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741A -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741A
KR19980067741A KR1019970004003A KR19970004003A KR19980067741A KR 19980067741 A KR19980067741 A KR 19980067741A KR 1019970004003 A KR1019970004003 A KR 1019970004003A KR 19970004003 A KR19970004003 A KR 19970004003A KR 19980067741 A KR19980067741 A KR 1998006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ource
wiring
pad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4449B1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449B1/ko
Priority to US09/005,587 priority patent/US6184948B1/en
Publication of KR1998006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4Checking;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한 후에 각 소자들의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용 단자를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을 거치면서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을 검사하는 단락 배선을 형성할 때, 홀수 번째 단락 배선과 짝수 번째 단락 배선을 서로 다른 층에 형성 하였다. 그리고, 화소 전극을 형성할 때 패드와 단락 배선을 연결하도록 하였다. 드럼으로써, 패드 구조가 패드 금속과 ITO로 이루어진 패드 연결 단자로만 구성되어 비교적 간단히 형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웃하는 배선간의 단락 불량을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양극 산화하지 않는 공정에 적용하는 것으로 제조 공정 마스크 수를 줄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혹은 Thin Film Transistor(TFT)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이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액티브 패널을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액정 표시 장치(또는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액정 표시 장치 혹은 AMLCD로 표기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완성된 액티브 패널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제조 공정중에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검사용 단자를 액티브 패널을 제작할 때 동시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화상 정보를 화면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 장치들 중에서, 박막형 평판 표시 장치가 가볍고, 어느 장소에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근래에 집중적인 개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는 해상도가 높고, 동화상을 실현하기에 충분할 만큼 반응 속도가 빠르게 때문에,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제품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방향성을 갖고 있는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을 분극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향 방향에 따른 광학적 이방성으로 빛의 투과, 차단이 가능하다. 이것을 응용하여 화면 표시 장치로 사용한다. 현재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그것에 연결된 화소 전극이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능동 매트릭스 액정 표시 장치가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정 표시 장치의 한쪽 패널(혹은 칼라 필터 패널)은 투명 기판 위에 픽셀의 위치에 빨강, 파랑, 초록의 칼라 필터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칼라 필터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칼라 필터 위에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쪽 패널(혹은 액티브 패널)은 투명 기판 위에 행렬 방식으로 설계된 화소의 위치에 화소 전극들이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화소 전극의 수평 방향을 따라서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방향을 따라서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의 한쪽 구석에는 화소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신호 배선에 연결되고 있고(따라서, 게이트 배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이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어 있다(따라서, 데이터 배선 혹은 소스 배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각 배선의 끝단에는 외부의 구동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패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구 개의 패널이 일정 간격(이 간격을 셀갭(cell gap)이라고 부른다)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부착되고, 그 사이에 액정 물질이 채워진다.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액티브 기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기판을 완성한 후에 각 소자들의 구동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검사 단자를 기판 제조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액티브 기판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도 1과, 제조 공정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절단선 II-II자른 도 2와, 절단선 III-III로 자른 도 3 그리고, 절단선 IV-IV로 자른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기판(1)에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중 한 금속을 증착한다. 