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945A - 내연 기관용 시동기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용 시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945A
KR19980079945A KR1019980007311A KR19980007311A KR19980079945A KR 19980079945 A KR19980079945 A KR 19980079945A KR 1019980007311 A KR1019980007311 A KR 1019980007311A KR 19980007311 A KR19980007311 A KR 19980007311A KR 19980079945 A KR19980079945 A KR 1998007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housing
electric motor
annular member
redu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오야
고지 나라
요시카즈 사토
미치오 오카다
신이치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히노 노보루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노 노보루,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바 filed Critical 히노 노보루
Publication of KR1998007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50/00Problems related to engine starting or engine's starting apparatus
    • F02N2250/08Lubrication of starters; Sealing means for sta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416Rotary to alternating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혹성 기어 형태의 감속 기어 장치(2) 및, 최소한 감속 기어 장치(2)를 수용하는 하우징(17)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용 시동기(1)에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통로(51)를 형성하기 위하여 요부(51)가 하우징(17)의 내측 주면내에 형성되고, 감속 기어 장치(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환상 부재(12)의 외측 주면의 일부(52)가 요부(51)내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시동기(1)가 설치된 상태에서 요부(51)는 하우징(17)의 하부 부분(17a)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환상 부재(12)의 외측 주면의 돌출 부분(52)은 하우징(17)의 내측 주면내에 형성된 요부(51)에 의해 형성된 배출 통로(51) 안에 미로 구조를 형성하며, 그것에 의해 하우징(17)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물의 통로를 실질적으로 방해함이 없이 물이 배수 통로(51)를 통해 하우징(17)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돌출 부분(52)은 제 1 환상 부재(12)내에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그 어떤 부가적인 구성 부품도 미로 구조를 만드는데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용 시동기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시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 구조를 가지는 시동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내연 기관을 시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엔진 시동기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엔진 시동기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는 일방향 클러치에 일체로 연결되며, 이것은 행성 기어 장치를 구비하는 감속 기어 장치를 통해서 직류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엔진 시동 스위치 신호에 의해 작동된 솔레노이드가 시프트 메커니즘을 통해서 피니언 기어를 이격시켜서 엔진의 링 기어와 맞물리게 할때 내연 기관은 시동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시동기에 있어서, 피니언과 링 기어 사이에 있는 맞물림 지점을 둘러싸는 부분에 제공된 개방부를 통해서 시동기의 케이징에 물이 들어가거나, 또는 정지된 엔진이 냉각되는 동안 시동기안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기인하여 물이 케이징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배수구가 시동기의 케이징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링 기어의 측으로부터 시프트 챔버 케이징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물을 순조롭게 제거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 시프트 메커니즘을 수용하는 시프트 챔버 케이징 및, 모터와 솔레노이드는 링 기어의 측으로부터 이러한 순서로 배열되며, 시프트 챔버 케이징에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그러한 배수구는 시동기가 엔진에 장착된 상태에서 항상 시동기의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따라서 차량이 세차될때 또는 차량이 도로 표면상의 웅덩이를 지나갈때와 같은 경우에 튀겨진 물이 시동기의 낮은 부분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서 케이징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엔진 룸의 하부로부터 침수되는 것에 대한 방수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침수되는 것에 대한 그러한 방수부를 달성하는 복잡한 배수 구조는 구성 부품 수의 증가를 초래하며 따라서 엔진 시동기의 전체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복잡한 배수 구조의 그러한 구성 부품들이 독립적으로 부착된다면, 뜻하지않게 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시동기의 케이싱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배수 구조를 통해서 케이싱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단순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엔진 시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구성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달성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며, 따라서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단순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엔진 시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로터 샤프트를 가지는 전기 모터; 출력 샤프트; 출력 샤프트에 설치되고 스플라인을 통해서 상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피니언; 로터 샤프트의 일부에 형성된 태양 기어, 태양 기어에 맞물린 복수개의 혹성 기어 및, 혹성 기어에 맞물린 내측의 치형 링 기어를 구비하며 전기 모터의 출력을 출력 샤프트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 장치; 피니언을 내연 기관의 링 기어에 맞물리도록 구동하는 변환 수단; 전기 모터에 면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최소한 감속 기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감속 