염화메틸렌으로된 혼합물에서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그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5:0.15)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켜 41 mg(95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6] FAB-MS: m/z = 829 = M+1.
실시예 8.2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8.2.a) N-{Nα-[t-부톡시카르보닐]-Nδ-[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실시예 8.1로부터의 화합물 100 mg(0.11 mmol)을 3 ml의 디옥산에 용해시켰다. 60 mg의 탄산칼륨 및 디옥산에 용해된 0.1 N 에탄올아민 용액 6.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다음 농축시키고 그 잔류물을 물과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필터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로 정제하였다. 관련 분획물을 농축시키고 고진공하에서 건조시킨 후, 83 mg(80 %)의 표적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 Rf= 0.23].
8.2)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8.2.a로부터의 화합물 67 mg(0.07 mmol)를 실시예 8.1과 유사하게 차단기 제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2:0.2)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켜 90 %의 수율로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FAB-MS:m/z = 854 = M+1.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8.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8.3
N-{Nε-[2-클로로-4-[O-(2-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1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76 %; FAB-MS: m/z = 829 = M+1.
실시예 8.4
N-{Nε-[2-클로로-4-[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수율 : 36 %; FAB-MS: m/z = 815 = M+1.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 Rf= 0.44].
실시예 8.5
N-{Nε-[2-클로로-4-[O-(3-데옥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6으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56 %; FAB-MS: m/z = 799 = M+1;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5:1:0.2 Rf= 0.54].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8.1.a, 8.2.b 및 8.2에 유사하게 실시예 2.4에서의 바트라실린-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대응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L-알라닐 이성질체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8.6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2-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1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78 %; FAB-MS: m/z = 854 = M+1;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33].
실시예 8.7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데옥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4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38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4].
실시예 8.8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데옥시-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6으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77 %; FAB-MS: m/z = 824 = M+1;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37].
실시예 8.9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p-아미노페닐 β-L-푸코시드; 수율 : 52 %; FAB-MS: m/z = 840 = M+1;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30].
실시예 8.10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D-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88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3:0.3 Rf= 0.35].
실시예 8.11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2-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1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58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40].
실시예 8.12
N-{Nε-[4-히드록시에틸아미노-2-[O-(4-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트리아진-6-일]-리실-알라닐}-바트라실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실시예 1.4로부터의 탄수화물; 수율 : 66 %; FAB-MS: m/z = 854 = M+1;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37].
실시예 9.1
N-[D-알라닐]-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9.1.a) N-[N-(t-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닐]-퀴놀론-a
N-(t-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닌(3.6 g, 19.2 mmol) 및 2-이소부톡시-1-이소부톡시카르보닐-1,2-디히드로-퀴놀린(5.8 g, 19.2 mmol)을 200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퀴놀론-a(4 g, 9.6 mmol) 및 3.3 ml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을 첨가하고 배치를 10시간 동안 초음파로 처리하였다.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생성물을 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여과, 에테르 세척 및 고진공하에서의 건조 후, 추가 정제 없이 반응하는 4.58 g(81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9.1) N-[D-알라닐]-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1로부터의 화합물 4.56 g(7.75 mmol)을 0℃에서 50 ml의 염화메틸렌 및 50 ml의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이 용액을 교반시켰다. 농축시키고, 계속해서 그 잔류물은 염화메틸렌을 사용하여 증류시키고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4.07 g(87 %)의 결정상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4].
실시예 9.2
N-[알라닐]-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1에서의 이성질체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9.3
N-[리실-D-알라닐]-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9.3.a) N-[Nα, Nε-비스-(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341 mg(0.984 mmol)의 Nα, Nε-비스-(t-부톡시카르보닐)-리신을 10 ml의 디메틸프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200 mg(1.48 mmol)의 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227 mg(1.18 mmol)의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0℃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실시예 9.1로부터의 화합물 432 mg(0.8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더 교반시켰다. 농축시키고 그 잔류물을 50 ml의 물로 세 번 교반시켰다. 그 다음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에테르로 침전시켜 516 mg(78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55].
9.3) N-[리실-D-알라닐]-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3.a로부터의 화합물 512 mg(0.63 mmol)을 실시예 9.1과 유사하게 차단기 제거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침전시켰다. 수득량 : 479 mg(90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3].
실시예 9.4
N-[리실-알라닐]-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3에서의 이성질체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9.5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9.5.a) N-[Nα-(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1.57 g(3.36 mmol)의 Nα-(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을 25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600 mg(5.04 mmol)의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및 820 mg(4.03 mmol)의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를 0℃에서 첨가하였다. 3시간 후, 형성된 요소를 여과 제거시키고, 실시예 9.1로부터의 화합물 1.5 g(2.86 mmol)을 여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잔류 요소를 여과 제거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여액을 정제하였다 [염화메틸렌/메탄올 97.5:2.5; 동일 계에서 후반 90:10]. 그 다음 에테르를 사용하여 염화메틸렌/메탄올 1:1인 용액으로부터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수율 :1.5 g(56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 9:1 Rf= 0.47].
9.5)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9.5.a)로부터 Fmoc를 분리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조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수율 : 72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3].
실시예 9.6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1과 유사하게 실시예 9.5.a)로부터 Boc를 분리하였다.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조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수율 : 80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36].
실시예 9.7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알라닐]-퀴놀론-a
실시예 9.5에서의 이성질체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9.8
N-[리실]-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9.8.a) N-[Nα,Nε-비스-(t-부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1317 mg(3.8 mmol)의 Nα,Nε-비스-(t-부톡시카르보닐)-리실을 실시예 9.1.a에서의 지시에 따라서 퀴놀론-a와 연결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 1010 mg(71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9.8) N-[리실]-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8.a로부터의 화합물 1005 mg(1.347 mmol)을 실시예 9.1과 유사하게 차단기 제거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염화메틸렌/메탄올 1:1인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킨 후, 966 mg(93 %)의 결정상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5:3 Rf= 0.33].
실시예 9.9
N-[D-리실]-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8에서의 이성질체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9.10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9.10.a) N-[Nα-(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1350 mg(2.88 mmol)의 Nα-(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을 실시예 9.8.a에서의 지시에 따라서 퀴놀론-a와 연결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1:0.1; 동일 계에서 후반 15:2:0.2]로 정제하였다. 1025 mg(82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9.10)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실시예 9.5와 유사하게 실시예 9.10.a)로부터 Fmoc를 분리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조 생성물을 두번 침전시켰다. 수율 : 86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8].
실시예 9.11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9.1과 유사하게 실시예 9.10.a)로부터 Boc를 분리하였다.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조 생성물을 두번 침전시켰다.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하였다. 수율 : 92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 Rf= 0.44].
