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407B1 -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 Google Patents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407B1
KR100988407B1 KR1020057000106A KR20057000106A KR100988407B1 KR 100988407 B1 KR100988407 B1 KR 100988407B1 KR 1020057000106 A KR1020057000106 A KR 1020057000106A KR 20057000106 A KR20057000106 A KR 20057000106A KR 100988407 B1 KR100988407 B1 KR 10098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open
foam beads
open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580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마레쯔코
프란쯔-요셉 디트?b
우베 케플러
프란크 브라운
클라우스 한
이시도르 데그라페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5002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20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suspension 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Open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op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0 % 초과의 개방 셀을 함유하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발포 입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자는 1 내지 40 중량%의 셀 오프너 함유 프로필렌 중합체 미세과립 수성 현탁액을 휘발성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후-팽창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프로필렌 중합체, 개방 셀, 발포체, 발포제, 셀 오프너

Description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OPEN-CELL POLYPROPYLENE PARTICLE FOAMS}
본 발명은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로 한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부 부품, 포장 물질 및 레저 물품으로서 프로필렌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부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상응하는 발포체 비드의 후-팽창 및 소결에 의해 수득된다. 이들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EP-A 95109)에 의해, 압력 용기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과립 수성 현탁액을 휘발성 발포제로 함침 (impregnation)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방식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 비드는 DSC 열선도 (thermodiagram)에서 소위 이중 피크, 즉 사용된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피크보다 높은 온도에서 하나 이상의 고온 피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EP-A 415744 참조). 이들은 특히 양호한 가공 특성 및 양호한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열 왜곡 내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발포체 비드는 보통 폐쇄된 셀을 가지며, 예를 들어, EP-A 95109에 따른 발포체 비드는 65 %이상의 폐쇄된 셀을 갖는다. 이는 또한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서 바람직하다.
EP-A 1016690에 발포제로서 물과 0.05 내지 10 중량%의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 렌 중합체로 제조된 발포체 비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85 % 이상의 폐쇄된 셀을 포함하므로 개방-셀형이 아니다.
개방-셀형 플라스틱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폐쇄-셀형 발포체보다 탄성이 있고 음향-절연성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 트림 (trim) 및 일부 포장 물질에서 유리하다. WO 00/15700에 우수한 음향-흡수 특성을 갖는 개방-셀형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휘발성 유기 발포제와 함께 폴리올레핀 용융물을 압출시켜 제조된 보드, 필름 또는 파이프이다. 상기 발포체 압출로, 단순한 모양을 갖는 성형물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는 DSC 열선도에서 상기 기재된 이중 피크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일부 응용 분야의 경우 이들의 열 왜곡 내성은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고 다양한 방식으로 더 가공될 수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로 한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이 1 내지 10 ㎜의 평균 비드 크기 및 5 내지 200 g/ℓ의 벌크 밀도를 갖고 40 % 초과의 개방 셀 비율 (DIN ISO 4590에 따름)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로 한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상기 유형의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의 제조에 바람직한 방법은 승온에서 압력 용기 중에서 프로필렌 중합체 비드 수성 현탁액을 휘발성 발포체로 함침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필렌 중합체 비드는 1 내지 40 중량%의 셀 오프너 (cell opener), 예를 들어 극성 및 불수용성의 열가소성 중합체, 수용성 중합체 또는 바늘형 무기 고형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프로필렌 중합체는
a. 호모폴리프로필렌,
b. 15 중량% 이하의 에틸렌 및(또는) 1-부텐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 중량%의 에틸렌 또는 0.5 내지 12 중량%의 1-부텐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0.5 내지 6 중량%의 에틸렌 및 0.5 내지 6 중량%의 1-부텐과 프로필렌의 삼원공중합체,
c. 0.1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 중량%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a 또는 b의 혼합물이다.
