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434A -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434A
KR19980702434A KR1019970705833A KR19970705833A KR19980702434A KR 19980702434 A KR19980702434 A KR 19980702434A KR 1019970705833 A KR1019970705833 A KR 1019970705833A KR 19970705833 A KR19970705833 A KR 19970705833A KR 19980702434 A KR19980702434 A KR 19980702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components
tooth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5424B1 (ko
Inventor
프레데릭 반 덴 보스크 윌렘
Original Assignee
에이.디. 와프나르
다이아몬드 화이트 에이.브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8656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70243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 와프나르, 다이아몬드 화이트 에이.브이.브이. filed Critical 에이.디. 와프나르
Publication of KR1998070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He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에서는 적어도 하기 (a) 및 (b)성분을 결합시킨다: (a)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OmX-(식 중, A는 주기율 시스템의 1 족 또는 2 족의 금속이고, n = 1 또는 2 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 = 1∼4임)로 이루어진 성분(i)가 존재하는 겔 또는 페이스트 및 (b)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BpOq]r-(식 중, A는 주기율 시스템의 1 족 또는 2 족의 금속이고, p = 1∼4, q = 1∼8이고, r = 1∼3임)로 이루어진 성분(ii)가 존재하는 겔 또는 페이스트.

Description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
미용적 치과학에서는, 무수치(無髓齒) 및 유수치(有髓齒)를 모두 표백하기위해 다양한 제품 및 기술이 사용된다. 무수치는 예컨대, 소위 치근관 치료의 결과, 신경을 더 이상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신경을 함유하는 죽은 치아이다. 유수치는 살아있는 치아로서 여전히 기능 신경을 함유한다.
치아의 표백은 예컨대, 쇼푸 덴탈 코오포레이숀에서 시판하는 제품인 하이-라이트(Hi-Lite)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제품은 농축 과산화수소(35%)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에 대해 그 자체로 적용시킨후, 8∼10분 동안 작용시킨다. 이 기간 동안 소위 화학적 활성화의 결과로서 치아의 표백이 일어난다.
표백은 광선의 영향하에서 촉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품이 적용되는 치아에 특정한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照射)한다. 그 결과, 표백에 요구되는 시간은 2∼3분으로 짧아진다. 이러한 후자의 치아 표백방법은 문헌[J. Esthet. Dent. 4(1992) 90-95]에서의 F. N. Hanosh 및 G. S. Hanosh의 기사에 더욱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제품 하이-라이트의 큰 단점은 그것이 침식성 화학 물질인 과산화 수소를 함유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과산화수소는 상기 제품내에서 고농도(35%)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품은 매우 주의깊게 취급되어야 한다. 또한 취급시 이 제품은 피부와의 접촉을 피하여야 하므로 이 제품을 취급할 때는 보호용 장갑 및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표백 작용을 오래 지속한다고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처리의 효과(내구성)가 몇 달 후, 뚜렸이 쇠퇴한다.
다른 제품, 예컨대 나이트-화이트(Nite-White)는 뉴 스마일 캐어-잔코스메틱 게엠베하(New Smile Care-Zahnkosmetik GmbH)에서 시판하는 것으로 카르바-이미드 과산화물(CO(NH2)2·H2O2)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활성 처리후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색 변화가 일어나기는 하나, 이러한 색 변화는 단지 일주일 만에 거의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선행 기술 분야에서는 특정한 병변에서,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어떠한 시약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표백용 제제를 사용하므로써 전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제제는 어떠한 침식성 화학 물질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한 병변에서,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적어도 하기 (a) 및 (b)성분을 결합시킨다:
(a)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OmX-(식 중, A는 주기율 시스템의 1 족 또는 2 족의 금속이고, n = 1 또는 2 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 = 1∼4임)로 이루어진 성분(i)가 존재하는 겔 또는 페이스트 및
(b)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BpOq]r-(식 중, A는 주기율 시스템의 1 족 또는 2 족의 금속이고, p = 1∼4, q = 1∼8, r = 1∼3임)로 이루어진 성분(ii)가 존재하는 겔 또는 페이스트.
상기 용어 겔 또는 페이스트는 걸쭉한, 임의로 틱소트로픽성을 갖는 액체인 것들과 비견할 만한 점도 및 유동성을 갖는 물질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피넛 버터, 치약, 연고 및 크림이 있다. 본 발명의 개시부분에서, 상기 용어 겔 및 페이스트는 모두 서로 나란히 사용된다. 상기 식 OmX-에서 X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음이온 OmX-의 예는 하이포클로라이트, 하이포아이오다이트, 클로라이트, 아이오다이트, 클로레이트, 브로메이트, 아이오데이트, 퍼클로레이트 및 퍼아이오데이트 음이온이 있다. 상기 음이온 [BpOq]r-의 예로는 퍼보레이트(BO3 -), 메타보레이트(BO2 -), 오르토보레이트(BO3 3-). 하이포보레이트(B2O4 2-) 및 피로보레이트 또는 테트라보레이트 음이온(B4O7 2-)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상기 성분(a) 및 (b)를 결합시키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a) 및 (b)를 예컨대 상기 제제를 사용하기 바로 5 분 내지 1 시간 전에 또는 사용 도중 결합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또한 상기 제제를 오래전에 미리 예컨대, 1 시간 내지 7일전 미리,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제를 사용할 때 까지 저온,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에서 상기 제제를 보관하는 것이 권장된다.
