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858B1 -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858B1
KR101243858B1 KR1020100138807A KR20100138807A KR101243858B1 KR 101243858 B1 KR101243858 B1 KR 101243858B1 KR 1020100138807 A KR1020100138807 A KR 1020100138807A KR 20100138807 A KR20100138807 A KR 20100138807A KR 101243858 B1 KR101243858 B1 KR 10124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ing agent
washing
piston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006A (ko
Inventor
유완기
Original Assignee
유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완기 filed Critical 유완기
Priority to KR102010013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858B1/ko
Priority to JP2013547293A priority patent/JP2014507263A/ja
Priority to PCT/KR2011/009183 priority patent/WO2012091302A2/ko
Priority to US13/976,153 priority patent/US20130276839A1/en
Publication of KR2012007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세척장치가 전기를 동력을 사용하여 에너지가 소비되고, 세척제가 필요한 경우에 조절이 불가능하여 기름기나 단백질성분, 전분류와 같이 거품세척이 필요한 경우 장시간 물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고, 의류나 신발류를 세탁할 때에는 구석지거나 요철모양은 세척이 미흡하고, 이로 인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I자형 몸체, 분사노즐부, 유로관, 수압조절부, 물공급밸브가 구성됨으로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무전원, 무동력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수도밸브 끝단에 장착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수압을 통해 흐르는 수량면적을 줄이고 분사압력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세척제 분사량과 수량을 조절하면서 고압분사시킬 수 있고, 기름기나 단백질 성분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세척제가 물과 혼합되어 분사되도록 구성하고, 굳어진 이물질 제거를 위해 브러쉬를 설치하여 식기세척뿐 아니라, 주름지거나 굴곡진 야채류나 과일류, 그리고, 의류나 신발을 순수세척, 거품세척, 브러쉬세척 등 용도에 맞게 다목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THE APPARATUS OF MULTI WASHING WITH A WASH}
본 발명은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로서 압력펌프와 같이 별도의 가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도의 수압만을 사용하여 적은 유량으로도 분사압력을 높여 세척력을 극대화하고, 순수세척이 어려운 기름성분과 단백질 성분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세척제를 겸비하여 물과 희석되어 분사되어지고, 고형화된 이물질 제거와 세척시간 단축을 위해 브러쉬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른 세척선택이 용이하도록 한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프레서의 압축공기 또는 고압펌프로 가압한 유체가 좁은 관로를 지날 때 관로의 측단에 유기용제나 세척제, 연마재 등을 연결하여 세척하는 사례가 있으며, 이러한 구조 및 원리는 "베르누이 정리"로 설명되어 진다.
이러한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해서 식기세척제를 겸비한 야채, 과일 및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를 본 출원인이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001호로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식기세척제를 겸비한 야채, 과일 및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에 적절한 수온과 수량(수압)을 수도밸브)로 조절하여 물유입관을 통해 분사노즐로 공급하여 고압분사함에 있어, 세척제를 세척제저장통에 내장하여 세척제유입관을 통해 세척제공급이 이루어지고, 조절밸브가 나사선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척제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구조로서 고압의 물분사시 압력차에 의해 세척제의 공급을 위한 구성과, 이러한 장치의 외부에 손잡이를 겸하여 사용방향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물 유입 오리피스를 지나는 수압차에 의해 세척제가 분사되는데, 많은 양의 세척제가 필요한 경우에 조절이 불가능하여 기름기나 단백질성분, 전분류와 같이 거품세척이 필요한 경우 장시간 물을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식기세척기의 경우에, 식기 형상에 따라 오목과 볼록을 구분하여 세척 노즐 방향에 맞춰 거치해야 하는 단점과 세척대상물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일정시간을 가동하여 물과 전기에너지를 소모해야하고, 세척이 완료된 후에도 식기전용세척제의 잔류물이 남을 수 있어 인체 유입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세미와 세척제를 사용하는 손수세척의 경우에는 오목진 홈이나 그물망 구조의 식기류를 세척할 때는 그에 맞는 수세미, 스펀지, 솔 등을 따로 구비해야 하고, 의류나 신발류를 세탁할 때에는 구석지거나 요철모양은 세척이 미흡하고, 이로 인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001호(2010년07월08일)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무전원, 무동력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수도밸브 끝단에 장착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수압을 통해 흐르는 수량면적을 줄이고 분사압력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세척제 분사량과 수량을 조절하면서 고압분사시킬 수 있고, 기름기나 단백질 성분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세척제가 물과 혼합되어 분사되도록 구성하고, 굳어진 이물질 제거를 위해 브러쉬를 설치하여 식기세척뿐 아니라, 주름지거나 굴곡진 야채류나 과일류, 그리고, 의류나 신발을 순수세척, 거품세척, 브러쉬세척 등 용도에 맞게 다목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는
