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675A -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 Google Patents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675A
KR19980086675A KR1019980015457A KR19980015457A KR19980086675A KR 19980086675 A KR19980086675 A KR 19980086675A KR 1019980015457 A KR1019980015457 A KR 1019980015457A KR 19980015457 A KR19980015457 A KR 19980015457A KR 19980086675 A KR19980086675 A KR 1998008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socyanate
foam
semi
cell o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앨런 제임스 해밀튼
Original Assignee
스위넌 앤 마리
임페리얼 케미컬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넌 앤 마리, 임페리얼 케미컬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스위넌 앤 마리
Publication of KR1998008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08J9/146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only fluorine as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28Polyamin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6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19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3842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G18/384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9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6 or 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75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COOH-groups; Ester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30/00Thermal insulation material
    • C08G2330/50Evacuated open-celled polyme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Open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op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8Semi-flexible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25D2201/126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with open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개방제로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아민, 또는 지방산 아미드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다.

Description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본 발명은 개방 셀을 갖는 셀식 폴리우레탄 재료 및 특히 이들 발포체를 제조하는 혹종의 셀 개방 제제의 사용에 관한다.
폴리우레탄 및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다른 중합체 시스템을 베이스로 하는 발포된 재료의 제조는 널리 확인되어 있다.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제물에 따라, 제품은 완충재료로서 사용되는 부드러운 유연 발포체로부터 단열 및 구조 재료로서 사용되는 (반-)경질 발포체에 이르기까지 조직이 여러가지일 수 있다.
유연 발포체는 개발 셀 형태인 반면, (반-)경질 발포체는 폐쇄 셀 또는 개발 셀일 수 있다. 개방 셀 (반-)경질 발포체의 중요한 용도는 예를들어 제JP-A-133870/82호, 제EP-A-498628호 및 제EP-A-18880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기를 뺀 단열 패널에서 필터로서이다. 개방 셀 (반-)경질 발포체의 최근 개발된 또다른 용도는 냉장고, 냉동고 또는 보일러와 같은 단 장치의 외벽 및 내벽 사이 코어용 필터로서이다. 양호한 단열 특성을 얻기 위하여, 코어는 이후 진공으로 하고 용접밀봉한다. 요구되는 고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니트를 유니트 자체에 탑재된 진공 펌프에 영구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제WO95/20136호를 참조하시오). 이와는 다르게, 진공으로 한 후 발포된 공동을 단열 기체로 다시 채우고 제WO97/2176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밀봉시킬 수 있다.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발포제 및 셀 개방제의 존재하에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과거에는 여러 가지 셀 개방 기술이 기술되어 왔다. 이들에는 폴리에틸렌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고체 셀 개방제의 사용(예를들어, 제US 5312846호, 제US 5281632호 및 제US 5250579호에 기술됨), 실리콘 및 비실리콘 계면활성제의 사용(예를들어, 제DE 3928867호 및 제DE 3122790호에 기술됨), 수증기의 사용 및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형 우레아의 사용(예를들어, 제EP-A-498628호 및 제EP-A-498629호에 기술됨)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에틸렌 발포체 제품에서 고 개방 셀 함량(85% 초과)이 필요하다. 특히 성형 발포체의 경우(예를들어, 단열 장치의 코어를 채우기 위해 사용될 경우) 최소한의 폐쇄 셀 경사도(발포체 표면으로부터 코어를 향하여) 및 고 과잉패킹시 높은 개방 셀 함량을 얻는 현존 셀 개방 기법으로는 이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단점을 보이지 않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용의 신규한 셀 개방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셀 개방제로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아민 또는 지방산 아미드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지방산이란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과 같은 다른 관능 그룹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될 수 있는 7-100, 바람직하게는 10-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2-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카복실산(일염기 및/또는 이염기)을 기술하는 것이다. 본 발명 셀 개방제가 유도될 수 있는 적당한 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톨레산, 팔모토에산, 팔미트산, 리놀레산, 올레산, 세틸산, 스테아릴산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들 지방산의 배합물 또한 적당하다.