상기 성분(a) 및 (b)는 임의로 화학적 또는 약학적 물질 또는 화합물(예, 향수, 향 물질 및 조미료, 이들은 통상 치과학적 제제 및 제품에서 사용됨)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a)와 (b) 즉, 성분(i)(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OmX-(식 중, A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 n = 1, X는 할로겐 원자, m = 1)로 이루어짐) 및 성분(ii)(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BpOq]r-(식 중, A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 p = 1, q = 2 또는 3, r = 1)로 이루어짐)를 결합시키므로써 치아 표백용 또는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i)로서 하이포할라이트를, 성분(ii)로서 보레이트를 사용한다. 하이포할라이트의 예로는 리튬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 칼륨 하이포아이오다이트, 및 칼륨 하이포클로라이트가 있다. 적당한 보레이트로는 나트륨, 리튬 및 칼륨의 퍼보레이트 및 메타보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는 특히 나트륨이고, X는 염소이고, q = 3 이고, r = 1 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i)는 하이포클로라이트, 특히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가 바람직하고 성분(ii)는 퍼보레이트, 특히 나트륨 퍼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i)는 결정화에 사용되는 물로서 하나 이상의 물 분자를 함유할 수 있다. 성분(i)의 수용액, 예컨대 물중의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용액을 표백용 용액이러고 부른다. 또한, 성분(ii)는 결정화용 물로서 하나 이상의 물분자, 예를 들면, 나트륨 퍼보레이트 3수화물 및 나트륨 퍼보레이트 4수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성분(i) 및 (ii)의 모든 수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 수화물 모두는 본 발명의 범주에 든다.
또한, 성분(a) 및 (b)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첨가제는 하기한 성분들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ii)결합제, (iv)젤라틴성 점도 부여제 및 (v)수분 손실을 없애 주는 시약.
적당한 결합제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특정한 검 예를 들면, 아카시아 검, 아라비아 검, 카라야(caraya) 검, 트라가칸트 검 및 크산탄 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iii)는 특히 글리세롤이다.
적당한 젤라틴성 점도 부여제는 셀룰로오즈 물질, 예를 들면, 셀룰로오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및 에틸셀룰로오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iv)는 특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이다.
수분 손실을 없애는 적당한 시약으로는 알디톨, 예를 들면, 에리트리톨, 아라비니톨, 크실리톨, 갈락티톨, 소르비톨, 이디톨, 만니톨, 헵티톨 및 옥티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v)는 특히 소르비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겔 또는 페이스트의 형태로 제제를 얻기위해 성분(i) 내지 (v)가 결합하는 순서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성분(a) 및 (b)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분(a)는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성분(iii) 및 (iv)를 혼합하는 단계,
2. 단계 1 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v)와 혼합하는 단계, 및
3. 단계 2 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i)와 혼합하는 단계.
성분(b)는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성분(iii) 및 (iv)를 혼합하는 단계,
2. 단계 1 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v)와 혼합하는 단계, 및
3. 단계 2 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ii)와 혼합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ii)대신, 표백 활성을 갖는 기타의 무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나트륨 퍼카보네이트, 나트륨 클로라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퍼옥시히드레이트 및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퍼옥시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를 포함하는 성분(a) 및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를 포함하는 성분(b)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제는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i),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성분(iv), 및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v)를 포함하는 성분(a), 및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i),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성분(iv), 및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v)를 포함하는 성분(b)로부터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제는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i),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성분(iv), 및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v)를 포함하는 성분(a), 및 임의로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의 시트르산 나트륨, 및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중량%의 플루오르화 나트륨,
및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i),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성분(iv), 및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v)를 포함하는 성분(b) 및 임의로,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의 시트르산 나트륨,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의 황산 마그네슘, 및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의 황산 나트륨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매우 특별한 한 양태는 전술한 조성으로 된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성분(iii)는 글리콜이고, 성분(iv)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이고 성분(v)는 소르비톨이다.
또한 원한다면, 성분(a) 및 (b)는 향수, 향 물질 및 조미료와 같이 기타의 화학적 또는 약학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치약과 같은 치과적 제품(예, 아스파탐)에 사용된다.
상기 화합물의 고체 형태의 입자 크기는 중요한 것은 아니며, 이러한 화합물은 미분 형태인 경우, 간단히 가공하여 균일한 겔 또는 페이스트 상태로 만든다. 평균 입자 크기는 0.0001 내지 1 mm이며 특히, 0.01 내지 0.1mm인 것이 적당하다. 균일한 겔 또는 페이스트를 얻기위해서, 상기 성분들의 혼합물을 간단히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를 넘지 않는 온도에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성분(b)는 성분(ii) 또는 성분(ii)의 대체물 외에도, 예를 들면, 나트륨 퍼카보네이트, 나트륨 클로라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퍼옥시하이드레이트 및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퍼옥시하이드레이트와 같은 표백용 활성을 갖는 기타의 무기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런 화합물은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의 분량으로, 특히 5 내지 10중량%의 분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성분(b)가 나트륨 퍼카보네이트와 같이, 성분(ii)와는 상이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이 유형의 성분(b)는 성분(ii)를 함유하는 경우에서 보다 더욱 침식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성분(ii)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성분(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은 제제는 한편으로는 치아 표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유수치를 표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표백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보이는 부분에 대해 상보적인 모양을 갖는 슬리브 또는 캡을 제조한다. 상기 문맥에서 상보적인 모양이란 표현은 일정한 모양으로서 이에 따르면 상기 모양의 내부면들은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부면들과 거의 또는 완전히 동일하며,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부면들과 대략적으로 또는 정확히 같은 위치가 공간적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슬리브 또는 캡이 치아상에 장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접경한 일체물이 얻어진다. 이 때 슬리브 또는 캡의 내부 사이에 공간 또는 갭이 있으며 치아는 약 0.01∼5mm, 바람직하게는 0.1∼1mm이며 상기 캡 또는 슬리브는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적어도 보이는 부분을 그것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거의 또는 완전하게 분리시킨다. 이 문맥에서, 분리란 상기 제제가 구강 캐비티내에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없거나 또는 거의 통과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제를 슬리브 또는 캡의 내부에 도포한 후, 상기 제제를 충전시킨 슬리브 또는 캡을 치아의 외부에 놓는다. 이어서, 그 슬리브 또는 캡을 적어도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9 시간 동안 그 위치에 둔다. 이 기간의 끝 무렵에, 씌운 것을 제거하고 입을 충분한 물로 수회 잘 헹군다. 그 후, 칫솔질 및 덴탈 플로스 및/또는 이쑤시개 및/또는 솔형 투쓰 클리너를 사용하므로써 치아를 충분히 세척한다.
