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675A - 식기세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식기세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675A
KR19980081675A KR1019980014569A KR19980014569A KR19980081675A KR 19980081675 A KR19980081675 A KR 19980081675A KR 1019980014569 A KR1019980014569 A KR 1019980014569A KR 19980014569 A KR19980014569 A KR 19980014569A KR 19980081675 A KR19980081675 A KR 19980081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heater
temperature
dish washing
s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528B1 (ko
Inventor
호라야겐지
이토고이치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또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또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1998008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과제)
식기세정장치에 의한 식기세정을 할 때,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의 탕수를 식기세정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식기세정시의 운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식기세정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식기세정장치(3)에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급탕기 본체(1) 또는 원격조작수단(2)에 송신하는 통신수단(18)을 형성한다. 원격조작수단(2)에 급탕시의 탕수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수단(15)을 형성한다. 급탕기 본체(1) 또는 원격조작수단(2)에 식기세정장치(3)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온도설정수단(15)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설정온도변경수단(33)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식기세정시스템
본 발명은 급탕기와 식기세정장치가 급탕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식기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인 식기세정장치는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실내에 소정량의 물을 저류(貯留)하는 저류탱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식기를 세정할 때에는 상기 저류탱크에 저류된 물을 세정펌프에 의하여 노즐을 통하여 식기를 향하여 분출시켜 세정한다. 세정후의 물은 다시 저류탱크에 저류되며,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그 동안 적절한 배수와 급수가 행해진다.
또, 이러한 종류의 식기세정장치에 의한 식기세정시에는 세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적한 온도(통상 60℃로 되어 있다)의 탕수(湯水)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저류탱크에 히터를 설치하여 저류탱크내의 물을 세제의 활성온도로 가열 및 보온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식기세정장치에 급탕기를 접속하여 식기세정시에 급탕기의 탕수를 사용하는 식기세정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급탕기는 욕조나 부엌의 싱크대 등에 급탕하는 설비로서 주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식기세정시스템은 급탕기의 급탕관에 식기세정장치를 추가하여 접속한 것이다. 또, 급탕기는 이 급탕기에 접속된 리모트 컨트롤등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욕조급탕이나 부엌급탕시의 탕수를 소망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식기세정시스템에 의하면, 식기세정시에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등으로 급탕시의 탕수 온도를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로 설정하여 둠으로써, 식기세정장치의 저류탱크에 있어서의 히터에 의한 가열시간을 대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식기세정시의 운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식기세정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급탕기의 급탕온도가 식기세정에 적합하지 않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채 식기세정장치에 의한 식기세정을 개시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급탕기의 설정온도가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탕기가 접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히터에 의한 가열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세정시간을 짧게 할 수 없다. 또, 급탕기의 설정온도가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보다도 고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기세정시에 식기에 부착되어 있던 단백질이 탕수의 온도에 의하여 고체화되어 식기에 대한 부착상태가 강고하게 되므로 세정효율이 저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식기세정장치에 의한 식기세정을 할 때,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의 탕수를 식기세정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식기세정시의 운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식기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의 식기세정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의 식기세정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식기세정시스템 1 - 급탕기 본체
2 - 리모트 컨트롤(원격조작수단) 3 - 식기세정장치
6,7,8 - 급탕관 18 - 통신수단(송신수단)
15 - 온도설정수단 33 - 설정온도변경수단
34 - 수량센서(수량검출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탕기와, 상기 급탕기에 급탕관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급탕기에서 공급된 탕수에 의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식기세정장치로 이루어진 식기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정장치는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기는 급탕시의 탕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수단과,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설정온도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세정장치에서 세정운전을 개시하는 지시가 부여되었을 때, 이 식기세정장치는 상기 송신수단을 통하여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운전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한다. 상기 급탕기는 사용자가 급탕온도를 소망 온도로 설정하는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온도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온도(예, 40℃)는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라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여기서 상기 급탕기는 상기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운전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예, 60℃)로 변경한다.