기어 장치의 상기 내측 치형 링 기어가 그것의 내측 주면을 따라 제공되며, 하우징의 개구부내에 설치되는 제 1 환상 부재; 및,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내측 주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는 요부;를 구비하며, 제 1 환상 부재의 외측 주면의 일부가 요부내로 돌출되는 내연 기관용 시동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환상 부재의 외측 주면의 돌출 부분은 하우징의 내측 주면에 형성된 요부에 의해 형성된 배수 통로내에 미로 구조를 형성하며, 그것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에 이르는 물의 통로를 실질적으로 방해함이 없이 물이 배수 통로를 통해 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돌출 부분은 제 1 환상 부재내에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부가적인 여분의 구성 부품들이 미로 구조를 만드는데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환상 부재는 전기 모터와 감속 기어 장치를 서로로부터 분리하도록 전기 모터와 제 1 환상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환상 부재의 외측 주면의 상기 돌출 부분에는 제 1 및 제 2 환상 부재 사이에서 접합부의 하부 부분을 덮도록 전기 모터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것은 배수 통로내의 물이 접합부를 통해서 시동기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시동기가 전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싱을 더 구비하며, 모터 케이싱에는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것의 하부 부분에 돌출부가 제공됨으로써, 돌출부는 물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의 내측 주면내에 형성된 상기 배수 통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공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케이싱의 상기 돌출부는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 케이싱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배수구를 덮는 캡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캡의 유출 개구부와 요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배수 통로의 유출 개구부는 그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된다.
그러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은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것의 하부 부분에 돌출 부분을 구비하며,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요부가 상기 돌출 부분내에 형성되는 것이 편리하다.
외측 주면에서 돌출 부분에 일체로 제공된 제 1 환상 부재는 몰딩에 의해서 합성 수지 재료로 바람직스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시동기의 단면도이며, 엔진 시동기는 감속 기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선 II-II 를 따라서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선 III-III 을 따라서 도시된 필수적인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선 IV-IV 를 따라서 도시된 필수적인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선 V-V 를 따라서 도시된 필수적인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모터용 배수 캡 부재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시동기 2. 감속 기어 장치
3. 전기 모터 4. 출력 샤프트
5. 일방향 롤러 클러치 6. 피니언
7. 스위치 장치 9. 솔레노이드 장치
10. 로터 샤프트 11. 저부 플레이트
13. 태양 기어 14. 혹성 기어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엔진 시동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엔진 시동기에는 감속 기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의 상부 절반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시동기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면의 하부 절반은 비작동 상태에서의 시동기를 도시한다. 도 1에서 구성 부품들은 명확한 설명의 관점에서 선택된 개별적인 단면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단면들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평면내에 있지 않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동기(1)는 내영 기관의 시동에 필요한 토크를 발생하며, 혹성 기어 감속 기어 장치(2)를 구비한 전기 모터(3), 감속 기어 장치(2)를 통해서 전기 모터(3)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4), 전기 모터(3)에 이르는 전원선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위치 장치(7) 및, 피니언(6) 뿐만 아니라 스위치 장치(7)의 가동 접촉 플레이트(8)를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장치(9)를 구비한다.
전기 모터(3)는 공지의 정류 형태인 직류 전기 모터이며, 이것의 로터 샤프트(10)는 도면에 도시된 이것의 우측단에서 저부 평면(11)의 중심에 추축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고, 출력 샤프트(4)의 우측단의 중심에 추축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데, 이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링 기어(23)의 일측에 있는) 이것의 좌측단에서 로터 샤프트(10)에 대하여 동축선상에 배치된 것이다.
감속 기어 장치(2)는 출력 샤프트(4)에 근접한 로터 샤프트(10)의 일부에 형성된 태양 기어(13), 태양 기어(13)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혹성 기어(14) 및, 혹성 기어(14)와 맞물린 내측의 치형 링 기어(15)를 구비한다. 이러한 시동기(1)에서, 내측의 치형 링 기어(15)는 상부 플레이트(12)의 내측 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12)는 링 기어 부재로서 사용된다. 내측 치형 링 기어(15)는 독립적인 환상의 부재로서 상부 플레이트(12)로부터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2)내로 설치된다. 혹성 기어(14)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6)는 (전기 모터(3)의 측에서) 출력 샤프트(4)의 우측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출력 샤프트(4)는 상부 플레이트(12)의 중심에 추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플레이트(12)에 대해서 피니언 하우징(17)이 부착되며, 피니언 하우징(17)은 또한 시동기를 엔진에 장착하는 고정용 브랙킥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출력 샤프트(4)의 좌측 단부는 피니언 하우징(17)의 좌측벽의 내측 표면의 중심 부분에 의해 추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하우징(17)의 좌측 부분은 피니언(6)을 수용하는 챔버를 구성하며, 피니언 하우징(17)의 우측 부분은 변환 챔버 케이싱을 형성한다.