지글러 (Ziegler)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프로필렌 중합체가 적합하다.
프로필렌 중합체의 결정 융점 (DSC 피크 최대값)은 120 내지 170 ℃이다. DSC 방법에 의해 측정된 이들의 용융 엔탈피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 J/g이고, DIN 53735에 따른 이들의 용융 유동 지수 (MFI) (230 ℃, 2.16 ㎏)는 2 내지 25 g/10 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는 출발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 특히 0.5 내지 5 ㎜의 평균 직경을 갖는 과립으로부터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또는 구형인 상기 미세과립은 혼합된 셀 오프너 및 추가 첨가제와 함께 프로필렌 중합체를 압출시키고, 혼합물을 압출기로부터 밀어내고, 원하는 경 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혼합물을 과립화함으로써 제조된다.
미세과립이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의 셀 오프너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바람직한 셀 오프너는 극성 및 불수용성의 열가소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PA) 또는 폴리옥시메틸렌 (POM); 수용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옥시드; 또한 바늘형 무기 고형물,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5 ㎜의 길이를 갖는 절단 유리이다. 또한, 미세과립은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방염제, 왁스, 안료, 염료, 및 특히 핵형성제 (nucleating agent), 예를 들면 탈크, 흑연 분말, 화성 (pyrogenic) 규산,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과립은 교반 반응기에서 현탁 매질 중에 분산된다. 바람직한 현탁 매질은 물이다. 이 경우, 현탁 매질에서 미세과립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 현탁 보조제가 가해져야 한다. 적합한 현탁 보조제는 불수용성 무기 안정화제, 예를 들면 인산칼슘, 피로인산마그네슘 및 탄산칼슘;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아릴 술포네이트 및 지방 알코올 옥실레이트이다. 이들은 미세과립을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휘발성 발포제는 미세과립을 기준으로 2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현탁액에 가해진다. 발포제는 반응기 내용물의 가열 전, 동안, 또는 후에 가해질 수 있다. 적합한 발포제는 질소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무기 가스는 물론 -5 내지 150 ℃의 비점 을 갖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알칸, 케톤 및 에테르이다. C4- 내지 C6- 탄화수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함침 동안, 온도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연화점 부근이어야 한다. 이는 융점 (결정 융점) 15 ℃ 초과 내지 40 ℃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한 함침 온도는 120 내지 160 ℃이다. 발포제의 유형 및 양, 및 온도 수준에 따라 일반적으로 2 bar보다 크고 40 bar를 초과하지 않는 압력이 반응기에서 확립된다. 함침 시간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10 시간이어야 하고, 그 후 반응기는 신속하게 감압된다. 상기 처리 동안, 발포제로 함침된 프로필렌 중합체 비드는 팽창한다. 셀 오프너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가 공정에서 형성된다. 감압 및 반응기로부터의 방출 후, 발포체 비드가 현탁 매질로부터 분리되고 세척된다. 수용성 셀 오프너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세척된다. 불수용성 셀 오프너의 경우, 이들은 발포체 비드에 잔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는 DSC 용융 선도에서 이들이 사용된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피크보다 높은 온도에서 하나 이상의 고온 피크를 갖는 경우 특히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발포체 비드의 평균 비드 크기는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이고; 이들의 벌크 밀도는 5 내지 200 g/ℓ,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g/ℓ일 수 있다. 이들은 4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초과, 특히 75 중량% 초과의 개방 셀 비율 (DIN ISO 4590에 따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적인 경우에, 실질적으로 모든 셀이 개방형이어서 발포체 구조는 셀 웹으로만 이루어진다. 평균 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 특히 0.05 내지 0.3 ㎜이다.
후-팽창 및 소결을 포함하는 공지된 공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발포체 비드로부터 발포체 성형물이 제조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언급된 부 (P)는 중량부이다.
하기 P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출발 물질
PP1 노볼렌 (Novolen) 3200 MC; 폴리프로필렌 (Basell GmbH)
POM1 울트라포움 (Ultraform) N 2320 (BASF AG)
PA1 울트라미드 (Ultramid) B 3 (BASF AG)
PS1 표준 폴리스티렌 (Mw= 195,000 g/㏖, MVR= 10 ㎤/10 분, BASF AG)
PVP1 폴리비닐피롤리돈, 콜리돈 (Kollidon) K 30 (BASF AG)
유리 절단 유리 3786
왁스1 루왁스 (Luwax) AF 31; 폴리에틸렌 (Mn 3000) (BASF AG)
탈크 HP 325
s-펜탄 공업용 펜탄 이성질체 혼합물
n/i-부탄 공업용 부탄 이성질체 혼합물
안티블록1 CaCO3
안티블록2 인산칼슘
계면활성제1 지방 알코올 옥실레이트
계면활성제2 아릴 술포네이트

과립의 제조: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출발 물질을 혼합하고, 압출기에 공급하여 미세과립 (d: 0.8-1.2 ㎜; I: 1.8-3 ㎜)으로 전환시켰다.
과립 1 (G1) PP1 100 P, POM1 20 P, 탈크 1 P, 왁스1 0.5 P
과립 2 (G2) PP1 100 P, POM1 34 P, 탈크 2.8 P, 왁스1 0.5 P
과립 3 (G3) PP1 100 P, 유리 25 P, 왁스1 0.5 P
과립 4 (G4) PP1 100 P, PA1 20 P, 탈크 1 P, 왁스1 0.5 P
과립 5 (G5) PP1 100 P, PVP1 25 P, 탈크 1.25 P, 왁스1 0.6 P
과립 6 (G6) PP1 100 P, 탈크 20 P, 왁스1 0.5 P
과립 7 (G7) PP1 100 P, PS1 20 P, 탈크 1 P, 왁스1 0.5 P

