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456A - 수평적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평적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456A
KR19980042456A KR1019970060195A KR19970060195A KR19980042456A KR 19980042456 A KR19980042456 A KR 19980042456A KR 1019970060195 A KR1019970060195 A KR 1019970060195A KR 19970060195 A KR19970060195 A KR 19970060195A KR 19980042456 A KR19980042456 A KR 1998004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elevator
vehicle
floor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커시리챠드챨스
비타죠셉
바커프레드릭에이취
포웰브루스에이
완사무엘시
살몬죤케이
베넷폴
코니안토니
Original Assignee
로버트피.헤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피.헤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피.헤이터
Publication of KR1998004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5/00Combinations of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91For elevator systems with lateral transfers of cars or cabins between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61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rack and pin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3Express or shuttle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4Transit control
    • B66B2201/305Transit control with sky lob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캡은 운송층에 등록된 홀 호출과 캡에 등록된 카 호출에 대하여, 운송층과 같은 빌딩의 여러 레벨에서, 왕복이동을 하는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환승된다. 운송체 또는 버기위에 캡의 모션에 대해 수직적인 측면 방향으로, 또는 운송체 또는 버기 위에 캡의 모션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위에 운송체 또는 버기로 부터 캡은 환승 된다. 수평적/수직적 콘트롤 및 환승은, 그 안에 등록된 카 호출 또는 홀 호출에 필요한 역활을 하도록, 빌딩의 일 레벨에 운송층과 빌딩의 다른 레벨에 운송층과의 사이에서 운송되어야 하는 캡을 운송하는 버기의 엘리베이터에 도달함에 반응하여, 또는 그안에 캡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운송층에 도달함에 반응하여 수행된다. 수평 운송은 빌딩 내에 운송층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다른 빌딩 세그먼트 사이에서 또는 다른 빌딩 사이에서 연장된다.

Description

수평적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운송체 또는 버기위에 캡에서는 수평적으로 엘리베이터에서는 수직적으로 탑승객을 이동 시키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층(100층 이상) 빌딩에서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제한된 실질적인 길이의 문제가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08/564,754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부분적으로, 승강통로를 함께 결합하고, 그들간에 엘리베이터 캡을 환승시기는 동작으로 해결되어져 있다. 또한, (빌딩의 저부에 가깝고 빌딩의 상부에 가까운) 현저하게 떨어진 분리된 층간에 있는 양쪽이 어느정도 동일한 인원수로 있는 탑승인을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엘리베이터의 수는, 엘리베이터에서의 하차 및 재탑승하는 탑승인이 탑승인의 이동보다는 정지부에서 엘리베이터 캡을 유지시키게 하는 경우에 증가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08/565,606호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캡의 오프샤프트(offshaft) 탑승 수단을 크게 확대하여 해결되어져 있다. 그런데, 로칼 엘리베이터가 포함되면(넓게 분리된 층간에 왕복운송 보다 양호한), 엘리베이터의 이동은 정지 횟수로 인해서 그리고 탑승인의 하차 및 탑승의 지연으로 인해서 서행된다. 1996년 6월 1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08/663,869호에 기재된, 로비로 부터 상당히 멀리 있는 분리된 층과 빌딩의 하부 끝에 가까운 층과의 사이에 운송 향상은, 수백명의 층간 이동이 있는 셔틀과 그들의 목적지로 운송시키는 로칼 엘리베이터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캡을 자동 환승시키어 해결되어져 있다.
실질적으로, 초고층에서 상당히 먼 수직거리로 탑승인을 이동시키는 경우에서, 수평 운송(중량 이동(mass transit and the like)과 같은)과 수직 운송(엘리베이터와 같은)과의 사이에서의 탑승인의 이동은, 탑승인이 도보로 둘레를 움직이면 탑승인의 예측할 수 없는 이동으로 인하여 운송 모드간에 인터페이스가 더욱 악화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합성된 탑승인 운송 설비와; 임의 층에 위와 아래에 탑승인을 수직 운송하는 수직 운송수단이 합성된 초 대형 빌딩에서의 상기 층에 탑승인을 수평 운송하는 수평 운송수단과; 수직 운송수단이 분리된 빌딩 또는 세그먼트에 제공된, 현저한 수평 거리로 분리된 빌딩군(diverse buildings) 또는 빌딩 세그먼트 사이에서 합성된 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탑승객 캡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과 수평 이동 버기 또는 운송체와의 사이에서 환승되어 합성된 수직 및 수평 운송을 탑승인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탑승인의 운송은 주어진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부터 다수개의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한 운송체 또는 버기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엘리베이터 캡이 이동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합성된 수평 및 수직 운송이 임의적인 일 층 레벨에 수평 이동 운송체 또는 버기로 부터 다른 층 레벨로의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셔틀 엘리베이터 샤프트중 선택된 하나로의 탑승객 캡을 환승시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탑승객 캡은 탑승객 캡에 확립된 카 호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로 부터, 선택된 정지부로 수평이동을 하기 위한 층 레벨 또는 다른 층 레벨로의 환승을 위한 다른 엘리베이터쪽으로 환승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예를든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함으로서 본원의 발명이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다수 운송층에 수평 운송부가 상호접속된 초고층 빌딩에서의 엘리베이터 셔틀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운송층을 부분 절개하여 간략하게 하여,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시스템의 운송층을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낸 상부 평면도.
도 4 는 트랙 교차부에 캡 운송체의 캐스터를 설명하는 도 3 의 운송층을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상부 평면도.
도 5 는 승강통로 내에 카 프레임으로 부터 운송체로 환승되는 과정에 엘리베이터 캡을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부분 측 입면도.
도 6 은 도 1 및 도 2 의 운송층에 차례로 결합된 운송체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캡을 부분적인 단면으로 나타낸 전방 입면도.
도 7 은 운송층에 동작을 기술한 도 8 내지 도 13 의 논리 흐름도에서 활용되는 목록과 수평 홀 호출 정지부 및 트랙 변경부를 구비하는 도 1 의 시스템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3 은 도 1 내지 도 7 의 실시예에 캡 환승을 콘트롤하는 예를든 루틴을 간략하게 나타낸 논리 흐름도.
