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310A - 세미기 - Google Patents

세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310A
KR19980070310A KR1019970081223A KR19970081223A KR19980070310A KR 19980070310 A KR19980070310 A KR 19980070310A KR 1019970081223 A KR1019970081223 A KR 1019970081223A KR 19970081223 A KR19970081223 A KR 19970081223A KR 19980070310 A KR19980070310 A KR 1998007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mi
rice
nozz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600B1 (ko
Inventor
나카니시야스로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야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야스로 filed Critical 나카니시야스로
Publication of KR1998007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용기내에 기포를 포함하는 고속회전수류를 발생하여 원심력과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효율좋게 세미할 수 있는 세미기를 제공한다.
내주가 원형을 이루는 용기의 외주부에서 거의 수평으로 내벽을 따라서 관통하는 노즐을 설치하고, 노즐에서 가압수를 분사하여 용기내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수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용기의 바깥에서 안쪽을 향하여 관통시킨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의 흡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용기의 상부에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눈금을 가지는 배수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중앙부에 배수구를 가지는 뚜껑을 용기의 상부에 설치한 것 등, 혹은 용기의 상부를 조루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미기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한 세미기(洗米機)에 관한 것이다.
손을 물에 적시지 않고 쌀을 씻을 수 있는 기구로서, 특공소61-7101, 실개소53-124163, 특개소56-76262에 나타낸 것같이 노즐을 용기안에 넣어서 손으로 교반하는 것과, 실개평1-128730과 같이 초음파 노즐을 용기의 중심부를 향하여 공급하는 것과, 특개소56-75124와 같이 용기 가운데에 쌀의 받는 접시를 마련하여 노즐로서 공기와 물을 혼합시켜 쌀과 함께 아래를 향하여 불어내는 것으로서, 실개소56-176651과 같이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기포판에서 압축공기를 내보내는 것과, 특허 98572, 실공소40-35747, 특공소54-8740에 나타낸 것같이 세정용기와 파이프중에 물, 공기, 쌀을 혼합하여 순환시키는 세미기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개평7-116527 세미기의 기포식 세미장치에서는, 기포분사장치를 상부에서 호퍼내에 넣어서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도 개시되어 있으나, 기포분사장치외에 오우버플로우파이프, 흡인송미펌프, 송미파이프 등이 호퍼내에 있기 때문에 저항이 크며, 이것등이 방해가 되어 원심력과 원심분리작용을 활성시킬 수가 없다. 오우버플로우파이프도 중앙에 위치하지 못했으므로 원심분리작용의 효과는 얻을 수 없다. 가능한 한 회전수류를 빠르게하여 원심력과 원심분리작용을 활성하여 효과를 향상시키는 점에 대하여 아무런 나타냄이 없다. 일반 가정용의 세미기로서는 동력을 사용하는 것은 결점으로 된다.
특개평8-10630과 같이 사이크론 분리기를 응용한 것도 있으나, 쌀도 함께 물입구관으로 흐르기 때문에 노즐의 선단을 조루면 쌀이 막히기 때문에 가압수를 분사할 수가 없다. 또, 사이크론 상부에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밑부의 쌀 밴커내에서는 쌀은 정체하여 세미효과가 발생치 않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한 세미기(洗米機)에 관한 것이다.