실시예 10.1 - 10.3
일반식
실시예 10.1
N-{Nε-[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10.1.a) N-{Nα-(t-부톡시카르보닐)-Nε-[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15 ml의 디옥산/물 1:1에 78 mg(0.25 mmol)의 p-아미노페닐 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시드(실시예 1.10)가 용해된 용액에 47 ㎕(0.28 mmol)의 티오포스겐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농축시키고 그 잔류물을 고진공하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생성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86 ㎕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의 존재하에서 180 mg(0.25 mmol)의 N-[Nα-(t-부톡시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실시예 9.5)와 순수한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커플링 반응시켰다. 염화메틸렌/에테르로부터 조 생성물을 두번 침전, 이어서 물과 교반 및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킨 후, 210 mg(78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2].
10.1) N-{Nε-[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실시예 10.1로부터의 화합물 208 mg(0.193 mmol)을 0℃에서 1시간 동안 10 ml의 염화메틸렌에서 10 ml의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잔류물을 15 ml의 메탄올로 증류하고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0:10:0.8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에테르를 사용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침전시킨 후, 52 mg(28 %)의 표적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53].
실시예 10.1과 유사하게 실시예 9.5, 9.7 및 9.10에서 부분적으로 보호된 펩티드 콘쥬게이트로부터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2
N-{Nε-[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실시예 9.7로부터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수회 침전시킴으로써 중간 단계의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4:0.5(동일 계의 후반 15:8:0.8)로 마지막 단계의 플래쉬 프로마토그래피 정제.
수율 : 20 %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 Rf= 0.15].
실시예 10.3
N-{Nε-[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로부터의 탄수화물; 실시예 9.10으로부터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침전시킴으로써 중간 단계의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5:8:0.8로 마지막 단계의 플래쉬 프로마토그래피 정제. 수율 : 39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3].
실시예 11.1 - 11.18
일반식
실시예 11.1
N-{Nα,Nδ-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p-아미노페닐-3-O-메틸-β-L-글루코시드(실시예 1.2) 50 mg(0.19 mmol)을 실시예 10.1.a의 지시에 따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먼저 전환시킨 후, 생성물을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55 ㎕의 존재 중에서 N-[리실-D-알라닐]-퀴놀론-a,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실시예 9.3) 68 mg(0.08 mmol)과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중에서 커플링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5:15:1.5]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어서, 표적 생성물 62 mg(63 %)를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켜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0:20:2, Rf= 0.5] MS-MALDI: m/z = 1242 = M+1.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9.3, 9.4, 9.8 및 9.9의 펩티드 콘쥬게이트로부터 실시예 11.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1.2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50 mg(0.19 mmol); 실시예 9.4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0.08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에 의해 정제 및 에테르를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침전. 수율 : 79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2].
실시예 11.3
N-{Nα,Nδ-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52 mg(0.166 mmol); 실시예 9.4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0.07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0:20:2]에 의해 정제 및 메탄올로 잔류물을 교반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62].
실시예 11.4
N-{Nα,Nδ-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D-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44 mg(0.14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9.3의 0.06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0:20:2]에 의해 정제 및 메탄올로 잔류물의 교반. 수율 : 57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62].
실시예 11.5
N-{Nα,Nε-비스-[O-(α-L-람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1의 탄수화물 44 mg(0.166 mmol); 실시예 9.4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0.07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80:20:1]에 의해 정제 및 메탄올/에테르로 잔류물의 교반. 산출량: 90 mg(89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51]; MS-ESI: m/z = 1212 = M+1.
실시예 11.6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70 mg(0.258 mmol); 실시예 9.8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0.11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에 의해 정제 및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에테르를 사용하여 침전. 물로 잔류물 교반. 수율 : 41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5].
실시예 11.7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50 mg(0.19 mmol); 실시예 9.9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0.08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에 의해 정제 및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에테르를 이용하여 침전. 물로 잔류물 교반. 수율 : 67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5]. MS-FAB: m/z = 1169 = M+1.
실시예 11.8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50 mg(0.16 mmol); 실시예 9.8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0.07 mmol
반응 배치의 농축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에 잔류물을 용해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 8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농축한 후,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켜 pH가 5가 되게 하였다. 생성물을 동결 건조하고, 메탄올 및 이어 메탄올/에테르로 다이제스트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적 화합물 68 mg(65 %)를 얻었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26].
실시예 11.9
N-{Nα,Nε-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100 mg(0.32 mmol); 실시예 12.9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0.13 mmol
반응 배치의 농축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에 잔류물을 용해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 16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농축한 후,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켜 pH가 5가 되게 하였다. 생성물을 동결 건조시키고, 메탄올 및 이어 메탄올/에테르로 다이제스트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적 화합물 160 mg(77 %)를 얻었다. 융점: 218-220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69].
실시예 11.10
N-{Nα,Nε-비스-[O-(3-O-메틸-α-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3의 탄수화물 50 mg(0.19 mmol); 실시예 9.9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0.08 mmol
실시예 11.7과 유사하게 제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10:10:1]에 의해 정제후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에테르를 이용하여 침전. 수율 : 66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2].
실시예 11.11
N-{Nα,Nε-비스-[O-(α-람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1의 탄수화물 50 mg(0.19 mmol); 실시예 9.9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 0.08 mmol
실시예 11.7과 유사하게 제조함. 수율 : 57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3].
실시예 11.12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실시예 11.7의 화합물 58 mg(0.05 mmol)을 물에 현탁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1 당량을 사용하여 나트륨염으로 전환시켰다. 동결 건조 후에, 표적 화합물 60 mg을 얻었다.
실시예 11.13
N-{Nα,Nδ-비스-[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티오포스겐(33.5 ml, 0.44 mmol)을 디옥산/물 1:1(10 ml) 중의 화합물 1.25(62.8 mg, 0.22 mmol)의 용액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0 분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오일 펌프 진공하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9.8(77.4 mg, 0.1 mmol) 및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0.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0:10:1-메탄올/암모니아(25 %) 20:1]에 의해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이 얻어졌고, 이를 물(10 ml) 중에 현탁시켰다. 0.05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투명 용액(pH10)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 비결정질 고체(39.7 mg, 32 %)를 얻었다. [α]20 D= +25.8。(c = 0.26/H2O).
실시예 11.14
N-{Nα,Nε-비스-[O-(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화합물 1.58(98.4 mg, 0.22 mmol)을 실시예 11.1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9.8(77.4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62.5 mg, 40 %)를 얻었다. [α]20 D= +12.9。(c = 0.26/H2O).
실시예 11.15
N-{Nα,Nε-비스-[O-(2-O-메틸-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화합물 1.59(101.5 mg, 0.22 mmol)을 실시예 11.1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9.8(77.4 mg, 0.1 mmol)과 반응시켰다. 메탄올/염화메틸렌 1:1로부터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재침전에 의해 정제하고, 에탄올로 비등시켜 추출하여 황색 결정을 얻었으며, 이를 기재된 나트륨염으로 전환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51.1 mg, 32 %)를 얻었다. [α]20 D= +27.9。(c = 0.24/H2O).