출력 샤프트(4)의 중간 부분의 외측 원주 표면에는 헬리컬 스플라인(19)이 제공되며, 일방향 롤러 클러치(5)의 클러치 내측 부재(18)의 슬리이브(18a)의 축방향 단부 부분은 헬리컬 스플라인(19)과 맞물린다. 클러치 내측 부재(18)는 출력 샤프트(4)의 좌측 단부 부분에 고정된 정지 플레이트(20)와 슬리이브(18a) 사이에 배치된 제 2 복귀 스프링(21)에 의해 (수축 방향인) 우측으로 정상적으로 강제된다. 제 2 복귀 스프링(21)은 출력 샤프트(4)의 외측 원주 표면과 클러치 내측 부재(18)의 슬리이브(18a)의 내측 원주 표면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틈새에 수용된다.
관형의 클러치 내측 부재(18)는 일방향 롤러 클러치(5)의 클러치 외측 부재(2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는 고정되지만 회전 방향으로는 자유로운 관계로서 맞물린다. 클러치 외측 부재(22)에는 일방향 롤러 클러치(5)의 쐐기 챔버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표면이 제공되며, 링 기어(23)에 근접한 클러치 외측 부재(22)의 일부에는 단부 벽과 링 기어(23)를 향해 배향된 돌출부가 제공된다. 돌출부의 외측 주변 부분은 상기 언급된 피니언(6)과 일체로 형성되며, 피니언(6)은 엔진을 구동하도록 엔진의 링 기어(23)와 맞물린다. 피니언(6)과 일체로 형성된 클러치의 외측 부재(22)는 회전 방향과 축방향에서 자유로운 관계로써 출력 샤프트(4)의 좌측단에 설치된다.
피니언 하우징(17)의 중간 부분은 전류 인가 코일(24)에 고정되며, 전류 인가 코일은 비자성 재료로 제작된 출력 샤프트(4)를 감싼다. 전류 인가 코일(24)은 컵 형상의 고정구(25)와 환상의 디스크(26)에 의해 형성된 요크에 의해 감싸여지며, 상기 고정구를 통해서 출력 샤프트(4)가 통과된다. 전류 인가 코일(24)의 내측 원주 표면과 출력 샤프트(4)의 외측 원주 표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 내에는 제 1 플런저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기자 외측 부재(27)와 제 2 플런저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기자 내측 부재(28)가 배치되며, 이들은 강자성 재료로써 상호 동축선상에서 축방향으로 망원경과 같은 방식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제작된다. 전기자 부재(27,28)의 좌측 단부(피니언(6)을 면하는 단부)는 전기자(27,28)에 대한 자극으로서 고정구(25)의 내측 주변 부분상에 형성된 돌출 돌기에 대향한다.
환상의 연결 플레이트(29)는 전기자 외측 부재(27)의 우측단의 외측 주변 둘레에 설치되며, 연결 플레이트929)의 외측 주변 부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연결 로드(30)는 전기 모터(3)의 상부 플레이트(12)를 통과한다. 커넥팅 로드(30)의 돌출 단부에 대하여 전기 모터(3)의 정류자(31)에 근접하여 제공된 스위치 장치(7)의 이동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8)가 부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8)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커넥팅 로드(30)상에 장착되며, 코일 스프링(32)에 의해 부동(浮動)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것은 정류자(31)의 둘레에 제공된 브러쉬 고정구(33)에 확고하게 고정된 스위치 장치(7)의 고정 접촉 플레이트(34)와 맞물리고 그리고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전기자 외측 부재(27)는 연결 플레이트(29)와 피니언 하우징(17)의 내측 벽 사이에 게재된 제 1 의 복귀 스프링(35)에 의해 항상 우측으로 강제되지만, 정상적으로는 이동 가능하고 고정되어 있는 접촉 플레이트(8,34)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중립의 위치에 있게 된다.
