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515U - 휠 하우징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휠 하우징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515U
KR19980061515U KR2019970005757U KR19970005757U KR19980061515U KR 19980061515 U KR19980061515 U KR 19980061515U KR 2019970005757 U KR2019970005757 U KR 2019970005757U KR 19970005757 U KR19970005757 U KR 19970005757U KR 19980061515 U KR19980061515 U KR 19980061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ing
flange
floor panel
joined
reinforc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5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515U/ko
Publication of KR19980061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515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 하우징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보강재를 장착하여 휠 하우징부의 강성을 높인 휠 하우징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휠 하우징 보강 구조는 차량의 타이어를 감싸는 휠 하우징(30)과, 상기 휠 하우징(30)의 하단부에 일단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5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1)의 플랜지(57)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40)과, 상기 휠 하우징(30)에 접합되고, 플로어 패널(40)의 플랜지(47)에 접합되는 보강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휠 하우징 보강 구조는 플로어 패널에 전달되는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또한 휠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 하우징 보강 구조( REINFORCEMENT STRUCTURE FOR WHEEL HOUSING )
본 고안은 휠 하우징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휠 하우징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보강재를 장착하여 휠 하우징부의 강성을 높인 휠 하우징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휠 하우징부는 차량의 타이어를 감싸는 휠 하우징(1)과, 상기 휠 하우징(1)에 일단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3)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의 상부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2)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 패널(2)은 차량 실내의 밑바닥이 되는 수평부(8)와, 상기 수평부(8)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7)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은 휠 하우징(1)과접합되는 외부 수직부(11)와, 상기 외부 수직부(11)에서 굴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와, 상기 수평부(12)에 굴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부 수직부(13)와, 상기 내부 수직부(13)의 일단에 굴곡되며, 플로어 패널(2)에 접합되는 플랜지(1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플로어 패널(2)이 승객 및 물체에 의한 하중을 받으면 상기 플로어 패널(2)의 플랜지(7)와 사이드 프레임(3)의 플랜지(17)에서 하중을 받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휠 하우징부는 플로어 패널(2)에서 받는 하중이 클 때, 상기 플로어 패널(2)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플로어 패널(2)의 플랜지(7)와 사이드 프레임(3)의 플랜지(17)에서 지탱하기엔 무리가 생기며, 특히 상기 플로어 패널(2)의 플랜지(7)가 큰 하중을 지탱하는데 무리가 생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휠 하우징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보강재를 장착하여 구조의 강성을 높인 휠 하우징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휠 하우징 보강 구조의 일예로서, 차량의 타이어를 감싸는 휠 하우징과, 상기 휠 하우징의 하단부에 일단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플랜지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과, 상기 휠 하우징에 접합되고, 플로어 패널의 플랜지에 접합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휠 하우징부는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갖출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휠 하우징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 하우징 보강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 휠 하우징 2, 40 : 플로어 패널
3, 50 : 사이드 프레임 20 : 보강재
21 : 상부 경사부 23 : 하부 경사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휠 하우징 보강 구조는 차량의 타이어를 감싸는 휠 하우징(30)과, 상기 휠 하우징(30)의 하단부에 일단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5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1)의 플랜지(57)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40)과, 상기 휠 하우징(30)에 접합되고, 플로어 패널(40)의 플랜지(47)에 접합되는 보강재(20)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재(20)는 휠 하우징(30)의 중단부에 접합되는 상부 플랜지(25)와, 상기 상부 플랜지(25)에 굴곡되는 상부 경사부(21)와, 상기 상부 경사부(21)에 굴곡되는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에서 연장되어 경사지는 하부 경사부(23)와, 상기 하부 경사부(23)에 연장되어 굴곡되는 하부 플랜지(24)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 패널(40)은 차량 실내의 밑바닥이 되는 수평부(48)와, 상기 수평부(48)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7)와, 상기 플랜지(47)의 중간에 경사지는 경사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0)은 휠 하우징(30)과 접합되는 외측 수직부(51)와, 상기 외측 수직부(51)에서 굴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3)와, 상기 수평부(53)에 굴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부(55)와, 상기 내측 수직부(55)에 굴곡되며, 플로어 패널(40)에 접합되는 플랜지(5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 하우징 보강 구조는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휠 하우징(30)의 하단부에 사이드 프레임(50)의 외측 수직부(51)의 일단이 접합되고, 상기 외측 수직부(51)의 내측의 일단에 플로어 패널(40)의 플랜지(47)가 접합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50)의 플랜지(57)에 플로어 패널(40)의 수평부(48)의 일단이 접합된다.