실시예 11.16
N-{Nα,Nε-비스-[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화합물 1.25(62.8 mg, 0.22 mmol)을 실시예 11.1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9.9(77.4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77.3 mg, 63 %)를 얻었다. [α]20 D= -23.8。(c = 0.63/H2O).
실시예 11.17
N-{Nα,Nδ-비스-[O-(3-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화합물 1.40(62.8 mg, 0.22 mmol)을 실시예 11.1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9.9(77.4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33.6 mg, 27 %)를 얻었다. [α]20 D= +0.7。(c = 0.28/H2O).
실시예 11.18
N-{Nα,Nδ-비스-[O-(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a, 나트륨염:
화합물 1.58(98.4 mg, 0.22 mmol)을 실시예 11.1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펩티드 콘쥬게이트 9.9(77.4 mg, 0.1 mmol)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63.0 mg, 41 %)를 얻었다. [α]20 D= -21.8。(c = 0.22/H2O).
실시예 12.1 - 12.15
일반식
실시예 12.1
N-{N'-[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퀴놀론-a:
p-아미노페닐-3-O-메틸-β-L-글루코시드(실시예 1.2) 447 mg(1.66 mmol)을 실시예 10.1.a의 지시에 따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먼저 전환시킨 후, 생성물을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568 ㎕의 존재 중에서 N-[D-알라닐]-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실시예 9.1) 1 g(1.66 mmol)과 디메틸포름아미드 40 ml 중에서 커플링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회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이어서 필터 잔류물을 물로 2회 이상 교반시켰다. 표적 생성물 876 g(66 %)를 얻었다. 융점: 198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3].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9.1 및 9.2의 아미노산 콘쥬게이트로부터 실시예 12.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2.2
N-{N'-[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25 mg(0.092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에 의해 정제하고, 에테르를 이용하여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침전시키고 물로 필터 잔류물을 교반하였다. 수득량 : 53 mg(52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65].
실시예 12.3
N-{N'-[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퀴놀론-a, 일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523 mg(1.67 mmol); 실시예 12.1의 화합물 840 mg(1.39 mmol)
6 시간의 반응 시간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교반하였다.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15:8:0.8; 후에 동일계에서 10:1:1]시켰다. 이어서, 생성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 1 당량을 첨가하고, 다시 동결 건조하였다. 수득량 : 525 mg(45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9].
실시예 12.4
N-{N'-[O-(α-L-람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20 mg(0.076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0:10:1]에 의해 정제하고, 에테르를 이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침전시켰다. 수득량 : 20 mg(34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2].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부분적으로 보호된 N-(리실)-퀴놀론-a 콘쥬게이트 및 N-(리실-D-알라닐)-퀴놀론-a 콘쥬게이트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12.5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12.5.a)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p-아미노페닐-3-O-메틸-β-L-플루코시드(실시예 1.2) 92 mg(0.34 mmol)을 실시예 10.1.a의 지시에 따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먼저 전환시킨 후, 생성물을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116 ㎕의 존재 중에서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실시예 9.11) 300 mg(0.34 mmol)과 디메틸포름아미드 40 ml 중에서 커플링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로부터 에테르를 사용하여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이어서, 필터 잔류물을 물로 더 교반시키고,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생성물 290 mg(79 %)를 얻었다. [TLC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6].
12.5)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실시예 12.5.a의 화합물 288 mg(2.67 mmol)을 염화메틸렌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피페리딘 8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킨 후, 이를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를 이용하여 염화메틸렌로부터 침전시켰다.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10:10:2]에 의해 정제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교반시키고, 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생성물 90 mg(39 %)를 얻었다. [TLC :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0:10:5 Rf= 0.4].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9.11 및 9.6의 콘쥬게이트로부터 실시예 12.5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2.6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63 mg(0.2 mmol); 실시예 9.11의 화합물 158 mg(0.18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15:4:0.5 이어 동일계에서 10:10:1]에 의해 중간 단계를 정제하고 메탄올로 수회 교반하고 에테르로 필터 잔류물을 세척하여 최종 단계를 정제하였다. 이어서 생성물을 물 중에 현탁시키고, 이나트륨염을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 2 당량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용액을 동결 건조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34].
실시예 12.7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147 mg(0.47 mmol); 실시예 9.6의 화합물 448 mg(0.47 mmol)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에테르를 이용하여 2회 침전시켜 중간 단계를 정제하고, 물로 필터 잔류물을 교반하였다(수율 : 92 %).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 10:10:2]에 의해 최종 단계를 정제하고, 에테르를 이용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침전시켰다. 수율 : 59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10:3:1.5 Rf= 0.4].
실시예 12.8
N-{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히드로클로라이드:
유리체 : 화합물 1.25(62.8 mg, 0.22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9.11(180.0 mg, 0.2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7:1-2:1]에 의해 중간 단계를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145.7 mg, 67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8.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실시예 4.5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분리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을 얻고, 이를 물(10 ml) 중에 현탁시켰다. 교반하면서 투명 용액(pH3)이 형성될 때까지 0.1N 염산을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의 비결정질 고체(119.4 mg, 66 %)를 얻었다. [α]20 D= +33.8。(c = 0.28/H2O).
실시예 12.9
N-{Nα-[O-(3,6-디-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히드로클로라이드:
유리체 : 화합물 1.32(65.9 mg, 0.22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9.11(180.0 mg, 0.2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7:1-1:1]에 의해 중간 단계를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115.0 mg, 52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4.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실시예 4.5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분리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을 얻고, 이를 물(10 ml) 중에 현탁시켰다. 교반하면서 투명 용액(pH3)이 형성될 때까지 0.1N 염산을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의 비결정질 고체(94.3 mg, 51 %)를 얻었다. [α]20 D= +44.2。(c = 0.34/H2O).
실시예 12.10
N-{Nα-[O-(3-O-메틸-α-D-만노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히드로클로라이드:
유리체 : 화합물 1.40(62.8 mg, 0.22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9.11(180.0 mg, 0.2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10:1-5:1-1:1]에 의해 중간 단계를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96.7 mg, 44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5:1]: Rf= 0.47.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실시예 4.5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분리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을 얻고, 이를 물(10 ml) 중에 현탁시켰다. 교반하면서 투명 용액(pH3)이 형성될 때까지 0.1N 염산을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의 비결정질 고체(78.2 mg, 43 %)를 얻었다. [α]20 D= -157.2。(c = 0.30/H2O).