수도밸브 끝단에 장착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수압을 통해 흐르는 수량면적을 줄이고 분사압력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세척제 분사량과 수량을 조절하면서 고압분사시키는 세척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장치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몸체의 헤드부에 위치되어, 내부의 오리피스관을 통해 세척제와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세척물을 거품세척과 헹굼세척하는 분사노즐부와,
분사노즐부의 후단에 위치되어 분사노즐부와 수압조절부 사이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주고, 분사노즐부쪽으로 세척제와 물을 공급시켜주는 유로관과,
유로관 후단에 위치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수압을 조절하여 세척제와 함께 물이 분사노즐부로 유입되도록 양을 조절하는 수압조절부와,
수압조절부 후단과 수도밸브 끝단에 연결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물을 수압조절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밸브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요철모양이나 그물망구조의 식기류의 청결한 세척 이외에 많은 세척량을 빠른시간에 수행할 뿐 아니라, 의류나 신발세척의 경우에 구석지거나 요철모양의 세척이 가능하고, 오염된 의류는 비비거나 특수세척제의 구비없이,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세척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는 무전원, 무동력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나 이동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부를 세척제투입OFF 표시 눈금에 위치시키고 물유입통기공과 일자형 스톱바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서, 세척제 저장통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부를 세척제투입ON 표시 눈금에 위치시키고 물유입통기공과 일자형 스톱바 사이를 개방시킴으로서, 물공급유로관으로만 흐르던 물이 물유입통기공을 통해 피스톤공간부(45a)로 유입되어 피스톤에 미는 힘이 발생되어 세척제 저장통에 내장된 세척제가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밸브의 일자형 스톱바가 물유입통기공에 수평방향으로 짝을 이루며 맞춰져서, 일자형 스톱바와 물유입통기공 사이에 틈새가 생겨 물공급유로관으로만 흐르던 물이 물유입통기공을 통해 피스톤공간부(45a)로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밸브의 일자형 스톱바가 물유입통기공과 45°~ 90°각도(θ)를 이루면, 물유입이 오프(OFF)되고 세척제 저장통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I자형 몸체(10), 분사노즐부(20), 유로관(30), 수압조절부(40), 물공급밸브(5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I자형 몸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I자형 몸체(10)는 분사노즐부, 유로관, 수압조절부, 물공급밸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헤드부에 원통드럼형상의 분사노즐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원통드럼형상의 수압조절부가 형성되며, 분사노즐부와 수압조절부 사이에 봉형상의 유로관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I자 형상을 갖는 몸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I자형 몸체(10)는 알루미늄합금강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부(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분사노즐부(20)는 몸체의 헤드부에 위치되어, 내부의 오리피스관을 통해 세척제와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세척물을 거품세척과 헹굼세척하는 것으로, 이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 둘레를 따라 세척물을 세척시키는 브러쉬(22)가 형성되며, 선단 중앙에 세척물쪽으로 세척제와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토출구(23)가 형성되고, 토출구의 후단 내부방향쪽으로 수량면적을 줄이고 물분사압력을 증대시키는 물유입오리피스관(24)이 형성되며, 물유입오리피스관 일측과 90°방향에 위치되어 세척제량 면적을 줄이고 세척제분사압력을 증대시키는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2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23)는 반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분사각도를 5°~70°로 조절해주는 분사각조절링크수단이 구성된다.
이로 인해, 물과 세척제의 분사각도를 5°~70°로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물유입오리피스관(24)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25)은 유입전 면적에 비해 유입후 면적을 줄여서 분사압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의 원리를 통해 구성된다.