도 14 는 도 1 및 도 2 및 도 7 과 유사하지만 단일 수평트랙을 구비한 운송층을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15 는 환승 메카니즘의 다른 형태가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객의 수평 및 수직 운송부를 활용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상부 레벨의 사시도.
도 16 은 엘리베이터 셔틀에 의해 상호접속된 레벨로, 그 위에서 이동하는 캡을 가진 다수개의 수평 레벨을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17 은 도 15 와 도 16 의 실시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과 버기와의 사이에서 환승되는 탑승객 캡을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간략하게 나타낸 측 입면도.
도 18 은 도 17 의 버기와 카 프레임 레일의 상부 평면도.
도 19 및 도 20 은 도 15 내지 도 18 의 실시예에서 환승 콘트롤에 사용될 수 있는 예를든 루틴을 간략하게 나타낸 논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27 : 운송층 57, 58 : 인터-엘리베이터 벽 구조체
70-83 : 트랙 세그먼트 87 : 실
91, 92 : 록크 93 : 캐스터
101 : 캡 102 : 메인 랙크
103 : 보조 랙 104 : 카 프레임 플랫폼
105 :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106 : 플랫폼
107 : 운송체 111, 115 : 피니언
122 : 모터 127 : 소켓 플러그 조립체
141 : 엔트리 포인트 143-146 : 루틴
도 1 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인 수평 및 수직 운송부는 수직 엘리베이터 셔틀(L1-L4)인 제 1 그룹과, 셔틀 또는 로칼 엘리베이터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H1-H4)인 제 2 그룹과의 사이에 운송층(26)에 환승 탑승객 캡과, 수평 트랙(X1, X2)에서 이동가능한 운송체(28)와 같은 운송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와 트랙(X1, X2)간에 절환은 트랙(X1, X2)을 횡단하는 트랙(Y1-Y4)에서 운송체를 이동시켜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트랙(Y1-Y4)은 트랙(X1, X2) 또는 임의적인 엘리베이터(H1-H4)로 임의적인 엘리베이터(L1-L4)로 부터 그리고 그 역으로도 이동시킬수 있는 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서, 운송층(26)은 초고층 빌딩의 상부층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은 운송층(27)에서 공통적인 변화를 가지는 중심가의 지하 상점가에서 또는 그 아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그라운드 레벨에 또는 근처로 연장하는 트랙(X3, X4)에 수평 운송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캡은 미국 특허출원 08/565,606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탑승과 하차를 위해서 로비 레벨에 랜딩부(29)에서 엘리베이터로 부터 제거된다.
상기 개념은 도 2 를 통해 부가적으로 설명되며, 여기서 캡 A(101)은 예를들어 빌딩의 60층에서 예를들면 빌딩의 120층으로 운송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H1)에 적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사하게, 캡 B는 빌딩의 그라운드 레벨로 수직 운송을 위해 엘리베이터 셔틀(L3)에 적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에서, 트랙(X1, X2)은 도 1 의 트랙(X1, X2 : Y1, Y4)과 동일하게 변경되는 트랙을 가진 교차부(30, 31)에 의해 접속된다. 트랙(Y1-Y4)은 간단한 설명을 위해 도 2 에서 제외시키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3 내지 도 6 을 통해 본원의 카 프레임 플랫폼(104)과 운송체(107)와의 사이에 캡(101)을 환승시키는 운송체(107)와 메카니즘을 나타내였다.
도 3 을 참고로, 해치웨이를 분리하는 벽(57, 58) 사이에 하이 엘리베이터(H4)의 해치웨이(56)에 인접한 통로(Y1)를 가진 통로(X1)의 교차부에 일부 환승층(26)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환승층(X1, X2, Y1-Y4)에 각각의 통로는 트랙 세그먼트(70-75)인 통로(Y4)를 따라 그리고 트랙 세그먼트(76-83)인 통로(X1)을 따라, 쌍으로된 휠 트랙 세그먼트와 주 LIM(linear induction mortor)(60-67)의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도 3 에서, 일점 쇄선(86)과 함께하는 점선(85)은 인터-엘리베이터 벽 구조부(57, 58) 사이에 해치웨이(56)의 실(87)에 대항하여 부딪치는 운송체가 하이 엘리베이터(H1)에 인접하여 위치될때 본 발명에 따른 캡 운송체(107)의 외형선을 나타낸 것이다. 점선(86)과 함께하는 실점선(88)은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X1)에 중앙집중된 위치로 로칼 엘리베이터(L1)로 부터 이격져 이동될때 운송체(107)의 외형선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서 도 3 은 축척을 적용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X통로가 트랙(70, 71)과 세그먼트(60)가 도시된 것보다 더 짧게 되게 엘리베이터(H1)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근접시키어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캡을 가진 운송체의 이동에 적합한 적절한 가속성 파워를 보장하도록 어느정도 길이의 주 LIM(60)를 갖게하는 것이 최상의 것이라고 믿어진다. 그러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과는 무관한 것이고 임의적인 수행에 맞추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운송체/층 록크(91, 92)는 운송체가 정지부에 오게될 구역 내에서 대각선적으로 대향진 4분원에 배치된다. 이러한 것은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08/565,658호에 개시된 캡/카 록크와 동일한 것이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4 는, 트랙(70, 72, 76, 78) 사이에 휠 트랙 교차부를 도시한 것이다. 캐스터(93)는 휠(97)의 베어링(도시 않음)를 구속하는 스핀들(96)에 피봇(95)을 연결한 브라켓(94)을 구비한다. 교차부는 다음의 모션이 보장되게 형성된다. 먼저, 운송체가 X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캐스터(93)가 도 4 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다음 Y통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요구되고, 각 교차부에 인접부(98)와 개방 지대(99)와의 조합이 트랙(70)을 따른 또는 트랙(72)을 따른 Y방향으로의 캐스터의 이동을 보장한다. 