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056A -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056A
KR20010005056A KR1019990025844A KR19990025844A KR20010005056A KR 20010005056 A KR20010005056 A KR 20010005056A KR 1019990025844 A KR1019990025844 A KR 1019990025844A KR 19990025844 A KR19990025844 A KR 19990025844A KR 20010005056 A KR20010005056 A KR 2001000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floor panel
section
vehic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중
김근식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2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5056A/ko
Publication of KR2001000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솔박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된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터널(50)의 양 내측면 양쪽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터널(50)을 보강시키는 고정편(61); 상기 터널(50)의 하단면 일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고정된 절곡편(62); 상기 절곡편(62)과 상기 고정편(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터널(50)의 양 하단면과 공간부(70)를 형성하는 마감편(6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상 강도가 취약한 플로어 패널의 터널 부위에 대한 강도를 보강시키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터널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롱지튜디널의 단면의 크기를 줄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중량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UNDER BODY APPARATUS REINFORCEMENT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콘솔박스가 설치되는 언더 바디의 터널부위 양측 하단에 보강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언더 바디의 터널부위를 보강시켜 터널 부위의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더 바디(Under Body)는 자동차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써,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롱지튜디널이 구비되고, 이 롱지튜디널을 가로질러 크로스멤버가 구비되며, 이 롱지튜디널과 크로스멤버 상부에 플로어 패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플로어 패널은 전,후방 플로어 패널로 나누어지고, 전방 플로어 패널에는 중앙부에는 콘솔박스가 설치되는 터널이 형성되고, 후방 플로어 패널에는 예비 타이어가 보관된다.
이러한 종래 언더 바디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언더 바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언더 바디(100)는 크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롱지튜디널(200)과, 롱지튜디널(20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멤버(300)와, 크로스멤버(300)와 롱지튜디널(200) 상부에 설치되는 플로어 패널(400)로 이루어진다.
롱지튜디널(200)은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정면충돌에 대하여 차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크로스멤버(300)는 롱지튜디널(200) 사이에 설치되어 롱지튜디널(200)을 보강시켜 주게 된다.
플로어 패널(400)은 크로스멤버(300)와 롱지튜디널(200) 상부에 설치되고, 콘솔박스(미도시)가 설치되는 터널(410)이 형성된다.
터널(410)은 플로어 패널(400)의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변속레버 장치가 설치되는 콘솔박스가 설치 가능할 정도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터널(410)은 충돌에 대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언더 바디의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먼저 길이 방향을 유지하여 양측으로 한쌍의 롱지튜디널(200)을 설치하고, 롱지튜디널(200) 사이에 적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크로스멤버(300)를 설치하여 롱지튜디널(200)을 보강시킨 다음, 롱지튜디널(200)과 크로스멤버(300) 상부에 플로어 패널(400)을 설치하면, 언더 바디(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플로어 패널(400)에 형성된 터널(410)에는 변속레버장치가 설치되는 콘솔박스(미도시)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전방 충돌이 발생되면, 양측의 롱지튜디널(200)로 충격력이 전달되고, 이 롱지튜디널(200)의 지지력으로써 플로어 패널(40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플로어 패널(400)의 터널(410)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충격력에 대한 최소한의 변형이 이루어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언더 바디 구조는 콘솔박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는 터널 부위가 구조상 전방 충격에 대하여 취약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충격력이 양측의 롱지튜디널로 전달될 때, 터널부위가 쉽게 변형이 발생되다. 또한 롱지튜디널로써 플로어 패널의 터널부위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롱지튜디널의 단면을 크게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원가가 상승되고, 자동차의 무게가 상승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콘솔박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플로어 패널의 터널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전방 충돌에 의한 터널 부위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콘솔박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된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양 내측면 양쪽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터널을 보강시키는 고정편; 상기 터널의 하단면 일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고정된 절곡편; 및 상기 절곡편과 상기 고정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터널의 양 하단면과 공간부를 형성하는 마감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언더 바디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언더 바디 보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플로어 패널 50 : 터널
60 : 보강부재 61 : 고정편
62 : 절곡편 63 : 마감편
70 : 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언더 바디 보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언더 바디(10)는 크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롱지튜디널(20)과, 롱지튜디널(2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멤버(30)와, 크로스멤버(30)와 롱지튜디널(20) 상부에 설치되는 플로어 패널(40)로 이루어진다.
롱지튜디널(20)은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정면충돌에 대하여 차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크로스멤버(30)는 롱지튜디널(20) 사이에 설치되어 롱지튜디널(20)를 보강시켜주게 된다.
플로어 패널(40)은 크로스멤버(30)와 롱지튜디널(20) 상부에 설치되고, 콘솔박스(미도시)가 설치되는 터널(50)이 형성된다.
터널(50)은 플로어 패널(40)의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변속레버장치가 설치되는 콘솔박스가 설치 가능할 정도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터널(50)은 전방 충돌에 대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터널(50)의 양측 하단 모서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보강부재(60)가 설치되어 터널(50) 부위를 보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60)는 플로어 패널(40)의 전방으로부터 약 2/3 영역까지 터널(50) 부위를 보강시키게 된다.