손을 물에 적시지 않고 쌀을 씻을 수 있는 기구로서, 특공소61-7101, 실개소53-124163, 특개소56-76262에 나타낸 것같이 노즐을 용기안에 넣어서 손으로 교반하는 것과, 실개평1-128730과 같이 초음파 노즐을 용기의 중심부를 향하여 공급하는 것과, 특개소56-75124와 같이 용기 가운데에 쌀의 받는 접시를 마련하여 노즐로서 공기와 물을 혼합시켜 쌀과 함께 아래를 향하여 불어내는 것으로서, 실개소56-176651과 같이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기포판에서 압축공기를 내보내는 것과, 특허 98572, 실공소40-35747, 특공소54-8740에 나타낸 것같이 세정용기와 파이프중에 물, 공기, 쌀을 혼합하여 순환시키는 세미기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개평7-116527 세미기의 기포식 세미장치에서는, 기포분사장치를 상부에서 호퍼내에 넣어서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도 개시되어 있으나, 기포분사장치외에 오우버플로우파이프, 흡인송미펌프, 송미파이프 등이 호퍼내에 있기 때문에 저항이 크며, 이것등이 방해가 되어 원심력과 원심분리작용을 활성시킬 수가 없다. 오우버플로우파이프도 중앙에 위치하지 못했으므로 원심분리작용의 효과는 얻을 수 없다. 가능한 한 회전수류를 빠르게하여 원심력과 원심분리작용을 활성하여 효과를 향상시키는 점에 대하여 아무런 나타냄이 없다. 일반 가정용의 세미기로서는 동력을 사용하는 것은 결점으로 된다.
특개평8-10630과 같이 사이크론 분리기를 응용한 것도 있으나, 쌀도 함께 물입구관으로 흐르기 때문에 노즐의 선단을 조루면 쌀이 막히기 때문에 가압수를 분사할 수가 없다. 또, 사이크론 상부에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밑부의 쌀 밴커내에서는 쌀은 정체하여 세미효과가 발생치 않는 결점이 있다.
도 1a는 실시예 1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실시예 1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c는 실시예 1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d는 실시예 1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e는 실시예 1의 커버를 설치한 물건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f는 실시예 1의 비산방지틀을 설치한 물건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실시예 2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실시예 2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c는 실시예 2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B-B' 단면도.
도 3a는 실시예 3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는 실시예 3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c는 실시예 3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C-C' 단면도.
도 4a는 실시예 4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실시예 4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c는 실시예 4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D-D' 단면도.
도 4d는 실시예 4의 배수중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c의 E-E' 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2b의 F-F' 단면 확대도.
도 7은 홈의 단면 확대도.
도 8은 실시예 6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는 실시예 9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9a의 G-G'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9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노즐
3 : 호오스 4 : 조인트
5 : 사구(蛇口) 6 : 흡기구
7 : 배수벽 8 : 커버
9 : 비산방지틀 10 : 뚜껑
11 : 배수구 12 : 조루기부분
13 : 넓은부분 14 : 파이프
15 : 유지부 16 : 밑부(底部)
17 : 배수부 18 : 교반날개
19 : 홈 20 : 압수파이프
21 : 흡기파이프 22 : 정류날개
23 : 개구부 24 : 파이프호울더
25 : 분출구 26 : 회전판
27 : 임펠러 28 : 코일
A : 유수 B : 쌀
C : 배수 D :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면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하고 사색하며 실험을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가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세미기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또, 세미기안의 물을 수평하게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동력 등은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내면이 원형을 이루는 용기(1)의 외주부에서 거의 수평으로 내벽을 따라서 관통하는 노즐(2)을 설치하고, 노즐(2)과 호오스(3)를 연결하며, 호오스(3)의 타단을 수도의 사구(5)에 연결한다. 보다 고압수를 얻기 위하여 노즐의 선단을 조루어도 좋다.
노즐은 약간 하방으로 향하게하여 분사시켜도 좋다. 이로 인하여, 용기(1)내에 소용돌이형상의 고속수류가 발생하여 원심력과 원심분리효과를 얻는다.
용기(1)의 바깥쪽에서 안으로 향하여 관통시킨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못하는 크기의 흡입구(6)를 설치하여 고속수에 의하여 용기내에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화된 기포를 발생시켜서 세정효과를 높인다. 흡기구(6)는 수류의 방향을 향하여 전둘레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노즐(2) 선단의 주변 또는 직전에 설치하여도 좋다.