이들 지방산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아민,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의 형태로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산이 R-COOH에 해당하고 아민이 R-NR′R″에 해당할 경우 아미드는 R-CO-NR′R″에 해당하고 에스테르는 R-COOR′″(식중, R′ 및 R″은 수소 또는 C1-10을 갖는 알킬 그룹이고 R′″은 C1-10을 갖는 알킬 그룹을 나타냄)에 해당한다. 산은 다관능일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유도되는 아민, 아미드, 에스테르 역시 다관능일 수 있다(예를들어 지방산 디아민). 글리세롤 또는 트리메틸올펜탄과 같은 제제로 가교결합시켜 상기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수크로즈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슈거와 지방산을 반응시킨 다음 에톡실화 또는 프로폭실화시켜 얻어지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생성물 만큼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의 아민, 아미드 및 에스테르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셀 개방제의 예는 수지 디아민(C16-30-디아민의 착혼합물임), Munch Chemie-Labor사 제품인 시판 INT 494/792/0, 494/792/1, 494/792/2 및 494/792/4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와 수지 디아민의 혼합물 및 다음의 지방산 디아민, C19H38(NH2)2, C23H46(NH2)2및 C25H50(NH2)2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둘 이상의 셀 개방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셀 개방제는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적당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우레탄-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발포체 제조용으로 업계에 공지된 혹종의 것들로서, 특히 2,4′-, 2,2′-, 및 4,4′-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야) 및 2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를 갖는 조 또는 중합체 MDI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업계에 공지된 이의 올리고머의 혼합물, 2,4- 및 2,6-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형태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4-디이소시아나토벤젠을 포함한다. 언급할 수 있는 다른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및 4,4′-디이소시아나토디싸이클로헥실메탄과 같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은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우레탄-개질된 폴리이소시안우레이트 발포체의 제조를 위하여 업계에 공지된 혹종의 것들을 포함한다. 폴리올 및 300-1000, 특히 300-700 mg KOH/g의 평균 하이드록실수 및 2-8, 특히 3-8의 하이드록실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 혼합물이 (반-)경질 발포체의 제조에 특히 중요하다. 적당한 폴리올은 선행 기술에 완전히 기술되어 왔으며 예를들어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 옥사이드와 분자당 2-8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개시제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적당한 개시제는 폴리올, 예를들어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수크로즈 ; 폴리아민, 예를들어 에틸렌 디아민, 톨일렌 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및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아민 ; 및 아미노알콜, 예를들어 에탄올아민 및 디에탄올아민 ; 및 이러한 개시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적당한 중합체 폴리올은 적당한 비율의 글리콜 및 높은 관능성 폴리올을 디카복실산 또는 폴리카복실산으로 축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또다른 적당한 중합체 폴리올은 하이드록실 말단된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은 소르비톨 또는 에틸렌디아민 또는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또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아민에 의하여 개시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반응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의 양은 제조될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우레탄-개질된 폴리이소시안우레이트 발포체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것이다.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우레탄-개질된 폴리이소시안우레이트 발포체의 제조에 대하여 업계에 공지된 혹종의 발포제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발포제는 물 또는 다른 이산화탄소-방출 화합물 또는 대기압에서 -70℃ 이상의 비점을 갖는 비활성 저비점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활성 저비점 화합물의 예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같은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1,1,1-트리플루오로-2-플루오로에탄 및 1,1,1-트리플루오로-3,3-디플루오로프로판과 같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및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싸이클로펜탄 및 혹종의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통상적인 셀 크기, 즉 5-0.1 mm의 셀 크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열 전도성을 더 낮추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셀 크기(50-150 마이크론)를 갖는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용한다. 이들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을 기포-형성 혼합물내로 합체시키거나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조절된 공기 핵형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본원에서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불용성이란 말은 25℃ 및 대기압에서 500 중량ppm 미만으로 배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서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된다.