그리고, 식기세정장치의 세정운전이 종료하였을 때, 이 식기세정장치는 상기 송신수단을 통하여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운전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한다. 상기 급탕기는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운전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예, 60℃)로 변경하기 이전의 온도(예, 40℃)로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되돌린다. 또한, 식기세정장치는 식기세정동작을 하고 있는 도중이라도 급탕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때,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로서 '급탕기 정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급탕기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세정장치의 세정운전동작에 따라서 급탕기에서 식기세정에 최적한 온도의 탕수를 급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기세정장치는 상기 급탕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탕수의 수량을 검출하는 수량검출수단과, 상기 급탕관에서 공급되는 탕수를 개폐제어하는 급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할 때에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취지의 정보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하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후 상기 수량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수량이 소정 수량이 되었을 때에 변경된 설정온도를 이전의 설정온도로 되돌리는 취지의 정보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예, 60℃)로 변경하기 이전의 온도(예, 40℃)로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되돌리는 것을, 급수밸브의 개방후 상기 수량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수량이 소정 수량으로 되었을 때에 행함으로써, 식기세정에 필요한 양을 급탕할 때에만 탕수 온도를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설정온도에 의한 급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실시형태로서는 「상기 급탕기는 급탕기 본체와, 상기 급탕기 본체의 급탕운전을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상기 온도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기세정장치의 송신수단은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원격조작수단으로 송신하고, 원격조작수단은 설정온도변경수단에 의하여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탕기가 급탕기 본체와 이 급탕기 본체를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작수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는 원격조작수단에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정장치가 '운전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원격조작수단에 송신하였을 때에는, 이 원격조작수단의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로 변경하고, 식기세정장치가 '운전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원격조작수단에 송신하였을 때에는, 이 원격조작수단의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변경전의 설정온도로 되돌림으로써, 식기세정장치의 세정운전동작에 따라서 급탕기에서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의 탕수를 급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실시형태로서는 「상기 급탕기는 급탕기 본체와, 상기 급탕기 본체의 급탕운전을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상기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기 본체는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기세정장치의 송신수단은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급탕기 본체로 송신하고, 급탕기 본체는 설정온도변경수단에 의하여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원격조작수단의 온도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탕기가 급탕기 본체와 이 급탕기 본체를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작수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원격조작수단에 온도설정수단을 형성하고, 급탕기 본체에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식기세정장치가 '운전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급탕기에 송신하였을 때에는, 이 급탕기의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원격조작수단의 온도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던 급탕시의 설정온도를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로 변경하고, 식기세정장치가 '운전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급탕기에 송신하였을 때에는, 이 급탕기의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원격조작수단의 온도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던 설정온도로 되돌림으로써, 식기세정장치의 세정운전동작에 따라서 급탕기에서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의 탕수를 급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의 식기세정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의 식기세정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식기세정시스템(A)에 있어서, 1은 급탕기 본체, 2는 급탕기 본체(1)의 원격조작수단인 리모트 컨트롤, 3은 부엌에 설치된 식기세정장치, 4는 부엌의 싱크대 또는 욕조(5)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수동급탕밸브)이다. 또, 6은 기단부가 상기 급탕기 본체(1)에 접속되고 부엌을 향하여 연설된 메인 급탕관이다. 이 메인 급탕관(6)은, 부엌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정장치(3)에 접속되는 제 1 급탕관(7)과 상기 수도꼭지(4)에 접속되는 제 2 급탕관(8)으로 분기된다.