이후 유수치를 표백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I)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에 상보적인 모양으로 캡을 제조하는 단계,
II)상기 제제를 이 캡의 내부에 도포하는 단계,
III)상기 제제가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상기 캡을 치아의 외부에 고정시키고, 캡을 이 위치에 적어도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9시간 동안 놓아 두는 단계, 및
IV)상기 캡을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방법 또한 하기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한 것일 것이다.
I)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에 상보적인 모양으로 캡을 제조하는 단계,
II)상기 제제를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부에 도포하는 단계,
III)상기 캡(원한다면, 일정 분량의 상기 제제가 캡의 내부에 도포될 수 있음)을 치아의 외부에 고정시키고, 캡을 이 위치에 적어도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9시간 동안 놓아 두는 단계,
IV)상기 캡을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당업자에게는, 만약 상기 제제가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에 이미 도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제의 일정량을 슬리브 또는 캡의 내부에 도포하는 것은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는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한 것일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두 방법 모두 소정의 결과를 얻는 데 사용할 수 있으므로 또한 본 발명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추가로 치아 또는 치아들을 표백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 상기 방법을 반복 실시할 수 있다. 이 유수치 표백의 경우에서조차, 통상의 환경하에서 표백된 치아는 장기간 내지는 더욱 긴 기간동안 표백에 의해 얻은 색을 보유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슬리브 또는 캡은 열가소성 물질과 같이, 가온후 변형가능한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몇시간 동안 고온수에서 함침시킨 후 소정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물질, 예를 들면 비독성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유형의 물질들은 선행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운동할 때 종종 마모되는 예컨대, 고무 받침대의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캡의 모양은,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보이는 부분이 그것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거의 또는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조절하거나 또는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를 사용하여 외부 처리된 치아의 전자 현미경사진으로부터 상기 제제는 처리된 치아의 에나멜상에 전혀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제는 검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기 제제의 살바이러스 활성 및 살균 활성은 검에 유익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제제는 특정한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특히 병변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알려진 바로는, 예를 들면 단순 포진 비루스(herpes simplex virus)에 의해 야기되는 것과 같은 병변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시판용 약제는 없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발명의 제제는 단순 포진 비루스를 완전히 치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성분(a) 및 (b)의 균등 혼합물을 상기 병변에 일일 약 5회 도포한다. 초기의 단순 포진 병변의 경우, 약 5일 후에는 이러한 병변이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진 반면, 3일 이상된 병변인 경우, 상기 병변은 약 2일 후에 벌써 사라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치유 후에는 어떠한 흔적도 남기지 않는다. 본 발명 제제의 추가 효과는 상기 병변을 퍼뜨리지 않거나 또는 거의 퍼뜨리지 않는다는 것이며 거의 재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구강내 아프타(aphthae, 백색의 궤양)의 경우, 성분(a) 및 (b)의 균등 혼합물은 예컨대, 치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성분(a) 및 (b)의 균등 혼합물을 일일 약 6 회 아프타에 도포하는 경우, 2 일 후에는 어떠한 흔적도 보이지 않고 완전히 치유된다. 또한 어떠한 흔적도 없이 완전히 치유하는 것은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의 경우에도 가능하다. 예컨대, 성분(a) 및 (b)의 균등 혼합물을 치료하고자 하는 여드름에 약 5 회 도포한다. 또한 예를 들면, 성분(a) 및 (b)의 균등 혼합물은 피부 및 점막상의 사상균 및 사마귀에 대해 효과적인 치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제는 단순 포진 병변, 아프타, 여드름, 습진, 피부 및 점막상의 사상균, 사마귀, 구강 및 입술 코너의 갈라짐, 수두 또는 미생물에 기인한 기타 병변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무수치를 표백하기 위해서는, 성분(i)를 포함하는 성분(a) 및 성분(ii)를 포함하는 성분(b)를 교대로 치아내의 캐비티내에서 한층 씩 도포한다. 성분(ii)를 포함하는 성분(b)는, 성분(ii)에 약간의 수분을 공급하므로써 제조된다. 성분(i)를 포함하는 성분(a)는 물중에 성분(a)를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 두성분들을 각각 한 층 씩 도포하고 성분(ii)를 포함하는 상기 제제에 약간의 수분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성분을 결합시키므로써 얻어지는 표백제는 지연 작용을 갖는 것으로 도포된다.
무수치를 표백하기 위해서는, 치료하고자 치아위에 있는 수복물을 먼저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캐비티는 이어서, 수회 세척하고 예비처리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치아용 수복물을 적용하기전에 수행한다. 성분(i)를 포함하는 성분(a) 및 성분(ii)를 포함하는 성분(b)를 이어서 상기 캐비티에 각각 한층 씩 도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캐비티를 그것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제거하기위한 수단을 적용한다.
이후, 무수치를 표백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치아내의 캐비티를 부식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b)상기 캐비티를 세척제로 처리하는 단계,
c)성분(i)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된 하나 이상의 층 및 성분(ii)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된 하나 이상의 층을 각각 한 층 씩 도포하는 단계 및,
d)상기 캐비티를 그 주위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단을 적용하는 단계.
