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606A -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606A
KR19980063606A KR1019970062673A KR19970062673A KR19980063606A KR 19980063606 A KR19980063606 A KR 19980063606A KR 1019970062673 A KR1019970062673 A KR 1019970062673A KR 19970062673 A KR19970062673 A KR 19970062673A KR 19980063606 A KR19980063606 A KR 1998006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ectifying plate
disposed
hor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786B1 (ko
Inventor
히토시 스즈키
유지 츠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10Ventilation or air guiding devices forming part of fai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5/00Fuel tank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저항이 적은 아이싱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20)과, 그 상측에 배설된 연료탱크(34)와, 엔진의 실린더부(61) 후방에 배설된 기화기(21)를 구비한 자동2륜차 등에 있어서, 실린더부(61) 상부와 연료탱크 저부(60) 사이에 형성된 엔진상측공간(62)의 프론트부를 폐색하는 위치에 스티프너 플레이트(65)와 정류판(66)을 배설하고, 좌우의 다운 프레임(11) 사이에 지지시킨다. 정류판(66)은 혼(56)을 장착하는 혼스테이(67)와 공동 체결함과 동시에, 루버를 형성하여 실린더부(62)에 주행풍(W)을 정류하여 유도한다.

Description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본 발명은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7-246973호에는 엔진와 연료탱크 사이에 형성된 엔진상측공간으로 주행풍이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흡기커버를 배치함으로써, 실린더 후방에 배설되어 있는 기화기에 찬 주행풍이 직접 접촉하여 아이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경우에는 엔진 상측 공간내에 있어서 후방으로 빠져나가려로 하는 주행풍을 흡기커버가 벽이 되어 막아내기 때문에, 주행 저항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도 1 은 차체 프레임 요부의 측면도,
도 2 는 자동2륜차 전체의 좌측면도,
도 3 은 동 우측면도,
도 4 는 요부의 도 1 에 있어서의 화살표 Z방향에서 본 도면,
도 5 는 도 4 의 5-5선을 따른 확대단면도,
도 6 은 도 1 의 화살표 Z방향에서 본 스티프너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정류판의 정면도,
도 8 은 그 측면도,
도 9 은 그 저면도,
도 10은 도 2 의 10-10선을 따른 개략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프레임11:다운 프레임
20:엔진21:기화기
34:연료탱크56:혼
57:프론트 사이드 커버62:엔진 상측 공간
65:스티프너 플레이트66:정류판
67:혼 스테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관한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 엔진과, 그 상측에 배설된 연료탱크와, 엔진의 실린더부 후방에 배설된 기화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엔진과 연료탱크 사이에 차체의 프론트부로부터 기화기 방향으로 뻗은 엔진상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상측공간의 프론트부에 루버를 형성한 정류판을 배설하고, 이 정류판에 의해 주행풍을 엔진의 전면쪽으로 유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류판을 엔진 전방에 배설된 혼과 함께 차체 프레임쪽에 공동 체결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정류판을 엔진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설된 다운프레임에 임시고정수단에 의해 임시고정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혼을 공동체결하는 경우,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혼의 차체 프레임측에 대한 장착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면에 의거해서 커스텀 바이크로 구성된 본원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차체 프론트부의 확대측면도, 도 2 는 자동2륜차 전체의 좌측면도, 도 3 은 동 우측면도, 도 4 는 요부를 도 1 의 화살표 Z방향에서 본 도면, 도 5 는 도 4 의 5-5선을 따른 확대단면도, 도 6 은 후술하는 스티프너 플레이트를 화살표 Z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정류판의 정면도, 도 8은 그 측면도, 도 9 은 그 저면도, 도 10은 도 2 의 10-10선을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동2륜차는 전륜(1)을 지지하는 프론트포크(2)의 상부가 보톰 브릿지(3) 및 톱 브릿지(4)를 통해 헤드 파이프(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톱 브릿지(4)로부터의 핸들 바(6)가 장착되고, 그 글립(7)의 위치는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5)가 전단부에 장착된 주 프레임(10)은 차체 중심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으며, 헤드 파이프(5)의 하부 좌우로부터는 다운 프레임(11)이 좌우 한쌍이 대각선 하측으로 뻗고, 그 하단부는 대체로 수평하게 전후방향으로 뻗은 로어 프레임(12)에 연속되어 있다.