실시예 12.11
N-{Nα-[O-(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a, 히드로클로라이드:
유리체 : 화합물 1.58(98.4 mg, 0.22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9.11(180.0 mg, 0.2 mmol)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20:10:1 → 10:10:1 → 메탄올/암모니아(25%) 20:1]에 의해 중간 단계를 정제하였다. 베이지색 결정(131.1 mg, 53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0:10:3]: Rf= 0.60.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실시예 4.5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분리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을 얻고, 이를 물(10 ml) 중에 현탁시켰다. 교반하면서 투명 용액(pH3)이 형성될 때까지 0.1N 염산을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황색의 비결정질 고체(90.0 mg, 42 %)를 얻었다. [α]20 D= +192.2。(c = 0.27/H2O).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비치환 퀴놀론-a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2.1의 지시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12
N-[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퀴놀론-a, 이나트륨염:
유리체 :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78.5 mg(0.25 mmol); 퀴놀론-a 70 mg(0.167 mmol)
6 시간의 반응 시간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 4 ml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17%) 15:4:0.5]에 의해 정제하였다.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가 7이 되게 하였으며, 동결 건조를 행하였다. 수득량 : 60 mg(44 %).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42]. FAB-MS: m/z = 773 = M-2Na++3H+.
실시예 12.13
N-[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퀴놀론-a:
유리체 :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32 mg(0.12 mmol); 퀴놀론-a 50 mg(0.12 mmol)
반응 시간 2 시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빙초산 9:10:1]에 의해 정제;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에테르를 사용하여 침전. 수득량 : 59 mg(51 %). [TLC :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3].
실시예 12.14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퀴놀론-a, 히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12.5의 화합물 86 mg(0.1 mmol)을 물에 용해시키고, 0.1N 염산 1당량을 사용하여 염으로 전환시켰다. 동결 건조 후, 표적 화합물 88 mg을 얻었다.
실시예 12.15
N-{Nα-[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디아미노-프로피오닐}-퀴놀론-a, 히드로클로라이드:
Nα-(tert-부톡시카르보닐)-Nβ-(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L-디아미노프로피온산 및 퀴놀론-a로부터 출발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글루코콘쥬게이트 12.5를 실시예 12.14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TLC :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3].
실시예 13
일반식
실시예 13.1
N-{N'-[O-(3-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퀴놀론-b:
13.1.a) 퀴놀론-b: 4-아미노-7-[(3aRS,4RS,7aSR)-4-아미노-1,3,3a,4,7,7a-헥사-히드로-이소인돌-2-일]-1-시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히드로-8-메톡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170 mg (1.5 mmol) 및 (3aRS,4RS,7aSR)-4-아미노-1,3,3a,4,7,7a-헥사히드로-이소인돌 152 mg (1.1 mmol)을 아세토니트릴 4 ㎖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2 ㎖의 혼합물 중의 5-아미노-1-시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히드로-8-메톡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310 mg (1 mmol)에 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 약 20 ㎖와 함께 교반시키고, 침전된 잔류물을 흡입 여과하고, 진공하에 100 ℃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301 mg (이론치의 70 %), 융점: 237-239 ℃ (분해).
13.1.b) N-[D-알라닐]-퀴놀론-b,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표적 화합물을 화합물 13.1.a 및 N-(t-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닌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9.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13.1) N-{N'-[O-(3-(O-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퀴놀론-b:
표적 화합물을 화합물 13.1.b 및 p-아미노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2)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2.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일반식
퀴놀론-c: 8-(2-아미노-5-메틸-8-아자비시클로[4.3.0]논-3-엔-8-일)-1-메틸-7-플루오로-5-옥소-5H-티아졸로[3,2-a]퀴놀린-4-카르복실산
실시예 14.1
N-{Nα-[O-(3-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c, 히드로클로라이드:
14.1.a) N-[Nδ-(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c,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유리체 : Nα-(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 (1.4 g, 3.0 mmol); 퀴놀론-c (820 mg, 1.9 mmol)
중간 생성물의 제조는 실시예 9.1.a.와 유사하게 행하였다. 에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켜 담황색 결정 (13.7 g, 82 %)를 얻었고, 이로부터 화합물 14.1.a를 실시예 9.1.b와 유사하게 유리시켰다. 오렌지색 결정 (1.25 g, 74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30:10:1]: Rf= 0.7; 융점 180 ℃.
14.a) N-{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c,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25 (62.8 mg, 0.22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14.1.a (178.4 mg, 0.2 mmol)과 실시예 12.5와 유사하게 반응시켰다. 중간 단계의 정제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30:6:1 → 30:10:1]에 의해 행하였다. 담황색 결정 (97.0 mg, 44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30:10:1]: Rf= 0.23.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하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황색 결정을 얻었고, 물 (10 ㎖) 중에 현탁시켰다. 0.1 N의 염산을 교반시키면서 맑은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pH 3). 여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 (75.8 mg, 41 %)를 얻었다; [α]D 20=+12.5°(c=0.27/H2O).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14.1.a로부터 실시예 14.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4.2
N-{Nα-[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c, 히드로클로라이드:
유리체 : 화합물 1.2 (59.5 mg, 0.22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14.1.a (178.4 mg, 0.2 mmol); 중간 단계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30:6:1 → 30:10:1]에 의해 정제하였다. 담황색 결정 (146.6 mg, 67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30:6:1]: Rf= 0.48.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하고, 생성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 (107.7 mg, 60 %)를 얻었다 ; [α]D 20=+51.6°(c=0.36/H2O).
실시예 14.3
N-{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c, 이나트륨염:
글리코콘쥬게이트 14.4를 화합물 14.1.a로부터 출발하여 몇 단계를 통하여 실시예 12.6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AB-MS: m/z=911=M-2Na+3H].
실시예 14.4
N-{Nα-[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퀴놀론-c, 히드로클로라이드:
콘쥬게이트를 실시예 14.2의 이성질체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AB-MS: m/z=867=M+H].
실시예 15
일반식
퀴놀론-d: 4-(2-아미노-8-아자비시클로[4.3.0]논-4-엔-8-일)-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실시예 15.1
N-{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d, 히드로클로라이드:
15.1.a) N-[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퀴놀론-d,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α-(t-부톡시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 (1.4 g, 3.0 mmol)을 실시예 9.1.a에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퀴놀론-d, 히드로클로라이드 (1.28 mg, 2.8 mmol)과 반응시켰다. 디에틸 에테르와 함께 염화메틸렌/메탄올 1:1로부터 재침전시켜 베이지색 결정 (1.97 g, 83 %)를 얻었고, 이로부터 화합물 15.1.a를 실시예 9.1.b와 유사하게 유리시켰다. 베이지색 결정 (1.7 g, 70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28:14:1]: Rf= 0.60; 융점 215 ℃.