전술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치아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표백 작용은 3 내지 6주내에 완료된다. 치아 또는 치아들의 추가 표백을 원하는 경우,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도내에서 상기 방법을 반복할 수 있다. 통상의 환경하에서, 표백된 치아는 장기간 내지는 더욱 긴 기간동안 상기 표백에 의해 얻은 색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가축용 약제 및 공업용 표백 공정,예컨대 종이에 대한 표백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항균 치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성분(i) 및 성분(ii)가 저 농도, 예컨대 5중량%로 존재한다. 상기 치약은 그 후, 항균 활성 및 표백 또는 색채-보강 활성을 모두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제는 또한 스프레이 붕대, 피부과학적인 샴푸, 비누, 연고 및 겔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표백용 및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특히, 병변 치료용 반응 생성물 또는 반응 생성물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생성물(들)은 성분(i)와 성분(ii)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놀라울 정도로 우수하고 지속되는 표백 효과는 성분(i)와 성분(ii)간의 상승 효과에 기인한다. 성분(i) 또는 성분(ii)자체중의 하나만을 사용하면 결과적으로 처리된 치아가 거의 또는 전혀 표백되지 않으며 상기 화합물은 병변을 치료하기위해서는 그 자체만으로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대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성분(i)와 성분(ii)를 병용하면, 개개의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기대할 수 있는 표백 효과 보다 더욱 우수하고 더욱 오래 지속되는 표백 효과를 갖는다. 이는 두 개의 화합물이 놀라운 방법으로 서로의 효과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록 전술한 이 상승효과의 본질이 알려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어떠한 특정 이론에 매이거나 제한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퍼보레이트(또는 퍼옥시보레이트)의 착물 화학이 이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특성은 그멜린무기화학 핸드북 28권, 파트 7(1975), pp. 221-237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트륨 퍼보레이트 4 수화물의 구조는 더욱 자주 사용되는 화학식 NaBO3·4H2O에 의해서 보다 화학식 NaBO2·H2O2·3H2O에 의해서 더욱 잘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나트륨 퍼보레이트 4수화물의 결정 구조는 상기 화합물이 이핵 음이온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롬 이온은 두 개의 퍼옥소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M.A. Carrondo, A. C. Skapsi, Acta Cryst. B34(1978) 3551). 이 경우, 더욱 선호되는 화학식은 Na2[(HO)2B(O)2B(OH)2]·6H2O이다.
나트륨 퍼보레이트 4 수화물 수용액에 대한 라만 분광분석법에 따르면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평형상태들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발견된다(C. J. Adams 및 I. E. Clark in Polyhedron 2(1983)673-675):
2Na++ [(HO)2B(O)2B(OH)2]-↔ 2Na++ [B(OH)4]-+ H2O2
[B(OH)4]-+ H2O2↔ B(OH)3(OOH)-+ H2O
이러한 평형상태의 위치는 우세한 pH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농축 용액에서는, [B(OH)4]-가 추가로 반응하여 폴리보레이트를 만들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상기 평형 상태의 도식이 확실히 더욱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H2O2는 매우 온화한 효과를 보이며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용도에 대하여 단기간의 활성만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특히, 탁월하고 또한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효과는 화학식 H2O2에 기초하거나 이에 의해 야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조건에 따라, 나트륨 퍼보레이트 4 수화물은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인 Na2B4O7및 산소로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멜린 무기화학 핸드북 28권, 파트 7(1975), pp. 221-237). 비록 치아(무수치 처리) 또는 구강 캐비티(유수치 처리)에서 우세한 조건이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산소는 표백제의 활성 성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가 구강 캐비티내에 사용될 때, 환자는 H2O2에 의해 야기되는 알려진 통증 또는 격심한 흥분을 경험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H2O2의 매우 느린 또는 지연된 형성 및/또는 매우 적은 분량의 H2O2의 형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는 그럴듯한 데,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제가 매우 소량의 물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커크-오트머의 화학기술 백과사전 파트 13(1981), 페이지 15에 의하면, H2O2는 하이퍼클로라이트와 같은 비교적 강력한 산화제를 환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예컨대,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를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상기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는 이어서 염소 및 히드록시 음이온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는 분해하여 산소 및 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실질적으로 산소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놀라울 정도로 우수한 장기 지속적인 효과는 각각 성분(i) 및 (ii)의 통상적인 표백 메카니즘의 결합에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비록 이러한 메카니즘이 절대적으로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와 같은 성분(ii)의 표백 작용은 대개 불포화 탄소-탄소 결합의 에폭시화에 의해 일어난다. 그래서 또한 예를 들면,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와 같은 성분(i)의 표백 작용은 통상 소위 하이포할라이트 반응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반응 이외에도 예를 들면, HOCl 대 불포화 탄소-탄소 결합이 일어나며 HOCl이 첨가되는 경우, 소위 클로로히드린이 형성된다. 그러나, 비록 전술한 기타 화합물이 표백작용에 기여한다는 것을 제외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 제제의 표백 작용에서 산소는 현저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무수치 및 유수치를 각각 표백하는 방법의 두가지 양태, 단순 포진에 의해 야기된 병변을 치료하는 방법의 양태 및 본 발명의 제제를 함유하는 치과용품 및 화장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양태와 함께 하기에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I
본 실시예는 무수치를 표백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에 무수치과학적 치료를 실시하였다는 것을 확증하기위해 먼저 X-레이 사진을 찍었다. 그 후, 적어도 상기 사진으로부터 평가될 수 있는 한, 도관이 적당하게 폐쇄되었는 가에 대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만약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무수치과학적 치료를 이 지점에서 수행한다.
그 후, 펄프 캐비티내에 존재하는 구개골 또는 폐색 충전물 및 도관 충전물의 부분을 연속하여 제거한다. 상기 도관 충전이 협측 치은(buccal gingiva) 레벨 아래 적어도 2mm 까지 아래로 제거됐는 가를 결정하기 위한 포켓 탐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예를 들면, 얇은 엔도톤틱 파일을 사용하여 상기 도관 충전이 뿌리 도관을 적절하게 밀폐했는 가를 결정하기위해 조사하였다.