전기자 내측 부재(28)는 코일 스프링(36)에 의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또는 링 기어(23)를 향해 강제되며, 코일 스프링(36)은 스프링 수단으로서 비 자성 재료로 제작된 스프링 유지기(48)와 전기자 내측 부재(28)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유지기(48)는 전기 모터(3)에 근접한 전기자 외측 부재(27)의 내측 구멍의 부분으로 끼워진다. 전기자 내측 부재(28)는 변환 부재(37)에 부착되며, 변환 부재(37)는 비 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클러치 내측 부재(18)의 우측단에 접하는 좌측단을 가진다.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힘은 피니언(6)의 휴지 상태하에서 클러치 내측 부재(18)상에 제공된 제 2 의 복귀 스프링(21)의 힘보다 약하지만, 전기자 내측 부재(28)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전기자 외측 부재(27)에 의해 완전히 압축되기 이전에 제 2 복귀 스프링(21)의 힘보다 커지게 된다.
전류 인가 코일(24)은 스위치 장치(7)내에 제공된 커넥터를 경유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점화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 장치(7)의 고정 접촉 플레이트(3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배터리의 양극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쌍의 양극 브러쉬에 연결된 한쌍의 접속용 구리선(pigtail, 40)은 스위치 장치(7)의 이동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8)에 부착된다. 한쌍의 음극 브러쉬(41)는 양극 브러쉬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양극 및 음극 브러쉬들은 개별의 사각 튜브 형상의 브러쉬 고정 프레임내에 수용되며, 이러한 프레임들은 브러쉬 고정구(33)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음극 브러쉬(41)에 대한 접속용 구리선은 이후에 설명될 중심 플레이트(43)에 연결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차량의 동체 및 피니언 하우징(17)을 경유하여 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연결된다. 스위치 장치(7)는 음극 브러쉬에 의해 측면이 접한 공간내에 제공된다.
금속성의 환상 중앙 플레이트(43)는 브러쉬 고정구(33)와 상부 플레이트(12) 사이에 배치되어 감속 기어 장치(2)와 전기 모터(3)를 서로로부터 분리한다. 그 사이에서 작은 틈새를 형성하는 로터 샤프트(10)의 외측 주변을 둘러싸기 위하여 중앙 플레이트(43)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환상의 돌기(43a)가 정류자(31)를 향해 돌출한다.
스위치 장치(7)는 시동기(1)의 상부 부분내에 위치하며, 이동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8)와 브러쉬 고정구(33)에 고정된 고정 접촉 플레이트(34)에 의해 형성된 접촉 장치는 요크의 역할을 하는 모터 케이징(44)의 내측에서 브러쉬 고정구(33)와 덮개(45)에 의해 덮인다. 그에 의해, 브러쉬의 먼지가 스위치 장치(7)의 접촉 장치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피니언 하우징(17)에는 시동기(1)가 설치된 상태에서 시동기의 하부 부분에 배수구(46)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수구(46)는 물을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피니언(6)의 휴지 위치를 결정하는 시일 플레이트(47)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시동기의 휴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장치(9)는 제 2 복귀 스프링(21)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된 시일 플레이트(47)와 피니언(6)에 의해 시일되지만, 일단 피니언(6)이 움직여서 링 기어(23)와 맞물리면 피니언(6)과 시일 플레이트(47)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피니언 하우징(17)의 내측 주변 표면과 클러치 외측 부재(22)의 외측 주변 표면 사이의 틈새는 물이 밀려들어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조차도, 시일 플레이트(47)는 그러한 물을 차단하도록 작용하며, 물의 제거는 시일 플레이트(47)의 전방에 제공된 배수구(46)의 제공에 의해 바람직스럽게 이루어진다.
시동기(1)에서, 변환 챔버 하우징을 형성하는 피니언 하우징(17)의 일부로 들어가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 채널(51)이 모터(3)에 근접한 피니언 하우징(17)의 개구부의 내측 주변내에 형성됨으로써, 배수 채널(51)은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피니언 하우징(17)의 최하부에서 변환 챔버 케이싱의 축을 따라서 또는 출력 샤프트(4)를 연장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확대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벽(52)이 제공됨으로써 돌출벽은 상부 플레이트(12)의 외측 주변의 일부로부터 배수 채널(51)의 저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돌출 벽(52)은 배수 채널(51)의 단면 부분을 점유하며, 차량이 세차되거나 또는 차량이 도로 표면상의 물 웅덩이 위로 달릴때와 같은 경우에 튀겨진 물이 배수 채널(51)을 통해서 피니언 하우징(17)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돌출 벽(52)의 단부 표면과 배수 채널(51)의 저부 사이에 있는 공간이 피니언 하우징(17)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물이 통과하는 것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돌출 벽(52)이 연장된다.