15.1) N-{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d,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25 (62.8 mg, 0.22 mmol)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15.1.a (173.2 mg, 0.2 mmol)과 실시예 12.5와 유사하게 반응시켰다. 중간 단계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28:14:1 → 메탄올/암모니아(25 %) 20:1]에 의해 정제하였다. 베이지색 결정 (140.8 mg, 65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28:14:1]: Rf= 0.06.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하고,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베이지색 결정을 얻었고, 물 (10 ㎖) 중에 현탁시켰다. 0.1 N의 염산을 교반시키면서 맑은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pH 3). 여액을 동결 건조시켜 황색 비결정질 고체 (102.6 mg, 57 %)를 얻었다; [α]D 20=-49.0°(c=0.26/H2O).
다음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펩티드 콘쥬게이트 15.1.a로부터 실시예 15.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5.2
N-{Nα-[O-(4-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퀴놀론-d, 히드로클로라이드:
유리체 : 화합물 1.58 (98.4 mg, 0.22 mmol); 펩티드 콘쥬게이트 15.1.a (173.2 mg, 0.2 mmol)
중간 단계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20:10:1 → 10:10:1 → 메탄올/암모니아(25 %) 20:1]에 의해 정제하였다. 베이지색 결정 (106.5 mg, 43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25 %) 10:10:3]: Rf= 0.51. 이어서,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기를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하고, 생성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황색 비결정질 고체 (82.0 mg, 39 %)를 얻었다; [α]D 20=+22.8°(c=0.29/H2O).
실시예 16 : 멜팔란과의 글리코콘쥬게이트
일반식
실시예 16.1
N-{N'-[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멜팔란:
16.1.a) N-t-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닐-멜팔란:
N-t-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닌 114 mg (0.6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 중에 용해시키고,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138 mg, 염화수소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0 ℃에서 가하였다. 10 분 후, 멜팔란 153 mg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를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및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다음,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 (17 %) 15:2:0.2 → 15:4:0.5]에 주입하였다. 표적 화합물 134 mg (56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암모니아 (17 %) 15:4:0.5 Rf= 0.45].
16.1) N-{N'-[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알라닐}-멜팔란:
실시예 9.1 및 12.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호기를 제거하고, 탄수화물과 커플링시켰다 [TLC: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26; FAB-MS: m/z=685=M-H].
실시예 16.2
N-{N'-[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알라닐-알라닐}-멜팔란:
이 화합물은 몇 단계를 통하여 실시예 16.1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TLC: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2; FAB-MS: m/z=756=M-H].
실시예 17 : 독소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과의 글리코콘쥬게이트
일반식
실시예 17.1
N-{N'-[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알라닐-알라닐}-독소루비신:
17.1.a) N-[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알라닐-알라닌:
알라닐-알라닌 160 mg (1 mmol)을 디옥산/물 1:1 20 ㎖로 취하고, 휘니히 (Huenig) 염기 1 ㎖를 가하였다. 먼저, p-아미노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2) 1.2 mmol을 지시 10.1.a에 따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전환시킨 다음, 생성물을 디펩티드의 용액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토니트릴/물 15:1)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농축시킨 후, 생성물을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켰다. 수율: 267 mg (57 %).
17.1) N-{N'-[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알라닐-알라닐}-독소루비신:
실시예 17.1의 화합물 48 mg (0.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 중에 용해시키고,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23.1 mg, 염화수소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21 mg을 가하였다. 5 분 후, 독소루비신 30 mg 및 휘니히 염기 35 ㎕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를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메탄올 88:12)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화합물 20 mg (40 %)를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10:1 Rf= 0.17; ESI: m/z=997=M+H].
실시예 17.2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알라닐}-독소루비신:
17.2.a) Nα,Nδ-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알라닌:
실시예 17.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D-리실-알라닌의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580 mg (1.31 mmol)을 휘니히 염기 1.3 ㎖의 존재하에 실시예 1.2의 탄수화물 2.2 당량과 결합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토니트릴/물 10:1)로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446 mg (41 %)를 얻었다.
17.2) N-{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D-리실-알라닐}-독소루비신:
실시예 17.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7.2.a.의 화합물 59 mg을 독소루비신 20 mg과 결합시켜 콘쥬게이트 15 mg을 얻었다 [TLC: 염화메틸렌/메탄올 85:15 Rf= 0.43; FAB-MS: m/z=1365=M+H].
실시예 18 : 캄프토테신과의 글리코콘쥬게이트
일반식
실시예 18.1
20-O-{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18.1.a) 20-O-(알라닐)-캄프토테신,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캄프토테신 500 mg (1.44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 ㎖ 중에 용해시킨 다음,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50 mg 및 N-t-부톡시카르보닐-알라닌 N-카르복시-무수물을 가하였다. 3 시간 후, N-t-부톡시카르보닐-알라닌 N-카르복시-무수물 775 mg을 추가로 가하고, 현탁액을 16 시간 동안 초음파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조 물질을 염화메틸렌 50 ㎖로 취하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를 0 ℃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시킨 후, 이를 다시 농축시키고,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토니트릴/물 20:1)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수거하여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표적 화합물 712 mg (93 %)를 얻었다 [FAB-MS: m/z=420=M+H].
18.1.b) 20-O-(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18.1.a.의 콘쥬게이트를 Nα,Nε-비스-(t-부톡시카르보닐)-리신과 표준 지시에 따라 결합시킨 다음, 생성물을 보호기 제거하였다. 표적 화합물을 수율 65 %로 얻었다.
18.1) 20-O-{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p-아미노페닐 3-O-메틸-β-L-푸코시드 (실시예 1.2)를 실시예 18.1.b의 콘쥬게이트와 함께 실시예 11.1의 지시와 유사하게 결합시켰다. 수율: 40 % [TLC: 아세토니트릴/물 10:1 Rf= 0.44].
실시예 18.2
20-O-{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18.2.a) 20-O-[Nδ-(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실시예 18.1.a의 콘쥬게이트를 Nα-(t-부톡시카르보닐)-Nδ-(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신과 표준 지시에 따라 결합시킨 다음, 생성물을 α-아미노 관능 상에 보호기 제거하였다. 표적 화합물을 수율 24 %로 얻었다 [TLC: 아세토니트릴/물 20:1 Rf= 0.15].
18.2.b) 20-O-{Nα-[O-(3-O-카르복실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Nε-[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실시예 18.1.a.의 화합물을 실시예 1.10의 탄수화물 유도체와 함께 실시예 12.6 및 12.5와 유사하게 변형시켰다. 조 생성물을 물로 침지시켜 정제한 다음,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키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8.2) 20-O-{Nα-[O-(3-O-카르복실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콘쥬게이트 18.2.b를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피페리딘으로 보호기 제거하였다. 30 분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으로 2회 침지시켰다. 이어서,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취하고, 메탄올/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생성물을 흡입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디옥산/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켰다. 수율: 86 %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17].