환승층에 포함된 거리는 짧고(전체가 10m) 운송속도는 수평이동이 탑승인이 과도하게 부딪치지 않도록 양호하게 서행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캐스터의 수동성 스티어링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복합적인 스티어링이 본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고로, 환승층에 엘리베이터 카와 운송체 사이에 캡을 환승시키는 최상의 모드는 1996년 6월 1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08/663,569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도 5 에서, 엘리베이터 캡(101)의 하부는 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도 5 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된 메인 랙(102)과, 도 5 에 도시된 우측으로 외방향으로 활주가능한 슬라이딩 랙(103)을 가진다. 여기에는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105)의 각 플랫폼(104)위와 각 운송체(107)의 각 플랫폼(106)위에 총 네개의 모터화된 피니언이 있다. 먼저, 보조 모터화된 피니언(111)이 시계방향으로 전환되어, 랙크(103)의 활주를 제한하는 플랫폼(106)(피니언(114)뒤에 있으며, 도시 않음)에 보조 모터화된 피니언(112)과 결합하는 도 5 에 도시된 위치로 캡 밑으로 부터 나오는 슬라이딩 보조 랙크(103)를 구동시킨다. 다음, 보조 모터화된 피니언(102)은 보조 랙크(103)(이제는 그 제한부까지 연장됨)를 시계방향으로 당겨 전환시키어, 따라서 메인 랙크(102)의 단부(113)가 도 5 에 보조 모터화된 피니언(112)의 바로 전방에 위치된 메인 모터화된 피니언(114)과 결합하는 그러한 시간까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으로 전체 캡(101)이 이동된다. 다음, 메인 모터화된 피니언(114)은 메인 랙크(102)에 의해 전체 캡(101)이 완전하게 플랫폼(106)에 당겨지고 그렇게해서, 스프링이 활주성 보조 랙크(103)가 캡(101) 밑으로 철회되게 한다. 보조 모터화된 피니언(115)은 피니언(111)용으로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셔틀 카 프레임에 대해 우측으로 캡(101)이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피니언(115) 뒤에 피니언은 우측으로부터 캡을 운송체(107)로 견인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보조 피니언(116)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 프레임(104)으로 부터 캡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주고, 피니언(116) 뒤에 위치한 피니언은 우측으로부터(본 실시예에서의 하이 엘리베이터가 그렇게 행하지 않더라도) 캡을 카 프레임(104)으로 견인시킨다.
캡(101)을 플랫폼(106)으로 부터 플랫폼(104)으로 복귀시키어 보조 피니언(112)이 역시계방향으로 동작되며, 그 좌측 단부(120)가 프레임(104)에 보조 피니언(111)과 결합할 때까지 보조 랙크(103)가 좌측 외방향으로 이동되게된다. 다음, 보조 피니언(111)은, 프레임(104)에 완전하게 있을때 까지 전체 캡이 좌측으로 견인되는 피니언(111)을 가진 라인에 위치되는 메인 모터화된 피니언(도시 않음)과 메인 랙크(102)의 좌측 단부가 결합할때 까지 좌측으로 전체 캡(101)과 보조 랙크(103)를 견인한다.
모터(122), 샤프트(123), 필로우 블럭(124) 및 그와 같은 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된 미국 특허출원 08/663,869호에 있다.
도 5 와 도 6 에 도시된 바로서, 운송체(107)의 프레임(104)은 상술된 캡 환승 메카니즘을 지지한다. 프레임(104) 밑에 현수된 보조 LIM(128)는 철과 같은 자기성 물질로된 레이어(130)로 배면설치된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된 레이어(129)로 구성된다. 보조부는 실선(88)고 점선(86)으로 도 3 에 지시된 위치에 운송체가 있는 상태에서 단면형상인 것이고, 각각의 주부(61, 62, 64, 65)는 그에 인접한 보조부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조부는 보조부가 주부(60, 63, 66, 68)에 도달하도록 운송체(107)의 최말단부 까지 연장된다. 이것은 LIM이 다양한 휠 트랙으로 형성된 사(dead) 공간을 횡단하더라도 유효하게 되게 한다. 본 발명의 X-Y LIM 은, 교정 세그먼트(60-67)의 연속성 에너지화를 통하고 유사한 세그먼트가 힘을 결정하는 전류와 속도를 결정하는 적절한 주파수를 가져, 환승층(26)의 통로 둘레를 운송체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공지된 형상의 가속, 속도, 및 감속을 일으킨다. 따라서, 운송체에 캡의 운송이 전체적으로 수동성인 운송체에서 발생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부터 운송체로의 또는 운송체로 부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의 캡의 환승으로, 모터(122)가 적절하게 에너지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이 실(도 5)의 각각에 장착된 관련 소켓 플러그 조립체(127a)와 운송체에 소켓 플러그 조립체(127) 사이에서와 같이 실(sill)과 운송체 사이에서 만들어져야만 한다. 실질적으로, 각각의 운송체는 두개의 소켓/플러그 조립체(127)를 가지고, 하나는 하이 엘리베이터 실에 상호 접속용으로 도 5 에 도시된 모서리에 그리고 하나는 로우 셔틀 실과 상호 접속용으로 도 6 에 도시된 모서리에 있다.
셔틀과 로칼 엘리베이터 사이에서의 운송체의 운송에서, LIM을 콘트롤하는 운송체 모션 콘트롤러는 환승층에 근접 센서(도시 않음) 네트워크에 반응하거나 또는 운송체에는 X 와 Y 방향으로 동작가능한 로터리 위치 변환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브러시에 의해 층에 다른 콘덕터 또는 휠 트랙를 통해 또는 라디오 타입 트랜스미터에 의해, 빌딩 내의 콘트롤러로 비트(bit) 정보를 보낸다. 또는 위치가 LIM의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의 인덕티브 반응으로 트랙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것은 본 발명과는 무관한 것이며 임의적으로 제공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에서, 록크(91, 92)와 동일할 수 있는 한 쌍의 캡/운송체 록크(131)는 활용되어 그 위에 캡을 가진 운송체가 모션중에 운송체에 견고하게 캡이 고정되게 한다. 상술된 미국 특허출원 08/5765,658호의 록크는 스프링으로 록크 위치에 유지되고, 솔레노이드에 전기적 전류는 이들을 해제시키게 한다. 이들 록크를 해제시키는 전류는 커넥터(127, 128)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운송층에 도달하는 엘리베이터에 앞서 운송체가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필요한 장소에 엘리베이터를 호출(call) 한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로서, 운송체의 비사용시에는 각각이 파킹 지대로 이동하거나 또는 캡을 엘리베이터로 마지막으로 보낸 장소인 엘리베이터의 해치웨이에서 제위치에 간단하게 록크를 유지하게 된다.