원심분리된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를 배출하기 위하여 용기(1)의 상부에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눈금을 가지는 배수벽(7)을 설치하여도 좋다.
비중이 가벼운 쌀겨와 기포는 원심분리되어서 용기의 중앙부에 모이게 되어서 보다 효율좋게 배수되므로써 중앙부에 배수구(11)를 가지는 뚜껑(10)을 용기(1)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쌀의 양이 용기의 반분 이상을 점하는 경우에는 배수구(11)에서 쌀입자가 적시게 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그물형상체에 의하여 커버해도 좋다.
용기(1)의 상부를 조루게 하여도 좋다.
용기(1)의 밑부(16)의 중앙부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그물눈금의 배수구(11)를 설치하여도 좋고 중앙부를 간통하여 상방을 향한 배수파이프(14)를 설치하여도 좋다.
용기(1)의 밑부(16)의 중앙부에 유지부(15)를 설치하고 배수파이프(14)를 유지시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배수파이프 유지부(15)에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배수부(17)를 설치하여도 좋다.
용기(1)의 내면에 교반날개(18)를 설치해도 좋으며, 용기(1)의 내면 및 밑부(16)에 홈(19)을 설치하여도 좋고, 홈(19)을 나선상으로 해도 좋다. 또, 용기(1)의 내면을 거칠게 하여도 좋다. 용기(1)의 내면 및 밑부(16)에 설치된 홈(19)에 가압수를 분사하여 용기(1)내에 고속회전수류를 발생시켜도 좋다. 홈(19)에 흡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뚜껑(10)의 단부에는 아래로 향하여 선단을 조루어서 수평으로 분사하는 노즐(2)을 가지는 압수파이프(20)와, 노즐(2)의 주변에 개구부를 가지는 흡기용 파이프(21)를 설치하여 용기(1)의 내면에 평행으로 분사시켜도 좋다.
노즐은 복수로 설치하여도 좋으며, 일부는 용기(1)의 밑부에서 수류와 동방향으로 분사시켜도 좋다.
용기(1)의 밑부에 회전판(26)을 설치하고 노즐에서의 분사수에 의하여 회전판(26)을 고속회전시켜도 좋다. 쌀 전체가 회전판위에서 고속회전하여 원심력을 높일 수가 있다. 회전판(26)의 외주와 용기(1)의 내벽 사이에 홈(19)을 설치하여도 좋다.
회전판(26)에 임펠러(27)를 설치하여 회전효과를 높이도록 해도 좋다.
용기(1)의 내벽을 따라서 코일(28)을 설치하여 교반효과와 마찰효과를 높이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세미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세미기의 용기(1)내에 필요한 씻을 양의 쌀(B)을 넣고, 호오스(3)를 조인트(4)를 통하여 수도의 사구(5)에 연결하여 사구(5)를 풀어준다. 노즐(2)의 선단은 가늘게 조루어져 있으므로 물은 힘있게 용기(1)의 내면을 따라 수평으로 분사한다. 쌀의 양, 수압에 맞추어서 노즐을 약간 상하로 움직여도 좋다.
물과 쌀(B)은 용기내를 고속으로 화살표(A)의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회전하여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쌀(B)은 원심력에 의하여 용기(1)의 내면에 밀어붙이면서 회전한다. 이때에 쌀(B)은 용기(1)의 내면과의 마찰과 쌀입자끼리의 마찰에 의하여 쌀겨가 벗겨진다. 벗겨진 쌀겨는 상부의 배수벽(7)에서 배수(C)와 함께 배출된다. 배수벽(7)은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치수의 그물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써 쌀입자는 유출되지 않는다. 배수벽(7)에 의하여 배수(C)의 비산은 완화되고, 또한 커버(8) 또는 비산방지장치(9)에 의하여 배수의 비산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노즐(2)의 주변에 설치된 흡기구(6)에서 흡입시킨 공기는 고속수에 의하여 미세화되므로써 세정효과를 높인다. 흡기구(6)는 수류(A)의 방향을 향하여 전둘레에 설치해두면 세미중은 공기를 흡입하며, 물을 끊으면 흡기구(6)에서 배수된다.