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은 제US-P-4,981,879호, 제US-P-5,034,424호, 제US-P-4,972,002호, 제EP-A-0508649호, 제EP-A-0498628호 및 제WO95/18176호에 기술된 혹종의 것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된이란 플루오르화되지 않은 화합물의 50% 이상의 수소 원자가 플루오르로 대체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당한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된 하이드로카본,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된 에테르,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된 t-아민,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된 아미노-에테르 및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된 설폰을 포함한다. 퍼플루오로-n-펜탄 및 퍼플루오로-n-헥산 및 퍼플루오로(4-메틸펜트-2-엔)과 같은 퍼플루오로펜탄 및 퍼플루오로헥산의 여러 가지 이성질체를 특히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혹종의 적당한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은 특히 비점이 반응 혼합물에 의하여 얻어지는 발열 온도보다 낮을 경우 기포-형성 반응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스스로 발포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의심의 여지없이 이러한 물질은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의 기능 외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발포제의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의 양은 총 기포-형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5-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6-2.3 중량%이다.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주요성분 중 하나에 즉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성분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내에 유액 또는 미세유액의 형태로 기포-형성 반응 혼합물에 합체될 것이다. 이러한 유액 또는 미세유액은 종래의 기술 및 적당한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내 플루오르화된 액체 화합물의 적당한 유액 또는 미세유액을 제조하기 위한 적당한 유화제는 비이온성, 이온성(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플루오로 계면활성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또는 알콕실화된 알칸이다. 사용되는 유화제의 양은 기포 형성 반응 시스템 100 pbw 당 0.02-5 pbw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올 조성물 100 pbw 당 0.05-10 pbw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 발포제 및 셀 개방제 외에, 기포-형성 반응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및 우레탄-개질된 폴리이소시안우레이트 발포체 제조용 조제물에 전통적인 하나 이상의 다른 보조물 또는 첨가물을 함유할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첨가제에는 가교결합제(예를들어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저분자량 폴리올), 기포-안정화제 또는 계면활성제(예를들어 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우레탄 촉매(예를들어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또는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와 같은 주석 화합물 또는 디메틸싸이클로헥실아민 또는 트리에틸렌 디아민과 같은 t-아민), 난연제(예를들어, 트리스 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또는 알킬 포스페이트와 같은 할로겐화된 알킬 포스페이트) 및 비활성 미립물질, 중합체 미립물질(이를테면 중합체 폴리올), 특정 계면활성제, 용매 또는 폴리올과 같은 비상용성 액체, 벤토나이트 클레이와 같은 무기 충진제, 실리카 미립물질(특히 발연 실리카), 글속 박편 및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추가의 셀개방제를 포함한다.
본 셀 개방제를 일반적으로 공지된 혹종의 셀 개방 기술과 더불어 사용할 경우 개방 셀 함량 및 폐쇄 셀 경사도의 견지에서 훨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예를들어 본 발명 셀 개방제는 고체 셀 개방제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고체 셀 개방제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친수성 실리카(Degussa사 제품)를 포함한다. 이들 고체 셀 개방제는 총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의 여러 가지 양으로 사용된다.
이와는 다르게, 본 셀 개방제는 표면-활성 셀 개방제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표면-활성 셀 개방제의 예에는 높은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을 갖는 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예를들어, Tween 21, 20, 40, 60, 85, Span 20, 60, 80, Myrj 45-52, Atlas G4884, G4885, G3730, G3780, Atmos 150, 300, Atpet 80, 100, 200, 모두 Imperial Chemical Industries사 제품임), 개질된 폴리실록산(이를테면, Goldschmidt사 제품인 Tegostab B 8919 및 Ortigol 501 및 OSi제품인 UAX 6164)을 포함한다. 이들 표면-활성 셀 개방제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5-5,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의 여러 가지 양으로 사용된다.
본 셀 개방제는 또한 셀을 개방하기 위하여 수증기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5-30 중량%의 높은 수분 함량을 사용한다.
본 셀 개방제와 더불어 사용되는 바람직한 보충적 셀 개방 기법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카보네이트 또는 환식 우레아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셀 개방 기법은 예를들어 제EP-A-498628호, 제EP-A-498629호, 제EP-A-419114호, 제EP-A-662494호, 제WO95/15355호 및 제WO95/02620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들은 모두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합체되어 있다.
