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59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59A
KR19980064559A KR1019970073116A KR19970073116A KR19980064559A KR 19980064559 A KR19980064559 A KR 19980064559A KR 1019970073116 A KR1019970073116 A KR 1019970073116A KR 19970073116 A KR19970073116 A KR 19970073116A KR 19980064559 A KR19980064559 A KR 1998006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front panel
transparent substrate
display front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아이신스케
산노우하루요시
혼다사토시
Original Assignee
코사이아키오
스미토모가기쿠고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사이아키오, 스미토모가기쿠고교(주) filed Critical 코사이아키오
Publication of KR1998006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02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01J2229/0023Pass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기판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으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 인원자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 및 동(銅)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투명 기판을 사용함에 따라, 전자파 차폐 성능이 좋은 것에 첨가하여 근적외선 흡수능력도 부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또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또는 오염 방지층을 부여한 고기능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전자파 차폐성을 갖는 투광성 전면판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전면판으로서는, 조명광의 반사라든지 배경이 비치는 것에 의한 화상의 불선명함을 방지할 목적이라든지, 디스플레이 표면의 보호, 디스플레이 표면의 오염 방지 등의 목적으로, 반사 방지성, 내찰상성(耐擦傷性), 오염 방지성을 갖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종래에 없는 큰 화면의 평면 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화면 및 그 주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주변기기로 장해를 주고, 또한 인체로의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어 있는 반사 방지성, 내찰상성, 오염 방지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전면판으로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투명 기판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 도금된 섬유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한 전면판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고, 또한 근(近)적외선 흡수기능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자파를 충분히 차폐함과 동시에, 내마모성, 반사 방지성, 오염 방지성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투명 기판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2)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單量)체, 인원자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하는 공중합체 및, 동(銅)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투명 기판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전면판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 및/또는 반사 방지층 및/ 또는 오염 방지층을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 및 연질의 투명 열가소성 필름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 기판
2 : 폴리에스테르 사직물
3 : 연질 아크릴 필름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필름 또는 시트형상 물체의 것이다.
크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두께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대략 0.01 내지 10mm 정도이다.
본 발명의 투명 기판은 파장 450nm에서 650nm의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50%보다 낮아지면 디스플레이의 영상이 보기 어렵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파장 450nm에서 650nm의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며, 파장 800nm에서 1000nm의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6% 이하인 근적외선 흡수능력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투명 기판은, 투명 수지, 유리 등으로 형성된다. 그 형상으로서는 필름 또는 시트형상 물체의 것이다. 그 중에서도 투명수지가 내충격성에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이다. 그 중에서도 광투과성, 내후성(耐候性)등의 면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적합하다.
편광 특성을 부여한 광학 필름 또는 시트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확산제, 착색제, 이형(離型)제,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난연화제 등을 첨가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필름 또는 시트는 단층이라도 좋고, 복수의 수지를 적층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장 450nm에서 650nm의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인 투명 기판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을 중합, 성형하여 얻어진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란, 래디칼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분자 내에 적어도 1개를 가지는 단관능(單官能) 또는 다관능(多官能)의 단량체이다.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1-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애더맨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애더맨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5. 2. 1. 02,6]데카-8-일=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脂環式)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크롤스티렌, 브롬스틸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카르본산;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질소 함유 단량체; 알릴글리디실에테르, 글리디실아크릴레이트, 글리디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등의 알킬렌옥사이드기 함유 단량체;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플루오르화비닐리덴, 에틸렌 등의 그 밖의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류;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류; 디비닐벤젠, 디알릴프탈레이트와 같은 방향족 다관능 화합물;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가알코올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된 (메타)아크릴레이트 라는 것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량체 중에서도 입수의 간편함이나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 등으로부터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스틸렌계 단량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단량체는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이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을 중합하는 방법은,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등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성형하는 방법도, 압출성형, 주형중합 등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투명 기판은, 그 파장 450nm에서 650nm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통상 90% 이상이 된다.
또한, 파장 450nm에서 650nm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며, 파장 800nm에서 1000nm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30% 이하의 근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투명 기판은, 기판 그 자체가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고 있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근적외선 흡수능이 없는 기판에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시켜도 좋다.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1) 일본 공개특허평6-1182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 인원자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 및 동(銅)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2) 일본 특허소62-519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동화합물, 인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3) 일본 공개특허평6-7319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동화합물, 티오요소 유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4) 미국 특허-3,647,729호에 개시되어 있는, 텅스텐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이들 중에서, (1)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 인원자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가시광역의 투과율, 또 기판으로 하였을 때의 강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란, 상기의 래디칼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가지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단량체이다.