도 7 을 참고로, 도 1 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로우 트랙(L)에 로우 셔틀(L1-L4)로 부터 캡이 레벨(26)에 도달하여 운송층(26) 주위를 이동할때면, 하이 셔틀(H1-H4)의 하나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하는 위치에 있도록 하이 엘리베이터 트랙(H)에 엘리베이터 지대로 돌아올 수 있도록 트랙 교차부(133)를 가진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캡이 상 또는 하로 진행할 시에 L 과 H 셔틀 사용 사이에 환승층 주변을 항시 이동하게 하는 동작의 버스 모드를 지지할 수 있을것이다. 다른 한편, 도 1, 도 2, 및 도 7 의 실시예용의 콘트롤 수단의 모든 설명은 크로스오버(133)없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캡은 양쪽 트랙(L, H)으로부터 도 1 또는 도 7 에 양쪽 셔틀(L, H)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 은 또한, 레벨(26)에서 이동하는 탑승인이 탑승객 캡을 나갈수 있는 탑승인 랜딩부(13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랜딩부(134) 만이 도 7 에서 설명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 운송시스템의 수평부분에 많은 랜딩부를 고려한 것이다.
도 7 에서, 그 명칭이 이하에 기술되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위해서 변경되어져 있다. X1 및 X2 대신에, 트랙은 H 와 L 로 나타내었다. 캡은 엘리베이터(L1-L4)와 엘리베이터(H1-H4) 사이에 환승지대에 근접하는 것을 G 로 나타내었다. 근래에 운송체는 운송체로 부터 그가 있었던 일 셔틀 잔류부로 환승되는 탑승객 캡을 가지고, 도 7 에서는 이를 R 로 나타내었다. X로 지시된 엑스트라 운송체는 캡이 상술된 방식으로 일 하이 엘리베이터와 일 로우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동시적으로 교체될 시에, 또는 R운송체가 운송층에서 이동을 명령받고 있을때 마다, 사용되도록 전해지도록, 트랙(H, L)에서 이동하는 운송체 통로를 벗어나 주차되어 있다. 오직 단일 엑스트라 캡만을 도시하였지만, 다수개의 엑스트라 캡이 필요시 항시 활용가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캡이 운송층(26)에서의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L1-L4 또는 H1-H4)의 하나를 이탈할때마다, 단 하나의 빈공간 운송체가 캡을 수용하고 운송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운송체는 R로 지시된 셔틀위에 이전 환승으로부터의 운송체이다. 캡이 엘리베이터 쪽으로의 트랙(H, L)의 하나를 따라 전해지면, 이것은 G 로 지시된 운송체 이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는 항시 캡을 운송하며, 그 안에 캡이 없는 상하 이동은 없다. 따라서, 운송체(G)에 올라타게되는 캡이 엘리베이터로 환승되기 전에, 엘리베이터에 도달되어진 캡이, 다른 엘리베이터 셔틀로 또는 운송층(26) 밖으로, 운송체(G)에 있는 캡용 공간을 만들도록 운송체(R)를 가져가야 한다.
도 8 에서, 환승 층 콘트롤 루틴은 엔트리 포인트(141)를 통해 도달되고, 제 1 테스트(142)는 시스템이 이미 캡 환승부에 함유되어 있다면 비지(busy)로서 지정되는 경우로 판정한다. 만일 시스템이 비지가 아니라면, 테스트(142)의 부정적 결과가 일련의 루틴(143-146)에 이르러, 셔틀이 운송층(26)에 도달하는지를 또는 운송체가 셔틀 내로 캡을 환승시키는 환승지대에 도달하였는지를 나타낸다. 상술된 콘트롤 계획에서, 셔틀은 고속도 수직 운송이 본원에 기술된 저속도에 있는것 보다 더한 외상을 탑승인에게 주기 때문에 운송체 위에 일반적으로 선행된다. 따라서, 만일 루틴(143, 144)이 셔틀 도착을 결정하지 않으면, 다음에 루틴(145, 146)은 운송체가 도달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도 9 에서, 셔틀 도달 L 루틴(셔틀 L1-L4 와 관련됨)은 엔트리 포인트(149)를 통해 도달하고 그리고 제 1 루틴(150)은 각각의 L 셔틀(L1-L4)의 시간 대 환승(time to transfer; TTT)을 결정한다. 다음, 스텝151은 선택된 셔틀(S)용 TTT를 지정하여 적어도 루틴(150)에서 정해진 TTT's 이게 되고, 다음 스텝(152)는 스텝(151)에 제공된 적어도 TTT를 가지는 셔틀로서 선택된 셔틀(S)을 지정한다. 테스트(153)는 선택된 셔틀의 TTT 가 셔틀의 도달이 급박하고 처리되어져야만 함을 지시하는 도달 임계부 밑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셔틀이 폐쇄되지 않는다면, 테스트(153)의 부정적 결과는 운송체 도달(H)루틴(145)(도 8)이 환승 포인트(154)를 통해 도달되게 한다. 그러나 만일 셔틀이 폐쇄되면, 테스트(153)의 긍정적 결과는 한 쌍의 스텝(155)가 비지 플래그(도 8 의 테스트(142) 에서 사용됨)를 세트하고 그리고 선택된 셔틀(S)의 실(sill)로 체류 운송체(R)용 목표 위치를 세트하게 된다. 다음, 한 쌍의 테스트(156, 157)는 선택된 셔틀이 하이 셔틀(H1-H4)용 또는 운송층(F)용(수평 운송수단에 의한 레벨(F)이 있는 장소에 탑승인을 보내주는데 필요한) 카 호출을 가질시를 판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테스트(156-157)은, 카 호출이 없는 경우에 테스트(157)의 부정적 결과가 테스트(156)의 긍정적 결과와 동일하게 로우 셔틀로 부터 하이 셔틀로 캡이 지나가게 배치된다. 양 경우에, 적절한 플래그가 대응되는 스텝(158, 159)에서 세트되고, 프로그램은 환승 포인트(161)을 통해서, 환승 포인트(160)를 통한 하이 엘리베이터로 캡을 환승시키거나 또는 층위에 수평성 운송용 캡을 환승시키는데 적절한 루틴으로 전진된다. 셔틀 도달(H) 루틴(143)(도 8)은 변경된 부분을 가진 도 9 의 로우 엘리베이터용으로 기술된것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것이다.