원심력에 더하여 원심분리효과가 현저하게 되며, 비중이 가벼운 쌀겨와 기포는 쌀(B)과 분리되어 용기(1)의 중앙부에 모이고, 재차 쌀(B)과 혼합되는 일은 없으므로 쌀겨의 냄새가 쌀(B)에 옮기는 일없이 이상적인 세미가 가능하다.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는 뚜껑(10)의 중앙에 설치된 배수구(11)에서 효율좋게 배출된다. 중앙부의 수류는 느리기 때문에 배수는 비산하지 않는다. 통상은 쌀입자는 유출되지 않으나, 쌀의 양이 많을 때는 유출되는 일도 있으므로 배수구(11)에 그물형상체를 설치하여 유출을 방지한다.
용기(1)의 밑부(16)의 중앙부를 관통시켜서 설치된 배수파이프(14)에서 원심분리에 의하여 중앙부에 모여진 쌀겨와 기포를 효율좋게 배출할 수 있다. 배수파이프(14)를 쌀(B)의 양에 맞추어서 많을 때는 위로, 적을 때는 아래로 슬라이드시키므로써 또한 효율을 올릴 수가 있다.
배수파이프(14)의 유지부(15)를 빗모양이든지 그물모양으로 가공한 배수부(17)를 설치하므로써 배수파이프(14)의 하단을 배수부(17)의 하단에서 위로 당겨올려서 배수를 할 수 있다.
용기(1)의 내면 또는 저부(16)에 교반날개(18)를 설치하므로써 외측과 내측을 흐르는 쌀(B)이 서로 교체되도록 교반하여 보다 세미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용기(1)의 내면 또는 밑부(16)에 홈(19)을 설치하므로써 교반효과를 높일 수가 있으며, 홈(19)을 나선상으로 하므로써 그 효과는 현저히 나타난다. 홈(19)에 가압수를 분출하여 고속회전수류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용기(1)의 내면을 거칠게 하므로써 쌀씻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용기를 기울게 하지 않고 배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노련한 주부의 밥맛좋은 쌀을 취사하기 위한 세미의 기술을 충분히 살릴 수가 있다.
뚜껑(10)의 단부에서 아래를 향하여 선단을 조루어서 수평으로 분사하는 노즐(2)을 가지는 압수파이프(20)와, 노즐(2)의 주변에 개구부를 가지는 흡기파이프(21)를 설치하고 용기(1)의 내면에 평행으로 분사시키므로써 취사기의 솥이나 냄비와 같은 보통의 용기가 사용된다.
노즐(2)을 복수로 하므로써 보다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또 밑부에서 수류의 방향을 향하여 분사하므로써 밑부에 정체되기 쉬운 쌀을 원활하게 유동시켜서 세미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용기(1)의 밑부에 회전판(26)을 설치하므로써 쌀전체를 고속회전을 시킬 수가 있으므로 원심력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한, 회전판(26)에 임펠러(27)를 설치하므로써 회전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용기(1)의 내벽을 따라 코일을 설치하므로써 교반효과와 마찰효과를 함께 높일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실시예 1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내주가 원형을 이루는 용기(1)의 외주부에서 수평으로 내주를 따라 관통시킨 노즐(2)을 설치하고 호오스(3)의 일단에 접속하여 타단으로 착탈 자재되도록 조인트(4)를 설치하고 수도의 사구(5)에 접속한 것이다.
6은 흡기구, 7은 배수벽이다. 도 1b는 실시예 1의 구조와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c는 그 측면도이다. 도 5는 E-E' 단면 확대도이다.