과립의 발포
하기 표는 달성된 벌크 밀도 및 이들 발포체 비드에 대해 측정된 개방 셀의 비율을 나타낸다. 개방 셀의 비율은 DIN ISO 4590에 따라 발포체 비드에 대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각 경우에, 과립 100 P, 안티블록1 6.7 P, 계면활성제1 0.13 P, 물 230 P 및 하기 표에서 표시한 양의 n/i-부탄을 압력-밀봉 교반 탱크 중에 도입하였다. 이어서 탱크를 약 55 분에 걸쳐 표에 나타낸 함침 온도 (IMT)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 도달한 경우, 내용물을 주변 압력으로 감압시킴으로써 과립을 발포시켰다.
<실시예 5 내지 10>
각 경우에, 과립 100 P, 안티블록2 8.75 P, 계면활성제2 0.33 P, 물 234 P 및 하기 표에 표시한 양의 n/i-부탄을 압력-밀봉 교반 탱크 중에 도입하였다. 이어서 탱크를 약 55 분에 걸쳐 표에 나타낸 함침 온도 (IMT)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 도달한 경우, 내용물을 주변 압력으로 감압시킴으로써 과립을 발포시켰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과립 G1 G1 G1 G1 G2 G3 G4 G5 G6 G7
IMT
[℃]
129.0 129.0 128.7 127.6 128.0 127.5 130.0 129.0 130.0 136.0
발포제
[P]
24 20 20 20 24 24 35 24 35 16
벌크 밀도 [g/ℓ] 18 31 30 37 15 11 14 9 15 13
개방 셀
[%]
43 42 51 65 80 59 79 65 10 9

[P]= PP 미세과립 100 부 당 중량부
실시예 9 내지 10은 비교예이다.

Claims (12)

  1.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로 하고, 평균 비드 직경이 1 내지 10 ㎜이고, 벌크 밀도가 5 내지 200 g/ℓ이고, 개방 셀 비율 (DIN ISO 4590에 따름)이 40 % 초과이고, 극성 및 불수용성의 열가소성 중합체, 수용성 중합체 또는 바늘형 무기 고형물로부터 선택되는 셀 오프너 함량이 1 내지 40 중량%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15 중량% 이하의 에틸렌, 1-부텐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DSC 열선도에서, 사용된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피크보다 높은 온도에서 하나 이상의 고온 피크를 갖는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
  4.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셀 직경이 0.01 내지 0.5 ㎜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
  5. 제1항에 있어서, 셀 오프너 함량이 5 내지 35 중량%이며, 셀 오프너는 폴리아미드 (PA), 폴리옥시메틸렌 (POM),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및 절단 유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
  6. 120℃ 내지 160℃의 온도에서, 압력 용기에서 극성 및 불수용성의 열가소성 중합체, 수용성 중합체 또는 바늘형 무기 고형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0 중량%의 셀 오프너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비드 현탁액을 휘발성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시킴으로써 제1항의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5 내지 150 ℃의 비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또는 무기 가스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셀 오프너가 극성 및 불수용성의 열가소성 중합체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셀 오프너가 바늘형 무기 고형물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셀 오프너가 수용성 중합체인 방법.
  11. 제1항의 발포체 비드를 후-팽창시키고 소결함으로써 제조된 개방-셀형 발포체 성형물.
  12. 제6항에 있어서, 셀 오프너 함량이 5 내지 35 중량%이며, 셀 오프너는 폴리아미드 (PA), 폴리옥시메틸렌 (POM),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및 절단 유리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057000106A 2002-07-05 2003-06-30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KR100988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0583A DE10230583A1 (de) 2002-07-05 2002-07-05 Offenzellige Polypropylen-Partikelschäume
DE10230583.8 2002-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580A KR20050025580A (ko) 2005-03-14
KR100988407B1 true KR100988407B1 (ko) 2010-10-18