도 10 에서 운송체 도달 L 루틴(146)은 엔트리 포인트(163)를 통해 도달되고, 제 1 테스트(164)는, L 트랙에 운송체의 위치와 관련된 초입초출(first in, first out ; FIFO) 저장부에 운송체 위치가, 운송체가 L 트랙(도 7)둘레를 역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L4, H4 에서 최대로서 위치 값 증가를 나타내는 위치약정치를 사용하여 임계치 보다 큰지를 판정한다. 환승 지대에 밀접된 카의 위치가 임계치보다 크지 않으면, 임계 지대에 외모습은 급박하지 않고 운송체가 같이 다루어질 필요성이 없는 것이다. 만일 L 트랙에 밀접된 운송체가 바로 서비스를 받을 필요가 없으면, 테스트(164)의 부정적 결과는 다른 프로그램동작이 복귀 포인트(165)를 통해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밀접된 운송체가 환승 서비스의 필요성이 급박하게 받기에 충분한 정도로 근접되어 있으면, 테스트(164)의 긍정적 결과가 트랙 L 위치 FIFO 에 제 1 운송체로서 선택된 운송체(G)를 인식하는 스텝(166)에 도달된다. 그리고, 테스트(167)는 환승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비지 플래그를 세트한다. 다음, 한 쌍의 테스트(168, 169)는 운송체(G)위에 캡 내에 카 호출이 각각적으로 로우 셔틀 또는 하이 셔틀을 구비하는 호출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래서, 대응 플래그가, L 셔틀 루틴용 트랙(L)에 도달하는 운송체가 환승 포인트(172)를 통해 도달되는지 또는 H 셔틀 루틴용 L 트랙에 도달하는 운송체가 환승 포인트(173)을 통해 도달되는지를, 적절한 스텝(170 또는 171)에서 세트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레벨(26)(또는 유사한 다른 레벨)에서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캡에 카 호출에 규정은 등록된 제 1 카 호출이, 이들이 캡에 유입되도록 선택될수 있게 다음에 탑승인에 표시되는 캡의 방향을 확정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캡이 이미 수평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운송층(26)용 또는, 하이 셔틀용 또는 로우 셔틀에 의핸 도달되는 운송층(27)용 도는 로우 셔틀용 카 호출이 만들어진다. 만일 테스트(168, 169) 모두가 부정적이면, 카 호출은 운송층용으로 등록되어지거나 또는 등록되어지는 카 호출은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통신규약은 일 셔틀을 통하는 탑승인에게 서비스하는 스케쥴이 없는 카가 운송층에 그라운드로 간단하게 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쪽 테스트(168, 169)의 부정적 결과는 적절한 플래그를 세트하도록 스텝(174)에 도달하고, 다음에 환승 포인트(175)를 통한 (L/F)루틴에서의 이동용 트랙(L)에 운송체가 도달하게 된다.
도 8 을 다시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임의적인 루틴(143-146)이, 운송체 또는 셔틀에 도달하는 캡을 처리하도록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비지 플래그는 이어지는 도 8 의 루틴을 통한 패스에서 테스트(142)가 긍정적이도록 세트되어져 있음을 판단하여야 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수용될 수 있는 G 로서 표기된 운송체와는 다르게 루틴(178)이 임의적인 운송체가 환승 지대에 상당히 밀접하게 되고있음을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운송체는 정지될 수가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셔틀 환승이 운송체 환승에 선행된 사실을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일련의 테스트(179-188)는 스텝(158, 159)(도 9)와 스텝(170, 171, 174)(도 10)에 관한 상술된 타입의 임의적인 플래그가 세트되어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렇게 하여, 일부 테스트의 긍정적인 결과가 상술된 도 9 및 도 10 에 기술된 환승 포인트(160, 161, 172)는 적절한 환승 포인트와 부가적인 유사한 환승 포인트(191)에 이르러 수행에 필요성이 있는 일 루틴으로 복귀하도록 프로그램되게 한다.
테스트(181)가 긍정적이라면, 프로그램이 환승 포인트(161)를 통해 도 11 에 셔틀 도달 L/F 루틴으로 유입된다. 제 1 테스트(194)는 선택된 셔틀의 위치가 층(F)(즉, 운송층(26), 도 7)인지를 판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선택된 셔틀에 도달하는 캡을 처리하는 시간이 없어서 테스트(194)의 부정적인 결과가 복귀 포인트(195)를 통해서 회복되게 다른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게 된다. 도 8 의 루틴을 통한 다음 패스에서, 테스트(142, 181)는 도 11 의 루틴에 다시 이르게 된다. 선택된 셔틀은 테스트(194)가 선택된 셔틀의 운행 상태가 마감되었는지를 볼수있도록 테스트(196)가 긍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게 상기 층에 도달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다른 프로그램 동작이 복귀 포인트(195)를 통하여 도달되게 된다. 그러나, 선택 셔틀이 더이상 운영 상태에 있지 않으면, 테스트(196)의 긍정적인 결과가, 체류 캡(R)의 위치가 선택된 셔틀의 실인지를 보여주도록 테스트(197)에 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프로그램 동작이 회복되어, 일련의 루틴(198-202)이, 카 층 록크를 가진 빌딩에 셔틀과 운송체를 록크시키고, 셔틀의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과 운송체에 캡 카 록크를 해제시키고, 셔틀로 부터 운송체(R)로 캡을 환승시키고, 셔틀(R)에 카 록크를 가진 캡을 록크시키고, 그리고 카 호출이 캡에 확립될때마다 그에따라 운영되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루틴은 상술된 미국 특허출원 08/663,869호에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반복 설명 하지 않는다. 도 11 에서, 루틴(198-202)은 복귀 포인트(195)에 통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나져 있다. 이것은 다른 프로그램이 모든 상술된 기계적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10 또는 15초 동안의 프로세서 보다는, 카 록크의 실질 이동, 캡의 실질 환승 및 그와같은 종류의 것을 위해서 대기하는 동안에 수행되게 허용한다. 다음, 다수개의 스텝(205)이 셔틀 도달 L/F 플래그를 리세트하고, L 트랙에 운송체가 제위치에 유지되게하는 플래그를 리세트하고, 이하에 기술되는 바로서, L 또는 H 트랙에 운송체(G)가 제위치에 유지되어 있도록하는 플래그를 여분적으로 리세트하고, 엑스트라 운송체가 일 셔틀로 부터의 캡을 하역시키는데 사용되는 다음 운송체일 수 있도록 X 와 동일한 R 로 세트시킨다. 그런데, 엑스트라 운송체는 L 실의 하나 또는 H 실의 하나로 움직이도록 명령을 받을때 까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크상태로 있다.