인원자 함유 단량체란, 분자 내에 래디칼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며, 또한 분자 내에 인원자를 가지는 단량체이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하기의 화학식 1에서 나타나는 화합물이, 얻어지는 투명 기판의 강도가 강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CH2=C(X)COO(Y)m]3·n·P(O)·(OH)n
(식중, n은 1 또는 2, X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Y는 탄소수 2 내지 4의 옥시알킬렌기, Y가 탄소수 2의 옥시알킬렌기인 경우, m은 평균으로 8 내지 20, Y가 탄소수3의 옥시알킬렌기인 경우, m은 평균으로 5 내지 20, Y가 탄소수4의 옥시알킬렌기의 경우, m은 평균으로 4 내지 20이다)
Y의 알킬렌옥사이드기로서는 탄소수 3의 프로필렌옥사이드기가 얻어지는 투명 기판의 흡습성이 저하하는 것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CH2=C(X)COO(Y)m]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평균으로 20 이상인 쪽이 바람직하다. R의 탄소수의 합계가 18 이하인 경우, 얻어지는 투명 기판의 강도가 저하하거나 흡습성이 커진다.
Y가 탄소수 3의 프로필렌옥사이드기로 m이 6 내지 20의 인원자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인원자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와 인원자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중, 0.1 내지 50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이다. 인원자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이 0.1중량%보다 작으면 양호한 근적외선 흡수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50중량%보다 많으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강도가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인원자 함유 단량체는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와 인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는, 이들 단량체를 주지의 중합 방법, 예를 들면 괴상(塊狀)중합, 현탁중합, 유화(乳化)중합 등에 의해서 얻어진다.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동원자를 함유하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세트산동, 포름산동, 프로피온산동, 바레린산동, 헥산산동, 옥틸산동, 데칸산동, 라우린산동, 스테아린산동, 2-에틸헥산산동, 나프텐산동, 안식향산동, 구연산동 등의 카르본산과 동이온의 염, 아세틸아세톤 또는 아세토아세트산과 동이온의 착염, 염화동, 피롤린산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와 인원자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부이다.
이것은,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1mol에 대하여, 인원자함유 단량체는, 거의 0.05 내지 10mol에 상당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와 인원자 함유 단량체의 혼합물, 또는 그것들의 중합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른바 시럽에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균일하게 용해하여, 예를 들면, 셀이나 주형 내에서 중합 경화시켜서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하는 방법이라든지 괴상중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 때의 중합은 주지의 래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 또는 래디칼 중합 개시제와 촉진제로 구성되는, 이른바, 산화환원 반응계 개시제의 존재하에 의한 방법, 자외선 또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등, 주지의 방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분립상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와 인원자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에,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주지의 용융 혼련 방법에 의해서 균일하게 배합하는 등,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능력을 가지고 있는 투명 기판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다음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1)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판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
(2)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의 단량체 성분을 주형중합시켜서 판으로 하는 방법.
또한, 근적외선 흡수능이 없는 기판에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다음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1) 투명 수지 시트 또는 필름의 표면에, 근적외선 흡수능력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2) 투명 수지 시트 또는 필름의 표면에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접합하는 방법.
(3) 투명 수지 시트 또는 필름과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수지조성물분을 적층하는 방법.
이 방법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능력을 가지는 투명 기판은, 통상, 그 파장450nm에서 650nm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60%이상이며, 파장800nm에서 1000nm 범위의 평균 광선 투과율은 20% 이하이다.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로서는, 필라멘트 표면을 동 혹은 니켈 등으로 도금한 폴리에스테르 사직물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섬유의 종류로서는 각종이 고려되지만, 강도, 내구성 및 도금의 전처리인 에칭의 간이함 등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필라멘트 표면을 금속화한 후에 또한 염료라든지 안료로 윤기 혹은 암색으로 착색한 것은, 화상의 깜박거림이라든지 눈부심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그물코는 거칠어지면 전자파 차폐 성능이 저하하며, 한편 세밀해지면 화상이 보이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그물코로서는 50 내지 300메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메시이다.
망상체의 두께로서는 20 내지 2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μm이다.
투명 기판과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없지만, 투명 기판과 망상체를 가열, 가압하여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통상의 가압 프레스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프레스 온도로서는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대략 110 내지 180℃, 프레스 압력으로서는 10 내지 50kg/cm2의 조건에서 행해진다.
