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624B1 -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624B1
KR101452624B1 KR1020130031389A KR20130031389A KR101452624B1 KR 101452624 B1 KR101452624 B1 KR 101452624B1 KR 1020130031389 A KR1020130031389 A KR 1020130031389A KR 20130031389 A KR20130031389 A KR 20130031389A KR 101452624 B1 KR101452624 B1 KR 101452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automatic car
duct
compressed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621A (ko
Inventor
김선재
Original Assignee
한림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6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세제 사용량과 물 사용량으로 풍부한 거품 발생 및 균일한 폼 거품량과 압력으로 차량 표면 전체를 도포할 수 있고 세척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가 주행하며 차량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거품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블발생기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의 버블발생 관로 내부에 내장되어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한 메쉬망과,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버블발생 관로에서 발생된 거품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노즐과, 상기 버블발생 관로의 유입구측에 연결되는 제1,2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세척수가 합류되어 버블발생 관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합류이송부로 이루어진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BUBBLE SPRAY APPARATUS OF AUTOMATIC CA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량의 세제 사용량과 물 사용량으로 풍부한 거품 발생 및 균일한 폼 거품량과 압력으로 차량 표면 전체를 도포할 수 있고 세척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세차기에서 차의 외부를 세차하기 위한 세차장치는 물과 세제의 혼합물을 분사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분사기를 통해 물과 세제 및 왁스 등을 분사하면서 차체의 세척용 브러시를 회전 및 접촉시켜서 세척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세척공정을 위한 분사기와 세척용 브러시들의 각 구조와 배치 및 동작에 관하여는 특허공보 공고번호 1993-0004782와 1993-0004786 및 1995-001051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150430호와 제0157939호,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999-0069042 등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자동세차기에서는 분사되는 세척액은 물과 세제의 혼합물로서 차량의 표면에 분사될 경우에는 혼합물로만 뿌려지고, 차량의 표면에 뿌려진 세척액을 통해 세차를 할 경우에는 타월 등을 이용하여 뿌려진 세척액을 문지르는 과정을 통해 거품을 내고 브러싱 동작을 이용하여 세척액에 거품을 내야 함으로서 세차시 많은 힘과 시간이 걸리고, 세척액을 타월 등으로 문지르는 과정에서 차량의 표면이 손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폼 세제 분사와 브러싱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기에 거품이 도포된 상태를 육안을 확인하기 어려웠고, 별도의 세차장 공간 및 세척 장비를 구비하여 예비세척을 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자동세차기에서 세척 이전에 폼 세제 도포하는 세차 공정을 두어 거품이 도포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버블발생기를 분사노즐에 각각 구비시켜 소량의 세제 사용량과 물 사용량으로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키고 각각의 버블발생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균일한 폼 거품량과 압력을 분배해 차량 표면 전체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자동세차기만으로 자동세차 예비세차 폼 세제 도포를 실현하고 기존 세차장에 추가공사가 필요 없어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차량 표면에 붙어있는 찌든 때를 자동세차 브러싱 공정전에 폼 세제를 도포하여 불림으로서 세척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가 주행하며 차량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거품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블발생기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의 버블발생 관로 내부에 내장되어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한 메쉬망과,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버블발생 관로에서 발생된 거품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노즐과, 상기 버블발생 관로의 유입구측에 연결되는 제1,2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세척수가 합류되어 버블발생 관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합류이송부로 이루어진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는 자동세차기의 좌,우측면 상부 및 중앙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발생 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유입부는 버블발생 관로에 비해 좁은 관경으로 형성되고, 타측 토출부는 관경이 좁은 두개의 분기관로를 통해 거품에 압력을 주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망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버블발생 관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메쉬망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망은 통공의 통과방향 및 메쉬망의 설치각도가 불규칙한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공급관은 세척수 공급부와 압축공기 공급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버블발생기 본체의 버블발생 관로에 이송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물을 일정수압으로 유입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폼 세제 흡입관이 연결되어 있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후단에 분기되어 제1공급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1분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콤프레셔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고, 후단에 분기되어 제2공급관과 각각 연결는 제2분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 다수의 분사노즐을 버블발생기 본체에 구비시켜 크기가 작아 자동세차기에 부착이 용이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고 별도의 세차장 공간 및 세척 장비없이도 예비 폼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 세척수와 폼 세제가 섞인 혼합수가 압축공기와 분사 직전에 버블발생기에서 1:1 비율로 혼합시켜 다수의 분사노즐로 분배시 발생할 수 있는 분사 균일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압축 공기에 의한 분사압력의 가압 효과로 차량 표면에 거품 도포시 보다 강하게 거품을 안착시켜 분사 정확도를 높여 거품의 외부 손실을 줄여준다.