Family

ID=2972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106A KR100988407B1 (ko) 2002-07-05 2003-06-30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236728A1 (ko)
EP (1) EP1521799B1 (ko)
JP (1) JP4128177B2 (ko)
KR (1) KR100988407B1 (ko)
CN (1) CN100528944C (ko)
AU (1) AU2003250861A1 (ko)
DE (1) DE10230583A1 (ko)
PL (1) PL206014B1 (ko)
WO (1) WO20040053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74A (ko) 2018-11-26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17426A (en) * 2003-08-25 2005-06-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queous dispersion, its production method, and its use
DE10360398A1 (de) * 2003-12-19 2005-07-14 Basf Ag Schaumstoffformteile aus offenzelligem EPP
DE102004002367A1 (de) * 2004-01-15 2005-08-11 Basf Ag Expandierte Polyolefinpartikel enthaltend spezielle Keimbildner
US7361694B2 (en) 2004-02-27 2008-04-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Durable foam of olefin polymers, methods of making foam and articles prepared from same
US8357727B2 (en) 2004-02-27 2013-01-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urable foam of olefin polymers, methods of making foam and articles prepared from same
DE102005055076A1 (de) * 2005-11-16 2007-05-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lefin-Schaumpartikeln mit hoher Schüttdichte und enger Schüttdichtenverteilung
DE102006000363A1 (de) 2006-07-21 2008-01-24 Hilti Ag Befestigungselement
BRPI0603479A (pt) * 2006-08-14 2008-04-01 Maria Isabel Pinto Koleski espuma de polipropileno expandida
CN101531770B (zh) * 2008-05-15 2011-11-23 上海高分子功能材料研究所 开孔发泡聚烯烃的制备与应用
US20160319095A1 (en) * 2013-12-27 2016-11-03 Kaneka Corporation Polyolefin resin foam particles, and polyolefin resin in-mold expansion molded article
KR20190022727A (ko) * 2016-06-23 2019-03-06 바스프 에스이 폴리아미드 분절을 지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폼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US11780981B2 (en) * 2018-12-06 2023-10-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oam bea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22096231A (ja) * 2020-12-17 2022-06-29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発泡粒子成形体
CN113754954A (zh) * 2021-08-24 2021-12-07 无锡敬仁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兼具高通孔率和高闭孔率的发泡聚合物吸波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1115A2 (de) * 1996-09-18 1998-03-25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ten Polyolefinpartikeln
KR19980086675A (ko) * 1997-05-01 1998-12-05 스위넌 앤 마리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WO2001029119A1 (de) 1999-10-20 2001-04-26 Basf Aktiengesellschaft Partikelförmige, expandierbare olefinpolymerisa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3280T2 (de) * 1996-04-05 2004-04-22 Kaneka Corp. Wässrige polyolefinzusammensetzung, daraus hergestellte vorexpandierte teilch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expandierte formteile
SG77671A1 (en) * 1998-03-23 2001-01-16 Jsp Corp Foamed and expanded beads of polypropylene resin for molding
DE19921386A1 (de) * 1999-05-10 2000-11-16 Basf Ag Offenzellig Partikelschaumstoff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1115A2 (de) * 1996-09-18 1998-03-25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ten Polyolefinpartikeln
KR19980086675A (ko) * 1997-05-01 1998-12-05 스위넌 앤 마리 개방 셀로 된 셀식 폴리우레탄 제품
WO2001029119A1 (de) 1999-10-20 2001-04-26 Basf Aktiengesellschaft Partikelförmige, expandierbare olefinpolymeris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74A (ko) 2018-11-26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5383A1 (de) 2004-01-15
EP1521799B1 (de) 2019-04-10
PL206014B1 (pl) 2010-06-30
DE10230583A1 (de) 2004-01-15
KR20050025580A (ko) 2005-03-14
JP2006509051A (ja) 2006-03-16
EP1521799A1 (de) 2005-04-13
US20050236728A1 (en) 2005-10-27
CN1665866A (zh) 2005-09-07
PL374820A1 (en) 2005-10-31
CN100528944C (zh) 2009-08-19
JP4128177B2 (ja) 2008-07-30
AU2003250861A1 (en) 200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407B1 (ko) 개방-셀 폴리프로필렌 입자 발포체
KR100661035B1 (ko)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EP0296438A2 (en) Pre-foamed particles of uncrosslinked,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A2024228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xpanded particles of a polyolefin resin
US6727291B2 (en) Preparation of expandable propylene polymer beads
CN110621730B (zh) 烯烃类热塑性弹性体交联发泡粒子
EP0256489B1 (en) Process for preparing pre-expanded particles of thermoplastic resin
US5208265A (en) Foam based on an impact copolymer
JP3909617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成型体
CZ235298A3 (cs) Kompozice na bázi polymerů propylenu pro výrobu expandovaných granulí, způsob její výroby a použití
JP2005505637A (ja) 発泡性ポリオレフィンビーズ材料
JP5256664B2 (ja) 付着分散剤量が低減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H059329A (ja) 架橋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
US5262446A (en) Polyolefin foams having a homogeneous cell structure
JP3848428B2 (ja) 発泡用変性プロピレン樹脂粒子の製造方法
ES2298668T3 (es) Piezas moldeadas de espuma constituidas por epp con celulas abiertas.
JPH02194037A (ja) 連続気泡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法
JP541008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表面に付着した難水溶性無機化合物を低減させる方法
KR19980018488A (ko)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발포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