포토 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 사진 식각) 법을 사용하여 게이트 전극(11), 게이트 배선(13), 게이트 패드(15), 소스 패드(25) 그리고, 단락 배선(45)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전극(11)은 설계된 화소 배열을 따라 행렬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배선(13)은 행 배열 방향의 게이트 전극(11)들을 연결한다. 게이트 패드(15)는 상기 게이트 배선(13)의 끝단에 그리고, 소스 패드(25)는 나중에 형성될 소스 배선(23)의 끝단에 형성된다. 단락 배선(45)은 상기 게이트 패드(15)와 상기 소스 패드(25)를 연결하면서, 기판(1)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2a, 도 3a, 도 4a).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층의 표면에는 힐락(Hillock)이 성장하기 쉽고, 이 힐락은 추후에 적층되는 다른 물질들이 증착될 때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힐락을 방지하고자 상기 금속 층을 양극 산화하여 표면에 양극 산화막(19)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소자들은(게이트 전극, 게이트 배선, 게이트 패드, 소스 패드) 상기 단락 배선(4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극 산화하기에 접합하다. 그러나, 양극 산화된 표면에는 전류를 잘 통하지 않으므로, 외부 단자와 연결될 게이트 패드(15)와 소스 패드(25)에는 양극 산화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게이트 패드(15)와 소스 패드(25)에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양극 산화를 방지하는 막을 형성하고, 양극 산화 공정을 수행한다. 그 결과 박막 트랜지스터 부분은 도 2a와 같이 기판(1) 위에 표면에 양극 산화막(19)을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패드(15)와 상기 단락 배선(45)이 형성되는 부분은 도 3a와 같이 상기 기판(1) 위에 양극 산화막(19)을 포함하는 단락 배선(45)과 게이트 배선(13)이 형성되고, 표면에 양극 산화막(19)을 포함하지 않는 게이트 패드(15)가 형성된다. 상기 소스 패드(25)와 상기 단락 배선(34)이 형성되는 부분은 도 4a와 같이 상기 기판(1) 위에 양극 산화막(19)을 포함하는 단락 배선(45)과 소스 배선(13)이 형성되고, 표면에 양극 산화막(19)을 포함하지 않는 소스 패드(15)가 형성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11), 게이트 배선(13), 게이트 패드(15), 소스 패드(25) 그리고, 단락 배선(45)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시리콘 등을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17)을 형성한다. 다음에 진성 반도체 물질과 불순물이 첨가된 반도체 물질을 상기 게이트 절연막(17) 위에 차례로 증착한다.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패턴하여 반도체 층(35)과 불순물 반도체 층(37)을 형성한다(도 2b).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7)중 상기 게이트 패드(15)와 상기 소스 패드(25)를 덮는 부분에 제 1콘택 홀들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패드(15)에 형성되는 제 1게이트 콘택 홀(51)은 게이트 패드(15) 부분에서 양극 산화되지 않은 부분을 노출 시킨다(도 3b). 그리고, 소스 패드(25)에 형성되는 제 1소스 콘택 홀(61)은 소스 패드(25) 부분에서 양극 산화되지 않은 부분을 노출 시킨다(도 4b).
상기 반도체 층(35)과 불순물 반도체 층(37)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크롬과 같은 금속을 전면 증착한 후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식각하여 소스 전극(21), 드레인 전극(31), 소스 배선(23), 게이트 패드 중간 전극(55) 그리고, 소스 패드 중간 전극(65)을 형성한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소스 전극(21)과 상기 드레인 전극(31)은 상기 게이트 전극(11)을 가운데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스 전극(21)과 상기 드레인 전극(31)을 마스크로 하여 밑에 있는 상기 불순물 반도체 층(37)을 식각하여 불순물 반도체 층(37)이 상기 소스 전극(21)과 상기 드레인 전극(31)을 연결하지 않도록 한다(도 2c). 상기 게이트 패드(15)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17)에 형성된 상기 제 1게이트 콘택 홀(51)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 패드(15)와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 패드 중간 전극(55)이 형성된다(도 3c). 소스 배선(23)은 행 방향의 상기 소스 전극(21)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소스 배선(23)의 끝단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17)에 형성된 상기 제 1소스 콘택 홀(61)을 통해서 상기 소스 패드(25)와 연결하기 위한 소스 패드 중간 전극(65)이 형성된다(도 4c).
상기 소스 전극(21), 상기 소스 배선(23), 상기 드레인 전극(31), 상기 게이트 패드 중간 전극(55) 그리고, 상기 소스 패드 중간 전극(65)등이 형성된 기판 위에 질화 실리콘이나 산화 실리콘을 전면 증착하여 보호막(41)을 형성한다. 그리고,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패턴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15)가 형성된 부분에는 제 2게이트 콘택홀(53)을(도 3d), 상기 소스 패드(25)가 형성된 부분에는 제 2소스 콘택 홀(63)을 형성한다(도 4d). 또한, 상기 드레인 전극(31)에도 추후에 형성되는 화소 전극(33)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콘택 홀(71)을 형성한다(도 2d). 상기 제 2게이트 콘택홀(53)은 상기 게이트 패드 중간 전극(55)을 노출 시킨다(도 3d). 그리고, 상기 제 2소스 콘택 홀(63)은 상기 소스 패드 중간 전극(65)을 노출 시킨다(도 4d). 그리고, 상기 드레인 콘택 홀(71)은 상기 드레인 전극(31)의 일부를 노출 시킨다(도 2d).