상기 공정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은 다음 식에 해당된다 :
[식중, R1또는 R 중 최소한 하나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그룹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Y는 O 또는 NR1이고 각 R1은 독립적으로 C1-6의 저급 알킬 라디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그룹으로 치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이며 ; 각 R은 독립적으로 수소, C1-6또는 (CH2)m-X의 저급 알킬 라디칼이며 OH 또는 NH2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그룹이고 m은 0, 1 또는 2이며 ; 및 n은 1 또는 2임.]
바람직한 식(1)의 화합물(식중, Y는 O임)은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인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카보네이트이다.
바람직한 식(1)의 화합물(식중, Y는 NR1임)은 다음 식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우레아이다.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은 총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0.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1-6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총 발포체에 대하여 바람직한 양은 0.5-10 중량%이고 1-5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염 촉매와 함께 사용된다.
바람직한 금속염 촉매는 Ia족 및 IIa족 금속염, 더 바람직하게는 Ia족 및 IIa족 금속 카복실레이트에서 선택된 것들이다.
특히 적당한 촉매는 포타슘 아세테이트 및 포타슘 에틸헥소에이트(예를들어, Imperial Chemical Industries사 제품인 Catalyst LB 또는 Air Products사 제품인 Dabco T45)이다.
금속염 촉매는 총 반응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여 0.01-3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 셀 개방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아민 촉매는 또한 단독으로 또는 금속염 촉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t-아민 촉매의 예에는 디메틸싸이클로헥실아민,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테트라메틸헥산 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N-메틸모폴린,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1-메틸-4-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라진, 3-메톡시-N-디메틸프로필아민, N-에틸모폴린, 디에틸에탄올아민, N-코코모폴린, N,N-디메틸일-N′,N′-디메틸 이소프로필프로필렌디아민, N,N-디에틸-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메틸벤질아민(예를들어, Air Products사 제품인 Polycat 8, 9, 5, 43, BL11, BL17, Dabco T, DMP30, TMR 및 Union Carbide사 제품인 Niax Al, A99, A107)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아민 촉매는 Polycat 5, Polycat 43, PolycatBL11, Polycat BL17, Dabco T, Niax A1, Niax A99 및 Niax A107을 포함한다. 아민 촉매는 총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1-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따라 사용되는 촉매 묶음에는 금속염 촉매 단독(예를들어 Catalyst LB)으로부터 아민 촉매 단독(예를들어, Polycat 43 또는 Dabco T) 및 그 중간의 어느것(예를들어, Catalyst LB 및 Niax A1의 혼합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이다.
미세한 셀의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 및 촉매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조작함에 있어, 공지된 원-샷, 예비중합체 또는 반-예비중합체 기법은 종래의 방법과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반-)경질 발포체는 하드보드, 도금보드, 플라스틱, 종이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물질과 석주, 성형품, 공동 충진물, 분무된 발포체, 기포 발포체 또는 라미네이트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우레아 또는 카보네이트와 함께 본 발명 셀 개방제를 사용함으로써, 고도의 과잉패킹(50%), 감소된 폐쇄 셀 경사도 및 셀 크기 경사도가 감소된 미세한 셀에서도 높은 개발 셀 함량을 갖는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얻어진다. 발포체는 90-250 이상의 지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으로 제조된 발포체는 나중에 진공 및 밀봉되거나 진공 및 단열 기체로 재충진되는 단열 장치의 충진 공동에 대하여 매우 적당하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상은 다음 성분들을 사용하는 다음 실시예를 통하여 예시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