배수 채널(51)과 돌출 벽(52)은 피니언 하우징(17)과 상부 플레이트(12)내에 각기 몰딩(mold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로 구조를 가지는 배수 장치를 형성하도록 부가적인 추가의 구성 부품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며, 따라서 이러한 것은 구성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미로 구조는 피니언 하우징(17)과 상부 플레이트(12)를 순차적으로 단순히 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록 상부 플레이트(12)가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을 지라도, 돌출 벽(12)의 길이 및/또는 형상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12)가 합성 수지 재료로써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2)와 피니언 하우징(17)의 구성이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12)가 그 안으로 설치되는 피니언 하우징(17)의 내측 보어의 부분은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보완적으로 형상이 이루어진 돌출 부분(12a)과 오목 부분(12b)은 상부 플레이트(12)의 외측 주변상에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2)가 피니언 하우징(17)에 조립되었을때, 상부 플레이트(12)의 요부(12b)의 외측 표면에 접하는 피니언 하우징(17)의 두터운 두께의 부분의 내측 표면으로써 중심 잡기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중앙 플레이트(43)는 상부 플레이트(12)의 위체 배치된다. 이후에, 관통 볼트(49)는 저부 플레이트(11)를 통해 삽입되어 피니언 하우징(17)내에 형성된 나선 구멍(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맞물리는데, 이것은 중앙 플레이트(43)와 피니언 하우징(17) 내에 형성된 단차 같은 부분에 의해 형성된 대응 어깨 표면 사이에 게재된 상부 플레이트(12)의 돌출 부분(12a)과 상부 플레이트(12)가 축방향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그러한 것이다.
도 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벽(52)은 연장부(52a)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변환 챔버 케이싱의 축을 따라서 또는 출력 샤프트(4)를 따라서 모터 케이싱(4)을 향해 돌출한다. 연장부(52a)는 상부 플레이트(12)와 중심 플레이트(43) 사이에서 접합부를 덮으며, 그에 의해서 배수 채널(51)의 물이 접합부를 통해서 시동기(1)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2a)가 중심 플레이트(43)와 모터 케이싱(44) 사이의 접합부도 덮는다.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 케이싱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수 채널(51)에 근접한 모터 케이싱(44)의 일부에 대해서, 몰딩에 의해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배수 캡 부재(53)가 부착된다. 비록 도 1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브러쉬 고정구(33)가 모터 케이싱(44)내의 최하부 위치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실제로는 시동기(1)가 엔진에 장착된 상태에서 브러쉬 고정구(33)는 최하부 위치로부터 다소 상승된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배수 캡 부재(53)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6에서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캡 부재(53)는 모터 케이싱(44)내에 형성된 배수구(44a)내로 가압된 한쌍의 유연한 맞물림 부분을 가지며, 물이 배수구(44a)로부터 외측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차량이 물 웅덩이 위로 주행할때 배수구(44a)를 향해 튀겨들어 갈 수 있는 물이 배수구(44a)에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로 구조가 그 안에서 복수개의 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수 캡 부재(53)의 유출 개구부(53a)와 배수 채널(51)의 그것은 이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배수 채널(51)을 향하는 물의 이동은 배수 캡 부재(53)에 의해 차단되며, 따라서 물이 드레인 채널(51)내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채널(51)은 피니언 하우징(17)의 돌출 부분(17a)내에 형성되며, 이것은 피니언 하우징(17)의 표준적인 외측 원주선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돌출 부분(17a)도 물이 배수 캡 부재(53)의 유출 개구부(53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공헌한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 피니언(6)을 변위시키는 변환 메커니즘의 구동원으로서 솔레노이드 장치(9)가 전기 모터(3)에 대하여 동축선상으로 배치되었던 시동기가 도시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시동기들이 혹성 기어 감속 기어 장치를 구비하는한, 솔레노이드 장치가 전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고 피니언이 변환 레버를 경유하여 배치된 시동기, 또는 솔레노이드 장치가 제공되지 아니하고 피니언이 관성 구동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미끄러지게 되는 시동기등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변환 챔버에 제공되어 물이 배수 채널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바람직스럽게 방지하는 미로 구조는 배수 덮개 또는 미로 튜브의 같은 부가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래의 구성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단순화된 구조는 시동기의 가격을 감소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다. 배수 채널과 모터 배수 캡 부재의 유출 개구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그들을 배열함으로써, 각 그들의 내부로 물이 밀려들어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6)