또한, 통상의 가열롤에 의한 염착 접합법으로 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롤 표면 가열 온도는, 통상, 상기 프레스법에 있어서의 온도 범위와 같다.
이렇게 하여, 투명 기판의 한 면에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한 전면판, 망상체를 2매의 투명 기판으로 끼워 적층 일체화한 전면판이 얻어진다.
투명 기판과 망상체를 일체화할 때에는, 전자파 차폐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망상체의 열화라든지, 그물코의 넓어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 기판과 망상체의 사이에, 연질 투명 열가소성 필름을 끼워서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 투명 열가소성 필름으로서는 고투명 저연화점 수지필름이 사용되고, 아크릴 필름, 염화비닐 필름 등이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필름의 연화점으로서는 JIS K7206에 의해 측정한 비컷연화점이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필름의 두께로서는 10 내지 2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μm이다.
투명 기판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를 일체 적층화한 전면판의 쪽이, 투명 기판에 전도성 필름을 적층한 전면판보다 높은 전자파 차폐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면판의 표면은, 사용 시에 사람의 손에 닿는 경우가 많고, 또한 먼지 등의 부착이라든지 그 청소 등으로 인해 흠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시켜서, 그 표면의 경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으로서는, 이 용도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으로 좋다.
예를 들면, 다관능성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여 중합 경화시킴에 따라 얻어지는 경화막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중합성 화합물을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화 에너지선에 의해서 중합 경화시킨 층; 및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의 가교성 수지 원료를 열에 의해서 가교 경화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이라든지 취급의 용이성의 점에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 원료를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서 경화시킨 층, 실리콘계의 수지 원료를 열에 의해서 경화시킨 층이 우수하다.
또한 해당 하드 코트층에 표면의 광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킬 목적으로, 하드 코트 원료액 속에 무기 화합물 입자를 첨가해도 된다.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주석,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등의 무기산화물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원료를 통상의 코팅 작업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즉 스핀 도장법, 침지 도장법, 롤 코트 도장법, 그라비아코드 도장법, 카텐플로 도장법, 바코트 도장법 등으로 도포한다. 계속해서 사용한 원료에 따른 방법에 의해 경화시킨다.
이 때, 도막을 밀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또는 도막의 막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서 하드 코트 원료액을 여러가지의 용제로 희석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지만, 1 내지 20μm가 바람직하다. 1μm 이하이면 빛의 간섭모양이 나타나서,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20μm 이상이 되면 도막에 금이 들어 가는 등, 막의 강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은, 주위의 경치 등의 비침을 방지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사 방지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기판의 표면에 직접, 또는 기판 표면의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부여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플루오르화마그네슘, 산화규소 등의 저굴절율 물질과 산화티타늄, 산화탄탈, 산화석, 산화인듐,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등의 고굴절율 물질을 조합한 다층 반사 방지막, 또는 저굴절율 물질을 주로 하는 단층 반사 방지막 및 그 밀착성, 경도 개량을 위해 접착층, 표면 개질층을 형성시킨 것 등이 생각되지만, 가공의 용이함, 반사 방지 성능 등으로부터 플루오르화 마그네슘을 저굴절율층으로 하는 반사 방지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반사 방지층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화면측에서 사용되는 경우, 화면으로부터의 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대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산화알루미늄, 플루오르화마그네슘, 산화규소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도포, 진공증착법, 이온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은 주위의 경치의 비침을 억제하고, 화면의 시인성을 높이는 한편, 손떼, 지문, 화장료 등의 부착에 의한 더러움의 부착을 방지하며, 또한 부착된 더러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반사 방지층의 위에 오염 방지층을 형성시켜도 좋다. 오염 방지층으로서는 공지의 것으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평3-2656801호 공보, 일본 특허평6-2933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평6-256756호 공보, 또는 일본 공개특허평1-294709호 공보에 기재된 플루오르, 실록산 함유 화합물로 형성되는 오염 방지층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오염 방지층은 투명 기판 표면 또는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한 전면판에 직접 형성하더라도 상관없으며, 그러한 층이 형성된 시트 또는 필름을 적층 또는 접합해도 좋다.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오염 방지층은 전면판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전면판 양면 또는 한면에 필요에 따라서 형성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컨트래스트 향상을 위해, 그 전광선 투과율(JIS K7105에 따라서 측정)이 30%이상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투명 기판을 염료, 안료 등으로 착색하거나,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의 종류를 바꾸거나, 다층화함에 의해서 전광선 투과율을 75%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장착함에 의하여, 충분히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면판은, 근적외선 흡수능, 반사 방지성, 내찰상성, 오염 방지성을 부가한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평가는 하기 방법으로 행하였다.