보강재(20)의 상부 플랜지(25)가 휠 하우징(30)의 상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보강재(20)의 하부 경사부(23), 하부 플랜지(24) 그리고 수직부(22)의 일단이 플로어 패널(40)의 플랜지(47)의 일단에 접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40)의 플랜지(47)에 형성된 경사부(43)와 상기 보강재(20)의 하부 경사부(23)가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휠 하우징 보강 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플로어 패널(40)에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기 플로어 패널(40)에 접합된 보강재(20)의 수직부(22), 하부 경사부(23) 그리고 하부 플랜지(24)가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수직력을 지탱한다.
상기 하중의 수직력에 의해 휠 하우징(30)에 발생하는 수평력을 상기 휠 하우징(30)에 접합된 보강재(20)의 상부 플랜지(20)가 지탱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20)의 상부 경사부(21)에서 탄성을 가지고 휠 하우징(30)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 하우징 보강 구조는 플로어 패널에 전달되는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또한 휠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휠 하우징 보강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타이어를 감싸는 휠 하우징(30)과, 상기 휠 하우징(30)의 하단부에 일단이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5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1)의 플랜지(57)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40)과, 상기 휠 하우징(30)에 접합되고, 플로어 패널(40)의 플랜지(47)에 접합되는 보강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휠 하우징 보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는 휠 하우징(30)의 중단부에 접합되는 상부 플랜지(25)와, 상기 상부 플랜지(25)에 굴곡되는 상부 경사부(21)와, 상기 상부 경사부(21)에 굴곡되는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에서 연장되어 경사지는 하부 경사부(23)와, 상기 하부 경사부(23)에 연장되어 굴곡되는 하부 플랜지(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하우징 보강 구조.
KR2019970005757U 1997-03-26 1997-03-26 휠 하우징 보강 구조 KR199800615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57U KR19980061515U (ko) 1997-03-26 1997-03-26 휠 하우징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57U KR19980061515U (ko) 1997-03-26 1997-03-26 휠 하우징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515U true KR19980061515U (ko) 1998-11-05

Family

ID=6968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757U KR19980061515U (ko) 1997-03-26 1997-03-26 휠 하우징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5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1515U (ko) 휠 하우징 보강 구조
JP200511217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0151080Y1 (ko) 임팩트 바아 보강장치
KR19980061526U (ko) 팬하드 브라켓
KR100302022B1 (ko) 자동차의펜더쉴드보강구조
KR19980061523U (ko) 리어 휀더 및 리어 덱 보강 구조
KR19980057773A (ko) 차량용 카울부의 접합구조
JPH1035541A (ja) 車両のラゲッジルーム構造
KR19990006836U (ko) 버스의 타이어 하우징 보강구조
KR100435886B1 (ko) 승용차의 바디마운팅부 차체구조
KR200158328Y1 (ko) 자동차 리어바디 보강구조
KR20010005056A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KR200144230Y1 (ko) 자동차의 중심패널 보강구조
KR19980061525U (ko) 측면 충돌 보강 구조
KR200330879Y1 (ko) 철도차량용 내장판의 취부구조_
KR19980012942U (ko) 차량의 휠 케리어 써포트 보강구조
KR19990034556A (ko) 자동차의 리어 토우 아이 리인포스먼트
KR19980061519U (ko) 리인포싱 스프링 브라켓 장착구조
JPH04113281U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9980061521U (ko)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KR19980055363A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48948U (ko) 차량용 리어 도어 보강 구조
KR19980019885A (ko) 플로어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9980028321A (ko) 자동차의 프레임 설치구조
KR970041364A (ko) 프론트 바디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