여기서,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가 흐름선(유선-流線)을 그리며 흐를 때, 두 점 A와 B의 높이 그리고 두 점에서의 압력과 흐르는 속도 사이의 관계를 두 점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됨을 바탕으로 수식으로 나타낸 것을 가리킨다.
즉, 기준점에 대한 높이 h 로 위치에너지를, 유체가 흐르는 속도 v 로 운동에너지를, 압력 P로 일(에너지) 을 나타낼 수 있는데 어느 한 점에서 이 세 에너지의 합은 다른 점에서의 세 에너지의 합과 같음을 나타내는 식이다. 이때 유체의 밀도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또 유체의 위치에너지나 운동에너지는 밀도 ρ 를 써서 나타내어야 하며, 압력은 유체가 정지해 있을 때의 압력과 같지 않다.
이를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 표현할 수가 있다.
[수학식 1]
P + ρgh + 1/2ρv2 = 일정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기준점에 대한 높이, v는 유체가 흐르는 속도를 나타낸다.
[수학식 2]
PA + ρghA + 1/2ρvA2 = PB + ρghB + 1/2ρvB2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기준점에 대한 높이, v는 유체가 흐르는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부(20)는 물유입오리피스관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 믹싱공간부(26)가 형성되고, 그 믹싱공간부에 세척제가 토출구쪽 방향으로만 유입되도록 체크하는 세척제 체크밸브(2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믹싱공간부(26)는 물유입오리피스관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이 90°를 이루며 만나서, 물유입오리피스관에 분사되는 수압에 의해 세척제가 서로 믹싱되는 공간을 말한다. 그리고, 물유입오리피스관에서 분사되는 수평방향의 수압에 의해 물과 함께 세척제가 토출구로 분사된다.
그리고, 세척제가 토출구쪽 일방향으로만 유입되도록 믹싱공간부에 세척제 체크밸브(27)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제 체크밸브(27)는 1.0bar~4.5bar로 기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형체크밸브로 구성된다.
즉, 기준압력이 1.0bar로 세척제 체크밸브가 설정되어 있다면,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유입되는 세척제압력이 1.0bar 이상일 경우에만, 세척제 체크밸브가 개방되고, 세척제압력이 1.0bar 이하일 경우에는 세척제 체크밸브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로관(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로관(30)은 분사노즐부의 후단에 위치되어 분사노즐부와 수압조절부 사이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주고, 분사노즐부쪽으로 세척제와 물을 공급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물공급유로관(31)과, 세척제유로관(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유로관(31)은 수압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수압에 따라 흘러나오는 물을 분사노즐부의 물유입오리피스관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제유로관(32)은 물공급유로관 둘레를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피스톤의 미는 힘에 의해 세척제를 분사노즐부의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부(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압조절부(40)는 유로관 후단에 위치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수압을 조절하여 세척제와 함께 물이 분사노즐부로 유입되도록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드럼형상의 수압조절몸체(41)가 형성되고, 수압조절몸체의 내부 중앙에 물공급유로관(3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수압조절몸체의 후단부에 위치한 물공급유로관 일측에 세척제피스톤에 수압으로 밀어주는 힘이 발생되도록 피스톤공간부쪽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물유입통기공(43)이 형성되고, 물유입통기공 일측에 위치되어 수압을 일자형 스톱바 회전방식으로 조절시키는 수압조절밸브(44)가 형성되며, 수압조절밸브의 내부 피스톤공간부(45a) 선단방향에 위치되어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세척제저장통의 세척제를 밀어주는 피스톤(45)이 형성되고, 피스톤 선단에 세척제를 저장하는 세척제저장통(4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압조절밸브(44)는 물유입통기공 일측에 위치되어 수압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원통형의 층상구조로 이루어지고, 물공급유로관(31)에 형성된 물유입통기공과 접촉되는 헤드부에 일자형 스톱바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스톱바가 물유입통기공과 45°~ 90°각도를 이루면, 물유입이 오프(OFF)되고 세척제 저장통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세척제 분사가 오프된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스톱바가 물유입통기공에 수평방향으로 짝을 이루며 맞춰지면, 일자형 스톱바와 물유입통기공 사이에 틈새가 생겨 물공급유로관으로만 흐르던 물이 물유입통기공을 통해 피스톤공간부(45a)로 유입시킨다.