용기(1)내에 쌀을 넣은 후에 사구(5)를 풀어주면 노즐(2)에서 힘차게 물이 분사되어 동시에 노즐(2)의 선단의 주변에 설치된 흡기구(6)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미세화되어서, 혼합을 하면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고속회전하며 수위가 상승하여 상부에서 배출한다. 고속회전에 의하여 원심력이 작용하며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쌀(B)은 용기(1)의 내벽으로 밀어붙여서 쌀입자끼리의 마찰을 더하여 공기의 세정효과도 작용하여서 매우 효율좋은 세미를 할 수 있다. 상부에 설치한 배수벽(7)은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빗모양이나 그물모양으로 하므로써 쌀은 유출되지 못하고, 박리된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만을 비산을 완화하면서 배출된다.
도 1d는 A-A' 단면도이며, 실시예 1의 기능과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용기(1)내의 쌀(B)은 원심력에 의하여 용기(1)의 내면에 밀어붙여서 고속으로 내벽과 쌀입자끼리가 마찰하여 박리된다. 또한, 미세화된 기포에 의하여 세정효과와 분리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비중이 가벼운 쌀겨와 기포는 용기의 중앙부에 회오리바람의 중심부같이 모아져서 혼합수(D)로 된다. 수위가 상승하여 배수벽(7)에서 배수(C)로 되어서 배출되나, 배수벽(7)의 저항에 의하여 크게 비산하는 일은 없으나 필요하면 도 1e나 도 1f를 마련해도 좋다.
도 1e는 배수(C)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8)를 설치한 단면도이며, 1은 용기, B는 쌀, C는 배수, D는 쌀겨와 공기의 혼합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f는 비산방지장치(9)를 설치한 단면도이며, 1은 용기, B는 쌀, C는 배수, D는 쌀겨와 공기의 혼합수를 나타낸다.
흡기구(6)의 위치는 노즐(2)의 선단과 동일위치나 직전이 좋고, 노즐(2)의 선단이 용기에 있으면 용기에,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파이프내에 있으면 파이프에 설치할 수도 있다. 흡기구(6)의 사이즈는 쌀입자보다 작게 하므로써 정지시에 쌀입자의 유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시생략한 용기(1)의 전주에 수류(A)와 동방향을 향하여 흡기구(6)를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세미중은 물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구(6)에 의하여 형성되는 요철은 쌀겨의 박리효과를 높인다. 물을 끊었을 때는 물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흡기구(6)에서 배수된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있었을 때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는 실시예 2의 구조와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그 측면도이고, 도 2c는 B-B' 단면도이다. 실시예 1과 같이 호오스(3)를 통과하여 노즐(2)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물은 용기(1)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며, 원심력에 의하여 비중이 무거운 쌀(B)은 용기(1)의 내벽을 따라 밀어붙이면서 회전하며, 그로 인하여 박리된 비중이 가벼운 쌀겨와 미세화된 기포는 용기(1)의 중심부에 모인다. 중심부에 모여진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는 용기(1)에 피복된 뚜껑(10)의 중앙에 설치된 배수구(11)에서 효율좋게 배출된다. 중심부의 수류는 회전이 느리기 때문에 배수(C)는 비산하지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을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실시예 3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C-C' 단면도이다. 실시예 2와 같이 원심력에 의하여 비중이 무거운 쌀(B)은 용기(1)의 밑부의 넓은부분(13)에 모여서 용기(1)의 중심부에 모여진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는 용기(1)의 상부의 조여진 부분(12)을 통과할 때에 감속되어서 최상부에서 배출한다. 2는 노즐, 3은 호오스, 6은 흡기구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4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실시예 4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그 측면도, 도 4c는 그 D-D' 단면도이다. 도 4d는 배수중의 구조와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4의 것에 있어서는 용기(1)의 밑부(16)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부를 향하여 세운 배수파이프(14)를 설치한 것이다. 원심분리되어 용기(1)의 중심부에 모아진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는 이 파이프(14)에서 배출된다. 파이프(14)를 상하로 슬라이드되기 위한 유지부(15)를 설치하여 쌀의 양에 맞추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15)를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눈금의 빗모양이나 그물모양으로 해두면 파이프(14)의 하단부를 유지부(15)의 하단부에서 위로 당겨올리므로써 용기(1)를 기울이지 않고 배수할 수가 있다. 단지, 밑부(16)의 중앙에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그물눈의 배수구만을 설치할 수가 있다.