주 프레임(10)의 후단부로부터는 좌우 한쌍의 피벗 프레임(13)이 다운 프레임(11)과 측면에서 보다 대체로 평행하게 하측으로 뻗으며, 그 하단부는 로어 프레임(12)의 후단부로부터 대각선 상측이나 후방으로 연속해서 뻗은 리어 스테이(14)의 하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 주 프레임(10)의 후단부로부터는 좌우 한쌍의 시트레일(15)이 대체로 수평하게 후방으로 뻗으며, 그 후부는 리어 스테이(14)이 상부와 접속되어 있다.
리어스테이(14)는 시트레일(15)과의 접속부 근방에서 굴곡되어 대체로 수평하게 후방으로 뻗으며, 그 외측면은 장착부(17)에서 장착된 글러브 레일(16)로 덮이고, 후단부에 그 연장방향 후방으로 뻗은 좌우 한쌍의 서브 프레임(18)에 접속됨과 동시에, 리어윙커(19)가 지지되어 있다.
주 프레임(10), 다운 프레임(11), 로어 프레임(12), 피벗 프레임(13), 시트레일(15) 및 리어스테이(14)는 차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중 차체 프론트측이 되는 주 프레임(10), 다운 프레임(11), 로어 프레임(12) 및 시트레일(15)에 의해 크레이들형의 프레임구조를 이루고, 여기에 엔진(20)이 지지되어 있다.
엔진(20)은 기화기(21)를 통해 사이드커버(22)내의 에어 클리너로부터 흡기되고, 배기관(23), 머플러(24)로부터 배기된다.
부호 25는 크랭크 케이스, 26은 셀모터이며, 드라이브 기어(27)로부터 체인(28)을 통해 후륜(29)과 동축의 스프로킷(30)이 구동된다.
후륜(29)는 리어아암(31)의 후단부에 지지되고, 리어아암(31)은 전단부를 피벗 프레임(13)이 중간부에 배설된 피벗부(32)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리어아암(31)의 후부와 리어스테이(14)의 상부 사이에 완충기(33)가 장착되어 있다.
주 프레임(10)상에는 연료탱크(34)가 지지되고, 그 상부면 프론트부에는 각종 인디케이터나 미터류의 표시부(35)가 배설되고, 연료탱크(34)의 후방에는 시트레일(15)상에 운전자용 시트(36)가 지지되어 있다.
운전자용 시트(36)의 후방에는 동승자용 시트(37)가 리어카울(38)상에 지지되고, 동승장용 시트(37)의 후부에는 의자 등(39)이 배설되고, 그 의자 등 지지부재(40)의 하단부는 글러브 레일(16)에 지지되어 있다.
리어카울(38)의 하부에는 리어펜더(41)가 장착되고, 그 후단부에는 테일라이트(42), 맵 가드(43)가 장착되고, 서브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부호 45는 프론트 스텝, 46은 브레이크 페달, 47은 시프트 페달이며, 이것들은 엔진(20)의 하부 전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운전자가 발을 전방으로 뻗은 커스텀 바이크풍의 승차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호 48은 사이드 스탠드, 49는 리어 스텝이다. 또, 50은 경합금등으로 이루어진 휠, 51은 브레이크 디스크, 52는 브레이크 캘리퍼, 53은 프론트 펜더, 54는 헤드라이트, 55는 프론트 윙커, 56은 혼, 57은 엔진(20)의 실린더 상부를 측방에서 덮는 프론트 사이드 커버이다.
헤드파이프(5), 주 프레임(10) 및 다운프레임(11)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좌우는 측면 거싯 플레이트(58)로 덮이고, 그 후부는 연료탱크(34) 및 프론트 사이드 커버(57)의 각 프론트부 내측에 중첩되어 있다. 부호 59는 보강파이프이다.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34)의 저부(60)와 엔진(20)의 실린더부(61) 사이에는 엔진상측공간(62)이 형성되고, 이 엔진상측공간(62)내는 격벽판(63)에 의해 앞뒤로 분단되어 있다.
엔진상측공간(62)은 다운프레임(11) 근방의 프론트부로부터 실린더부(61)의 후방에 위치하는 기화기(21) 주위까지 전후방향으로 길에 뻗은 공간이다.
또, 엔진상측공간(62)의 좌우는 연료탱크(34)의 좌우 양측 하부, 프론트 사이드 커버(57) 및 측면 거싯 플레이트(58)로 덮여져 있다.
프론트 사이드 커버(57)는 실린더부(61)의 상부 좌우를 덮어서 상측으로 뻗으며, 그 상단이 연료탱크(34)의 좌우 양측 하부에 닿아 있다.