이때, 피스톤공간부로 유입된 물이 피스톤을 미는 힘을 발생시키고, 미는 힘이 발생된 피스톤은 다시 세척제 저장통을 밀어줌으로서, 세척제 저장통에 내장된 세척제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유입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밸브는 수압조절몸체의 후단과 스톱핀 구조 또는 스톱링 구조로 결합되고, 물유입통기공과 일자형 스톱바 사이의 밀폐와 개방에 따라 수압을 조절한다.
상기 스톱핀 구조는 스톱핀이 삽입되면 고정된 상태로 있다가, 회전만 되고,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성 있게 지지하는 구조를 말한다.
상기 스톱링 구조는 내부에 C형링이 삽입되어 안쪽에서 쫙 퍼지면서 자리를 잡은 상태로 있어서, 자체 회전만 되고,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성 있게 지지하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부는 수압조절몸체의 외측표면에 세척제투입ON, 세척제투입OFF라는 표시눈금을 설정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수압조절밸브를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피스톤(45)은 피스톤공간부로 유입되는 물의 미는 힘에 의해 전진운동하여 세척제 저장통에 저장된 세척제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유입시키고, 작업완료 후, 물유입이 오프(OFF)되면, 세척제 저장통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세척제저장통(46)은 피스톤과 맞닿는 부위와 수압조절몸체부 끝단의 걸림턱 부근에 작업완료 후 피스톤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압축코일 스프링(46a)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 일측에 내부로 세척제를 공급시키는 세척제 캡(46b)이 형성되며, 수압조절몸체부 끝단의 걸림턱 선단에 유입된 공기가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 방향쪽으로 유입되도록 체크하는 공기체크밸브(46c)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밸브(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물공급밸브(50)는 수압조절부 후단과 수도밸브 끝단에 연결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물을 수압조절부로 공급시키는 것으로, 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사용목적에 따라 1m~10m로 형성되어 수압조절부 후단과 수도밸브 끝단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밸브는 수도밸브 끝단과 연결될 때, 수도밸브와 짝을 이루는 탈부착식 연결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물공급밸브를 수도밸브 끝단과 연결시킨다.
이때, 물공급밸브는 수도밸브와 짝을 이루는 탈부착식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된다.
다음으로, 수도밸브를 돌려 수도에 나오는 물이 유로관을 따라 유입되고, 분사노즐부를 통해 세척물에 고압으로 분사시킨다.
다음으로, 세척물에 세척제를 분사시키고자 할 경우에, 수압조절밸브를 돌려 조절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조절밸브가 회전되어 일자형 스톱바가 물유입통기공에 짝을 이루며 맞춰지게 되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스톱바과 물유입통기공 사이에 틈새가 생겨 물공급유로관으로만 흐르던 물이 물유입통기공을 통해 피스톤공간부로 유입된다.
이어서, 피스톤공간부로 유입된 물이 피스톤을 미는 힘을 발생시키고, 미는 힘이 발생된 피스톤은 다시 세척제 저장통을 밀어줌으로서, 세척제 저장통에 내장된 세척제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유입시킨다.
이어서,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세척제가 유입되면, 물유입오리피스관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이 서로 만나는 부위인 믹싱공간부에 세척제가 유입된다.
이어서, 믹싱공간부에서 수압이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면 물과 함께 세척제가 토출구를 통해 고압분사되어 세척물에 분사된다.
이어서, 분사노즐부의 선단 둘레에 형성된 부러쉬를 통해 세척물을 거품세척하고, 수압조절부를 통해 세척제 분사를 오프시키면, 순수 물만 세척물에 분사되어 헹굼세척을 한다.
여기서, 수압조절부를 통해 세척제 분사를 오프시키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조절밸브에 의해 일자형 스톱바이 물유입통기공과 5°~ 85°각도를 이루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유입이 오프(OFF)되며, 세척제 저장통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세척제 분사가 오프된다.