이것은 원숙한 주부가 쌀로서 맛나게 밥을 짓기 위한 조건으로서 최초에 쌀겨의 냄새가 쌀에 옮겨지기전에 신속하게 물을 흘려내는 작업을 파이프를 상하동하는 것으로서 자재로 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실시예 5의 구조와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용기(1)의 내면에 교반날개(18)를 설치한 쌀을 교반한다. 외측과 내측을 흐르는 쌀을 서로 교체되도록 교반하기 위해서는 선단을 구부린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
용기(1)의 내벽 및 밑부(16)에 홈(19)을 만듦으로써 교반과 마찰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홈(19)을 나선상으로 하면 교반효과는 보다 현저하다.
또한, 내면을 거칠게 하면 마찰효과는 상승한다.
도 7은 홈(19)의 확대 단면도이다. 홈(19)의 분출부(25)를 좁게 하며, 내부를 넓히고 물을 쉽게 흐르도록 하고, 홈(19)내에 가압수를 분사하므로써 정체되기 쉬운 쌀을 부상시키면서 고속회전수류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분출부(25)의 폭은 쌀입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치수가 바람직하며, 홈(19)의 단면형상은 원형이 아니라도 좋다.
도 8은 홈(19)을 용기(1)의 밑부(16)에서 용기(1)의 내벽의 일어세우는 부분에 설치하고, 홈(19)은 가압수를 분사시킨 것으로서 쌀의 양이 많더라도(5홉 정도까지라도) 쌀이 정체되는 일없이 고속회전시킬 수가 있다. 홈(19)에 흡기구(6)를 설치하므로써 많은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7)
도 1c는 실시예 6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용기(1)의 밑부(16)에서 용기(1)의 내면에 평행하게 분사하는 노즐(2)을 설치하여 용기(1)내에 소용돌이형상의 수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노즐(2)을 밑부(16)에서 분사하므로써 밑부에 정체되기 쉬운 쌀(B)을 보다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8)
도 2b는 실시예 7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F-F' 단면 확대도이다.
뚜껑(10)의 단부에서 아래를 향하게하여 선단을 조여서 수평으로 분사하는 노즐(2)을 가지는 압수파이프(20)와, 노즐(2)의 주변에 개구부(23)를 가지는 흡기용 파이프(21)를 설치하고, 용기(1)의 내면에 평행으로 분사시킬 수가 있다. 흡기구(6)에서 흡인된 공기는 흡기파이프(21)의 개구부(23)에서 물의 흡인작용에 의하여 물과 함께 분사되며, 미세기포로 되어서 용기(1)내에 소용돌이 수류를 발생시킨다. 소용돌이형상의 고속회전수류에 의하여 세미되고 원심분리된 쌀겨와 기포의 혼합수(D)는 중앙에 모이고, 뚜껑(10)의 중앙에 설치된 배수구(11)에서 효율좋게 배수된다. 뚜껑(10)에 설치된 파이프 호울더(24)를 통하여 흡기파이프(21)를 상하동시켜 노즐(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뚜껑(10)은 그물형상으로 해도 좋다. 정류날개(22)에 의하여 수류를 조정할 수도 있으며, 정류날개(22)를 돌려서 교반할 수도 있다.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세미하는 것은 다른 세미기에서는 볼 수 없는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것은 본 발명을 취반기의 솥이나 냄비 등 일반적인 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9)
도 9a는 실시예 9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9b는 G-G' 단면도이다. 회전판(26)은 중앙부를 약간 높게하여 테이퍼를 붙여서 회전에 의하여 중앙부에 있는 쌀을 바깥쪽으로 쉽게 흐르도록 한 것이다.