도 11 의 루틴은 후술되는 바로서 도 13 의 루틴으로 호출 될 수 있다. 만일 그렇게 되면, 도 13 의 루틴은 도 11 의 루틴이 일부 다른 루틴에 의해 호출되는 것을 가리키는 제 2 루틴 플래그를 세트 시킨다. 이러한 경우에는, 테스트(206)의 긍정적 결과가 제 2 루틴 플래그를 간단하게 리세트하는 스텝(208)에 도달되게 된다. 다른 한편, 플래그가 세트되지 않으면, (운송체이기 보다는)셔틀이 프로세스를 설립하였음을 나타내고 다음에, 테스트(206)의 부정적인 결과가 캡을 환승시키는데 요구되는 운송체 또는 셔틀의 급한 접근을 위해 일단 록크되어져야하는 도 8 의 환승 층 콘트롤 루틴을 나타내는 비지 플래그를 리세트시키는 스텝(207)에 도달한다. 그리고 다음에, 다른 프로그램 작업이 복귀 포인트(195)를 통해 회복된다.
도 9 의 셔틀 도달 L 루틴(144)은 하이 엘리베이터로 환승되는 캡을 가진 로우 엘리베이터에 셔틀이 도달되고 있음을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비지 플래그는 스텝(155)의 하나에서 세트되고, 스텝(158)은 셔틀 도달 L/F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도 12 에 도시된 셔틀 도달 L/H 루틴이 환승 포인트(160)를 통해 도달되도록 한다. 제 1 테스트는 하이 셔틀이 캡이 필요한 이동에 적합한 로우 셔틀에서 작업할 수 있게 선택되어져 있는가를 결정한다. 개시적으로, 다음에 캡이 도달 로우 셔틀에 교체될 수 있는 하이 셔틀을 픽업하도록, 각각의 하이 셔틀(211)의 TTT(time to transfer)를 결정하는 루틴(211)에 테스트(210)의 부정적인 결정이 도달하게 된다. 스텝(212)은 선택된 셔틀(T)의 TTT이 루틴(211)에서 결정된 최소한의 TTT임을 결정하고, 스텝(213)은 셔틀이 적어도 TTT를 가지는 선택된 하이 셔틀(T)을 인식한다. 스텝(214)은 선택된 하이 셔틀(T)의 실에 엑스트라 캡(t)용 목표를 세트하고; 잔존하는 캡(R)용의 목표 위치는 스텝(115)에서 도달되어지는 선택된 로우 셔틀의 실의 위치와 동일하게 세트되고, 스텝(216)에서 다른 셔틀 도달이 결정될때 까지 셔틀의 하나가 대기하는 시간 량을 나타내는 대기 값으로 세트된다. 다음에, 한 쌍의 테스트(219, 220)는 임계량 보다 많은 량으로 로우 셔틀(S)이 하이 셔틀(T)을 기다려야 하는지 또는 하이 셔틀(T)은 로우 셔틀(S)을 기다려야 하는지를 각각 결정한다. 처음 순간에는, 테스트(219)의 긍정적 결과가 아래로 서행하도록 로우 셔틀의 속도를 콘트롤하여 루틴(221)에 이르어, 탑승인은 10 또는 20 초 정도의 대기 임계시간보다 더 많은 기간동안 비 이동 캡에서 있지 않는다. 하이 셔틀(T)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사한 루틴(222)과 속도 루틴(221)은 1996년 6월 1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 08/666,181호에 기술된 형태를 취할 것이다. 다른 한편, 만일 본 발명의 임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거라면, 스텝과 루틴(219-222)는 소거될 것이다. 임의적인 경우에서, 만일 두개 셔틀의 TTT 에서의 차이가 임계치 보다 적으면, 루틴(221, 222)은 바이패스된다. 다음, S 선택된 플래그가 스텝(222a)에서 세트된다.
두개 셔틀의 도달은 긍정적인 한 쌍의 테스트(223, 224)의 결과로 신호화된다. 다음에, 한 쌍의 테스트(225, 226)가 양쪽 셔틀이 운영상태에서 더이상 있지 않을때 결정된다. 그에 앞서, 테스트(223, 224)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225, 226)의 긍정적인 결과는 다른 프로그램 작업이 복귀 포인트(227)를 통해 회복되게 한다. 도 12 의 루틴을 통한 각각의 이어지는 패스에서, 루틴이 테스트(210)의 긍정적인 결과로 선택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킨다. 양쪽 셔틀이 있으며 더이상 운영하고 있지 않으면, 루틴(228)이 캡 교체에 필요한 이동과 록킹 및 결합 해제 단계 모두를 달성하도록 수행되고, 로우 셔틀(S)에 캡이 운송체(R)에 배치되고, 하이 셔틀(T)에 캡이 운송체(X)에 배치되고, 이들 캡은 차례로 하이 셔틀(T)과 로우 셔틀(S)에 배치된다. 루틴(228)은 본원의 모 출원의 다수 루틴에서 기술된 것이다. 상기 루틴의 결론은 일의 완성에 의한 셔틀 도달 L/H 를 리세트하고, 이하에 기술되는바와같이 적용되어질 수 있는 운송체(G)에 배치되는 약간의 홀드를 리세트하고, 트랙(L) 또는 트랙(H)에 운송체의 홀드를 리세트하고, 통로 밖으로 움지이도록 파킹 장소에 엑스트라 캡용 목표를 세트시키는 일련의 스텝(229-233)에 이르는 것이다. 다음, 제 2 루틴 플래그는 테스트(234)에서 심문되며; 만일 긍정적이면, 스텝(236)에서 리세트되고; 만일 부정적이면, 스텝(235)은 도 8 의 루틴이 급박하게 임의장소에서 서비스가 필요한지를 다시 한번 결정할 수 있도록 비지 플래그를 리세트 시킬 것이다. 그리고 다음 다른 프로그램 작업이 복귀 포인트(227)를 통해 회복시킨다. 도 8 의 루틴을 통한 다음 패스에서, 비지 플래그는 테스트(142)가 긍정적이게 세트되는 반면에 테스트(179)는 긍정적이어서 환승 포인트(160)를 통한 도 12 의 셔틀 도달 L/H 루틴으로 나누어지도록 프로그램되게 한다. 전체 루틴은 독립적으로 최근접된 셔틀이 있는 로우 셔틀(S)을 재인식하고 그와 작업하는 하이 셔틀을 취하는 일을 수행한다. 두개 셔틀의 캡이 교체되어져 있으면, 도 13 의 스텝(248)에 제 2 루틴 플래그 세트이기 때문에 비지 플래그는 스텝(235)에서 리세트되지 않고; 대신에, 제 2 루틴 플래그가 스텝(236)에서 리세트된다.