셋째 ; 버블발생 관로 내부에 확장된 내경의 공간을 두고 확장된 공간에 메쉬망을 구비하여 좁은 관로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와 압축공기의 부피가 팽창하며 미세하게 섞일 수 있어 거품의 발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넷째 ; 버블발생 관로 내부에서 생성된 거품이 다시 좁은 내경을 갖는 노즐을 통과하며 압력과 유속의 증가로 노즐에 구비된 일정한 분사 각도로 분사하여 넓은 면적을 도포할 수 있다.
다섯째 ; 기존에 자동세차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폼 발생기로는 차량의 표면 전체를 폼 세제 거품으로 도포하여 주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다수의 버블발생기를 설치하여 차량의 측면상부, 측면하부, 천정 상부로 분사 구간을 세분화하여 차량 전체 표면 도포가 가능하다. 여섯째 ; 자동세차기와 일체로 구성하고, 소량의 폼 세제 사용만으로도 풍부한 거품 생성을 실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고급 세차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의 버블 분사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가)는 자동세차기의 대기 상태이고, (나)는자동세차치이 전진 상태이고, (다)는 자동세차기의 복귀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서 버블분사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서 버블분사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서 세척수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에서 압축공기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A)가 주행하며 차량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거품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블발생기 본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의 버블발생 관로(12) 내부에 내장되어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한 메쉬망(14)과,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의 선단에 형성되어 버블발생 관로(12)에서 발생된 거품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노즐(16)과, 상기 버블발생 관로(12)의 유입구측에 연결되는 제1,2공급관(21)(2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세척수가 합류되어 버블발생 관로(12)로 공급되도록 하는 합류이송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는 자동세차기(A)의 좌,우측면 상부 및 중앙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 표면 전체에 분사되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블발생 관로(12)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유입부(12a)는 버블발생 관로(12)에 비해 좁은 관경으로 형성되어 유입부(12a)를 통해 버블발생 관로(12)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혼합수의 유속이 순간적으로 낮아져서 버블발생 관로(12)에서 거품발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타측 토출부(12b)는 관경이 좁은 두개의 분기관로(19)를 통해 거품에 압력을 주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경이 좁은 두개의 분기관로(19)라 함은,버블발생 관로(12)의 관경 크기에 비해 두개의 분기관로(19)를 포함하는 관경 크기가 좁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메쉬망(14)은 합성수지판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버블발생 관로(12)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메쉬망(14)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게 한 구성에 의해 거품 발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메쉬망(14)은 지그재그로 절곡되면서 메쉬망(14)의 설치각도가 자연적으로 불규칙한 형태를 갖게 되면서 거품 발생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16)은 버블발생기 본체(10)의 토출측에 형성되어 버블발생 관로(12)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일정한 각도를 갖는 노즐구멍(16a)을 통해 최종 분사되는 것으로, 분사노즐(16)의 노즐구멍(16a)에 따라 폼 세제 사용량과 세척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노즐구멍(16a)의 각도는 차량 표면에 골고루 거품 분사가 되어 도포할 수 있는 각도로 설정이 된다.
상기 제1,2공급관(21)(22)은 세척수 공급부(30)와 압축공기 공급부(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물과 폼 세제 혼합수)와 압축공기를 버블발생기 본체(10)의 버블발생 관로(12)에 이송공급하는 관로이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30)는 물을 일정수압으로 유입시키는 펌프(31)와, 상기 펌프(31)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32)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32)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폼 세제 흡입관(34)이 연결되어 있는 이젝터(33)와, 상기 이젝터(33)의 후단에 분기되어 세갈래로 배치되는 제1공급관(21)과 각각 연결되고 세갈래의 제1공급관(21)에 세척수가 균등 분배되게 구비한 제1분기관(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젝터(33)는 펌프(31)의 압력으로 물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유속에 의해 폼 세제 흡입관(34)에 연결되어 공급이 되는 폼 세제를 흡입하여 물과 홈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제1공급관(21)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40)는 콤프레셔(압축공기 발생기)(4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42)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고, 후단에 분기되어 세갈래로 배치되는 제2공급관(22)과 각각 연결되고 세갈래의 제2공급관(22)에 균등 분배되게 구비한 제2분기관(4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세척수 공급부(30)와 압축공기 공급부(40)의 토출부에 구비되는 제1,2분기관(35)(43)에는 원터치식 피팅을 구비하여 제1,2공급관(21)(22)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자동세차기(A)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31)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 공급부(30)로 유입되고, 콤프레셔(41)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부(40)로 유입이 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30)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32)로 차단된 상태에서 폼 세제 도포 개시 신호를 받으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32)가 열리면서 물이 이젝터(33)로 유입되며 좁아진 관로를 통과하며 순간적으로 유속과 압력이 높아지며 폼 세제 흡입관(34)에 연결되어 공급이 되는 폼 세제를 흡입하여 물과 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세갈래로 된 제1분기관(35)을 통해 각각의 제1공급관(21)으로 공급하여 버블발생기 본체(10)의 합류이송부(18)로 유입이 된다.