폴리올 A : 490 mg KOH/g의 OH 수 및 4.2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올 B : 540 mg KOH/g의 OH 수 및 3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MEG:모노에틸렌글리콜
폴리올 C : 420 mg KOH/g의 OH 수를 갖는 소르비톨-개시된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올 D : 495 mg KOH/g의 OH 수를 갖는 소르비톨-개시된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올 E : 495 mg KOH/g의 OH 수를 갖는 아민-개시된 폴리에테르 폴리올
Arcol 1010 : Arco사 제품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OH 수 112 mg KOH/g)
PEG 200 : Caldic사 제품인 분자량 2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 실리콘 계면활성제
노닐 페놀 : 알콕실화된 노닐 페놀
Catalyst LB : Imperial Chemical Industries사 제품인 금속촉매
Polycat 41 : Air Products사 제품인 트리아진 촉매
셀 개방제 : Munch Chemie 사 제품인 지방산 에스테르 및 수지 디아민의 배합물인 Munch Chemie 494/792/2
UAX 6164 : OSi사 제품인 표면-활성 셀 개방제
Ortigol 501 : Goldschmidt사 제품인 표면-활성 셀 개방제
Fixapret NF : BASF사 제품인 환식 우레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중합체 MDI 조성물
실시예 1
다음과 같이 아래 표1에 나열한 성분들로부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폴리올 배합물 성분들을 그램단위로 중량 측정하고 적당한 용기내에서 흔들고 교반하면서 잘 혼합하였다. 일단 배합물이 잘 혼합되면 용기를 밀봉하고 배합물의 온도를 30℃로 조절하였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30℃로 조절하고 이중 248g을 타르를 칠한 적당한 용기내로 미리 중량을 달아 넣었다. 폴리올 배합물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재빨리 가하고 표준 실험실 발포체 제조/테스트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적당한 블레이드 프로펠러 혼합기가 장착된 고전단 혼합기(3000 RPM)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10초동안 교반하였다. 10초후,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열된 개방 금속 상자 주형에 부었다. 부은후 생성되는 발포체 상에 부유하는 뚜껑을 설치하여 소위 자유 발생 발포체 보다는 한정된 성형을 자극하였다. 일정시간후(15분 이상) 발포체를 주형에서 분리하여 24시간동안 주위온도에서 경화되게 하였다. 이 시간 이후 발포체를 잘라내어 밀도 폐쇄 셀 함량을 테스트하였다.
표준 DIN 53420에 따라 밀도를 측정하였다. 제한 성형된 밀도는 제조된 발포체 전체에 대하여 35-40 kg/m3이었다. 시판되는 Micromeretics 폐쇄 셀 측정 기계를 사용하여 표준 BS 4370 방법 10에 따라 폐쇄 셀 함량을 측정하였다. 폐쇄 셀 함량은 발포체 스킨(약 1cm)에 가까운 제한 성형된 발포체의 표면 영역 뿐만 아니라 제한 성형된 발포체의 코어내에서도 측정하였다. 주형 가장자리에 대한 근접도(에 따라 폐쇄 셀 함량 범위를 측정하였다(측정점이 주형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폐쇄 셀 함량은 더 높음).
또한 자유 발생 발포체를 동일한 조제물로부터 제조하였다(부유 뚜껑 없음). 자유 발생 밀도를 제조된 발포체 전체에 대하여 22-26 kg/m2이었다. 이 자유 발생 발포체의 폐쇄 셀 함량 또한 측정하였다.
또한 부유 뚜껑 대신 고정 뚜껑을 가지고 발포체를 발포체를 제조하여 고도의 과잉 패킹(약 25%)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발포체의 폐쇄 셀 함량 또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본 발명 셀 개방제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선행 셀 개방 기법을 사용하여 특히 과잉 패킹 조건으로 제조한 발포체(발포체 2번 및 4번)와 비교했을 때 폐쇄 셀 함량이 감소된 개방 셀 발포체(발포체 1번)를 얻게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셀 개방 기법을 선행 셀 개방 기법과 함께 사용하면(발포체 3번 및 5번) 폐쇄 셀 함량은 더욱 감소된다.
발포체 번호 1 2 3 4 5
폴리올 배합물
폴리올 A pbw 77 77 77 77 77
폴리올 B pbw 10 10 10 10 10
MEG pbw 5 5 5 5 5
Arcol 1010 pbw 10 10 10 10 10
계면활성제 pbw 1.0 1 1.0 1.0 1.0
노닐 페놀 pbw 10 10 10 10 10
pbw 4 4 4 2 2
Catalyst LB pbw 2 2 2 2 2
셀 개방제 pbw 3.5 3.5 3.5
UAX 6164 pbw 2 2
Fixapret NF pbw 7.6 7.6
폴리이소시아네이트 pbw 248 248 248 248 248
폐쇄 셀 함량
성형된 발포체 코어 % 10-30 30-50 8-25 15-30 5-15
성형된 발포체 표면(스킨 포함) % 25-50 15-40 25-40 40-80 10-30
자유 발생 발포체 % 0-5 0-10 0-5 0-5 0-5
성형된 고 과잉패킹(25%) 발포체 코어 % 25-70 70-90 25-50 30-70 5-15
실시예 2
아래 표2에 나열된 성분들로부터 성형된 개방 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과잉패킹 15%). 성형된 밀도는 약 62 kg/m3이었다. 이들 성형 발포체의 폐쇄 셀 함량을 상기 실시예1에서처럼 측정하였다. 이들 두 성형된 스킨은 측정에 포함되었다.