상기 게이트 패드(15)아 상기 소스 패드(25)를 연결하는 상기 단락 배선(45)이 교차되는 부분은 더 이상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연결을 끊는다(도 1의 A). 이 때,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식각하여 끊고자 하는 부분의 금속 층을 제거한다. 그 결과 행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단락 배선(45)은 소스 패드(25)들을 연결하게 된다(따라서, 소스 단락 배선이라고도 한다). 한편, 열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단락 배선(45)은 게이트 패드(15)들을 연결하게 된다(따라서, 홀수 게이트 단락 배선이라고도 한다).
상기 보호막(41) 위에 ITO(Indium-Tin-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전면에 증착한다. 그리고,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상기 투명 도전 물질을 식가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31)에 연결된 화소 전극(33)과(도 2e), 상기 게이트 패드 중간 전극(55)에 연결된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57)(도 3e) 그리고, 상기 소스 패드 중간 전극(65)에 연결된 소스 패드 연결 단자(67)들을 형성한다(도 4e).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로 액티브 기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검사 공정을 위해 게이트 패드와 소스 패드를 연결하는 단락 배선이 게이트 배선을 형성할 때 모두 연결된 상태로 함께 형성된다. 이는 양극 산화를 수행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나중에 게이트 패드를 연결하는 부분과 소스 패드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리하여 검사용 단자로 사용하는 단락 배선이 게이트 패드들과 소스 패드들을 각각 연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게이트 배선이나 소스 배선에서 단선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 번째로, 이웃하는 게이트 배선끼리 혹은 이웃하는 소스 배선끼리 단락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불량은 겁출이 불가능하다. 두 번째로, 양극 산화 공정과 단선 공정(Cut)이 필수적이어서 적어도 8개의 마스크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마스크 공정수가 많을수록 제조 시간이 늘어나고, 마스크 정렬시 오차에 의한 불량 발생율이 증가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므로, 마스크 공정 수를 단축하는 것은 그 만큼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불량 발생을 억제 시키는 기본적인 방법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검사하기 위한 단락 배선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티브 패널 제작 공정을 단순화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기판 검사용 단락 배선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티브 기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마스크 공정 수를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배선에서 단락과 단선에 의한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액티브 기판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2는 종래 액티브 기판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부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종래 액티브 기판에서 게이트 패드와 단락 배선이 형성된 부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종래 액티브 기판에서 소스 패드와 단락 배선이 형성된 부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기판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기판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부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기판에서 게이트 패드와 단락 배선이 형성된 부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기판에서 소스 패드와 단락 배선이 형성된 부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판
11, 111 : 게이트 전극13, 113 : 게이트 배선
113a : 저 저항 게이트 배선15, 115 : 게이트 패드
17, 117 : 게이트 절연막19 : 양극 산화막
21, 121 : 소스 전극23, 123 : 소스 배선
25, 125 : 소스 패드31, 131 : 드레인 전극
33, 133 : 화소 전극35, 135 : 반도체 층
37, 137 : 불순물 반도체 층41, 141 : 보호막
45 : 단락 배선(Shorting Bar)
145G : 제 1게이트 단락 배선145S : 제 2소스 단락 배선
147G : 제 1게이트 단락 배선145S : 제 2소스 단락 배선
51 : 제 1게이트 콘택홀53 : 제 2게이트 콘택홀
55 : 게이트 패드 중간 전극57 :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
61 : 제 1소스 콘택홀63 : 제 2소스 콘택홀
65 : 소스 패드 중간 단자67 : 소스 패드 연결 단자
71 : 드레인 콘택홀
181 : 게이트 패드 콘택홀185 : 게이트 단락 배선 콘택홀
191 : 소스 패드 콘택홀193 : 소스 패드 콘택홀
195 : 소스 단락 배선 콘택홀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소자들을 검사하는 검사 단자를 액티브 기판을 제조할 때 동시에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종래보다 적은 수의 마스크 공정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에서 서로 이웃하는 배선끼리 단락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액티브 기판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도 5와, 제조 공정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절단선 VI-VI로 자른 도 6과, 절단선 VII-VII로 자른 도 7 그리고, 절단선 VII-VII로 자른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투명 기판(101) 위에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저항이 낮은 금속을 증착한다. 그리고, 포토 리소그래피 법을 사용하여 저 저항 게이트 배선(113a)을 형성한다.