  1. 로터 샤프트를 가지는 전기 모터; 출력 샤프트; 출력 샤프트에 설치되고 스플라인을 통해서 상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피니언; 로터 샤프트의 일부에 형성된 태양 기어, 이 태양 기어에 맞물린 복수개의 혹성 기어 및, 혹성 기어에 맞물린 내측의 치형 링 기어를 구비하며, 전기 모터의 출력을 출력 샤프트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 장치; 피니언을 내연 기관의 링 기어에 맞물리도록 구동하는 변환 수단; 전기 모터에 면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최소한 감속 기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감속 기어 장치의 상기 내측 치형 링 기어가 그것의 내측 주면을 따라 제공되며, 하우징의 개구부내에 설치되는 제 1 환상 부재; 및,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우징의 내측 주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는 요부;를 구비하며, 제 1 환상 부재의 외측 주면의 일부가 요부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시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환상 부재는 전기 모터와 감속 기어 장치를 서로로부터 분리하도록 전기 모터와 제 1 환상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환상 부재의 외측 주면의 상기 돌출 부분에서 제 1 및 제 2 환상 부재 사이에서 접합부의 하부 부분을 덮기 위히여 전기 모터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시동기는 전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싱을 더 구비하며,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 케이싱에는 그것의 하부 부분에 돌출부가 제공됨으로써, 돌출부는 외측으로부터 하우징의 내측 주면에 형성된 상기 배수 통로내로 물이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공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모터 케이싱의 상기 돌출부는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 케이싱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배수구를 덮는 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캡 부재의 유출 개구부와 요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배수 통로의 유출 개구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시동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것의 하부 부분에 돌출 부분을 구비하며,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요부는 상기 돌출 부분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환상 부재는 몰딩에 의해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기.
KR1019980007311A 1997-03-07 1998-03-05 내연 기관용 시동기 KR19980079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53188A JPH10252621A (ja) 1997-03-07 1997-03-07 エンジン用始動装置の水抜き構造
JP09-53188 1997-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45A true KR19980079945A (ko) 1998-11-25

Family

ID=1293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311A KR19980079945A (ko) 1997-03-07 1998-03-05 내연 기관용 시동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44336A (ko)
EP (1) EP0863309B1 (ko)
JP (1) JPH10252621A (ko)
KR (1) KR19980079945A (ko)
CN (1) CN1193076A (ko)
BR (1) BR9800838A (ko)
CA (1) CA2230683A1 (ko)
DE (1) DE69800145T2 (ko)
ID (1) ID20519A (ko)
TR (1) TR199800392A3 (ko)
TW (1) TW3663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89A (ko) * 2000-07-24 2002-01-31 에릭 발리베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배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622A (ja) * 1997-01-09 1998-09-22 Denso Corp スタータ
JP3379884B2 (ja) * 1997-03-25 2003-02-24 株式会社ミツバ エンジン始動装置
JP3838868B2 (ja) * 2000-12-05 2006-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2180938A (ja) * 2000-12-08 2002-06-26 Denso Corp スタータ
JP4238476B2 (ja) * 2000-12-08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中間歯車付スタータ
JP4222734B2 (ja) * 2001-01-26 2009-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US6720669B1 (en) * 2002-11-04 2004-04-13 Eugene Chiappe Starter for aircraft piston engines
FR2858367B1 (fr) * 2003-05-30 2006-01-27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angulaire d'une culasse de demarreur par rapport a son support
US7138908B2 (en) * 2003-10-27 2006-11-21 Ke-Way Lu Engine starter for remote-control toy car
US7621373B2 (en) * 2004-12-15 2009-11-24 Sika Technology Ag Acoustic drain
US7647850B2 (en) * 2007-02-08 2010-01-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tarter motor casing
DE102007051595A1 (de) * 2007-10-29 2009-04-30 Robert Bosch Gmbh Andrehvorrichtung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CN102345546A (zh) * 2010-08-02 2012-02-08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启动器
FR2969219B1 (fr) * 2010-12-20 2013-01-11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pour reducteur de vitess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associe