(1) 광선 투과율:
얻어진 샘플의 450 내지 1000nm의 범위의 분광 투과율을 히타치제작소제 자기 분광 광도계 330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시인성: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얻어진 전면판을 설치하여 투시하고, 설치전의 화상의 색, 윤곽과의 차를 확인하였다.
(3) 전자파 차폐 성능:
실드 재료 평가 시스템 R2547형(주식회사어드밴티스트제)을 사용 평가하였다.
각 주파수에서의 차폐성을 하기의 수학식 1로 평가하였다.
전자 차폐성(dB)=20×Log10(X0/X)
(식중, X0은 샘플을 넣지 않는 경우의 전자파 강도, X는 샘플을 넣은 경우의 전자파 강도를 나타낸다.)
전자파 차폐성이 전혀 없는 경우, 이 값은 0dB가 되며, 차폐성이 좋아질수록 큰 값을 나타낸다.
(4) 리모트 컨트롤 시험:
가정용 TV의 리모트 컨트롤 수광부의 앞에 얻어진 전면판을 설치하여, 3m 떨어진 장소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리모트 컨트롤 신호(신호파장 950nm)를 보내어, 반응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발생하는 것보다 미약하기 때문에, 이 시험에서 반응하지 않으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근적외선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장해 방지가 가능하다.
실시예 1
투명 기판으로서, 시판되는 두께 3mm의 아크릴판(스미또모화학공업(주)제 스미펙스000)을 사용하였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1), 크기 620×420mm, 두께60μm, 그물코가 135메시의 필라멘트 표면이 동도금된 폴리에스테르 사직물((주) 세이렌제)(2), 및 크기600×400mm, 두께20μm의 연질 아크릴 필름(상품명 산쥬렌 SD003: 종연화학공업(주)제)(3)을 배치하고, 또한 이들 상하에 크기700× 700mm, 두께3mm의, 투명 기판과 접하는 측이 경면 완성된 스테인리스제의 덧댐판을 대고, 이 상태 그대로, 이들을 50t 유압프레스기에 장전하고, 프레스 온도150℃, 프레스 압력40kg/cm2으로 10분간 가열, 가압하여 적층 일체화를 행하였다. 냉각 후 스테인리스제의 덧댐판을 빼고, 휘어짐이라든지 크랙이 없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얻었다.
광선 투과율을 표 1에, 전자파 차폐성능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드 코트 처리한 폴리에틸렌텔레브탈레이트(PET) 필름(두께188μm: 도우요우보우세이)에 진공 증착에 의해, 산화알루미늄, 플루오르화마그네슘, 산화규소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반사 방지층을 형성시켰다.
또한 하드 코트 처리하고 있지 않는 PET 필름(두께188μm: 도우요우보우세이)에도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층을 형성시켰다.
하기의 화학식 2에서 나타나는 함유 플루오르실란 화합물(다이킨공업(주)제, 평균 분자량이 약 5000, 비닐토리크롤실란 단위의 평균 중합도가 2)을 테트라데카플루오로헥산으로 희석한 0.1중량% 용액을 조정하여 오염 방지 처리액으로 하였다.
C3F7·(OCF2CF2CF2)24·O(CF2)2·[CH2CH·Si·(OCH3)3]1·10-H
상기에서 제작한 하드 코트 처리한 PET 필름의 반사 방지층을 형성시킨 면의 반대측에 마스크 필름을 장착한 후, 해당 필름을 용액 속에 침지하여, 15cm/분의 속도로 끌어 올려 도포하였다. 도포 후는 실온하에서 하루 방치하여 용제를 휘산시켜서 오염 방지층을 반사 방지층의 표면에 형성시켰다. 마스크 필름은 후술하는 전면판과의 접합 시에 제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전면판의 한 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반사 방지 필름(하드 코트 처리가 없는 것)을 접합하여, 그 이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오염 방지 처리 반사 방지 필름을 접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얻었다.
이 전면판을, 오염 방지 처리 반사 방지 필름측을 외측으로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하였다.
이 전면판은, 외관도 매우 아름다우며 반사상의 비침도 극히 적었다.
이 전면판은 리모트 컨트롤 시험을 행한 결과, 반응하였다.
광선 투과율을 표 1에, 전자파 차폐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45중량%,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25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200)디메타크릴레이트3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하기의 화학식(4)에서 나타나는 인원자 함유 화합물을 10중량부 첨가하였다.