또한 동일한 조제물로부터 자유 발생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자유 발생 밀도는 약 31 kg/m3이었다. 이들 자유 발생 발포체의 폐쇄 셀 함량 또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전체 폐쇄 셀 함량이 선행 기술 발포체 보다 본 발명 발포체에 대하여 더 낮음을 보여준다(발포체 7을 발포체 6과 비교 ; 발포체 10을 발포체 11과 비교).
발포체번호 6 7 8 9 10 11
폴리올 A pbw 50 50 50 50 50 50
폴리올 B pbw 50 50 22.5 22.5 22.5 22.5
폴리올 C pbw 27.5 27.5 27.5 27.5
PEG 200 pbw 5 5 5 5 5 5
Catalyst LB pbw 2 2 1 1 1 1
Polycat 41 pbw 1 1 1 1 1 1
계면활성제 pbw 0.5 0.5 0.5 0.5 0.5 0.5
Ortigol 501 pbw 4 4 4 4 4 4
pbw 5 5 5 5 5 5
셀 개방제 pbw 1 0.1 0.3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pbw 230 230 230 230 230 230
폐쇄 셀 함량
자유 발생 발포체 % 0 0 0 0 0 0
성형된 발포체 % 30 10 20 18 5 40
본 셀 개방제를 일반적으로 공지된 혹종의 셀 개방 기술과 더불어 사용할 경우 개방 셀 함량 및 폐쇄 셀 경사도의 견지에서 훨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예를들어 본 발명 셀 개방제는 고체 셀 개방제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본 셀 개방제는 표면-활성 셀 개방제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셀 개방제는 또한 셀을 개방하기 위하여 수증기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셀 개방제(cell opening agent) 존재하에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셀 개방제가 지방산, 지방산 아민, 지방산 아미드 및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셀 개방제가 지방산 디아민을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셀 개방제가 수지 디아민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셀 개방제가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1-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셀 개방제가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5-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6.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형태의 추가적인 셀 개방제를 또한 사용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셀 개방제가 고체 셀 개방제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셀 개방제가 표면-활성 셀 개방제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 개방제가 다음 식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인 방법.
    [화학식 1]
    [식중, R1또는 R 중 최소한 하나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그룹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Y는 O 또는 NR1이고 각 R1은 독립적으로 C1-6의 저급 알킬 라디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그룹으로 치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이며 ; 각 R은 독립적으로 수소, C1-6또는 (CH2)m-X의 저급 알킬 라디칼이며 OH 또는 NH2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그룹이고 m은 0, 1 또는 2이며 ; 및 n은 1 또는 2임.]
  10. 제9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이 다음 식(2) 또는(3)에 해당하는 방법.
    [화학식 2]
    [화학식 3]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환식 화합물이 총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5-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방법.
  12.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금속염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 촉매가 Ia족 또는 IIa족 금속 카복실레이트인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민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촉매가 트리에틸렌디아민 또는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인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된 하이드로카본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이 퍼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헥산 또는 퍼플루오로(4-메틸펜트-2-엔)인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화된 불용성 화합물을 총 발포체를 기준으로 하여 0.1-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방법.
  20.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21. 비투과성 방벽내 들어있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진공으로 된 단열 패널로서, 상기 충진재가 제20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22. 제20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개방 셀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내벽 및 외벽 사이의 공동내에 포함하는 단열 유니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진공으로 되고 밀봉된 단열 유니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진공으로 되고 단열 기체로 다시 채워지고 밀봉된 단열 유니트.
  2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셀 개방제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조성물.