치아내에서 만들어진 구멍내에 에나멜 및 상아질을 37% 오르토인산으로 10 내지 60초 동안 부식시키고, 이후, 구멍을 물로 10초 동안 헹구어서 부식제를 제거한다. 그 후, 치아내 상아질을 20% EDTA용액으로 10 내지 60초 동안 치료하였다. 이후에 상기 구멍을 물로 다시 10초간 헹구었다. 그후 치아를 송풍 건조시켰다. 표백제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층내에 도포하였다. 나트륨 퍼보레이트 및 물로 구성된 제조된 제제의 한 층을 먼저 상개 캐비티의 가장 깊은 지점에 도포하였다. 분말을 면 울 볼을 사용하여 약간 압착하였다. 이어서, 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 및 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면 울 볼을 가져갔다. 이러한 면 울 볼을, 나트륨 퍼보레이트와 물로 된 제제의 상단 캐비티내로 밀어넣었다. 이러한 후자의 단계를 몇번 반복하여 표백 제제의 적층물을 형성하였다. 캐비티내의 최종 층은 항상 나트륨 하이퍼클로라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되어야 한다. 그 후, 일시적인 수복작용에 의해 상기 캐비티를 밀폐시켰다. 이러한 일시적인 수복작용은 폐색 및 관절 접합 측면에 있어서 완료되어야 한다.
실시예 II
본 실시예는 유수치 표백 방법을 기술한다:
하기 조성을 갖는 두 개의 성분(a) 및 (b)를 제조하였다.
성분(a):
물중의 4%나트륨 하이포클로라이트 5㎖
시트르산 나트륨 2mg
플루오르화 나트륨 4mg(물중의 0.4%용액)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4mg
글리세롤 2.5㎖
물중의 소르비톨 70% 2.5㎖
성분(b):
나트륨 퍼보레이트 4 수화물 3g
시트르산 나트륨 2mg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4mg
글리세롤 5㎖
물중의 소르비톨 70% 5㎖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나트륨 2mg
성분(a) 및 (b)를 다음과 같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롤 및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를 먼저 혼합하고 이어서, 소르비톨을 혼합하였다. 그 후, 다른 성분은 임의의 순서로 첨가할 수 있다. 원한다면, 전체 혼합물을 혼합하는 도중 간단히 약 100℃로 가열할 수 있다. 이 결과, 더욱 균질한 혼합물을 얻었다. 가공능을 단순화하기 위해, 상기 두성분 (a) 및 (b)를 소위 듀오 주사기내에 혼합할 수 있다.
표백처리 전에, 칫솔질 및 덴탈 플로스 및/또는 이쑤시개 및/또는 솔형 투쓰 클리너를 사용하므로써 치아를 충분히 세척한다. 그 후, 동량의 성분(a) 및 성분(b)를 혼합 트레이내에 놓음으로써 상기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두 성분을 스파툴라의 도움으로 10초간 혼합하였다. 이렇게 얻은 혼합물을 미리 규격화한 실리콘 슬리브의 내부에 도포하는 데 그 방법은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들)의 뺨 측면을상기 제제와 접촉시켜서 이 때, 실리콘 슬리브가 치아상에 고정되게 한다. 과량의 제제를 제거하였다. 실리콘 적어도 8 시간동안 상기 제위치에 남겨두어야 하며 이것이 바람직하다. 연이어, 실리콘 슬리브를 제거하고 충분량의 물로 수회 충분히 헹구었다. 마지막 단계로서, 다시 칫솔질 및 덴탈 플로스 및/또는 이쑤시개 및/또는 브러시형 투쓰 클리너를 사용하므로써 치아를 충분히 세척한다.
실시예 III
성분(a) 및 (b)를 동일한 양으로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그 제제를 초기 단순 포진 병변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손상된 조직에 바름으로써 도포하였다. 그 도포는 하루 약 4 회 반복하였다. 손상된 조직은 5 일내에 완전히 치유되는 반면, 상기 병변은 대개 2 내지 3 주만에 대개 없어진다.
성분(a) 및 (b)을 10:1 내지 1:10의 비로 함유하는 제제를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IV
다음과 같이 항균 치약을 제조하였다. 먼저 성분(a) 및 성분(b)를 동량으로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제 0.1 내지 50중량% 및 치약내에 사용된 조성물 50 내지 99중량%를 함유하는 상기 항균 치약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롤, 물, 실리카 크세로겔, 나트륨 라우릴설페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소르비톨, 플루오르화 나트륨, 향미료 및 착색료와 같은 성분들을 함유한다.
실시예 V
다음과 같이 피부과학적 샴푸를 제조하였다. 먼저 성분(a) 및 성분(b)를 동량으로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제 0.1 내지 75중량% 및 샴푸에 사용되는 조성물 25 내지 99.9중량%를 함유하는 피부과학적 샴푸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나트륨 라우릴설페이트, 라우릴 알코올, 염화 나트륨, 지방산의 알칸올아미드, EDTA, 콘디쇼너 및 비듬방지제와 같은 통상의 성분을 함유한다.
실시예 VI
다음과 같이 스프레이 붕대를 제조하였다. 먼저 성분(a) 및 성분(b)를 동량으로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제 0.1 내지 75중량% 및 스프레이 붕대에 사용되는 조성물 25 내지 99.9중량%를 함유하는 스프레이 붕대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톤, 에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 셀룰로오즈 유도체, 펜탄 및/또는 부탄과 같은 추진제 및 임의로 1 종 이상의 항균제 또는 방부제를 함유한다.