다음, 도 8 를 통한 이어지는 패스는 테스트(142)의 긍정적 결과가 발견되며, 테스트(179)의 부정적 결과는 도 13 의 운송체 L/L 루틴 뒤로 환승 포인트(172)를 통하는 테스트(183)의 긍정적인 결과로 스티어링 된다.
도 12 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하이 셔틀 내의 카 호출이 시험될 수 있으며, 만일 카 호출이 운송층(26)에 있으면, 다음에 교환 캡 루틴(228)이 수행될 시에 하이 셔틀로 부터 로우 셔틀로 캡을 적재하는 대신에 하이 트랙에 통로로 간단하게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명확하게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새롭게, 도 10 의 운송체 도달 L 루틴(146)은 로우 셔틀(즉, 운송층(27)에서와 같은 로비 또는 일부 하부 수평 운송 랜딩부에)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카 호출을 가진 캡을 가지고, 운송체가 로우 트랙(L)에 도달하고 있음을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0 에 도시된 스텝(170)은 운송체 도달 L/L 플래그를 세트하고, 도 13 의 운송체 도달 루틴은 환승 포인트(172)를 통해 도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운송체로 부터 셔틀로 캡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셔틀이 환승층(26)에 도달해야만 하고, 그 캡은 접근하고 있는 운송체로 부터 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있기에 앞서 다루어 져야만 한다. 도 13 에서, 제 1 쌍의 테스트(237, 239)는 도 13 의 루틴을 통해 전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플래그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의 로우 셔틀의 TTT를 결정하도록 서브 루틴(240)에 개시적으로는 부정적으로 도달된다. 이것이 접근중인 운송체로 부터 일부 캡을 취할수 있게되는 제 1 셔틀을 찾게된다. 스텝(241)은 선택된 셔틀의 TTT가 서브 루틴(240)에서 결정되는 최소한의 TTT 이게하고, 스텝(242)은 최소한의 TTT를 가지는 선택된 셔틀을 인식하고, 스텝(243)은 선택된 셔틀(S)의 실과 R 운송체가 동일하게 타겟트를 세트시킨다. 테스트(244)는 선택된 셔틀이 하이 셔틀용 카 호출을 가지는지를 또는 이어지는 수평 목적지용 하이 셔틀로의 환승을 요구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렇게 한 다음에, 캡은 로우 셔틀용으로 정해진 캡을 가진 하이 셔틀로의 환승을 차례로 요구하는 일 하이 셔틀로 캡이 환승되어진다. 즉, 스텝(241-243)에서 선택된 셔틀은 선택된 운송체(G)에 새롭게 접근하는 캡을 다룰수 없다. 만일 테스트(244)가 긍정적이면, 스텝(245)은 이러한 캡이 먼저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셔틀 도달 L/H 를 세트시킨다. 다음, 스텝(246)은 올드 운송체(L)를 세트하고 스텝(247)은 로우와 하이 셔틀을 함유한 캡을 마지만으로 다루어 홀드에서 운송체(G)로 부터의 환승이 놓여지도록 홀드(G)를 세트시킨다. 다음, 스텝(248)은 두번째 루틴 플래그를 세트하고, 다른 프로그램 동작이 복귀 포인트(252)를 통해 이르게 된다. 도 8 를 통한 서브시켄트 패스에서, 테스트(142)는 긍정적이지만 테스트(179)는 테스트(183)가 이르지 않도록 긍정적이다. 다시 말해서, 셔틀 도달 L/H 와 셔틀 도달 L/L 용 양쪽 플래그는 동시적이지만, 루틴은 도 8 의 배열의 결과로 L 로부터 H 로 이동되는데 소요되는 캡을 보호한다. 따라서, 도 12 의 루틴이 수행되고 로우 셔틀에 캡이 하이 셔틀로 환승된다.
도 13 에서, 테스트(237, 239)는 하이 셔틀로 환승되는 캡을 가지지 않는 선택된 로우 셔틀(S)을 발견하도록 루틴, 스텝, 및 테스트(240, 244)에 다시 도달하는 부정적이다. 이러한 사실으로, 운송체(G)에 캡이 그 위에 배치되기 전에 접근하는 셔틀로 부터 캡이 제거되는데 소요되는 약간의 환승 시간(Kt)이 더해진 접근중 운송체(G)의 TTT와 셔틀의 TTT 사이에 차이가 동일한 대기값이 발생하도록 테스트(244)의 부정적 결과가 스텝(253)에 이르게 된다. 테스트(254)는 대기 값이 임계값 보다 더 큰지를 결정한다. 만일 크지 않으면, 스텝(255)은 셔틀 도달 L/F 를 세트하고, 스텝(256, 257)은 운송체(L)과 운송체(G)를 유지하고, 스텝(258)은 제 2 루틴 플래그를 세트하고, 스텝(259)은 하역 G플래그를 세트한다. 도 8 를 통한 다음 패스에서, 테스트(142)는 긍정적이고 테스트(181)는 테스트(183)에 이르지 않고 도 11 로 프로그램이 회복되게 긍정적이다. 따라서, 도 11 의 루틴은 상술된 도 11 에 대해 기술된 바와같이, 셔틀로 부터 제거되도록 선택된 로우 셔틀(S)에 캡이 도달되게 수행되어 운송체(R)에 통로에 보내진다.
