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521U -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521U
KR19980061521U KR2019970005763U KR19970005763U KR19980061521U KR 19980061521 U KR19980061521 U KR 19980061521U KR 2019970005763 U KR2019970005763 U KR 2019970005763U KR 19970005763 U KR19970005763 U KR 19970005763U KR 19980061521 U KR19980061521 U KR 19980061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pring
bracket
cross member
wheel housing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5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521U/ko
Publication of KR19980061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521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현가 시스템에 있어서, 완충 작용을 하는 현가 스프링이 휠 하우징과 크로스 멤버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는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는 크로스 멤버(5)와 휠 하우징(1) 사이의 플로어 패널(3) 하면에 브라켓(11)이 접합되며, 상기 브라켓(11)과 양쪽 리어 휠을 연결하는 리어 차축(10) 사이에 현가 스프링(9)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휠 하우징과 크로스 멤버 사이의 공간에 현가 스프링을 장착되므로서, 차고를 낮출 수 있고, 브라켓에 의해 측면 충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STRUCTURE FOR SECURING SUSPENSION SPRING)
본 고안은 리어 현가 시스템에 있어서, 완충 작용을 하는 현가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휠 하우징과 크로스 멤버 사이의 공간에 현가 스프링이 장착되는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는 휠 하우징(1)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3) 하면에 크로스 멤버(5)가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5) 하면에 브라켓(7)이 접합되며, 상기 브라켓(7)과 양쪽 리어 휠을 연결하는 리어 차축(10) 사이에 현가 스프링(9)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는 플로어 패널과 리어 차축 사이의 거리(D)가 길어 차고가 높아지며, 측면 충돌 성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휠 하우징과 크로스 멤버 사이의 공간에 현가 스프링을 장착하므로서, 차고를 낮출 수 있는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의 일예로서, 크로스 멤버와 휠 하우징 사이의 플로어 패널 하면에 브라켓이 접합되며, 상기 브라켓과 양쪽 리어 휠을 연결하는 차축 사이에 현가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휠 하우징과 크로스 멤버 사이의 공간에 현가 스프링을 장착되므로서, 차고를 낮출 수 있고, 브라켓에 의해 측면 충돌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레저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휠 하우징 3 : 플로어 패널
5 : 크로스 멤버 7 : 브라켓
9 : 현가 스프링 10 : 리어 차축
11 : 브라켓 17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는 휠 하우징(1)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3) 하면에 크로스 멤버(5)가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5)와 휠 하우징(1) 사이의 플로어 패널(3) 하면에 브라켓(11)이 접합되며, 상기 브라켓(11)과 양쪽 리어 휠을 연결하는 리어 차축(10) 사이에 현가 스프링(9)이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11)은 플로어 패널(3)하면에 용접되는 장착부(13)와, 상기 장착부(13)에서 굴절되는 경사부(14)와, 상기 경사부(14)에서 굴절되며 크로스 멤버(5)에 용접되는 수평부(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는 현가 스프링(17)이 브라켓(11)의 장착부(13)와 리어 차축(10)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플로어 패널(3)과 리어 차축(10) 사이의 거리(L)를 단축할 수 있어, 차고를 낮출 수 있고, 브라켓(11)에 의해 측면 충돌 성능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는 휠 하우징과 크로스 멤버 사이의 공간에 현가 스프링을 장착되므로서, 차고를 낮출 수 있고, 브라켓에 의해 측면 충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크로스 멤버(5)와 휠 하우징(1) 사이의 플로어 패널(3) 하면에 브라켓(11)이 접합되며, 상기 브라켓(11)과 양쪽 리어 휠을 연결하는 리어 차축(10) 사이에 현가 스프링(9)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은 플로어 패널(3)하면에 용접되는 장착부(13)와, 상기 장착부(13)에서 굴절되는 경사부(14)와, 상기 경사부(14)에서 굴절되며 크로스 멤버(5)에 용접되는 수평부(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KR2019970005763U 1997-03-26 1997-03-26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KR199800615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63U KR19980061521U (ko) 1997-03-26 1997-03-26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63U KR19980061521U (ko) 1997-03-26 1997-03-26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521U true KR19980061521U (ko) 1998-11-05

Family

ID=6968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763U KR19980061521U (ko) 1997-03-26 1997-03-26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5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4941A (ko) 자동차 프런트 차체 프레임의 결합구조
CN100360366C (zh) 汽车的前车身构造
KR19980061521U (ko) 현가 스프링 장착 구조
CN202624375U (zh) 汽车机舱纵梁的副车架安装支架总成处强度加强结构
KR19980061526U (ko) 팬하드 브라켓
KR100439965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강성구조
KR100335198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타워 지지대
KR200211059Y1 (ko) 자동차의 로어아암구조
CN217898132U (zh) 车辆用的空气泵的安装支架和车辆
KR10051453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스
CN206826352U (zh) 压缩机支架以及新能源汽车
JPH0326056Y2 (ko)
KR100534342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구조
KR200147137Y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액슬빔 보호구
TW377323B (en) Unitary installation structure of rear shock absorber for scooters
KR200141757Y1 (ko) 스트럿 마운팅 기밀 유지 구조
KR100338151B1 (ko) 에프알 차량의 배터리 배치구조
JPH0315426Y2 (ko)
KR19980061515U (ko) 휠 하우징 보강 구조
KR200224108Y1 (ko) 프론트크로스멤버와 프론트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10065889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CN2913091Y (zh) 罐式半挂车
JPH10250336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マウントブラケット
KR100448792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의 캐리어어셈블리
KR19990006836U (ko) 버스의 타이어 하우징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