상기 저 저항 게이트 배선(113a)이 형성된 기판 위에 크롬. 몰리브덴, 탄탈 혹은 주석과 같이 표면 안정성이 좋은 금속을 전면 증착한다. 그리고, 포토 리소그래피법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111), 게이트 배선(113), 게이트 패드(115), 제 1게이트 단락 배선(145G), 소스 패드(125) 그리고, 제 1소스 단락 배선(145S)을 형성한다(도 7a, 도 8a). 여기서, 게이트 전극(111)은 설계된 화소 배열을 따라 행렬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단일 금속 층으로만 이루어져 있다(도 6a). 게이트 배선(113)은 행배열 방향의 게이트 전극(111)들을 연결하며 상기 저 저항 게이트 배선(113a)을 덮고 있다. 게이트 패드(115)는 게이트 배선(113)의 끝단에 그리고, 소스 패드(125)는 나중에 형성될 소스 배선(123)의 끝단에 형성된다. 제 1게이트 단락 배선(145G)은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115)를 서로 연결하고, 제 1소스 단락 배선(145S)은 홀수 번째 소스 패드(125)들을 연결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연히 제 1게이트 단락 배선과 제 1소스 단락 배선이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짝수 번째 소스 패드들을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111), 게이트 배선(113), 게이트 패드(115) 그리고, 제 1게이트 단락 배선(145G) 그리고 제 1소스 단락 배선(145S)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 등을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117)을 형성한다. 그리고, 차례로 진성 반도체 물질과 불순물이 첨가된 반도체 물질을 상기 게이트 절연막(117) 위에 증착한다. 상기 반도체 물질들을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식각하여, 반도체 층(135)과 불순물 반도체 층(137)을 형성한다(도 6b).
상기 반도체 층(135)가 불순물 반도체 층(137)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크롬과 같은 금속을 전면 증착한 후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식각하여 소스 전극(121), 드레인 전극(131), 소스 배선(123), 제 2게이트 단락 배선(147G) 그리고, 제 2소스 단락 배선(147S)을 형성한다. 상기 소스 전극(121)과 드레인 전극(131)은 게이트 전극(111)을 가운데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도 6c). 소스 배선(123)은 열 방향의 소스 전극(121)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 때, 소스 배선(123)의 끝단은 소스 패드 연결 단자(167)와 연결하기 위한 소스 배선 콘택 홀(193)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게이트 단락 배선(147G)은 짝수번째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157)와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 단락 배선 콘택 홀(185)을 형성하기 쉽도록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을 약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소스 단락 배선(147S)도 짝수 번째 소스 패드 연결 단자(167)들과 연결하기 위한 소스 단락 배선 콘택 홀(195)을 형성하기 쉽도록 짝수 번째 소스 패드와 대응하는 부분을 약간 넓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 1단락 배선들을 형성할 때와 비교하여, 제 1단락 배선들이 짝수 번째 패드들과 연결되도록 형성하였다면, 제 2단락 배선들을 홀수 번째 패드들과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소스 전극(121)과 드레인 전극(131)을 마스크로 하여 밑에 있는 불순물 반도체 층을 식각하여 불순물 반도체 층(137)이 소스 전극(121)과 드레인 전극(131)을 연결하지 않도록 한다(도 7b, 도 8b).
상기 소스 전극(121), 소스 배선(123), 드레인 전극(131) 그리고, 제 2단락 배선(147)이 형성된 기판 위에 질화 실리콘이나 산화 실리콘을 전면 증착하여 보호막(141)을 형성한다.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패드(115)에 게이트 콘택 홀(181)을, 소스 패드(125)에 소스 패드 콘택 홀(191)을 형성한다. 또한, 드레인 전극(131) 부분에는 드레인 콘택 홀(171)을 형성한다(도 6d). 그리고, 소스 배선(123)의 끝단은 보호목(141)과 게이트 절연막(117)을 함께 식각하여 소스 패드(125)와 소스 패드 연결 단자(167)가 연결될 수 있는 소스 배선 콘택 홀(193)을 형성한다. 또한, 짝수 번째 소스(123)과 짝수 번째 게이트 배선(113)의 끝단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제 2게이트 단락 배선(147G)과 제 2소스 단락 배선(147S) 부분에 게이트, 소스 패드들과 게이트, 소스 패드 연결 단자들이 연결될 수 있는 게이트 단락 배선 콘택 홀(185)과 소스 단락 배선 콘택 홀(195)을 형성한다(도 7c, 도 8c).