상기 급탕기 본체(1)는 상기 식기세정장치(3)나 상기 수도꼭지(4)를 사용함으로써 메인 급탕관(6)에 수류가 발생한 경우에{이 때의 수류는 수류센서(35)에 의하여 검출된다}, 물을 소망 온도로 가열하여 급탕을 개시하는 가열장치(9)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른바 선지식(先止式) 급탕을 한다. 이 가열장치(9)는 가스관(10)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버너(11)와, 이 가스버너(11)의 연소에 의하여 급수관(12)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장치(9)는 연소제어수단(14)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연소제어수단(14)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2)에 구비한 온도설정수단(15)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가열장치(9)를 제어한다. 온도설정수단(15)에 의한 설정은 급탕온도설정도 포함되어 있다. 이 리모트 컨트롤(2)은 온도설정수단(15)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내용이나 급탕운전의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수단(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탕기 본체(1)는 리모트 컨트롤(2)과 설정정보를 통신하는 통신수단(17)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리모트 컨트롤(2)은 물이 공급되었을 때 가열장치(9)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ON'으로 하고, 급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가열장치(9)의 작동을 불능으로 하는 상태를 'OFF'로 하여 절환하는 운전스위치(1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식기세정장치(3)는 세정할 식기류(W)를 수용하며 또한 수용된 식기류(W)를 세정하는 식기류수용실(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식기류수용실(20)내로는 상기 제 1 급탕관(7)에 접속된 급탕관(21)을 통하여 탕수가 공급된다. 이 급탕관(21)에는 개폐가능한 급수밸브(22)와 급탕관(21)을 통과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식기류수용실(20) 하부에는 상기 급탕관(21)을 통하여 공급된 탕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두는 저류탱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류탱크(24)에는, 이 저류탱크(24)에 저류된 탕수의 온도가 세정에 최적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탕수를 재가열하고 보온하는 히터(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류탱크(24)에 저류된 탕수는 도시하지 않은 세제투입수단에 의하여 세제가 투입되어 세정액이 된다. 이 저류탱크(24) 하부에는 필터(26)를 통하여 여과된 세정액을 식기류수용실(20)내에 배치된 세정액살포튜브(27)로 보내기 위한 세정액펌프(2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세정액살포튜브(27)는 세정액을 식기류(W)를 향하여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저류탱크(24) 하부에는 배수수단인 배수펌프(29) 및 배수관(3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수관(30)에는 그 상단이 저류탱크(24)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가 되는 도시하지 않은 트랩(trap)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정장치(3)는 운전제어수단(31)에 의하여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운전제어수단(31)은 운전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하여 식기류(W) 세정이 지시되었을 때{운전스위치(32)가 'ON'일 때}, 식기류(W)에 붙어 있는 큼직한 찌꺼기를 대충 씻어내는 예비세정동작을 하고, 이어서 본 세정동작을 한다. 예비세정동작에서는 상기 급수밸브(22)를 개방하여 저류탱크(24)내에 소정량의 탕수를 저류하고(이 때의 탕수량은 수량검출수단인 수량센서(34)에 의하여 검출된다), 탕수가 저류탱크(24)내에 소정량 저류되었을 때 상기 급수밸브(22)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제어수단(31)은 세정액펌프(28)를 작동시켜서 분사노즐을 통하여 식기류(W)를 향하여 저류탱크(24)내의 탕수를 분사하고, 배수펌프(29)를 작동시켜서 식기류(W)에 붙어 있던 찌꺼기와 함께 낙하한 탕수를 배출한다.
본 세정동작에 있어서는 상기 급수밸브(22)를 개방하여 저류탱크(24)내에 소정량의 탕수를 저류하고, 탕수가 저류탱크(24)내에 소정량 저류되었을 때, 세제를 투입함과 아울러 상기 급수밸브(22)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제어수단(31)은 세정액펌프(28)를 작동시켜서 분사노즐을 통하여 식기류(W)를 향하여 저류탱크(24)내의 탕수(세정액)를 분사한다. 이 때, 식기류(W)에 붙어 있던 찌꺼기와 함께 낙하한 세정액은 다시 저류탱크(24) 및 필터(26)를 통과하여 세정액펌프(28)에 의하여 식기류(W)를 향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세정동작을 소정시간동안 행한 후에는 상기 운전제어수단(31)이 세정액펌프(28)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배수펌프(29)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식기류(W)의 찌꺼기와 함께 낙하한 세정액은 배수관(30)을 통하여 배수된다.