이 회전판(26)에 의하여 쌀을 전체적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회전판(26)에 설치된 임펠러(27)에 의하여 회전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홈(19)은 회전판과 용기의 내벽간에 형성된 쌀의 부상효과에 더하여 회전효율도 상승한다.
(실시예 10)
도 10은 실시예 1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코일(28)을 용기(1)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한 것이다. 안쪽과 바깥쪽의 쌀을 서로 교체시키는 교반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쌀과 코일과의 마찰을 증가시켜 세미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세미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모든 곡물에 사용할 수가 있고, 작은 부품 등의 세정, 분리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가압수를 강력한 펌프를 사용하므로써 대형화할 수도 있으며, 배수를 펌프로서 보내므로써 순환하여 사용하는 물이나 세제를 절약하는 일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컨대 실시예 2에 대하여 실험을 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장소 : 히로시마시 아주마구 일반가정의 수도
용기사이즈 : 안지름 14cm, 높이 9cm, 배수구 지름 4cm
쌀의 양 : 3홉
물의 사용량 : 4L-5L
소요시간 : 20-40초
3홉을 손으로 씻을 때,
소요시간 : 100-120초
물의 사용량 : 4L-5L
본 발명의 세미기는 용기내에 노즐에서 분사하는 고속수에 의하여 용기내에 고속회전수류를 발생시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쌀은 원심력에 의하여 용기의 내면으로 밀어붙이면서 회전하고, 용기의 내면과 쌀입자끼리의 마찰에 의하여 신속하게 쌀겨가 박리된다. 또한, 노즐의 주변에서 흡인된 공기가 미세화되며 혼합되어서 세정효과를 높이고, 물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얻는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비중이 무거운 쌀은 바깥쪽에, 비중이 가벼운 쌀겨와 기포는 중심부에 분리된다. 중앙부에 모아진 쌀겨는 재차 쌀에 섞이는 일없이 배출구에서 배출되므로써 쌀겨의 냄새가 쌀에 옮겨지는 일없이 세미효과를 매우 높일 수가 있다.
맛있는 쌀밥을 짓는 법은 쌀을 씻는 기술에 의한 것이라고들 하나, 그것은 쌀겨의 냄새가 쌀에 옮겨지기전에 신속하게 씻으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세미기를 사용하므로써 누구든지 원숙한 주부와 같은 맛있는 쌀밥을 지을 수가 있다.
겨울에는 찬물속에 손을 넣을 필요도 없으며, 매니큐어가 벗어질 염려도 없어서 맛있는 쌀밥을 짓기 위한 세미를 할 수 있다.