KR1019980015457A 1997-05-01 1998-04-30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KR199800866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124/DEL/97 1997-05-01
IN1124DE1997 1997-05-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675A true KR19980086675A (ko) 1998-12-05

Family

ID=1109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457A KR19980086675A (ko) 1997-05-01 1998-04-30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001890A (ko)
JP (1) JPH10306135A (ko)
KR (1) KR19980086675A (ko)
AR (1) AR012619A1 (ko)
AU (1) AU723476B2 (ko)
BE (1) BE1012294A5 (ko)
BR (1) BR9803301A (ko)
CA (1) CA2236187A1 (ko)
DE (1) DE19818052A1 (ko)
DK (1) DK58398A (ko)
ES (1) ES2152813B1 (ko)
FR (1) FR2762846B1 (ko)
GB (1) GB2324798B (ko)
IT (1) IT1299076B1 (ko)
MY (1) MY115744A (ko)
NL (1) NL1008913C2 (ko)
NZ (1) NZ330075A (ko)
SE (1) SE9801408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07B1 (ko) * 2002-07-05 2010-10-18 바스프 에스이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6501B1 (en) 1999-01-20 2003-07-01 Cabot Corporation Aggregates having attached polymer groups and polymer foams
US6258864B1 (en) 1999-01-20 2001-07-10 Cabot Corporation Polymer foam containing chemically modified carbonaceous filler
DE19905989A1 (de) * 1999-02-13 2000-08-17 Bayer Ag Feinzellige, wassergetriebene Polyurethanhartschaumstoffe
US7671104B2 (en) 1999-02-13 2010-03-02 Bayer Materialscience Ag Fine cell, water-blown rigid polyurethane foams
AU2003229244A1 (en) * 2002-06-24 2004-01-06 Sager Ag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ed panels and vacuum insulated panel
ATE552236T1 (de) * 2003-01-14 2012-04-15 Cytokinetics Inc Verbindungen,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herzinsuffizienz
WO2004065449A1 (ja) * 2003-01-17 2004-08-05 Bridgestone Corporation 微細セル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20090029147A1 (en) * 2006-06-12 2009-01-29 Aspen Aerogels, Inc. Aerogel-foam composites
EP2039489A1 (en) * 2007-09-21 2009-03-25 Rectice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foamed article.
US10610413B2 (en) * 2009-05-22 2020-04-07 Honeywell Safety Products Usa, Inc. Eartip
US8476329B2 (en) 2009-06-11 2013-07-02 Basf Se Bioresin composition for use in forming a rigid polyurethane foam article
EP2738192B1 (en) * 2010-07-09 2015-06-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
JP5310928B1 (ja) 2012-06-20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断熱壁、ならびに断熱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870555B (zh) * 2012-12-28 2018-04-1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表面活性剂的抗渗充油烯烃嵌段共聚物组合物
ES2901013T3 (es) 2015-08-03 2022-03-21 Lg Electronics Inc Cuerpo adiabático de vacío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12004651A (zh) * 2018-04-26 2020-11-27 3M创新有限公司 氟砜
CN110483720A (zh) * 2019-08-27 2019-11-22 天津工业大学 功能梯度变化结构的复合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175158B (zh) * 2020-09-25 2022-08-26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冰箱及硬质聚氨酯泡沫、硬质聚氨酯泡沫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0855C (de) * 1954-08-20 1957-03-2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Gruppen enthaltenden Schaumstoffen
US3884848A (en) * 1973-11-14 1975-05-20 Tenneco Chem Manufacture of membrane-free nonlustrous polyurethane foam
US4058492A (en) * 1974-01-10 1977-11-15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molding polyurethane foams
DE2738268A1 (de) * 1977-08-25 1979-03-08 Basf Ag Hydrophobe polyurethanschaumstoffe zur oelabsorption
JPS5780436A (en) * 1980-11-05 1982-05-20 Achilles Corp Manufacture of rigid urethane foam having open cell
JPS61215A (ja) * 1984-06-13 1986-01-06 Dainippon Ink & Chem Inc 連続気泡硬質ウレタンフオ−ムの製造法
DE3584672D1 (de) * 1984-12-27 1991-12-19 Matsushita Refrigeration Polyurethanhartschaum enthaltender waermeisolierender koerper.