또, 상기 식기세정장치(3)는 운전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하여 운전제어수단(31)에 식기류(W) 세정이 지시되었을 때, 그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2)에 송신하는 통신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2)은 식기세정장치(3)에서 급수밸브(22)의 개방이 지시된 것을 수신하였을 때, 온도설정수단(15)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던 온도(예, 40℃)를 식기세정에 최적한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60℃)로 변경하는 설정온도변경수단(33)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급탕기 본체(1)의 연소제어수단(14)이 설정온도변경수단(33)에 의하여 변경된 온도(60℃)를 설정온도로 하여 급탕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식기세정장치(3)에는 식기세정에 최적한 온도의 탕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히터(25)에 의한 탕수의 재가열이 불필요하게 되거나 재가열이 필요하더라도 극히 단시간에 재가열할 수 있다. 또, 리모트 컨트롤(2)은, 이 리모트 컨트롤(2)의 운전스위치(19)가 'OFF'인 상태에서 식기세정장치(3)에 세정동작이 지지된 것을 수신하였을 때에는 이 운전스위치(19)를 'ON'상태로 함으로써, 급탕기 본체(1)는 식기세정장치(3)의 동작에 따라서 급탕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식기세정장치(3)에 있어서, 급수밸브(22)가 개방된 후에 수량센서(34)에서 검출되는 수량이 저류탱크(24)의 용량에 대응한 소정 수량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급수밸브(22)를 폐쇄함과 아울러 식기세정장치(3)가 통신수단(18)을 통하여 급탕불필요의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2)에 송신하므로, 리모트 컨트롤(2)의 설정온도변경수단(33)은 이 신호에 따라서 식기세정장치(3)의 동작전에 온도설정수단(15)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던 온도로 되돌린다. 또한, 식기세정장치(3)의 작동전에 리모트 컨트롤(2)의 운전스위치(19)가 'OFF'상태였던 경우에는 다시 이 운전스위치(19)를 'OFF'로 되돌린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식기세정시스템(B)에 있어서 상기 도 1에 나타낸 식기세정시스템(A)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식기세정시스템(B)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온도변경수단(33)이 급탕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탕기 본체(1)의 통신수단(17)과 식기세정장치(3)의 통신수단(18)은 리모트 컨트롤(2)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식기세정장치(3)의 운전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하여 운전제어수단(31)에 식기류(W) 세정이 지시되었을 때, 이 정보를 통신수단(18)을 통하여 급탕기 본체(1)로 송신한다. 급탕기 본체(1)가 식기세정장치(3)에서 급수밸브(22)의 개방이 지시된 것을 수신하였을 때, 리모트 컨트롤(2)의 온도설정수단(15)을 통하여 설정되어 있던 온도(예, 40℃)를 설정온도변경수단(33)에 의하여 식기세정에 최적한 온도(60℃)로 변경한다. 따라서, 급탕기 본체(1)의 연소제어수단(14)은 설정온도변경수단(33)에 의한 변경온도(60℃)를 설정온도로 하여 급탕동작을 제어한다. 또, 식기세정장치(3)에서 세정동작이 지시된 것을 급탕기 본체(1)에 송신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2)의 운전스위치(19)가 'OFF'상태라 하더라도 급탕기 본체(1)가 식기세정장치(3)의 작동에 따라서 급탕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식기세정장치(3)에서 세정동작이 종료하였을 때, 식기세정장치(3)는 통신수단(18)을 통하여 급탕불필요의 신호를 급탕기 본체(1)에 송신하고, 급탕기 본체(1)의 설정온도변경수단(33)은 이 신호에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2)의 온도설정수단(15)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던 온도로 되돌린다. 또한, 식기세정장치(3)의 작동전에 리모트 컨트롤(2)의 운전스위치(19)가 'OFF'였던 경우에는 다시 급탕기 본체(1)를 'OFF'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리모트 컨트롤(2)에 형성된 표시수단(16)에 급탕온도등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표시수단(16)에 식기세정장치(3)의 세정동작중에 예를 들어 「고온급탕중」이나 「식기세정장치로 급탕중」이라 표시함으로써, 식기세정중에 고온의 탕수가 급탕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급탕기 본체(1), 리모트 컨트롤(2), 식기세정장치(3)가 유선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무선통신을 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예비세정동작시에도 60℃의 탕수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예비세정동작시에는 60℃보다 낮은 온도의 탕수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식기세정장치(3)로의 급탕중에만 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식기세정장치(3)의 운전개시에서 운전종료까지 온도를 변경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세정장치에서 세정운전을 개시하는 지시가 부여되었을 때, 식기세정장치는 송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운전개시신호)를 급탕기에 송신하고, 급탕기는 상기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운전개시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온도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온도(예, 40℃)를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예, 60℃)로 변경한다.