Claims (10)

  1. 내주가 원형을 이루는 용기(1)의 외주부에서 거의 수평으로 내벽을 따라 관통하는 노즐(2)을 설치하고, 노즐(2)에서 가압수를 분사하여 용기(1)내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수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의 주변에 흡기구(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에 배수구(11)를 가지는 뚜껑(10)을 용기(1)의 상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상부를 조루기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밑부(16)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방을 향하게 한 배수파이프(1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내면 또는 밑부(16)에 교반날개(18) 또는 홈(1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7. 용기(1)의 내면 및 밑부(16)에 설치된 홈(19)에 가압수를 분출시켜 용기내에 고속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8. 뚜껑(10)의 단부에서 아래를 향하여 선단을 조여서 수평으로 분사하는 노즐(2)을 가지는 압수파이프(20)와, 노즐(2)의 주변에 개구부를 가지는 흡기용 파이프(21)를 설치하여 용기(1)의 내면에 평행으로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밑부에 회전판(2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10.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내벽을 따라서 코일(2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KR1019970081223A 1997-01-07 1997-12-31 쌀세척기 KR100445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897 1997-01-07
JP97-000808 1997-01-07
JP97-808 1997-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310A true KR19980070310A (ko) 1998-10-26
KR100445600B1 KR100445600B1 (ko) 2005-05-27

Family

ID=1148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223A KR100445600B1 (ko) 1997-01-07 1997-12-31 쌀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899579B2 (ko)
KR (1) KR100445600B1 (ko)
CN (1) CN1268270C (ko)
TW (1) TW3819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742B1 (ko) * 2001-09-05 2004-06-04 주은선 환렬 기포식 세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301094A (en) * 2001-12-05 2003-07-01 Yasuro Nakanishi Washing equipment and gas-liquid injection device
KR101243858B1 (ko) * 2010-12-30 2013-03-20 유완기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CN102892170A (zh) * 2012-09-19 2013-01-23 邦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获取核心网ip的方法及系统
KR101494636B1 (ko) * 2013-09-17 2015-02-23 이찬우 절미방지 수압 세미기
JP5643458B1 (ja) * 2014-06-05 2014-12-17 村山 哲夫 流水式の米研ぎ器
CN104607262A (zh) * 2015-02-09 2015-05-13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米浸泡清洗装置
CN105747250A (zh) * 2016-04-18 2016-07-13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能降低米饭中铅、汞含量的自动米饭烹饪装置和方法
CN107960898B (zh) * 2016-10-20 2023-09-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洗料盒、上壳组件及烹饪器具
CN108201355B (zh) * 2016-12-16 2023-08-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进气组件、物料清洗装置及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85U (ko) * 1974-06-19 1976-01-05
KR900000167Y1 (en) * 1986-04-17 1990-01-30 Kim Sang Bong Rice washer
JPH01128730U (ko) * 1988-02-25 1989-09-01
JP2575052B2 (ja) * 1988-12-07 1997-01-22 ホシデン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KR920002025Y1 (ko) * 1989-07-10 1992-03-26 대한전선 주식회사 해저용 광케이블의 결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742B1 (ko) * 2001-09-05 2004-06-04 주은선 환렬 기포식 세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48727A (ja) 1998-09-22
CN1188631A (zh) 1998-07-29
CN1268270C (zh) 2006-08-09
TW381969B (en) 2000-02-11
KR100445600B1 (ko) 2005-05-27
JP2899579B2 (ja) 199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2157C2 (ru) Колоколообразный колпак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бытовых приборах, в частности в стержневом миксере или ручной мешалке
KR19980070310A (ko) 세미기
EP1354996A3 (en) Puls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WO2020024894A1 (zh) 一种自动清洗的食品加工机
JP3439108B2 (ja) 洗濯機
CN209091025U (zh) 一种自循环清洗食品加工机
JPH078314B2 (ja) 自動洗濯機
US3310243A (en) Dishwashing machine
CN108420334B (zh) 一种自清洗食品加工机
WO2019214330A1 (zh) 一种钻井液混合清洁搅拌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114814A (zh) 果蔬清洗装置
CN106823953B (zh) 气力搅拌装置及配料机
CN109589068B (zh) 一种清洗机
JP2690370B2 (ja) 洗たく機械
JP5643458B1 (ja) 流水式の米研ぎ器
CN207887034U (zh) 一种高效底漆搅拌装置
RU2662389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кухонного прибора с облицовочным покрытием
CN110772110B (zh) 一种智能清洗的食品加工机
CN115387059A (zh) 一种洗涤设备
CN109394116B (zh) 一种喷淋臂及应用有该喷淋臂的清洗机
CN207324677U (zh) 一种搅拌设备以及具有该设备的水槽
US2572983A (en) Impeller assembly for dishwashing machines
CN109394024B (zh) 一种清洗机
CN220124533U (zh) 一种豆浆机
CN109589066B (zh) 一种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