다음에, 엔진(20) 전방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구조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5)의 하부로부터 좌우 한쌍의 다운 프레임(11)이 하측으로 뻗어 있다.
이 좌우의 다운 프레임(11) 사이는 위에서 스티프너 플레이트(65) 및 정류판(66)으로 덮여져 있다. 또, 이들에 의해 덮여진 부분은 엔진상측공간(62)의 프론트부에 상당한다.
또, 정류판(66) 상부의 스티프너 플레이트(65)의 하부에 대한 장착부는 혼(56)을 하단부에 장착한 혼 스테이(67)의 상단부와, 단이 형성된 볼트(68) 및 너트(69)(도 5)로 공동체결되어 있다.
스티프너 플레이트(65)는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판의 프레스성형 등에의해 얻어지는 대체로 삼각형상의 부재로서, 그 하단(70) 근방의 좌우대칭위치에 단이 형성된 볼트(68)의 소경부(小俓部)가 지나는 통과구멍(71)과 위치결정돌기(72)가 형성되고, 통과구멍(71)에는 너트(69)가 용접되어 있다.
스티프너 플레이트(65a) 좌우의 측면가장자리부(73)는 다운프레임(11)의 외주에 닿아 용접되고, 상단부(74)는 헤드 파이프(5)의 하부 외주에 용접되어 있다. 부호(75)는 핸들 록크용 록크 플레이트이다.
또,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프너 플레이트(65)는 헤드 파이프(5) 및 다운프레임(11)에 장착한 상태가 상단부쪽을 앞쪽으로 기울인 경사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에 의해 주행풍(W)을 대각선 하측으로 유도하는 정류부재 및 도풍부재의 일종으로 기능하고 있다.
정류판(66)은 수지제 부재로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상측공간(62)의 프론트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그 하부는 전방 또는 후방 투영시에 실린더부(61)의 상부와 일부가 중첩될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다.
정류판(66)의 상단부(80)에는 보스(81)가 배설되고, 여기에 단이 형성된 볼트(68)의 대경부(大俓部)가 지나는 통과구멍(82)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다수단에 루버(83)가 형성되어 있다.
최상단의 루버(83)에는 좌우 양측 단부(86)로부터 중앙쪽에 잘라 끼워진 슬릿(84)이 형성되고, 상단부를 정류판(66)의 내측에서 공동체결되어 있는 혼 스테이지(67)의 하부가 슬릿(84)으로부터 정류판(66)의 외측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각 단의 루버(83)는 각각 소정 간격의 슬릿폭(85)을 이루도록 평행하며, 또 주행풍(W)을 실린더부(61)를 중심으로 하는 엔진(20)의 전면쪽으로 유도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쳐져서 경사져 있다.
또, 정류판(66)의 좌우 양측 단부(86)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프론트측 클릭(87)과 리어측 클릭(88)이 번갈아가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프론트부 클릭(87)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 프레임(11)의 외주 대체로 1/4 정도에 상당하는 곡률과 길이의 원호형상을 이루며, 전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리어측 클릭(88)은 후방으로 만족되어 있는 점은 상위하지만 같은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프론트측 클릭(87)과 리어측 클릭(88)을 탄성변형시켜서 양쪽 클릭(87)(88) 사이에 다운 프레임(11)을 넣으면 정류판(66)을 다운 프레임(11)에 대해 임고 고정할 수 있다.
혼 (56)의 혼 스테이(67)는 밴드판 형상의 금속 또는 수지제의 부재로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으로 사용되며, 하측을 대체로 8자형으로 벌려서 장착되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는 단이 형성된 볼트(68)의 소경부가 지나는 통과구멍(76)이 형성되고, 그 근방에는 위치결정돌기(72)가 감합하는 위치결정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정류판(66)을 차체에 장착하려면, 좌우양측단부(86)의 프론트측 클릭(87)과 리어측 클릭(88)을 탄성변형시켜서 양쪽 클릭(87)(88) 사이에 다운 프레임(11)을 넣음으로써, 정류판(66)을 다운 프레임(11)에 대해 임시고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혼 스테이(67)의 상부를 슬릿(84)으로부터 정류판(66)의 내측에 넣어 각 통과구멍(71)(76)(82)을 일치시키고, 단이 형성된 볼트(68)를 끼워넣어 너트(69)에 체결함으로써, 정류판(66)과 혼 스테이(67)를 스티프너 플레이트(65)에 공동체결한다.