실시예 VII
다음과 같이 피부과학적 비누를 제조하였다. 먼저 성분(a) 및 성분(b)를 동량으로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제 0.1 내지 75중량% 및 비누에 사용되는 조성물 25 내지 99.9중량%를 함유하는 피부병학적인 비누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연성 비누 또는 액체 또는 고체 지방산 계 비누에 사용되는 나트륨 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와 같은 통상의 성분을 함유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기 (a) 및 (b)성분을 결합시킨 치아 표백용 또는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치료용 제제의 제조방법:
    (a)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OmX-(식 중, A는 주기율 표의 1 족 또는 2 족의 금속이고, n = 1 또는 2 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 = 1∼4임)로 이루어진 성분(i)가 존재하는 겔 또는 페이스트 및
    (b)적어도 양이온 An+및 음이온 [BpOq]r-(식 중, A는 주기율 표의 1 족 또는 2 족의 금속이고, p = 1∼4, q = 1∼8, r = 1∼3)로 이루어진 성분(ii)가 존재하는 겔 또는 페이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이고, n = m = p = 1, q = 2 또는 3이고 r = 1∼3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는 나트륨이고, X는 염소이고 q = 3 이고 r = 1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 및 (b)는 (iii)결합제, (iv)젤라틴성 점도부여제, (v)수분 손실을 없애주는 시약으로 이루어진 성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성분(iii)는 글리세롤,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검이고, 성분(iv)는 셀룰로오즈 물질이고, 성분(v)는 알디톨인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iii)는 글리세롤이고, 성분(iv)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이고, 성분(v)는 소르비톨인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는 하기 (1) 내지 (3)단계에 따라 제조되는 방법:
    (1) 성분(iii) 및 (iv)를 혼합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v)와 혼합하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i)와 혼합하는 단계.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b)는 하기 (1) 내지 (3)단계에 따라 제조되는 방법:
    (1) 성분(iii) 및 (iv)를 혼합하는 단계,
    (2) 단계(1)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v)와 혼합하는 단계, 및
    (3) 단계(2)에서 얻은 혼합물을 성분(ii)와 혼합하는 단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는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를 포함하고 성분(b)는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의 성분(ii)를 포함하는 방법.
  10. 하기 (I) 내지 (IV)단계를 포함하여 유수치를 표백하는 방법:
    (I)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적어도 보이는 부분의 모양에 상보적인 모양의 캡을 제조하는 단계,
    (II)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방법에 따라 얻은 제제를 이 캡의 내부에 도포하는 단계,
    (III)상기 제제가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상기 캡을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부에 고정시키고, 캡을 이 위치에 적어도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9시간 동안 놓아두는 단계, 및
    (IV)상기 캡을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모양은 표백하고자 하는 치아의 보이는 부분이 그것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거의 또는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조절하거나 또는 조절할 수 있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방법에 따라 얻은 제제를 사용하여 피부 병소 및 점막 질환 및 특히 병변을 치료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단순 포진 병변, 아프타, 여드름, 습진, 피부 또는 점막상의 사상균, 사마귀, 구강 및 입술 코너의 갈라짐, 수두 또는 미생물에 기인한 기타 병변의 치료에 상기 제제를 사용하는 방법.
  14. 성분(i) 및 성분(ii)를 무수치의 캐비티내에서 교대로 한 층 씩 도포하는 무수치의 표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표백제는 서방성으로 도포되는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하기 (a) 내지 (d)단계룰 포함하는 방법:
    (a)치아내의 캐비티를 부식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b)상기 캐비티를 세척제로 처리하는 단계,
    (c)성분(i)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된 하나 이상의 층 및 성분(ii)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된 하나 이상의 층을 교대로 한 층 씩 도포하는 단계 및,
    (d)상기 캐비티를 그 주위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단을 적용하는 단계.
  17.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방법에 따라 얻은 제제를 항균 치약, 분무 붕대, 피부과학적 샴푸, 비누, 연고 및 겔에 사용하는 방법.
  18. 제 1 항의 (a)에서 정의한 겔 또는 페이스트.
  19. 제 1 항의 (b)에서 정의한 겔 또는 페이스트.
  2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제제.
KR1019970705833A 1995-02-24 1996-02-23 치아표백용또는피부병및점막질환치료용제제의제조방법 KR100425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500373A NL9500373A (nl) 1995-02-24 1995-02-24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combinatiepreparaat voor het bleken van gebitselementen enerzijds en voor huid- en slijmvliesaandoeningen anderzijds alsmede toepassing daarvan.
NL9500373 1995-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434A true KR19980702434A (ko) 1998-07-15
KR100425424B1 KR100425424B1 (ko) 2006-05-17

Family

ID=1986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833A KR100425424B1 (ko) 1995-02-24 1996-02-23 치아표백용또는피부병및점막질환치료용제제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017515A (ko)
EP (1) EP0814756B1 (ko)
JP (1) JPH11500722A (ko)
KR (1) KR100425424B1 (ko)
CN (1) CN1174737C (ko)
AT (1) ATE228819T1 (ko)
AU (1) AU708145B2 (ko)
BR (1) BR9607256A (ko)
CA (1) CA2213476C (ko)
CZ (1) CZ297911B6 (ko)
DE (1) DE69625181T2 (ko)
DK (1) DK0814756T3 (ko)
ES (1) ES2185761T3 (ko)
FI (1) FI118456B (ko)
HK (1) HK1009396A1 (ko)
HU (1) HU229212B1 (ko)
NL (1) NL9500373A (ko)
NO (1) NO312937B1 (ko)
NZ (1) NZ302439A (ko)
PL (1) PL184604B1 (ko)
PT (1) PT814756E (ko)
RO (1) RO119813B1 (ko)
RU (1) RU2166932C2 (ko)
TR (1) TR199700817T1 (ko)
WO (1) WO1996025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500373A (nl) * 1995-02-24 1996-10-01 Diamond White Av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combinatiepreparaat voor het bleken van gebitselementen enerzijds en voor huid- en slijmvliesaandoeningen anderzijds alsmede toepassing daarvan.