상기 보호막(141) 위에 ITO(Indium-Tin-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전면에 증착한다. 그리고, 포토 리소그래피 법으로 식각하여 상기 투명 도전 물질을 식각하여 화소 전극(133)과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157)와 소스 패드 연결 단자(167)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전극(133)은 드레인 콘택 홀(171)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31)과 연결된다(도 6e). 상기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157)중 홀수 번째 단자들은 제 1게이트 단락 배선(145G)에 연결된 게이트 배선(113)을 연결하고, 짝수 번째 단자들은 제 2게이트 단락 배선(147G)과 짝수 번째 게이트 배선(113)을 연결한다. 또한, 소스 패드 연결 단자(167)중 홀수 번째 단자들은 제 1소스 단락 배선(145S)에 연결된 소스 패드(125)와 홀수 번째 소스 배선(123)과 함께 연결되고, 짝수 번째 단자들은 제 2소스 단락 배선(147S)과 짝수 번째 소스 배선(123) 그리고, 짝수 번째 소스 패드(135)를 연결하면서 형성된다. 물론, 제 1게이트 단락 배선과 제 1소스 단락 배선이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소스 패드들에 연결되었다면, 제 2게이트 단락 배선과 제 2소스 단락 배선은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소스 패드들을 연결한다(도 7d, 도 8d).
본 발명은 게이트 버스 배선을 형성할 때, 알루미늄 표면에 발생하는 힐락을 방지하기 위해 양극 산화하는 방법을 택하지 않고, 알루미늄을 크롬과 같이 표면 안정성이 좋은 금속으로 보호하였기 때문에 양극 산화 단계와 단선 단계 및 패드 부분콘택 홀 형성 단계에서 사용하는 마스크 수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액정 표시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하였다. 그럼으로써, 마스크 공정에 수반되는 정렬 오차에 의해 불량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수율이 향상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액티브 패널을 완성한 후에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의 불량을 검출하는 단락 배선이 홀수 번째 배선과 짝수 번째 배선으로 분리하여 형성하였다. 그럼으로써, 각 배선의 중간이 끊김으로 인한 단선 불량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두 개의 배선이 연결되는 단락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알아낼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배선 불량을 정확히 판별해내고, 이를 정확히 교정함으로써 생산 수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후 검사를 위한 회로 구성을 하는데 있어서,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을 홀수번째와 짝수번째로 나누어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하였다.

Claims (14)

  1. 기판 위에 제 1금속으로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배선과, 게이트 패드와, 소스 패드와, 제 1게이트 단락 배선 그리고, 제 1소스 단락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절연 물질과, 진성 반도체 물질 그리고, 불순물이 첨가된 반도체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하고 패턴하여 게이트 절연막과, 반도체 층 그리고, 불순물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불순물 반도체 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제 2금속으로 소스 전극과, 소스 배선과, 드레인 전극과, 제 2게이트 단락 배선 그리고, 제 2소스 단락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절연 물질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을 패턴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가 있는 부분에 게이트 패드 콘택 홀과, 소스 패드가 있는 부분에 소스 패드 콘택 홀과, 제 2게이트 단락 배선기 있는 부분에 게이트 단락 배선 콘택 홀과, 제 2소스 단락 배선이 있는 부분에 소스 단락 배선 콘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 위에 투명 도전막으로 소스 패드 연결 단자와 게이트 패드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게이트 단락 배선이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연결되고, 제 2게이트 단락 배선이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게이트 단락 배선이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연결되고, 제 2게이트 단락 배선이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스 단락 배선이 홀수 번째 소스 패드들과 연결되고, 제 2소스 단락 배선이 짝수 번째 소스 패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스 단락 배선이 짝수 번째 소스 패드들과 연결되고, 제 2소스 단락 배선이 홀수 번째 소스 패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7.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을 패턴하는 단계에서,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부분에 드레인 콘택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소스 패드 연결 단자와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를 형성할 때 동시에 화소 전극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8. 기판 위에 제 1금속으로 제 1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게이트 배선 위에 제 2금속으로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게이트 배선을 덮는 제 2게이트 배선과, 상기 제 2게이트 배선의 끝단에 게이트 패드와, 상기 게이트 패드를 연결하는 제 1게이트 단락 배선과, 소스 패드와 그리고, 상기 소스 패드들 연결하는 제 1소스 단락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절연 물질을 증착하고, 진성 반도체 물질과 불순물이 첨가된 반도체 물질을 연속 증착하고, 패턴하여 반도체 층과 불순물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불순물 반도체 층 위에 제 3금속으로 소스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을 연결하는 소스 배선과,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과, 제 2게이트 단락 배선과 그리고, 제 2소스 단락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전극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절연 물질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여 드레인 전극부에 드레인 콘택 홀과, 제 2게이트 단락 배선부에 게이트 단락 배선 콘택 홀과, 소스 배선의 끝단에 소스 배선 콘택 홀 그리고, 제 2소스 단락 배선부에 소스 단락 배선 콘택 홀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패드부에 게이트 패드 콘택 홀과, 소스 패드부에 소스 패드 콘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 위에 투명 도전막으로 화소 전극과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 그리고 소스 패드 연결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게이트 단락 배선은 상기 게이트 패드중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게이트 단락 배선은 상기 게이트 패드중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0.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게이트 단락 배선은 상기 게이트 패드중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게이트 단락 배선은 상기 게이트 패드 중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1.