따라서, 정류판(66)과 혼(56)을 공통의 단이 형성된 볼트(68)로 공동체결에 의해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장착구조 및 작업이 간단해지고, 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정류판(66)을 다운 프레임(11)에 대해 임시고정하므로, 이 공동체결작업중 정류판(66)으로부터 손을 뗄 수 있으며, 양 손을 사용해서 혼 스테이(67)의 장착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도 쉬워진다.
또, 이 장착시 혼 스테이(67)의 대체로 팔자형으로 벌어진 각도는 스티프너 플레이트(65)의 위치결정돌기(72)를 위치결정구멍(77)에 감합함으로써 정확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혼(56)의 위치결정이 쉽고 정확해진다.
이렇게 해서 정류판(66)을 장착한 자동2륜차의 주행시에는, 차체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펜더(53)를 넘어 엔진(20)의 전방쪽을 향하는 주행품(W)중 스티프너 플레이트(65)를 향하는 부분은, 엔진상측공간(62)의 프론트부 상측이 스티프너 플레이트(65)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동 공간내에 들어갈 수 없으며, 이 스티프너 플레이트(65)의 경사에 의해 대각선 하측으로 유도된다.
또, 엔진상측공간(62)의 프론트부 하측을 폐색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정류판(66)을 향하는 주행풍(W) 부분은 그 루버(83)에 의해 똑같이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방향으로 바꿀 수 있어서며, 실린더부(61)를 중심으로 하는 엔진(20)의 전면쪽으로 유도되어 여기를 냉각한다.
한편, 엔진상측공간(62)의 좌우 양측은 연료탱크(34), 프론트 사이드 커버(57) 및 측면 거싯 플레이트(58)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결국 주행풍(W)은 엔진상측공간(62)내에 침입하기 힘들어진다.
만일 침입하더라도 이 엔진상측공간(62)내에 배설되어 있는 격벽판(63)에 의해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되므로, 실린더부(61)의 상측을 지나 후방의 기화기(21)에 도달하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그 결과, 기화기(21)의 아이싱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풍(W)을 스티프너 플레이트(65) 및 정류판(66)으로 정류함으로써, 주행 저항을 가능한 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 엔진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티프너 플레이트(6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엔진상측공간(62)의 프론트부 개구 면적에 따라 정류판(66)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운프레임은 좌우 1쌍이 아니라, 차체 중심을 따라 한 개로 배치되는 형식이어도 된다. 또, 자동2륜차에 한하지 않고 자동3륜차 등의 유사 차량에도 적용 가능한다.
본원 발명은 엔진상측공간의 프론트부에 정류판을 배설했으므로, 주행풍은 정류판의 루버에 유도되어 대각선 하측방향으로 바꾸어 엔진의 전면쪽을 향한다.
이 때문에, 주행풍에 의항 엔진의 냉각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주행풍이 엔진 상부를 후방으로 빠져나가서 기화기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지므로, 기화기의 아이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행풍을 정류하여 흐르게 하므로, 주행 저항을 가능한 한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정류판을 혼과 함께 차체프레임에 공동체결하면 장착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임시고정수단에 의해 정류판을 차체프레임쪽에 임시고정하면 상기 공동체결작업이 쉬워진다.
또,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혼을 차체프레임쪽에 위치결정하면 혼의 장착이 좀더 쉽고 정확해진다.

