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405B1 -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405B1
KR100380405B1 KR10-2000-0078252A KR20000078252A KR100380405B1 KR 100380405 B1 KR100380405 B1 KR 100380405B1 KR 20000078252 A KR20000078252 A KR 20000078252A KR 100380405 B1 KR100380405 B1 KR 10038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racket
seat belt
co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154A (ko
Inventor
최형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4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안전벨트의 하단부를 차체에 체결하는 앵커의 조립구조를 변경하여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고정단(210)이 서로 등지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커버(200)와; 상기 커버(200) 하측에 위치하여 앵커체결구(150)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바닥면(160)과, 상기 바닥면(160)의 일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벨트연결부(110)가 형성된 제1수직단(120)과, 상기 바닥면(160)의 타측 양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210)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버체결구(140)를 구비하는 두 개 이상의 제2수직단(130)이 일체로 이루어진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100)의 바닥면(160) 형상으로 홀(410)이 형성된 완충재(400)와;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앵커체결구(150)와 플로어패널(500)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된 앵커(300)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안전벨트의 하단부를 차체에 체결하는 앵커의 조립구조를 변경하여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부위를 제거하여 안전벨트의 내구성과 승객과 화물에 대한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실 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Structure for assembling seat belt anchor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안전벨트의 하단부를 차체에 체결하는 앵커의 조립구조를 변경하여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써,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부위를 제거하여 안전벨트의 내구성과 승객과 화물에 대한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실 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주행중의 승차원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것을 장착함으로써 충돌시 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하는 2차적인 상해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안전벨트의 주된 역할은 우선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며, 또한 안전벨트를 매면 심리적인 안정감이 작용해 과속과 무리한 추월을 삼가하게 되고,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운전자세가 바르게 되고 피로를 방지해주는 효과도 있다.
안전벨트의 상부는 센터필러 내부에 구비된 리트랙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안전벨트의 하부는 안전벨트 앵커를 통하여 차체에 체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는 앵커체결구(14)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바닥면(13)과, 상기 바닥면(13)의 일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벨트연결부(12)가 형성된 수직단(11)으로 이루어진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 하측에 위치하는 완충재(30)와; 상기 브라켓(10)에 형성된 앵커체결구(14), 완충재(30), 플로어패널(40)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된 앵커(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S)가 상기 브라켓(10)의 수직단(11)에 형성된 벨트연결부(12)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0)의 바닥면(13)에 형성된 앵커체결구(14), 완충재(30), 플로어패널(40)을 동시에 관통하여 앵커(20)가 체결되어 있어, 상기 브라켓(10)을 플로어패널(40)에 고정시키게 되어 안전벨트(S)를 차체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S)가 연결된 브라켓(10)과 플로어패널(40)이 체결되는 중간에 완충재(30)가 압축을 받은 상태로 삽입되어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0)이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플로어패널(40)에 체결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승객이 상해를 입거나 화물에 손상을 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실 내의 외관미를 저해시키게 되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안전벨트의 하단부를 차체에 체결하는 앵커의 조립구조를 변경하여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부위를 제거하여 안전벨트의 내구성과 승객과 화물에 대한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실 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고정단이 서로 등지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커버와; 상기 커버 하측에 위치하여 앵커체결구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벨트연결부가 형성된 제1수직단과, 상기 바닥면의 타측 양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버체결구를 구비하는 두 개 이상의 제2수직단이 일체로 이루어진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의 바닥면 형상으로 홀이 형성된 완충재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앵커체결구와 플로어패널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된 앵커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라켓 110 : 벨트연결부
120 : 제1수직단 130 : 제2수직단
140 : 커버체결구 150 : 앵커체결구
160 : 바닥면 200 : 커버
210 : 고정단 300 : 앵커
400 : 완충재 410 : 홀
500 : 플로어패널 S : 안전벨트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고정단(210)이 서로 등지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커버(200)와; 상기 커버(200) 하측에 위치하여 앵커체결구(150)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바닥면(160)과, 상기 바닥면(160)의 일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벨트연결부(110)가 형성된 제1수직단(120)과, 상기 바닥면(160)의 타측 양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210)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버체결구(140)를 구비하는 두 개 이상의 제2수직단(130)이 일체로 이루어진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100)의 바닥면(160) 형상으로 홀(410)이 형성된 완충재(400)와;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앵커체결구(150)와 플로어패널(500)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된 앵커(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S)가 상기 브라켓(100)의 제1수직단(120)에 형성된 벨트연결부(110)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00)의 바닥면(160)에 형성된 앵커체결구(150)와 플로어패널(500)을 동시에 관통하여 앵커(300)가 체결되어 있어, 상기 브라켓(100)을 플로어패널(500)에 직접고정시키게 되어 안전벨트(S)를 차체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은 완충재(400)에 형성된 브라켓의 바닥면 형상의 (410)홈을 통하여 직접 플로어패널(500)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제1수직단(120)이 플로어패널(500)의 상측에 위치한 완충재(400)의 높이와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수직단(120)이 완충재(400)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고 발생시 상기 제1수직단(120)에 의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거나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200)에는 두 개 이상의 고정단(21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210)이 브라켓(100)의 제2수직단(130)에 형성된 커버체결구(140)에 결합되어, 커버(200)가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에 고정됨으로써 외부에서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 내측에 체결된 앵커(300)를 가릴 수 있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안전벨트의 하단부를 차체에 체결하는 앵커의 조립구조를 변경하여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부위를 제거하여 안전벨트의 내구성과 승객과 화물에 대한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실 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고정단이 서로 등지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커버와;
    상기 커버 하측에 위치하여 앵커체결구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벨트연결부가 형성된 제1수직단과, 상기 바닥면의 타측 양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버체결구를 구비하는 두 개 이상의 제2수직단이 일체로 이루어진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의 바닥면 형상으로 홀이 형성된 완충재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앵커체결구와 플로어패널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된 앵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KR10-2000-0078252A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KR10038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252A KR100380405B1 (ko)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252A KR100380405B1 (ko)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154A KR20020049154A (ko) 2002-06-26
KR100380405B1 true KR100380405B1 (ko) 2003-04-16

Family

ID=2768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252A KR100380405B1 (ko)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80B1 (ko) * 2020-02-18 2021-11-0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벨트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154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780B1 (ko) 차량의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US5951094A (en) Arm rest for a vehicle
KR100391537B1 (ko) 자동차의 센터 필라 조립체
JP4504828B2 (ja) キャップ取付構造およびキャップ
KR100380405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앵커 조립구조
US7316442B2 (en)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of seat rail for vehicle
JP3937308B2 (ja) 車両内装部材
JP4022829B2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ーの取付構造
US4752084A (en) Instrument pad arrangement in automotive vehicle
KR100380403B1 (ko) 승합차의 안전벨트앵커보강재
JP4174947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取付け構造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00558742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KR10043538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좌굴 방지 구조
KR200146381Y1 (ko) 트럭의 시트 벨트 연결부 구조
JP2002160601A (ja) ドア補強部材
KR0130817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KR013081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고정용 너트
KR200143414Y1 (ko) 상용차의 시트벨트앵커 보강재
JPH0529939Y2 (ko)
KR101354392B1 (ko)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
JP2002012122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51511A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되는 필라 트림의 체결 구조
KR2001529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구조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