EP0862408B1 (en) * 1995-09-25 2003-02-19 Robert Eric Montgomery Tooth bleaching compositions
AU3967497A (en) * 1996-07-29 1998-02-20 Robert Eric Montgomery Chlorine dioxide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SE507437C2 (sv) * 1996-11-14 1998-06-08 Medi Team Dentalutveckling I G Preparat för användning vid kemisk-mekanisk behandling av kariesangrepp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preparatet
SE511276C2 (sv) * 1998-01-09 1999-09-06 Mediteam Dentalutveckling I Go Preparat för användning vid behandling av kariesangrepp
US6077502A (en) * 1998-02-27 2000-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US6132702A (en) 1998-02-27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US6350438B1 (en) 1998-02-27 2002-0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US6251372B1 (en) 1998-02-27 2001-06-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US6039934A (en) * 1998-08-04 2000-03-21 Alliger; Howard Use of xanthan gum for gelling CIO2 and related species
SE514784C2 (sv) * 1998-08-17 2001-04-23 Mediteam Dental Ab Metod och preparat för rengöring av rotytor och omgivande vävnader hos tänder
US5980904A (en) * 1998-11-18 1999-11-09 Amway Corporatio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bearberry extract and a reducing agent
SE513433C2 (sv) * 1999-01-19 2000-09-11 Mediteam Dentalutveckling I Go Preparat för kemisk-mekanisk tandbehandling innehållande en aminhaltig förening som reaktivitetsdämpande komponent
SE513404C2 (sv) * 1999-01-19 2000-09-11 Mediteam Dentalutveckling I Go Preparat för kemisk-mekanisk tandbehandling innehållande en klorförening som aktiv komponent
DE19934585A1 (de) 1999-07-23 2001-01-25 Rapp Horst Salbe zur Behandlung von dermatologischen Erkrankungen
US6409993B1 (en) 1999-11-04 2002-06-25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bleaching compositions incorporating perborates
US6689344B2 (en) 2000-03-17 2004-02-10 Lg Household & Healthcare Ltd. Patches for teeth whitening
US8652446B2 (en) * 2000-03-17 2014-02-18 Lg Household & Healthca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whitening teeth
ES2320321T3 (es) * 2000-03-17 2009-05-2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rches para blanquear dientes.
US7785572B2 (en) 2000-03-17 2010-08-31 Lg Household And Health Care Ltd. Method and device for teeth whitening using a dry type adhesive
US6582682B2 (en) 2000-10-30 2003-06-24 Noville, Inc.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tabilized chlorine dioxide
US8206738B2 (en) * 2001-05-01 2012-06-26 Corium International, Inc. Hydrogel compositions with an erodible backing member
US6946142B2 (en) * 2001-06-23 2005-09-20 Lg Household & Healthcare Ltd. Multi-layer patches for teeth whitening
US6696047B2 (en) 2001-09-13 2004-0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US20030133893A1 (en) * 2002-01-15 2003-07-17 Degania Silicone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ailments
US20060161121A1 (en) * 2003-02-06 2006-07-20 Dehli-Cleve Collection As Peroxide compositions
US20050118115A1 (en) * 2003-10-24 2005-06-02 Fontenot Mark G. Accelerated tooth whitening method, composition and kit
US20080274206A1 (en) * 2004-10-07 2008-11-06 Ngen Pharmaceuticals N.V. Stabilised Oxygen Releasing Composition
WO2006038803A2 (en) * 2004-10-07 2006-04-13 Ngen Pharmaceuticals N.V. Composition for treating wounds and burns
US20120148516A1 (en) * 2010-12-10 2012-06-14 Precision Dermatology, Inc. Tandem Hypochlorite-Barrier Repair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Eczema
DE102019101434A1 (de) * 2019-01-21 2020-07-23 Hager & Werken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oder Prävention von Infektionen und Entzündungen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04344A (ko) *
US1435498A (en) * 1920-01-16 1922-11-14 Ernest D Resnik Dentifrice
GB552803A (en) * 1941-07-21 1943-04-27 William Robertson Bruce An improved antiseptic particularly applicable as a mouth wash or cleaner for natural and artificial teeth
US3372125A (en) * 1965-11-15 1968-03-05 Peter Strong & Company Inc Denture cleanser
US3574824A (en) * 1968-05-03 1971-04-13 Warner Lambert Pharmaceutical Anhydrous toothpaste formulation
US3886266A (en) * 1971-02-22 1975-05-27 Nat Patent Dev Corp Dental treatment
US3793211A (en) * 1971-07-23 1974-02-19 Carter Wallace Effervescent composition
US4060600A (en) * 1972-10-26 1977-11-29 National Patent Development Corporation Treating teeth
GB1469398A (en) * 1973-05-21 1977-04-06 Oral Health Prod Inc Dental treatment
US3936385A (en) * 1973-08-09 1976-02-03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ure cleanser
US3988433A (en) * 1973-08-10 1976-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removing stains from teeth
ZA828968B (en) * 1981-12-08 1983-11-30 Warner Lambert Co Denture cleanser
IT1150603B (it) * 1982-01-26 1986-12-17 Ugo Baldacci Composizione per la pulizia e l'igiene dentaria
CH661994A5 (de) * 1983-02-21 1987-08-31 Jaeger Walter Verfahren zur uebertragung von informationen und befehlen von einer bodenstelle auf ein schienenfahrzeug.