그리고, 식기세정장치의 세정운전이 종료하였을 때, 식기세정장치는 송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운전종료신호)를 급탕기에 송신하고, 급탕기는 상기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운전종료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설정온도변경수단이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예, 60℃)에서 이전의 온도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온도(예, 40℃)로 되돌린다.
따라서, 식기세정장치에 의한 식기세정을 할 때에, 식기세정장치의 세정운전동작에 따라서 급탕기에서 식기세정에 적합한 온도의 탕수를 식기세정장치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식기세정시의 운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급탕기와, 상기 급탕기에 급탕관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급탕기에서 공급된 탕수에 의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식기세정장치로 이루어진 식기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정장치는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기는 급탕시의 탕수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수단과,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설정온도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정장치는 상기 급탕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탕수의 수량을 검출하는 수량검출수단과, 상기 급탕관에서 공급되는 탕수를 개폐제어하는 급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할 때에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취지의 정보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하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후 상기 수량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수량이 소정 수량이 되었을 때에 변경된 설정온도를 이전의 설정온도로 되돌리는 취지의 정보를 상기 급탕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탕기는 급탕기 본체와, 상기 급탕기 본체의 급탕운전을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상기 온도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기세정장치의 송신수단은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원격조작수단으로 송신하고, 원격조작수단은 설정온도변경수단에 의하여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온도설정수단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탕기는 급탕기 본체와, 상기 급탕기 본체의 급탕운전을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상기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기 본체는 상기 설정온도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기세정장치의 송신수단은 그 자신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급탕기 본체로 송신하고, 급탕기 본체는 설정온도변경수단에 의하여 식기세정장치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원격조작수단의 온도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시스템.
KR1019980014569A 1997-04-30 1998-04-23 식기세정시스템 KR100264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60797A JP3403002B2 (ja) 1997-04-30 1997-04-30 食器洗浄システム
JP97-112607 1997-04-30
JP112607 1998-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675A true KR19980081675A (ko) 1998-11-25
KR100264528B1 KR100264528B1 (ko) 2000-12-01

Family

ID=1459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569A KR100264528B1 (ko) 1997-04-30 1998-04-23 식기세정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03002B2 (ko)
KR (1) KR100264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868B1 (ko) * 1999-12-20 2001-11-22 강성모 식기세척기의 전원투입 초기 세척수 온도 제어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868B1 (ko) * 1999-12-20 2001-11-22 강성모 식기세척기의 전원투입 초기 세척수 온도 제어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528B1 (ko) 2000-12-01
JP3403002B2 (ja) 2003-05-06
JPH10295617A (ja) 1998-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2223B (zh) 洗碗机以及操作洗碗机的方法
US6550488B2 (en) Hyperwash dishwasher
JP4522891B2 (ja) 食器洗浄機
KR100264528B1 (ko) 식기세정시스템
JP5221974B2 (ja) 給湯システム
KR100265099B1 (ko) 식기세정시스템
JP3583260B2 (ja) 食器洗浄システム
JP3403919B2 (ja) 食器洗浄システム
JP3585699B2 (ja) 食器洗浄システム
KR100265098B1 (ko) 급탕시스템
JP3583249B2 (ja) 給湯システム
JP3366827B2 (ja) 食器洗浄装置及び食器洗浄システム
JPH0938602A (ja) 洗浄機
CN100502758C (zh)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
JP2000245678A (ja) 食器洗浄乾燥器
JP3739535B2 (ja) 食器洗浄システム
JP3399791B2 (ja) 食器洗浄システム
JP3642916B2 (ja) 食器洗浄システム
JP2003052558A (ja) 浴槽洗浄装置の洗剤注入装置
JPH08266458A (ja) 食器洗浄機
JPH0613756U (ja) 食器洗浄機
JPH07313427A (ja) 食器洗浄機
JP2000279356A (ja) 食器洗浄機
JP2002228259A (ja) 給湯装置
JPH08140917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