Claims (4)

  1.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 엔진과, 그 상측에 배설된 연료탱크와, 엔진의 실린더부 후방에 배설된 기화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엔진과 연료탱크 사이에 차체의 프론트부로부터 기화기 방향으로 뻗은 엔진상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상측공간의 프론트부에 루버를 형성한 정류판을 배설하고, 이 정류판에 의해 주행풍을 엔진의 전면쪽으로 유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엔진 전방에 배설된 혼과 함께 차체 프레임쪽에 공동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엔진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설된 다운프레임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의 차체 프레임쪽에 대한 장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KR1019970062673A 1996-12-20 1997-11-25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KR100247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185496A JP3770982B2 (ja) 1996-12-20 1996-12-20 自動2輪車等の車両における走行風整流装置
JP96-341854 199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06A true KR19980063606A (ko) 1998-10-07
KR100247786B1 KR100247786B1 (ko) 2000-04-01

Family

ID=1834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673A KR100247786B1 (ko) 1996-12-20 1997-11-25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02149A (ko)
JP (1) JP3770982B2 (ko)
KR (1) KR100247786B1 (ko)
CN (1) CN10851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542B2 (en) * 2002-08-20 2005-02-15 Robert J. Schoonover Motorcycle V-twin engine heat deflector
US8056613B2 (en) * 2006-03-31 2011-11-15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le including heat guard for control module
JP2008024285A (ja) * 2006-06-23 2008-02-0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US20080185121A1 (en) * 2006-08-04 2008-08-07 Clarke Allan J Horizontal, underneath motorcycle heat exchanger
JP2008162517A (ja) * 2006-12-28 2008-07-1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032142B2 (ja) * 2007-02-13 2012-09-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2008222077A (ja) * 2007-03-13 2008-09-25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該車体フレームにエンジンを搭載するための組立方法,及び該車体フレームを備えた自動二輪車
BRPI0805388B1 (pt) * 2007-12-27 2018-06-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tocicleta
US8256022B2 (en) * 2008-10-17 2012-09-04 Bigalke Jerry H Knee-mounted air deflector for motorcyclist
US8127369B2 (en) * 2008-10-17 2012-03-06 Bigalke Jerry H Knee-mounted air deflector for motorcyclist
JP5261298B2 (ja) * 2009-06-30 2013-08-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カバー取付構造
JP2012136161A (ja) * 2010-12-27 2012-07-19 Hond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US9809261B2 (en) 2013-09-04 2017-11-07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lateral structure
TWI564202B (zh) * 2014-08-29 2017-01-01 Kwang Yang Motor Co Two - wheeled loudspeaker device configuration
CN105438327B (zh) * 2014-09-11 2018-06-08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两轮车的扬声装置配置
US20190276110A1 (en) * 2014-12-29 2019-09-12 Peter Tristan Ridet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otorcycle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12170B (de) * 1958-12-23 1960-11-25 Zd Y 9 Kvetna Narodni Podnik Anordnung eines Schutzverdeckes und Brennstoffbehälters bei einspurigen Motorfahrzeugen mit offenem Rahmen
US4577720A (en) * 1982-08-10 1986-03-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cycle engine cooling system
US4557345A (en) * 1982-09-11 1985-12-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cycle engine cooling system
JPS5960022A (ja) * 1982-09-29 1984-04-0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における冷却装置
US4648474A (en) * 1982-09-29 1987-03-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cleaner system for motorcycles
JPS59105919A (ja) * 1982-12-08 1984-06-19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空冷装置
JPH0418948Y2 (ko) * 1984-12-28 1992-04-28
JPH0198093U (ko) * 1987-12-22 1989-06-29
JP3183897B2 (ja) * 1991-01-12 2001-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吸気装置
JP3403800B2 (ja) * 1994-03-09 2003-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吸気系装置
JP3508949B2 (ja) * 1994-08-31 2004-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導風構造
JP3484501B2 (ja) * 1996-03-05 2004-01-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アンダーボーン型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冷却構造
JP3750879B2 (ja) * 1996-03-19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057A (zh) 1998-07-22
KR100247786B1 (ko) 2000-04-01
JPH10181659A (ja) 1998-07-07
JP3770982B2 (ja) 2006-04-26
US6102149A (en) 2000-08-15
CN1085164C (zh)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786B1 (ko) 자동2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풍 정류장치
JP4476720B2 (ja) 自動2輪車用フェンダー構造
JP4856485B2 (ja) 自動二輪車のカウリング構造
JP2007030590A (ja) 自動二輪車
JPH1111371A (ja) 不整地走行用車両のフートボード取付け構造
US5984336A (en) Frame structure for a motorcycle
EP2562069B1 (en) Saddle-riding type automotive vehicle
JP5576308B2 (ja) 鞍乗り型車両
JP5339600B2 (ja) 自動二輪車
JP2022157831A (ja) 鞍乗り型車両
JP4221977B2 (ja) 鞍乗型車両の燃料タ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導風構造
JP7192003B2 (ja) 鞍乗り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EP2075188B1 (en) Straddle-type vehicle
EP3628577B1 (en) Saddled vehicle
EP2711277B1 (en) Frame structure for saddle-riding type automotive vehicle
JP7454532B2 (ja) 鞍乗型車両
JP4267714B2 (ja) 自動2輪車のメーター取付構造
JP2019182306A (ja) 鞍乗り型車両
JPH04221285A (ja) 自動二輪車等の車両におけるリヤフェンダの取付け構造
JP3755618B2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カバー構造
JP3753163B2 (ja) リヤフェンダ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20080105983A (ko)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JPH08253186A (ja) 自動二輪車の冷却風排風構造
JPS5889422A (ja) 自動二輪車の冷却装置
JPH1111170A (ja) 不整地走行用車両のベルト室冷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