보강부재(60)는 터널(50)의 양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편(61)과, 터널(50)의 양측 하단면에 고정되는 절곡편(62)과, 절곡편(62)과 고정편(61)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감편(6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강부재(60)의 고정편(61)은 절곡편(62) 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터널(50)의 양 측면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터널(50)의 양 내측면을 보강시키게 되고, 절곡편(62)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터널(50) 부위의 플로어 패널(40) 하단면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60)의 마감편(63)과 터널(50) 부위의 플로어 패널(40) 하단면과의 공간부(70)가 형성됨으로써 충격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즉, 터널(50)에 보강부재(60)의 고정편(61)과 절곡편(62)을 고정시키게 되면, 마감편(63)이 플로어 패널(40)의 하단면과 사이에 공간부(70)가 형성되어 자동차의 전방 충격에 대한 보강부재(60)의 단면계수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충격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언더 바디의 보강장치를 설명하면, 먼저 길이 방향을 유지하여 양측으로 롱지튜디널(20)을 설치하고, 롱지튜디널(20) 사이에 적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크로스멤버(30)를 설치하여 롱지튜디널(20)을 보강시킨 다음, 롱지튜디널(20)과 크로스멤버(30) 상부에 플로어 패널(40)을 설치하면, 언더 바디(1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플로어 패널(40)에 형성된 터널(50)에는 변속레버장치가 설치되는 콘솔박스(미도시)가 장착되고, 터널(50)의 양측 하단에 보강부재(60)가 연장되게 설치되어 터널(50)을 보강시키게 된다.
즉, 터널(50)의 양 내측면에는 보강부재(60)의 고정편(61)을 고정시켜 터널(50)의 양 내측을 보강시키게 되고, 터널(50) 부위의 플로어 패널(40) 양 하단면에는 보강부재(60)의 절곡편(62)을 고정시키게 되면, 보강부재(60)의 마감편(63)과 플로어 패널(40)의 양 하단면과 공간부(70)가 형성되게 보강부재(60)가 전방으로부터 약 2/3 영역까지 터널(50) 부위를 보강시키게 된다.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전방 충돌이 발생되면, 그 충격이 양측의 롱지튜디널(20)로 전달되어 롱지튜디널(20)이 변형되어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이 충격력이 플로어 패널(40)로 전달될 때, 플로어 패널(40)의 터널(50) 부위로 충격력이 전달된다. 이때, 터널(50) 부위에 보강부재(60)가 고정되어 있어 플로어 패널(50)의 터널(50) 부위의 변형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터널(50)의 양 내측면과 양 하단면에 보강부재(60)의 고정편(61)과 절곡편(62)이 고정되고, 보강부재(60)의 마감편(63)과 플로어 패널(40)의 양 하단면과 공간부(70)가 형성되어 있어 전방 충격에 대하여 터널(50) 부위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변속레버장치가 설치되는 콘솔박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는 터널의 양측 하단면에 보강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구조상 강도가 취약한 터널 부위에 대한 강도를 보강시키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터널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롱지튜디널의 단면의 크기를 줄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중량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콘솔박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된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터널(50)의 양 내측면 양쪽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터널(50)을 보강시키는 고정편(61);
    상기 터널(50)의 하단면 일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고정된 절곡편(62); 및
    상기 절곡편(62)과 상기 고정편(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터널(50)의 양 하단면과 공간부(70)를 형성하는 마감편(63);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KR1019990025844A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KR20010005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44A KR20010005056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44A KR20010005056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56A true KR20010005056A (ko) 2001-01-15

Family

ID=1959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844A KR20010005056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50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411A (ko) * 2001-05-25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센터플로어패널구조
KR100792911B1 (ko) * 2006-12-08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로워패널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411A (ko) * 2001-05-25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센터플로어패널구조
KR100792911B1 (ko) * 2006-12-08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로워패널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65473A (ja) 後車軸担体を持つ乗用自動車
KR20010063128A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재
KR20010005056A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CN112109811B (zh) 车身结构和包括该车身结构的车辆
JPH04300792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333881B1 (ko) 자동차 프레임 보강 구조
JP3211606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フレーム構造
KR200247112Y1 (ko) 자동차용 차체의 보강구조
KR100342608B1 (ko) 보강부재를 가지는 자동차 프레임
KR100340966B1 (ko) 자동차의 하부 후방 차체 프레임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10033388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KR0150168B1 (ko) 자동차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KR200156851Y1 (ko) 중형 버스용 차대 프레임
KR100310010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 보강구조
JPH0628382Y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200145038Y1 (ko) 판넬-리어 플로워의 보강재
KR970001254Y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200251526Y1 (ko) 프레임 장착 자동차용 바디 마운팅 구조
KR0134644Y1 (ko) 화물차의 리어 크로스멤버 설치구조
KR100258621B1 (ko) 리어 범퍼 취부 구조
KR19980022292U (ko) 강성이 증대된 롱지튜디널
KR19980059698A (ko) 리어사이드 프레임 강성보강구조
KR20000004272U (ko) 차량의 루프 보우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