이때,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피스톤공간부에 남아있는 물은 다시 물유입통기공을 통해 물공급유로관(31)으로 흘러들어가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10 : I자형 몸체 20 : 분사노즐부
22 : 브러쉬 23 : 토출구
24 : 물유입오리피스관 25 :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
30 : 유로관 40 : 수압조절부
50 : 물공급밸브

Claims (6)

  1. 수도밸브 끝단에 장착되어 수도에서 나오는 수압을 통해 흐르는 수량면적을 줄이고 분사압력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세척제 분사량과 수량을 조절하면서 고압분사시키도록 몸체(10), 분사노즐부(20), 유로관(30), 수압조절부(40), 물공급밸브(50)로 이루어지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20)는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 둘레를 따라 세척물을 세척시키는 브러쉬(22)가 형성되며, 선단 중앙에 세척물쪽으로 세척제와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토출구(23)가 형성되고, 토출구의 후단 내부방향쪽으로 수량면적을 줄이고 물분사압력을 증대시키는 물유입오리피스관(24)이 형성되며, 물유입오리피스관 일측과 90°방향에 위치되어 세척제량 면적을 줄이고 세척제분사압력을 증대시키는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2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분사노즐부(20)는
    물유입오리피스관과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 믹싱공간부(26)가 형성되고, 그 믹싱공간부에 세척제가 토출구쪽 방향으로만 유입되도록 체크하는 세척제 체크밸브(27)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로관(30)은
    수압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수압에 따라 흘러나오는 물을 분사노즐부의 물유입오리피스관으로 유입시키는 물공급유로관(31)과,
    물공급유로관 둘레를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피스톤의 미는 힘에 의해 세척제를 분사노즐부의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으로 유입시키는 세척제유로관(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압조절부(40)는
    원통드럼형상의 수압조절몸체(41)가 형성되고, 수압조절몸체의 내부 중앙에 물공급유로관(3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수압조절몸체의 후단부에 위치한 물공급유로관 일측에 세척제피스톤에 수압으로 밀어주는 힘이 발생되도록 피스톤공간부쪽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물유입통기공(43)이 형성되고, 물유입통기공 일측에 위치되어 수압을 일자형 스톱바 회전방식으로 조절시키는 수압조절밸브(44)가 형성되며, 수압조절밸브의 내부 피스톤공간부 선단방향에 위치되어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쪽으로 세척제저장통의 세척제를 밀어주는 피스톤(45)이 형성되고, 피스톤 선단에 세척제를 저장하는 세척제저장통(46)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세척제저장통(46)은
    피스톤과 맞닿는 부위와 수압조절몸체부 끝단의 걸림턱 부근에 작업완료 후 피스톤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압축코일 스프링(46a)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 일측에 내부로 세척제를 공급시키는 세척제 캡(46b)이 형성되며, 수압조절몸체부 끝단의 걸림턱 선단에 유입된 공기가 세척제유입오리피스관 방향쪽으로 유입되도록 체크하는 공기체크밸브(46c)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KR1020100138807A 2010-12-30 2010-12-30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KR10124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07A KR101243858B1 (ko) 2010-12-30 2010-12-30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JP2013547293A JP2014507263A (ja) 2010-12-30 2011-11-30 洗滌剤を備える水圧型の多目的洗滌装置
PCT/KR2011/009183 WO2012091302A2 (ko) 2010-12-30 2011-11-30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US13/976,153 US20130276839A1 (en) 2010-12-30 2011-11-30 Hydrodynamic multipurpose washing device including deterg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07A KR101243858B1 (ko) 2010-12-30 2010-12-30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06A KR20120077006A (ko) 2012-07-10
KR101243858B1 true KR101243858B1 (ko) 2013-03-20

Family