실시예 18.3
20-O-{Nα-[O-(3-O-카르복실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나트륨염:
실시예 18.2의 콘쥬게이트 62 mg (0.074 mmol)을 디옥산/물로 취하고, 0.1 N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 1 당량을 사용하여 나트륨염으로 전환시켰다. 수율: 소량 [TLC: 아세토니트릴/물/빙초산 5:1:0.2 Rf= 0.17].
다음 캄프토테신의 글리코콘쥬게이트들을 실시예 18.1 및 18.2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8.4
20-O-{Nα,Nδ-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O-알라닐}-캄프토테신
실시예 18.5
20-O-{Nα,Nε-비스-[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발리닐}-캄프토테신
실시예 18.6
20-O-{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발리닐}-캄프토테신
실시예 18.7
20-O-{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발리닐}-캄프토테신
실시예 18.8
20-O-{Nα-[O-(3-O-메틸-β-D-갈락토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실시예 18.9
20-O-{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발리닐}-캄프토테신,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8.6을 0.01 N의 염산 1 당량을 사용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18.10
20-O-{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8.2를 0.01 N의 염산 1 당량을 사용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18.11
20-O-{Nα-[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페닐알라닐}-캄프토테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18.12
20-O-{Nα,Nδ-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나트륨염
실시예 18.13
20-O-{Nα,Nδ-비스-[O-(3-O-카르복시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발리닐}-캄프토테신, 나트륨염
실시예 18.14
20-O-{Nα-[O-(3-O-메틸-β-L-푸코피라노실)-4-히드록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리실-알라닐}-캄프토테신, 히드로클로라이드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화학식 I
    K - Sp - L - AA1 - AA2 - C
    상기 식 중,
    K는 비치환 또는 위치 선택적으로 개질된 탄수화물 라디칼이고,
    Sp는 임의 치환 아릴렌 또는 알킬렌이고,
    L은(여기서, R은 염소 또는 히드록시알킬아미노임)이고,
    AA1은 보호기 또는 제2 K-Sp-L 그룹(여기서, K, Sp 및 L은 다른 K-Sp-L 그룹과 독립적으로 상기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임의 포함할 수 있는 D 또는 L 배열의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고,
    AA2는 보호기 또는 제2 K-Sp-L 그룹(여기서, K, Sp 및 L은 다른 K-Sp-L 그룹과 독립적으로 상기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임의 포함할 수 있는 D 또는 L 배열의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직접 결합이고,
    C는 아미노기 또는 히드록실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세포독성 라디칼 또는 세포 증식 억제제 또는 세포 증식 억제제 유도체의 라디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K는 하기 화학식 II의 탄수화물 라디칼이고, Sp, L, AA1, AA2 및 C는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화학식 II
    상기 식 중,
    A는 메틸, 히드록시메틸, 카르복실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와 아미드, 알콕시메틸, 아실옥시메틸 또는 카르복시알킬옥시메틸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와 아미드이고; 또한 A는 CH2-B(여기서, B는 다시 아노머 중심을 통하여 결합되는 화학식 II의 탄수화물 라디칼일 수 있음)일 수 있고,
    R2, R3, R4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함께 H, 히드록실, 알킬옥시, 카르복시알킬옥시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와 아미드, 히드록시알킬옥시, 아미노알킬옥시, 아실옥시, 카르복시알킬카르보닐옥시, 술페이토, 포스페이토, 할로겐 또는 동일 구조에서 개질되고 아노머 중심을 통하여 결합되는 다른 탄수화물 라디칼 II이고, 또한 R2는 추가로 아미노 또는 아실아미노일 수 있거나, 또는 라디칼 R2, R3및 R4중 2개가 함께 에폭시드기를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Sp는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서 K 및 L로 개질되고 또한 서로 독립적이거나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H, 메틸, 메톡시, 히드록실, 카르복실, 메톡시카르보닐,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술포닐 또는 술폰아미드일 수 있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아릴렌 라디칼이거나, 또는 Sp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라디칼일 수 있고, K, L, AA1, AA2 및 C는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4. 제1항에 있어서, C는 뉴클레오시드, 엔디인 항생물질, 세포독성 펩티드 항생물질, 퀴놀론카르복실산 또는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 또는 바트라실린, 5-플루오로우라실, 사이토신 아라비노시드, 메토트렉세이트, 에토포시드, 캄프토테신, 다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탁솔,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다이네마이신, 칼리키아마이신, 에스페라마이신, 케르세틴, 수라민, 에르브스타틴, 시클로포스파미드, 미토마이신 C, 멜팔란, 시스플라틴, 블레오마이신, 스타우로스포린 또는 항신생물 작용을 갖는 다른 활성 화합물이고, K, Sp, L, AA1 및 AA2는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5. 제1항에 있어서, AA1은 또다른 K-Sp-L 그룹과 임의로 연결되는 D 또는 L 배열의 리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오르니틴, 티로신, 발린 또는 세린으로부터 유도된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K, Sp, L, AA2 및 C는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6. 제1항에 있어서, AA2는 또다른 K-Sp-L 그룹과 임의로 연결되는 D 또는 L 배열의 리신, 알라닌, 글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또는 세린으로부터 유도된 아미노산 라디칼이거나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K, Sp, L, AA1 및 C는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7. 제1항에 있어서, C가 하기 화학식 III의 라디칼을 나타내고, K, Sp, L, AA1 및 AA2는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화학식 III
    T - Q
    상기 식 중, Q는 식,,또는[여기서, Ra는 할로겐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 비닐, 1 또는 2개의 불소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비시클로[1.1.1]펜트-1-일, 1,1-디메틸프로파르길, 3-옥세타닐, 메톡시, 아미노,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또는 할로겐,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페닐을 나타내거나, 또는 Re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Rb는 히드록실,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콕시 또는 니트로메틸을 나타내고,
    Rc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Rg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Rd는 수소, CH3, CH2F 또는 =CH2를 나타내고,
    X1은 수소, 할로겐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X2는 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실, 메톡시, 메르캅토, 메틸, 할로겐노메틸 또는 비닐을 나타내고,
    Y는 N 또는 C-Re(여기서, Re는 수소, 할로겐, CF3, OCH3, OCHF2, CH3, CN, CH=CH2또는 C≡CH를 나타내거나, 또는 Ra와 함께 구조식 -*O-CH2-CH-CH3, -*S-CH2-CH2-, -*S-CH2-CH-CH3, -*CH2-CH2-CH-CH3또는 -*O-CH2-N-Rf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Rf는 수소, 메틸 또는 포르밀을 나타냄)를 나타내고,
    D는 N 또는 C-Rg(여기서, Rg는 수소, 할로겐, CF3, OCH3, OCHF2또는 CH3를 나타내거나, 또는 Rc와 함께 구조식 -*O-CH2-, -*NH-CH2-, -*N(CH3)-CH2-, -*N(C2H5)-CH2-, -*N(C3H5)-CH2- 또는 -*S-CH2-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D의 탄소 원자와 결합됨)를 나타내고,
    n은 1, 2 또는 3을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하고,
    T는 식[여기서, Rh, -CH2-O- 또는(여기서, Rk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i는 수소, C1-C3-알킬 또는 시클로프로필을 나타냄)를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8. 제7항에 있어서, Q는 식또는[여기서, Ra는 1개의 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되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알킬, 1개의 불소 원자로 임의 치환되는 시클로프로필 또는 불소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페닐을 나타내거나, 또는 Re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Rb는 히드록실 또는 탄소 원자수 1 또는 2의 알콕시를 나타내고,
    Rc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Rg와 함께 그 라디칼에 대해 기재한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X1은 불소를 나타내고,
    X2는 수소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Y는 N 또는 C-Re(여기서, Re는 수소, 불소, 염소, CF3, OCH3, OCHF2또는 C≡CH를 나타내거나, 또는 Ra와 함께 구조식 -*O-CH2-CH-CH3또는 -*O-CH2-N-Rf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Rf는 메틸을 의미함)를 나타내고,
    D는 N 또는 C-Rg(여기서, Rg는 수소, 불소, 염소, CF3, OCH3또는 CH3를 나타내거나, 또는 Rc와 함께 구조식 -*O-CH2-, -*NH-CH2-, -*N(CH3)-CH2- 또는 -*S-CH2-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고, *로 표시된 원자는 D의 탄소 원자와 결합됨)를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하고,
    T는 식[여기서, Rh(여기서, Rk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i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냄)를 나타냄]의 라디칼을 의미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와 염.