이와 동시에 압축공기 공급부(40)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42)로 차단된 상태에서 폼도포 개시 신호를 받으면 제2솔레노이드 밸브(42)가 열리면서 압축공기는 세갈래로 된 제2분기관(43)을 통해 각각의 제2공급관(22)으로 공급하여 버블발생기 본체(10)의 합류이송부(18)로 유입이 된다.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의 합류이송부(18)로 각각 유입된 세척수와 압축공기는 버블발생 관로(12)의 내부에 내장된 메쉬망(14)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메쉬망(2)의 미세한 통공들을 통과하며 기포가 형성되며 토출측에 배치된 두개의 분사노즐(16)로 나뉘어 차량에 분사되어 진다.
이때 분사시 압축 공기의 압력이 더해져 거품의 분사를 가압시켜 강하고 풍부한 거품을 차량 표면에 분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버블발생기 본체(10) 중에서 좌우 상부 측면에 설치된 각각의 버블발생기 본체(10)에 두개씩의 분사노즐(16)이 설치되는데 그 중 한 개는 차량의 측면 하부와 다른 한 개는 측면 상부로 폼 거품이 도포될 수 있게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되며 분사노즐(16) 자체에 분사각이 있어 넓은 면적을 도포하게 된다.
이처럼 일차적으로 물과 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최종 분사 직전 압축 공기와 혼합되는 방식으로 폼 세제의 거품 생성 및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세차기 전면 차량 대기위치에 차량이 도달 후 멈추면, 자동세차기(A)의 조작 버튼을 작동시켜 자동세차기가 전진하며 기존 세차기에 구비된 고압 분사 장치로 차량의 앞범퍼부터 뒤펌퍼까지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며 세차기가 전진한 후 다시 후진하며 차량의 뒷범퍼부터 앞범퍼까지 폼 거품을 도포하여 원 위치로 돌아오는 1왕복 행정을 갖는다.
또는, 세차기 전면 차량 대기위치에 차량이 도달 후 멈추면 자동세차기에 조작버튼을 작동시켜 자동세차기가 전진하며 차량의 앞범퍼부터 뒷범퍼까지 폼 거품을 도포한 후 후진하여 뒷범퍼부터 앞범퍼까지 또 다시 폼 거품을 분사하여 2중으로 도포하는 1왕복 행정을 갖는다.
위와 같은 1왕복 행정을 마치고나면 고객의 요구에 맞게 도포된 거품을 사람이 직접 솔로 문질러 예비 손세차를 하거나 곧바로 자동세차기를 작동시켜 기존의 세차 공정과 동일한 자동세차 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자동세차기 10 : 버블발생기 본체
12 : 버블발생 관로 12a : 유입부
12b: 토출부 14 : 메쉬망
16 : 분사노즐 16a : 노즐구멍
18 : 합류이송부 19 : 분기관로
21,22 : 제1,2공급관 30 : 세척수 공급부
31 : 펌프 32 : 제1솔레노이드 밸브
33 : 이젝터 34 : 세제 흡입관
35 : 제1분기관 40 : 압축공기 공급부
41 : 콤프레셔 42 : 제2솔레노이드 밸브
43 : 제2분기관

Claims (8)

  1. 자동세차기(A)가 주행하며 차량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거품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블발생기 본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의 버블발생 관로(12) 내부에 내장되어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한 메쉬망(14)과,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의 선단에 형성되어 버블발생 관로(12)에서 발생된 거품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노즐(16)과, 상기 버블발생 관로(12)의 유입구측에 연결되는 제1,2공급관(21)(2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세척수가 합류되어 버블발생 관로(12)로 공급되도록 하는 합류이송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버블발생 관로(12)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유입부(12a)는 버블발생 관로(12)에 비해 좁은 관경으로 형성되고, 타측 토출부(12b)는 관경이 좁은 두개의 분기관로(19)를 통해 거품에 압력을 주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쉬망(14)은 버블발생 관로(12) 내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메쉬망(14)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쉬망(14)의 통공 통과방향 및 메쉬망(14)의 설치각도가 불규칙한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기 본체(10)는 자동세차기(A)의 좌,우측면 상부 및 중앙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공급관(21)(22)은 세척수 공급부(30)와 압축공기 공급부(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버블발생기 본체(10)의 버블발생 관로(12)에 이송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30)는; 물을 일정수압으로 유입시키는 펌프(31)와, 상기 펌프(31)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32)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32)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폼 세제 흡입관(34)이 연결되어 있는 이젝터(33)와, 상기 이젝터(33)의 후단에 