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670U -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670U
KR19980066670U KR2019970011131U KR19970011131U KR19980066670U KR 19980066670 U KR19980066670 U KR 19980066670U KR 2019970011131 U KR2019970011131 U KR 2019970011131U KR 19970011131 U KR19970011131 U KR 19970011131U KR 19980066670 U KR19980066670 U KR 199800666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mirror
fixture
contact surface
stay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욱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1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670U/ko
Publication of KR19980066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670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룸미러를 차체와 연결시켜주는 스테이의 상단 내부에 경사 접촉면을 갖는 고정구를 압축코일 스프링과 함께 탄력설치하고, 이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접동할 수 있도록 스테이 내면으로 경사 접동편을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볼트로 체결 설치하여, 룸미러가 차체의 천정 패널에서 쉽게 분리되어져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천정 패널에 부착설치되는 룸미러의 스테이 내면 상단으로, 경사 접촉면을 갖는 고정구를 압축코일 스프링과 함께 삽입 설치하고, 상기 스테이의 내면으로는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접동할 수 있는 경사 접동편을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천정 패널에 볼트로 체결고정시켜,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고정플레이트의 경사 접동편이 접하며 결합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룸미러를 차체와 연결시켜주는 스테이의 상단 내부에 경사 접촉면을 갖는 고정구를 압축코일 스프링과 함께 탄력설치하고, 이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접동할 수 있도록 스테이 내면으로 경사 접동편을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볼트로 체결 설치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룸미러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충돌사고 발생시 규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룸미러가 차체의 천정 패널에서 쉽게 분리되어져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룸미러는 차량의 운행시 운전자가 뒤를 돌아보지 않고도 후방상황을 수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자 운전석 우측 상단의 천정 패널에 설치 사용되는데, 이 실내 룸미러는 차량의 운행중 급제동시나 접촉 충돌사고시에 탑승자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머리부분이 룸미러에 부딪혀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룸미러에 일정힘 이상이 가해지면 룸미러가 천정 패널에서 분리되도록 설치하여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룸미러 취부장치를 보면, 차체의 천정패널에 부착되는 베이스의 중앙부 하단으로 상면에 곡면부를 갖는 탄턱을 형성하고, 이 곡면부에 스프링판을 부착하여, 룸미러의 스테이 상단부를 베이스와 연결시키는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스프링판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함으로서, 룸미러에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면 판스프링으로서 지지되어진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스프링판의 탄성력 한도를 벗어나면서 이탈되어 분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는,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면 천정 패널에서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나, 구조 및 부품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의 천정 패널에 부착고정되는 룸미러의 스테이 내부 상측으로 경사 접촉면을 갖는 고정구를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설치하고, 이와 접동할 수 있도록 스테이의 내면에는 경사 접동편을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볼트로 체결고정시켜 룸미러가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면 천정 패널에서 쉽게 분리 되도록 하고, 구조 및 부품을 간소화시켜 룸미러의 탈/장착을 이용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의 (a), (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룸미러 20: 천정패널
30: 스테이 40: 경사 접촉면
50: 고정구 60: 압축코일 스프링
90: 고정플레이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 천정 패널에 부착설치되는 룸미러의 스테이 내면 상단으로 경사 접촉면을 갖는 고정구를 압축코일 스프링과 함께 삽입 설치하고, 상기 스테이의 내면으로는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접동할 수 있는 경사 접동편을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천정 패널에 볼트로 체결고정시켜,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고정플레이트의 경사 접동편이 접하며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과 효과는,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의 (a), (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 천정 패널(20)에 부착 고정설치되는 룸미러(10)의 스테이(30) 내면 상단으로 경사 접촉면(40)을 갖는 고정구(50)를 압축코일 스프링(60)과 함께 삽입 설치하고, 스테이(30)의 내면으로는 고정구(50)의 경사 접촉면(40)과 면접동 할 수 있도록 경사 접동편(70)과 볼트공(80)(80')을 갖는 고정플레이트(90)를 볼트(100)(100')로 천정 패널(20)에 체결고정시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미러(10)의 스테이(30) 내부 상단에서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50)의 경사 접촉면(40)과 스테이(30)의 내면으로 삽입되어 천정 패널(20), 볼트(100)(100')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90)의 경사 접동편(70)이 접하여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룸미러(10)에 외부에서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미러(1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지게 되고, 이 때, 스테이(30)가 함께 밀리면서 스테이(30)의 상단 내면에 매립 설치된 고정구(50)의 경사 접촉면(40)과 고정플레이트(90)의 경사 접동편(70) 사이에 미끄럼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전술한 고정구(50)가 그 상단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60)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위로 밀려올라가게 되고, 이 순간 전술한 고정구(50)가 고정플레이트(90)의 경사 접동편(70)을 벗어나면서 천정 패널(20)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급제동이나 접촉 충돌사고시 탑승자가 실내 룸미러에 부딪히더라도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룸미러이 천정 패널에서 분리되므로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에 의하면, 룸미러 자체가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면 천정 패널에서 쉽게 분리되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그 구조와 부품수가 간소화 되어 룸미러가 탈/장착이 용이하고, 작업공수와 부품수의 절감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탈/장착이 용이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실내 천정 패널에 부착설치되는 룸미러의 스테이 내면 상단으로 경사 접촉면을 갖는 고정구를 압축코일 스프링과 함께 삽입 설치하고, 상기 스테이의 내면으로는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접동할 수 있는 경사 접동편을 갖는 고정플레이트를 천정 패널에 볼트로 체결고정시켜, 고정구의 경사 접촉면과 고정플레이트의 경사 접동편이 접하며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KR2019970011131U 1997-05-20 1997-05-20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KR199800666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131U KR19980066670U (ko) 1997-05-20 1997-05-20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131U KR19980066670U (ko) 1997-05-20 1997-05-20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670U true KR19980066670U (ko) 1998-12-05

Family

ID=6967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131U KR19980066670U (ko) 1997-05-20 1997-05-20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6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780B1 (ko) 차량의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US20070063490A1 (en) Mounting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US5235146A (en) Steering wheel horn switch arrangement
US759734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curtain airbag
US20020021014A1 (en) Assist grip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9980066670U (ko) 자동차 실내 룸미러의 취부장치
KR920002529Y1 (ko) 자동차 실내 후사경의 취부장치
KR0124896Y1 (ko) 실내 후사경 부착장치
KR100558742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KR960010002Y1 (ko) 자동차의 엔진 진입 방지장치
KR200158497Y1 (ko) 자동차 탑승자의 측부충격 방지장치
KR011463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버클
KR200155387Y1 (ko) 도어 암레스트 구조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80405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013320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0133623Y1 (ko) 조수석 에어백 장착구조
KR0139612Y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장치
KR100373124B1 (ko) 버스용 가드 플레이트 조립구조
KR200162532Y1 (ko) 버스 손잡이의 완충장치
KR100456679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의 장착구조
KR0126219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미러 충격흡수장치
KR0112680Y1 (ko) 승용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