  9. 제1항 내지 제8항으로부터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의약.
  10. 의약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KR1019970706996A 1995-04-04 1996-03-22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KR19980703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2484A DE19512484A1 (de) 1995-04-04 1995-04-04 Kohlenhydratmodifizierte Cytostatika
DE19512484.7 1995-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591A true KR19980703591A (ko) 1998-11-05

Family

ID=775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996A KR19980703591A (ko) 1995-04-04 1996-03-22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6271342B1 (ko)
EP (1) EP0819135B1 (ko)
JP (1) JPH11502860A (ko)
KR (1) KR19980703591A (ko)
CN (1) CN1185786A (ko)
AT (1) ATE186738T1 (ko)
AU (1) AU713466B2 (ko)
BG (1) BG63048B1 (ko)
BR (1) BR9604825A (ko)
CA (1) CA2217164A1 (ko)
CZ (1) CZ291098B6 (ko)
DE (2) DE19512484A1 (ko)
DK (1) DK0819135T3 (ko)
EE (1) EE03619B1 (ko)
ES (1) ES2140078T3 (ko)
GR (1) GR3032605T3 (ko)
HU (1) HUP9800513A3 (ko)
IS (1) IS1822B (ko)
MX (1) MX9707613A (ko)
NO (1) NO974564L (ko)
NZ (1) NZ305855A (ko)
PL (1) PL183574B1 (ko)
RU (1) RU2170234C2 (ko)
SK (1) SK281785B6 (ko)
TW (1) TW384290B (ko)
UA (1) UA61054C2 (ko)
WO (1) WO1996031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934329T3 (da) * 1996-09-30 2002-04-08 Bayer Ag Glycokonjugater af modificerede camptothecinderivater (20-O-binding)
DE19640970A1 (de) * 1996-10-04 1998-04-16 Bayer Ag Modifizierte Cytostatika
ID23424A (id) * 1997-05-14 2000-04-20 Bayer Ag Glikokonjugat dari 20(s)-kamptotesin
JP4669607B2 (ja) 1997-09-15 2011-04-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抗微生物キノロン類、その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US6387928B1 (en) 1997-09-15 2002-05-14 The Procter & Gamble Co. Antimicrobial quinolones, their compositions and uses
US6613879B1 (en) * 1999-05-14 2003-09-0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FAP-activated anti-tumour compounds
DE10005275A1 (de) * 2000-02-07 2001-08-09 Bayer Ag Neuartige Glycokonjugate
US7220824B1 (en) * 2000-08-28 2007-05-22 Bayer Aktiengesellschaft Integrin-mediated drug targeting
EP1219634A1 (en) * 2000-12-27 2002-07-03 Bayer Aktiengesellschaft Cytostatic-glycoconjugates having specifically cleavable peptidic linking units
EP1238678A1 (en) * 2001-03-08 2002-09-11 Bayer Aktiengesellschaft Enzyme-activated cytostatic conjugates with integrin ligands
EP1448996A2 (de) * 2001-11-09 2004-08-25 Bayer HealthCare AG Isotopencodierte affinitätsmarker 2
US7199149B2 (en) * 2003-10-01 2007-04-03 Bristol Myers Squibb Company Monocyclic and bicyclic lactams as factor Xa inhibitors
AU2004309347B2 (en) 2003-12-19 2010-03-04 Genentech, Inc. Monovalent antibody fragments useful as therapeutics
JP4876165B2 (ja) 2006-03-28 2012-02-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キノロン中間体を調製するための水素化物還元法
US8039485B2 (en) 2006-03-28 2011-10-18 Warner Chilcott Company, Llc Malate salts, and polymorphs of (3S,5S)-7-[3-amino-5-methyl-piperidinyl]-1-cyclopropyl-1,4-dihydro-8-methoxy-4-oxo-3-quinolinecarboxylic acid
CA2647454A1 (en) 2006-03-28 2007-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coupling process for preparing quinolone intermediates
WO2016109880A1 (en) 2015-01-06 2016-07-14 Immunovaccine Technologies Inc. Lipid a mimic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KR20180078329A (ko) 2015-11-25 2018-07-09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분지된 링커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A3006242A1 (en) 2015-11-25 2017-06-01 Legochem Biosciences, Inc. Conjugates comprising self-immolative group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U2018246806B2 (en) 2017-03-29 2022-05-12 Legochem Biosciences, Inc. Pyrrolobenzodiazepine dimer precursor and ligand-linker conjugate compound thereof
AU2019266406A1 (en) 2018-05-09 2020-11-26 Legochem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anti-CD19 antibody drug conjugates
KR20210028544A (ko)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인간 ror1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 약물 접합체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356A (ja) * 1982-06-30 1984-05-02 Fuji Photo Film Co Ltd 螢光アツセイ用多層分析要素およびそれを用いる螢光アツセイ法
DE3611194A1 (de) 1986-04-04 1987-10-08 Bayer Ag Cancerostatisches mittel
ATE106898T1 (de) * 1987-03-26 1994-06-15 Neorx Corp Metall-radionuklid-markierte proteine und glykoproteine zur diagnose und therapie.