CN102891566B (zh) * 2011-07-21 2016-11-23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直流电机
JP6024111B2 (ja) * 2012-02-06 2016-11-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3256165A (zh) * 2013-05-17 2013-08-21 宁波嘉宏电机有限公司 一种汽车起动机的防水排水机构
JP6316080B2 (ja) * 2014-04-23 2018-04-25 株式会社ミツバ スタータ
CN103994009A (zh) * 2014-06-04 2014-08-20 柳州杰诺瑞汽车电器系统制造有限公司 具有迷宫式排水机构的起动机
DE102014217349A1 (de) 2014-08-29 2016-03-0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als Antriebslager ausgebildeten Gehäuse und darin gelagertem Hohlrad
DE102014217350B4 (de) 2014-08-29 2022-03-24 Seg Automotive Germany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als Antriebslager ausgebildeten Gehäuse und darin gelagertem Hohlrad
JP6462313B2 (ja) * 2014-10-27 2019-01-30 株式会社ミツバ 駆動装置
CN104595084A (zh) * 2014-11-28 2015-05-06 重庆小康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发动机启动器
FR3037736B1 (fr) * 2015-06-18 2019-04-26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Ensemble pour demarreur
CN106762318B (zh) * 2015-11-19 2019-05-21 北京佩特来电器有限公司 一种起动机及其起动机端盖
CN109281789A (zh) * 2017-07-20 2019-01-29 东风汽车电气有限公司 一种起动机减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12Y2 (ja) * 1988-08-25 1995-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電動機
JP2539912B2 (ja) * 1989-05-15 1996-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タ
JP2759891B2 (ja) * 1990-03-08 1998-05-28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給紙用紙の重複検知方法および装置
DE69100828T2 (de) * 1990-05-22 1994-04-07 Mitsuba Electric Mfg Co Anlassvorrichtung für Verbrennungsmotor.
JPH0493466U (ko) * 1990-12-28 1992-08-13
US5307700A (en) * 1992-12-04 1994-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engine starter
US5443553A (en) * 1993-12-16 1995-08-22 Nippondenso Co., Ltd. Starter
FR2717962B1 (fr) * 1994-03-25 1996-05-15 Valeo Equip Electr Moteur Elément de carter de machine comportant un orifice d'évacuation de liquide obturé par un bouchon troué formant chicane, bouchon et démarreur de véhicule automobile.
EP1087132B8 (en) * 1995-05-29 2003-08-13 Mitsuba Corporation Co., Ltd. Coaxial engine starter system
FR2735185B1 (fr) * 1995-06-12 1997-07-18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pour vehicule automobile muni d'une evacuation d'eau perfectionn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89A (ko) * 2000-07-24 2002-01-31 에릭 발리베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0519A (id) 1999-01-07
DE69800145D1 (de) 2000-06-21
DE69800145T2 (de) 2001-01-11
TR199800392A2 (xx) 1999-10-21
EP0863309B1 (en) 2000-05-17
EP0863309A1 (en) 1998-09-09
CN1193076A (zh) 1998-09-16
BR9800838A (pt) 1999-09-14
JPH10252621A (ja) 1998-09-22
TW366389B (en) 1999-08-11
CA2230683A1 (en) 1998-09-07
US5844336A (en) 1998-12-01
TR199800392A3 (tr) 199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9945A (ko) 내연 기관용 시동기
KR0143961B1 (ko) 엔진 시동을 위한 스타터
US5443553A (en) Starter
US5877575A (en)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943909A (en) Starter for engine having water drainage hole
JP2979973B2 (ja) 減速機構付スタータ
EP0660356B1 (en) A magnet switch and a starter using same
US5610466A (en) Starter for starting an engine
CA2237115C (en) A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31588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5735169A (en) Starter having magnet switch with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JPH07230751A (ja) スタータの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2929954B2 (ja) スタータ
JPH10159693A (ja) 電磁装置
KR101893373B1 (ko) 수밀 안정성이 확보된 스타팅 모터용 솔레노이드 조립체
JP3572742B2 (ja) スタータ
JP3751691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3508324B2 (ja) スタータ
JPH09256931A (ja) スタータ
KR20020002835A (ko)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센터브라켓설치구조
JPH08319925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20002834A (ko) 차량용 스타터모터의 센터브라켓설치구조
KR19990020726A (ko) 기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