US4574084A (en) * 1983-02-25 1986-03-04 Peter Berge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modified aqueous chlorite solution, the solution prepared by this process and the use thereof
JPH06102522B2 (ja) * 1983-02-25 1994-12-14 バーガー,ピーター 変性亜塩素酸塩水溶液の製造方法
US4490269A (en) * 1984-01-13 1984-12-25 Warner-Lambert Company Effervescent denture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monoperphthalate
US4552679A (en) * 1984-03-16 1985-11-12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for deodorizing hypochlorite denture cleansing solutions and product containing a delayed release hypochlorite deactivator
US5041280A (en) * 1987-10-01 1991-08-20 Epilady Usa, Inc. Toothpaste composition for stain removal
CN1041101A (zh) * 1988-09-11 1990-04-11 任逢 斑牙净剂配方
WO1990009165A1 (en) * 1989-02-15 1990-08-23 Murayama Ronald K Teeth whitener
US5032178A (en) * 1990-02-02 1991-07-16 Demetron Research Corporation Dental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bleaching teeth
EP0451105A2 (en) * 1990-04-04 1991-10-09 Warner-Lambert Company Side-by-side effervescent tablet for dental prostheses
US5240415A (en) * 1990-06-07 1993-08-31 Haynie Michel B Dental bleach system having separately compartmented fumed silica and hydrogen peroxide and method of using
US5165424A (en) * 1990-08-09 1992-11-24 Silverman Harvey N Method and system for whitening teeth
US5279816A (en) * 1991-11-22 1994-01-18 Colgate-Palmolive Co. Or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ooth whitening effect
US5217710A (en) * 1992-03-05 1993-06-08 Chesebrough-Pond's Usa Co. Stabilized peroxide gels containing fluoride
US5264205A (en) * 1992-09-09 1993-11-23 Faria Ltd. Oral hygiene composition
US5302375A (en) * 1992-11-19 1994-04-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ooth whitening effect
US5372802A (en) * 1993-09-02 1994-12-13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tabilized peroxide gels containing fluoride
US5372803A (en) * 1993-09-02 1994-12-13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Dental compositions with zinc and bicarbonate salts
US5374368A (en) * 1993-10-25 1994-12-20 Church & Dwight Co., Inc. Stable sodium percarbonate formulation
GB2290233B (en) * 1994-05-21 1998-06-17 Medical Express Tooth-whi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both chlorite and chlorate salts
GB2289841B (en) * 1994-05-23 1998-04-15 Janina International Oral care products
US5632972A (en) * 1994-06-30 1997-05-27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Method for treating gingival and periodontal tissues
US5522726A (en) * 1994-10-27 1996-06-04 Hodosh; Milton Method for anesthetizing teeth
NL9500373A (nl) * 1995-02-24 1996-10-01 Diamond White Av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combinatiepreparaat voor het bleken van gebitselementen enerzijds en voor huid- en slijmvliesaandoeningen anderzijds alsmede toepassing daarvan.
US5648064A (en) * 1995-07-07 1997-07-15 Gaffar; Abdul Oral compositions having accelerated tooth whitening effect
US5713738A (en) * 1995-12-12 1998-02-03 Britesmile, Inc. Method for whitening teeth
US5645428A (en) * 1995-12-12 1997-07-08 Britesmile, Inc. Method for whitening teeth
AU3967497A (en) * 1996-07-29 1998-02-20 Robert Eric Montgomery Chlorine dioxide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73468A0 (fi) 1997-08-22
ES2185761T3 (es) 2003-05-01
NL9500373A (nl) 1996-10-01
NZ302439A (en) 1998-12-23
HUP9801365A3 (en) 2000-03-28
US6017515A (en) 2000-01-25
PT814756E (pt) 2003-03-31
DE69625181T2 (de) 2003-07-24
HK1009396A1 (en) 1999-09-10
TR199700817T1 (xx) 1998-02-21
WO1996025916A1 (en) 1996-08-29
CA2213476C (en) 2009-04-28
HU229212B1 (en) 2013-09-30
RO119813B1 (ro) 2005-04-29
BR9607256A (pt) 1997-12-30
NO973839D0 (no) 1997-08-21
KR100425424B1 (ko) 2006-05-17
HUP9801365A2 (hu) 1998-12-28
RU2166932C2 (ru) 2001-05-20
AU708145B2 (en) 1999-07-29
JPH11500722A (ja) 1999-01-19
FI118456B (fi) 2007-11-30
FI973468A (fi) 1997-08-22
CZ267697A3 (cs) 1998-01-14
NO312937B1 (no) 2002-07-22
PL321862A1 (en) 1997-12-22
MX9706420A (es) 1998-07-31
EP0814756B1 (en) 2002-12-04
EP0814756A1 (en) 1998-01-07
CZ297911B6 (cs) 2007-04-25
NO973839L (no) 1997-08-21
CN1174737C (zh) 2004-11-10
CA2213476A1 (en) 1996-08-29
DE69625181D1 (de) 2003-01-16
AU4849296A (en) 1996-09-11
PL184604B1 (pl) 2002-11-29
CN1175898A (zh) 1998-03-11
DK0814756T3 (da) 2003-01-06
ATE228819T1 (de) 200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5424B1 (ko) 치아표백용또는피부병및점막질환치료용제제의제조방법
EP0446524B1 (en) Oral hygiene composition
EP2349189B1 (en) Biomimetic oral care composition
AU2002226726B2 (en) Tooth bleaching agents and method of bleaching teeth
FR2510400A1 (fr) Preparations dentaires a base d'hydroxyde de calcium
KR20110118777A (ko) 치아의 탈광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EP2004133A2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bleaching teeth
KR101866926B1 (ko) 구강유용물질을 포함하는 구강용 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102395569B1 (ko) 치아 미백용 구강 조성물
WO2023277054A1 (ja) 口腔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503880B2 (ja) 口腔用組成物
MXPA97006420A (es) Una preparacion para el blanqueado de dientes o para el tratamiento de lesiones de la piel y desordenes de la membrana mucosa
RU2093137C1 (ru) Состав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KR20070071225A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RU2232590C1 (ru) Применение масла из семян растения рода амарант в качестве компонента средств гигиены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полости рта
WO2023059280A1 (en) Toothpaste composition with whitening feature
RU2063747C1 (ru) Состав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JPH01199907A (ja) 歯磨き剤
KR20120021909A (ko) 기능성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165551A (ja) 口腔用組成物
JP2005320321A (ja) 歯磨剤組成物
JP2001348212A (ja) ハイドロキシアパタイトの製造方法
JPH07165548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