동원자 함유 화합물로서 무수안식향산동 5중량부,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5중량부를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두께3mm의 폴리염화비닐제 개스켓과 620×420×10mm 2매의 유리판으로 형성되는 중합용 셀에 주입하며, 50℃에서 12시간, 100℃에서 2시간 가열 중합하여 크기600×400mm, 두께3mm의 판상의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투명 기판을 얻었다.
CH2=C(CH3)COO[CH2CH(CH3)O]5.5·P(O)(OH)2
상기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투명 기판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얻었다.
이 전면판을, 오염 방지 처리 반사 방지 필름측을 외측으로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하였다.
이 전면판은 투과색이 연한 하늘색으로, 외관도 매우 아름다우며 반사상의 비침도 극히 적었다.
또한 이 전면판은 리모트 컨트롤 시험에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이 전면판의 광선 투과율을 표 1에, 전자파 차폐 성능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와 적층 일체화되지 않고, 근적외선 흡수능을 가지는 투명 기판에 반사 방지필름을 접합한 점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에 리모트 컨트롤 시험을 행한 결과, 반응하지 않았다.
광선 투과율을 표 1에, 전자파 차폐 성능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투명 기판으로서, 시판되는 두께3mm의 아크릴판(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스미펙스000)을 사용하였다.
Ag와 InOx를 교대로 다층 적층한 전도성 필름(사우스웰사제의 XIR 필름)을 투명 기판의 한 면에 접합하여 전면판을 제작하였다.
광선 투과율을 표 1에, 전자파 차폐 성능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도전성 필름을 투명 기판의 양면에 접합한 것 이외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전면판을 제작하였다.
광선 투과율을 표 1에, 전자파 차폐 성능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파장(nm) 광선 투과율(%)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3004005006007008009001000 049535354545353 046545555545252 047706840.20.82 0828878225611 04779785926115 0406863381031
파장(Mhz) 전자파 차폐성능(dB)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30507090 63646563 63676664 55535045 0000 53464240 62565250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장착함에 의하여, 충분히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면판은, 근적외선 흡수능, 반사 방지성, 내찰상성, 오염 방지성을 부가한 것으로도 할 수 있다.

Claims (14)

  1. 투명 기판에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를 적층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파장450nm에서 650nm에서의 평균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이,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4.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파장450nm에서 650nm의 범위에서의 평균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또한 파장800nm에서 1000nm의 범위에서의 평균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이,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단량체, 인원자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 및 동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인원자 함유 단량체가 다음의 화학식 1
    [CH2=C(X)COO(Y)m]3·n·P(O×OH)n
    (식중, n은 1 또는 2, X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Y는 탄소수2 내지 4의 옥시알킬렌기, Y가 탄소수2의 옥시알킬렌기인 경우, m은 평균으로 8 내지 20, Y가 탄소수3의 옥시알킬렌기인 경우, m은 평균으로 5 내지 20, Y가 탄소수4의 옥시알킬렌기인 경우, m은 평균으로 4 내지 20이다)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7. 제 1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가, 필라멘트 표면을 동 또는 니켈을 도금한 폴리에스테르 사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8.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과 합성 섬유 망상체를 가열, 가압하여 적층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9.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과 합성 섬유 망상체의 사이에 연질 투명 열가소성 필름을 끼워 적층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의 그물코가 50 내지 300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 표면이 금속화된 합성 섬유 망상체의 두께가 20 내지 25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면판.
  13.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에 반사 방지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면판.