분기되어 제1공급관(21)과 각각 연결되는 제1분기관(3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40)는; 콤프레셔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42)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고, 후단에 분기되어 제2공급관(22)과 각각 연결는 제2분기관(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KR1020130031389A 2013-03-25 2013-03-25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KR101452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89A KR101452624B1 (ko) 2013-03-25 2013-03-25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89A KR101452624B1 (ko) 2013-03-25 2013-03-25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21A KR20140116621A (ko) 2014-10-06
KR101452624B1 true KR101452624B1 (ko) 2014-10-22

Family

ID=5199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89A KR101452624B1 (ko) 2013-03-25 2013-03-25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6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197B1 (ko) 2020-01-13 2021-07-02 한림기계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용 폭포수 거품세제 분사장치
KR102317264B1 (ko) * 2020-09-07 2021-10-25 장경환 아스팔트 유제 살포기
KR102544190B1 (ko) 2022-12-25 2023-06-16 주식회사 디케이워시 노터치 자동 세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238A (ja) 2000-06-09 2001-12-18 Kayoshi Hasegawa 発泡洗浄装置
KR100577351B1 (ko) 2004-12-09 2006-05-10 대성산업 주식회사 클리닝 장치의 거품 발생기
JP2006224844A (ja) * 2005-02-18 2006-08-31 Takeuchi Techno Co Ltd 洗車機
KR20110004817A (ko) * 2010-12-13 2011-01-14 윤지훈 거품발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238A (ja) 2000-06-09 2001-12-18 Kayoshi Hasegawa 発泡洗浄装置
KR100577351B1 (ko) 2004-12-09 2006-05-10 대성산업 주식회사 클리닝 장치의 거품 발생기
JP2006224844A (ja) * 2005-02-18 2006-08-31 Takeuchi Techno Co Ltd 洗車機
KR20110004817A (ko) * 2010-12-13 2011-01-14 윤지훈 거품발생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197B1 (ko) 2020-01-13 2021-07-02 한림기계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용 폭포수 거품세제 분사장치
KR102317264B1 (ko) * 2020-09-07 2021-10-25 장경환 아스팔트 유제 살포기
KR102544190B1 (ko) 2022-12-25 2023-06-16 주식회사 디케이워시 노터치 자동 세차 시스템
KR102565692B1 (ko) 2022-12-25 2023-08-11 주식회사 디케이워시 자동 세차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21A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6912B2 (ja) 石けん分与器
JP2007296328A5 (ko)
KR101452624B1 (ko) 자동세차기용 버블 분사장치
CN101897569A (zh) 一种洁净扫帚
US9433954B2 (en) Foam generator, nozzle for a foam generator and carwash having a foam generator
JP2008120328A (ja) 洗浄用噴出装置
RU106865U1 (ru) Пенно-мо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37131Y1 (ko) 세차용 거품분사 유니트
JP2014507263A (ja) 洗滌剤を備える水圧型の多目的洗滌装置
CN109667105B (zh) 微气泡产生循环系统
JPH07265815A (ja) スプレー洗浄装置
JP2019188952A (ja) 洗車機
KR101903594B1 (ko) 세차용 거품 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거품 도포 장치
JP2003081067A (ja) 泡洗車装置
KR100701018B1 (ko) 셀프 세차장의 퀵블러쉬 공급시스템
KR20110004817A (ko) 거품발생기
JP5521869B2 (ja) 洗車機
KR102270197B1 (ko) 자동세차기용 폭포수 거품세제 분사장치
CN212567097U (zh) 一种电厂空冷岛清洗系统用空化泡清洗装置
TWM420467U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motorcycle
JP3737076B2 (ja) 洗車機における艶出し剤散布装置
KR102147217B1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JP4621392B2 (ja) システム洗車機
KR200396703Y1 (ko) 셀프 세차장의 퀵블러쉬 공급시스템
KR200440941Y1 (ko) 두부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