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스 단락 배선은 상기 소스 패드중 짝수 번째 소스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소스 단락 배선은 상기 소스 패드중 홀수 번째 소스 패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2.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스 단락 배선은 상기 소스 패드중 홀수 번째 소스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소스 단락 배선을 상기 소스 패드중 짝수 번째 소스 패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3.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배열된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상기 게이트 배선들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된 복수의 소스 배선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게이트 배선의 끝단에 제 1금속으로 형성된 게이트 패드들과;
    상기 게이트 패드들 중 홀수 번째 패드들을 연결하는 제 1게이트 단락 배선과;
    상기 홀수 번째 패드와 연결된 홀수 번째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제 2금속으로 형성된 제 2게이트 단락 배선과;
    상기 게이트 패드들 중 짝수 번째 패드들과 상기 제 2게이드 단락 배선과 연결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짝수 번째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스 배선의 끝 부분에 상기 제 1금속으로 형성된 소스 패드들과;
    상기 소스 패드들 중 홀수 번째 패드들을 연결하며 상기 제 1금속으로 형성된 제 1소스 단락 배선과;
    상기 홀수 번째 패드와 연결되며 제 3금속으로 형성된 홀수 번째 소스 패드 연결 단자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제 2금속으로 형성된 제 2소스 단락 배선과;
    상기 소스 패드들 중 짝수 번째 패드들과 상기 제 2소스 단락 배선과 연결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짝수 번째 소스 패드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70004003A 1997-02-11 1997-02-11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horting bar for testing t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4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003A KR100244449B1 (ko) 1997-02-11 1997-02-11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horting bar for testing t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09/005,587 US6184948B1 (en) 1997-02-11 1998-01-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error detecting shorting bar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003A KR100244449B1 (ko) 1997-02-11 1997-02-11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horting bar for testing t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41A true KR19980067741A (ko) 1998-10-15
KR100244449B1 KR100244449B1 (ko) 2000-02-01

Family

ID=1949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003A KR100244449B1 (ko) 1997-02-11 1997-02-11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horting bar for testing t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84948B1 (ko)
KR (1) KR100244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824B1 (ko) * 2002-04-15 2005-10-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041B1 (ko) * 1995-12-28 1999-06-01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0019556A (ja) * 1998-06-29 2000-01-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333271B1 (ko) * 1999-07-05 2002-04-24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배선의 단락 및 단선 테스트를 위한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KR100346045B1 (ko) * 1999-10-25 2002-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방법
KR100633316B1 (ko) * 2000-01-26 2006-10-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정전기방지를 위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 제조방법
US6930732B2 (en) * 2000-10-11 2005-08-16 Lg.Philips Lcd Co., Ltd. Array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28260B1 (ko) * 2000-12-29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6809B1 (ko) * 2001-08-29 2008-02-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41613B1 (ko) 2001-12-28 2008-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
KR100455437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효율이 향상된 액정표시소자
KR100443539B1 (ko) * 2002-04-16 2004-08-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KR100443835B1 (ko) * 2002-04-17 2004-08-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를 위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TW594337B (en) * 2003-02-14 2004-06-21 Quanta Display Inc Method of form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7297979B2 (en) * 2003-12-18 2007-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display
TWI312087B (en) * 2005-08-26 2009-07-11 Au Optronics Corporatio Test circuit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174156B1 (ko) * 2005-10-25 2012-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100729046B1 (ko) * 2005-12-09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정전기 방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5472B1 (ko) * 2005-12-30 201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412B1 (ko) * 2007-01-24 2013-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CN101256297B (zh) * 2008-03-28 2010-06-2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阵列基板和母基板