ID=4638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807A KR101243858B1 (ko) 2010-12-30 2010-12-30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76839A1 (ko)
JP (1) JP2014507263A (ko)
KR (1) KR101243858B1 (ko)
WO (1) WO20120913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79B1 (ko) 2017-06-28 2018-06-27 유완기 세척수 분사·건조용 에어분사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011B (zh) * 2016-11-29 2023-04-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液态洗衣介质投放装置以及洗衣机
US11933317B2 (en) 2017-03-22 2024-03-19 Geyser Technologies, Llc Low-flow fluid delivery system and low-flow device therefor
CN110254398A (zh) * 2019-07-02 2019-09-20 欧阳富 一种家用自动混料洗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001U (ko) * 2008-12-30 2010-07-08 유완기 세척제를 겸비한 수동형태의 야채,과일 및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979Y2 (ko) * 1985-02-13 1991-04-26
JPH0434919Y2 (ko) * 1986-11-18 1992-08-19
JPH0742893Y2 (ja) * 1988-08-30 1995-10-04 良忠 平井 洗浄装置
WO1991007905A1 (en) * 1989-11-23 1991-06-13 Vulcan Australia Limited Detergent dispenser in a dishwashing machine
US5213117A (en) * 1991-07-05 1993-05-25 Soichiro Yamamoto Parts washer
JPH07299787A (ja) * 1994-05-07 1995-11-14 Shibuya Kogyo Co Ltd 洗浄機構付き吸着装置
GB9618772D0 (en) * 1996-09-09 1996-10-23 Sprintvest Corp Nv Cleaning lance
KR100445600B1 (ko) * 1997-01-07 2005-05-27 야스오 나카니시 쌀세척기
JPH11155557A (ja) * 1997-12-01 1999-06-15 Fujiwara Techno Art:Kk 回転式固体培養装置の洗浄装置
JP3053670U (ja) * 1998-04-30 1998-11-04 株式会社共和製作所 缶クラッシャー装置
US6092540A (en) * 1998-12-22 2000-07-25 Chiao; Yen-Nian Sink side dishwasher
KR200199962Y1 (ko) * 2000-04-29 2000-10-16 명순승 식품세정기용 노즐
US7484260B2 (en) * 2005-04-22 2009-02-03 Quickie Manufacturing Corp. Liquid dispensing cleaning implement
JP2007000837A (ja) * 2005-06-27 2007-01-11 Soft99 Corporation 洗浄泡噴射ポンプ
EP2221111B1 (en) * 2007-07-04 2019-01-23 GA-REW Corporation Fluid jet gu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001U (ko) * 2008-12-30 2010-07-08 유완기 세척제를 겸비한 수동형태의 야채,과일 및 식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79B1 (ko) 2017-06-28 2018-06-27 유완기 세척수 분사·건조용 에어분사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7263A (ja) 2014-03-27
US20130276839A1 (en) 2013-10-24
KR20120077006A (ko) 2012-07-10
WO2012091302A3 (ko) 2012-09-13
WO2012091302A2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858B1 (ko) 세척제를 겸비한 수압형 다목적 세척장치
KR20190044051A (ko) 세척수 분사 회전 고효율 세척기
KR20180049472A (ko) 헬멧 세척장치
CN207722976U (zh) 防滴漏清洗喷嘴
JP6018412B2 (ja) 化粧水噴霧器及び化粧水噴霧装置
JP2008120328A (ja) 洗浄用噴出装置
CN204716489U (zh) 有正弦曲线喷嘴的园林喷雾打气泵
KR20140021865A (ko) 거품 발포기능을 구비한 고압 세척기 및 고압 세척기의 거품 발포기능 조절방법
KR101452624B1 (ko)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CN206797342U (zh) 一种汽车清洗装置枪头
CN204544539U (zh) 自发泡高压清洗枪
KR101445925B1 (ko) 휴대용 세정장치
CN204953176U (zh) 一种水枪
JP4754734B2 (ja) ノズル装置及び同ノズル装置を使用したスプレー式洗浄装置
CN203725294U (zh) 清洗泡沫喷枪
CN108783862A (zh) 一种厨房用盥洗刷
CN209076944U (zh) 一种外接式高压水枪用三通阀
JP3165523U (ja) 高圧簡易洗浄乾燥器
KR20170019673A (ko) 차량 세척장치
CN204743949U (zh) 手动式净身器
KR920001831Y1 (ko) 자동차용 세척기
CN204716491U (zh) 有渐开线曲线喷嘴的园林浇灌器
CN204466693U (zh) 压力角相等对数螺线喷嘴园林喷枪
KR200302253Y1 (ko) 비눗물 및 물 분사장치
CN210541407U (zh) 一种地毯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