US4975278A (en) 1988-02-26 1990-12-04 Bristol-Myers Company Antibody-enzyme conjugates in combination with prodrugs for the delivery of cytotoxic agents to tumor cells
DE3837825A1 (de) 1988-11-08 1990-05-10 Hoechst Ag Neue insulinderivate, ihre verwendung und eine si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US5965695A (en) 1990-05-15 1999-10-12 Chiron Corporation Modified peptide and peptide libraries with protease resistance, derivatives thereof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screening such
US5420297A (en) 1990-10-24 1995-05-30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Peptides having substance P antagonistic activity
US5399363A (en) * 1991-01-25 1995-03-21 Eastman Kodak Company Surface modified anticancer nanoparticles
DE4106101A1 (de) * 1991-02-27 1992-09-03 Bayer Ag Fucose-markierte cytostatika
US5595732A (en) * 1991-03-25 1997-01-21 Hoffmann-La Roche Inc. Polyethylene-protein conjugates
FR2676058B1 (fr) 1991-04-30 1994-02-25 Hoechst Lab Prodrogues glycosyle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es cancers.
DE4120646A1 (de) * 1991-06-22 1992-12-24 Bayer Ag 7-isoindolin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aeure-derivate
DE59209745D1 (de) 1991-11-29 1999-10-21 Hoechst Ag Peptide mit insulinartiger Wirkung
SE9103612D0 (sv) 1991-12-04 1991-12-04 Astra Ab New peptide derivatives
ZA935697B (en) 1992-08-07 1994-03-10 Sankyo Co Peptides capable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hiv protease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herapeutic use
US5872207A (en) 1992-09-04 1999-02-16 Sanofi Pharmaceuticals, Inc. N-terminal-marked peptides immobilized on glass beads and method of prepar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IL106998A0 (en) 1992-09-17 1993-12-28 Univ Florida Brain-enhanced delivery of neuroactive peptides by sequential metabolism
DE4236237A1 (de) * 1992-10-27 1994-04-28 Behringwerke Ag Prodrugs,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5576298A (en) 1992-11-30 1996-11-19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Inc. At Montana State University Peptides from pseudomonas syringae possessing broad-spectrum antibiotic activity
SE9300012D0 (sv) 1993-01-05 1993-01-05 Astra Ab New peptides
US5750648A (en) 1993-08-20 1998-05-12 G.D. Searle & Co. Retroviral protease inhibitors and combinations thereof
EP0647450A1 (en) 1993-09-09 1995-04-12 BEHRINGWERKE Aktiengesellschaft Improved prodrugs for enzyme mediated activation
GB9320781D0 (en) 1993-10-08 1993-12-01 Erba Carlo Spa Polymer-bound camptothecin derivatives
JPH09504522A (ja) * 1993-10-12 1997-05-06 グリコメ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細胞接着インヒビターの同定に有用なグリコ−ペプチドのライブラリー
US5610145A (en) 1994-04-15 1997-03-11 Warner-Lambert Company Tachykinin antagonists
US5780589A (en) 1994-11-30 1998-07-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Ultraselective opioidmimetic peptides and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FR2729668A1 (fr) 1995-01-23 1996-07-26 Adir Nouveaux derives de mercaptoalcanoyldipept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US5677286A (en) * 1995-04-27 1997-10-14 The University Of Michigan Glycosylated analogs of camptothecin
US6143931A (en) 1997-04-16 2000-11-07 Arqule, Inc. Synthesis and use of α-ketoamide derivatives and ar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63048B1 (bg) 2001-02-28
NZ305855A (en) 1999-11-29
CZ291098B6 (cs) 2002-12-11
IS1822B (is) 2002-10-01
CZ314397A3 (cs) 1998-01-14
MX9707613A (es) 1997-12-31
HUP9800513A2 (hu) 1998-06-29
PL183574B1 (pl) 2002-06-28
BG101892A (en) 1998-05-29
BR9604825A (pt) 1999-01-05
AU713466B2 (en) 1999-12-02
HUP9800513A3 (en) 1998-09-28
CA2217164A1 (en) 1996-10-10
DK0819135T3 (da) 2000-05-08
NO974564L (no) 1997-11-25
DE19512484A1 (de) 1996-10-17
EE03619B1 (et) 2002-02-15
ES2140078T3 (es) 2000-02-16
WO1996031532A1 (de) 1996-10-10
GR3032605T3 (en) 2000-05-31
EE9700258A (et) 1998-04-15
PL322681A1 (en) 1998-02-16
RU2170234C2 (ru) 2001-07-10
SK281785B6 (sk) 2001-07-10
US6271342B1 (en) 2001-08-07
CN1185786A (zh) 1998-06-24
JPH11502860A (ja) 1999-03-09
ATE186738T1 (de) 1999-12-15
SK134597A3 (en) 1998-05-06
DE59603678D1 (de) 1999-12-23
AU5397696A (en) 1996-10-23
NO974564D0 (no) 1997-10-02
TW384290B (en) 2000-03-11
IS4562A (is) 1997-09-18
EP0819135A1 (de) 1998-01-21
EP0819135B1 (de) 1999-11-17
UA61054C2 (en) 200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591A (ko)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KR100281265B1 (ko) 신규한 스핀고당지질 및 그의 사용
US6156754A (en) Glycoconjugates of modified camptothecin derivatives (A-or B-ring linkage)
DE102009051799B4 (de) Bifunktionale Prodrugs und Drugs
EP0714903A1 (de) Neue Kohlenhydratkonjugate als Inhibitoren der Zelladhäsion
EP0595133A2 (de) Prodrugs,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CA2704201A1 (en) Novel sulfated oligosaccharide derivatives
KR20150027217A (ko) 항진균성 항생 암포테리신 b의 n-치환된 제2 세대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및 응용 방법
HU210744B (en) Process to prepare novel ganglioside derivs. and pharmaceutical compns. contg. them
WO2017186110A1 (zh) 一类万古霉素衍生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用途
EP0889898B1 (en) Morpholinyl anthracycline derivatives
CA2267328A1 (en) Glycoconjugates from modified camptothecin derivates (20-o-linkage)
EP2824108B1 (en) Tetracyclic anthraquinone derivatives
AU7304096A (en) Novel amine derivatives of epipodophyllotoxin 2", 3"-dideoxyglycosides,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as a drug and for treating cancer
IL119334A (en) Carbohydrate modified cytostatics and medicaments containing them
WO2001058932A1 (de) Glycokonjugate von cytostatika
DE10005275A9 (de) Neuartige glycokonjugate
HRP960440A2 (en) Sugar-modified cytostatics
DE4404370A1 (de) Glycosylamide von 6-Amino-6-desoxy-zuck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