US20100283931A1 (en) * 2008-04-17 2010-11-11 Satoshi Horiuchi Tft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1022779A (en) * 2008-12-12 2010-06-16 Au Optronics Corp Pixel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68268B1 (ko) * 2009-10-27 2015-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994886B2 (en) * 2010-11-25 2015-03-3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CN102981340B (zh) * 2012-12-11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的阵列基板及制造方法
CN102967978B (zh) 2012-12-18 2015-08-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6200170A (zh) * 2016-07-08 2016-12-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Tft液晶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
CN107728364B (zh) * 2017-10-27 2020-06-12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TWI765611B (zh) * 2021-03-22 2022-05-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253B2 (ja) * 1986-06-20 1995-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トリクス型画像表示装置
KR100228520B1 (ko) * 1992-08-13 1999-11-01 가시오 가즈오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 및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5532853A (en) * 1993-03-04 1996-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arable display device matrix for repair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 bonding pad to its associated signal line
US5852480A (en) * 1994-03-30 1998-12-22 Nec Corporation LC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hunt buses
US5684547A (en) * 1994-08-05 1997-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5668032A (en) * 1995-07-31 1997-09-16 Holmberg; Scott H. Active matrix ESD protection and testing scheme
TW406204B (en) * 1995-09-21 2000-09-21 Advanced Display Kk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0169366B1 (ko) * 1995-12-05 1999-03-20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JP3625598B2 (ja) * 1995-12-30 2005-03-02 三星電子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192347B1 (ko) * 1996-03-26 1999-06-1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구조 및 제조방법
JP3326327B2 (ja) * 1996-05-13 2002-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パネル
KR980003731A (ko) * 1996-06-11 1998-03-30 김광호 표시 패널용 정전 파괴 보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32177B1 (ko) * 1996-07-22 1999-12-01 구본준 액정 표시 장치의 쇼팅바 및 그의 제조방법
US6081308A (en) * 1996-11-21 2000-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0244182B1 (ko) * 1996-11-29 2000-02-01 구본준 액정표시장치
KR100229613B1 (ko) * 1996-12-30 1999-11-15 구자홍 액정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255592B1 (ko) * 1997-03-19 2000-05-01 구본준 액정 표시 장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0262953B1 (ko) * 1997-06-11 2000-08-01 구본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6043971A (en) * 1998-11-04 2000-03-28 L.G. Philips Lcd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a COG pack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824B1 (ko) * 2002-04-15 2005-10-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4948B1 (en) 2001-02-06
KR100244449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44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horting bar for testing t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71038B1 (ko) 전기적 특성 검사를 위한 단락 배선의 제조 방법 및 그 단락 배선을 포함하는 액티브 기판의 구조(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rting bar probing an electrical state and a structure of an lcd comprising the shorting bar)
KR100238795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255592B1 (ko) 액정 표시 장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US598246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ctive panel
USRE39798E1 (en) Active matrix LCD device with image signal line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KR19990070487A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
JPH08328033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マトリク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19431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
JP2007192968A (ja) 液晶表示装置
KR10084161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검사용 단락 배선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
KR100248256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3323880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318540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JPH0545677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配線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23559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329450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23559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60054889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KR10090053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H10274782A (ja) 液晶表示装置
JPH11212119A (ja) Tftアレ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tftアレイ基板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0252307B1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JPH10148843A (ja) 液晶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検査方法
JP2001067020A (ja) マトリクスアレ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