DE3627078A1 (de) * 1986-08-09 1988-02-1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f polyurethan- und/oder polyharnstoff-basis und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ltenen formkoerper
US4751253A (en) * 1986-10-06 1988-06-14 Tylenda Eugene J Method of preparing dimensionally stable, flexible urethane foam and the foam produced thereby
US4791146A (en) * 1986-10-06 1988-12-13 Tylenda Eugene J Method of preparing dimensionally stable, flexible urethane foam and the foam produced thereby
GB9102362D0 (en) * 1991-02-04 1991-03-20 Ici Plc Polymeric foams
TW256842B (ko) * 1991-12-17 1995-09-1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TW293022B (ko) * 1992-07-27 1996-12-1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DE4339702A1 (de) * 1993-11-22 1995-05-2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rten Polyurethanschaumstoffen
US5451615A (en) * 1994-10-20 1995-09-19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 in the presence of a hydrocarbon blowing agent
EP0809671B1 (en) * 1995-02-16 1998-10-2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ATE264879T1 (de) * 1995-05-26 2004-05-15 Stepan Co Offenzellige polyurethanschäum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zusammensetzungen zur herstellung solcher schäume
IT1280096B1 (it) * 1995-10-06 1997-12-29 Ediltec S R L Schiuma poliuretanica
JP2883581B2 (ja) * 1996-06-17 1999-04-19 東亜機工株式会社 サニタリー製品製造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07B1 (ko) * 2002-07-05 2010-10-18 바스프 에스이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08913A1 (nl) 1998-11-03
DE19818052A1 (de) 1998-11-05
GB2324798B (en) 1999-08-18
ES2152813A1 (es) 2001-02-01
GB2324798A (en) 1998-11-04
MY115744A (en) 2003-08-30
JPH10306135A (ja) 1998-11-17
FR2762846A1 (fr) 1998-11-06
BE1012294A5 (fr) 2000-09-05
US6001890A (en) 1999-12-14
NL1008913C2 (nl) 1999-08-18
IT1299076B1 (it) 2000-02-07
BR9803301A (pt) 2000-01-11
AR012619A1 (es) 2000-11-08
FR2762846B1 (fr) 2000-11-10
ITMI980783A1 (it) 1999-10-15
CA2236187A1 (en) 1998-11-01
NZ330075A (en) 1998-08-26
SE9801408D0 (sv) 1998-04-22
SE9801408L (sv) 1998-11-02
AU6199398A (en) 1998-11-05
ES2152813B1 (es) 2001-08-16
AU723476B2 (en) 2000-08-24
GB9806279D0 (en) 1998-05-20
DK58398A (da) 199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6675A (ko)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AU710910B2 (en) Thermal insulating device
US5840781A (en) Polyether polyols, polyol formulation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hard polyurethane foams
JP2002536516A (ja) 微細気泡の水発泡硬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20010042355A (ko)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US5447964A (en) Dimensionally stable closed cell rigid polyisocyanate based foam prepared from a froth foaming mixture
AU72250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US5762822A (en) Dimensionally stable closed cell rigid polyisocyanate based foam prepared from a froth foaming mixture
US5258416A (en) Rigid polyurethane foams containing lithium salts for energy absorbing applications
US5449699A (en) Rigid closed cell polyisocyanate based foams for use as positive flotation materials in watercraft
US5453455A (en) Rigid polyurethane foams containing lithium salts for energy absorbing applications
US5470891A (en) Dimensionally stable closed cell rigid polyisocyanate based foam prepared from a froth foaming mixture
US5552447A (en) Rigid closed cell polyisocyanate based foams for use as positive flotation materials in watercraft
CA2182741C (en) Insulating rigid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s
EP0605105A1 (en) Process for rigid foams
JP2851689B2 (ja) 低密度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S63317517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の製造方法
MXPA98003426A (en) Cellular polyurethane products with open cells
WO2022122552A1 (en) Polyetherester polyol and use thereof for producing polyurethane rigid foam materials
JPH04180922A (ja)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ポリオール及びその利用
JPH0710953A (ja) 連続気泡硬質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