  14.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에 오염 방지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019970073116A 1996-12-26 1997-12-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9980064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893496 1996-12-26
JP96-348934 1996-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59A true KR19980064559A (ko) 1998-10-07

Family

ID=1840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116A KR19980064559A (ko) 1996-12-26 1997-12-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08581A (ko)
EP (1) EP0851452B1 (ko)
KR (1) KR19980064559A (ko)
CA (1) CA2225593A1 (ko)
DE (1) DE69721468T2 (ko)
TW (1) TW3588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8927A4 (en) * 1996-03-15 2007-04-18 Hitachi Ltd DISPLAY DEVICE AND WORKING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6078139A (en) * 1997-06-19 2000-06-2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Front panel for plasma display
CN1143258C (zh) * 1997-10-02 2004-03-24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阻燃壳的显示器
EP1149405A1 (de) 1999-01-11 2001-10-31 Schott Glas Flächenstrahler
US6469440B1 (en) * 1999-05-28 2002-10-22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and panel laminated plate
KR100416083B1 (ko) * 1999-11-02 2004-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
US6236426B1 (en) * 2000-01-25 2001-05-22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laser marking indicia on a photosensitive web
US7214282B2 (en) 2001-05-16 2007-05-08 Bridgest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US7624037B2 (en) 2001-10-31 2009-11-24 Ncqa Economic model for measuring the cost and value of a particular health insurance plan
JP2003168887A (ja) * 2001-11-30 2003-06-13 Asahi Glass Co Ltd 電磁波遮蔽用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7405872B2 (en) * 2003-05-28 2008-07-29 Astic Signals Defen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s
DE10236959B4 (de) * 2002-08-13 2004-10-07 Leonhard Kurz Gmbh & Co. Kg Mehrschichtfolie für den Bau von Skiern
JP2005221897A (ja) * 2004-02-06 2005-08-18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US7910022B2 (en) 2006-09-15 2011-03-22 Performance Indicator, Llc Phosphorescent compositions for identification
WO2006069028A2 (en) 2004-12-20 2006-06-29 Performance Indicator L.L.C. High-intensity, persistent photoluminescent formulations and objects, and methods for creating the same
US7547894B2 (en) 2006-09-15 2009-06-16 Performance Indicator, L.L.C. Phosphoresc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using the same
US8039193B2 (en) 2007-09-13 2011-10-18 Performance Indicator Llc Tissue markings and methods for reversibly marking tissue employing the same
US7842128B2 (en) 2007-09-13 2010-11-30 Performance Indicatior LLC Tissue marking compositions
JP5409094B2 (ja) * 2008-07-17 2014-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曲面状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車両灯具用前面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6215A (en) * 1978-07-27 1981-10-20 Ici Americas Inc. Method to thicken dissolved thermoset resins
DE3545790C2 (de) * 1984-12-24 2001-04-12 Fukuvi Chem Ind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ransparenten Abschirmmaterials gegen elektromagnetische Wellen.
JPS6251140A (ja) * 1985-08-29 1987-03-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デイスプレイフイルタ
EP0247599B1 (en) * 1986-05-29 1993-08-0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nti-reflection plate for display device
JP2771855B2 (ja) * 1989-08-09 1998-07-02 筒中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電磁波シールド用積層板
DE69314580T2 (de) * 1992-08-20 1998-02-19 Kureha Chemical Ind Co Ltd Optischer Filter
US5466755A (en) * 1992-08-20 1995-11-14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Optical filter
JP2842082B2 (ja) * 1992-09-14 1998-1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精密鋳造用消失模型
JPH0784123A (ja) * 1993-09-13 1995-03-31 Kureha Chem Ind Co Ltd 光学フィルター
JPH0855581A (ja) * 1994-08-10 1996-02-27 Fujitsu General Ltd カラー表示用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5593A1 (en) 1998-06-26
DE69721468T2 (de) 2004-02-26
EP0851452B1 (en) 2003-05-02
EP0851452A2 (en) 1998-07-01
TW358895B (en) 1999-05-21
DE69721468D1 (de) 2003-06-05
US6008581A (en) 1999-12-28
EP0851452A3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55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WO1998045828A1 (fr) Panneau anterieur destine a un ecran a plasma
TW535495B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material,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521123B2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touch panel having this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this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US5961893A (en) Plasma display front panel
KR20040034544A (ko) 박형,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폐성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7219A (ko) 투광성 전자파 차단판의 내면에 전극부를 형성하는 방법,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광성 전자파 차단판
JP2000167969A (ja) 透明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WO2007123138A1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US20040160186A1 (en) Plasma display panel filter
JPH1110319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およびこれを配置してな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US6078139A (en) Front panel for plasma display
JPH10212373A (ja) ディスプレイ前面板
JPH1148411A (ja) 前面板
JP349399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前面板
JP2003307615A (ja) 透明樹脂を基材とする光学フィルター
JPH10282335A (ja) 近赤外線吸収積層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前面板
JPH1022314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JPH10153964A (ja) ディスプレイ前面板
JP4175424B2 (ja) 電磁波シールド性と透明性、非視認性および反り特性の良好な電磁波シールド材料及び該電磁波シールド材料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2000137442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
JP3707263B2 (ja) 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JP4089004B2 (ja) 近赤外線遮蔽性減反射材、製造方法および用途
WO2008032813A1 (fr) Filtre d'affichage plasma
JPH1018612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