로우 셔틀에 캡이 운송체에 놓여 L 트랙 밖으로 이동되어져 있으면, 도 12 에 테스트(206)는, 다른 프로그래 동작이 복귀 포인트(195)를 통해 회복된 후에, 비지 플래그가 리세트되지 않고 스텝(208)에서 제 2 루틴 플래그가 리세트되게 한다. 도 8 의 루틴을 통한 서브시켄트 패스에서, 테스트(142)는 긍정적이지만 이러한 시간 테스트(181)는 테스트(183)가 다시 도 13 으로 프로그램이 회복되도록 부정적이다. 그런데, 스텝(259)이 하역 G 플래그를 세트함으로, 이러한 시간 테스트(237)는 홀드 운송체(L)를 리세트하고 그리고 홀드(G)를 리세트하도록 한 쌍의 스텝(263, 264)에 긍정적으로 이르게 된다. 한 쌍의 테스트(265, 266)는 운송체(G)가 실(S)에 이르고 운행이 정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경우에 까지, 다른 프로그램동작이 복귀 포인트(252)를 통해 이르게 된다. 운송체(G)가 실(S)에서 정지되면, 테스트(266)의 부정적 결과가 운송체(G)를 상기 층에 록크하고, 운송체(G)에 캡 카 록크를 해제하고, 운송체(G)로 부터 빈 공간 셔틀(S)로 캡을 환승시키는; 셔틀(S)의 카 록크의 록크와, 셔틀(S)의 카 층 록크의 해제하여 S 의 운행을 일으키는, 일련의 서브 루틴에 이르게 된다. 모든 이러한 루틴은 상술된 출원건에 기재된 타입의 것이다.
셔틀(S)이 캡을 가지고 좌측에 있으면, 일련의 스텝(272-275)은, 운송체(G)(실(S)에 빈 공간에 대기하고 있는)가 비지 플래그를 리세트 하고 하역(G)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것을 잔류 운송체(R)가 인식하는, 운송체 도달 L/L 을 리세트한다.
따라서, 도 8 - 13 의 루틴(그리고 도 8 에 인식된 다른 유사한 루틴)은,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부분에 승객 캡의 정상적인 흐름에 필요한 어떠한 방해도 없이 수평적 및 수직적 운송간에 인터페이스에서의 캡의 교체로 수직적 및 수평적 운송을 허용한다.
도 14 를 참고로, 상술된 본원의 모출원의 장치에 주로 기본하는 본 발명의 실행은 단일 트랙으로 용이하게 실행될 수도 있다. 필요한 모든것은, 운송층(26a)의 환승 지대에 운송체로 셔틀로부터의 제 1 캡의 적재가 위치(278)로와 같이 통로를 벗어나 이동되는 반면에 파크 위치(279)에것과 같은 다른 운송체가 다른 셔틀로 부터 방금 비워진 셔틀로 캡이 이동하도록 전해진다. 이러한 사실은 부가적인 이동 단계를 제외하고는 도 8 내지 도 13 에 기술된 루틴과는 기본적으로 유사한다.
카 프레임으로부터 운송체로의 캡의 환승은,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측면 캡 모션; 즉, 운송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모션으로 활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캡이 운송체와 카 프레임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즉 운송체의 모션과 동일한 방향으로 환승되는 실시예로 수행되는 것이다. 도 15 는 초고층 빌딩의 상부 레벨에서 생기는 수평/수직 운송시스템을 설명한 도면이다. 다수개의 빌딩 섹션(281-283)은, 캡(286)의 수평적 승객 환승을 허용하고 호출 랜딩부(287)에서와 같은 곳에서의 탑승 및 하차를 허용하는 수평 운송 트랙(285) 밑에 파크형 지대(284)를 둘러싸고 있다. 트랙(285)은 또한 승객이 빌딩(281, 282)의 다양한 층과 파크형 지대(284)와 캡(286)과 같은 동일한 캡에서 상기 레벨에 다른 지대와의 사이에서 교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서, 캡(286)이 트랙(285)에 버기로 부터 엘리베이터(288)의 승강통로 내에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종방향으로 환승된다.
도 16 은 종방향 환승 엘리베이터 캡이 활용되는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에서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295, 296)에 의해 서빙되는 제 1 구조부(294)에 다수개의 레벨(290-293)이 있다. 구조부(294)는 그로부터 어느정도 거리에 위치된 전체적으로 다른 구조부(301)에 수평 트랙(299, 300)에 의해 접속된다. 구조부(301)는 또한 캡이 수직적인 운송을 위해 환승되는 엘리베이터(302)와 같은 엘리베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6 에서, 엘리베이터(295, 296)는 엘리베이터(296)에 레벨(291)로 부터 하방향으로 운송되고 엘리베이터(295)에 필요 층으로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캡의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단지 예로서 도시하였다. 레벨(291)에 도시된 바로서, 캡은 다수개의 랜딩부(305)에서 정지될 것이고, 그 하나는 정지부에 홀 호출 버튼 또는 대응 캡에 카 호출 버튼을 누름으로서 정지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캡은 292 또는 293 과 같은 레벨용 카 호출을 가진 엘리베이터(295)에 적재되며, 엘리베이터(295)는 그 레벨에 버기로 환승되기전에 레벨로 캡을 상승 시킨다. 유사하게, 한개 이상의 캡은 각각의 캡이 각각의 레벨 둘레로 이동하고 다음에 다음 레벨로 가서 그 둘레로 이동하는 버스 모드로 운행될 것이다. 다양한 수평 레벨에서의 동작 모드와 그에따른 엘리베이터간에 교체성은 본 발명과는 무관한 것이고, 수직성과 수평성 환승이 조합되는 통로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수평성과 수직성 운송은 본원과 함께 제출된 미국 특허출원건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식으로 도 15 와 도 16 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타입의 종방향 환승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종방향 환승은 도 17 과 도 18 에도 간략하게 설명되어있다.
도 17 을 참고로, 캡(313)은 승객실(314)과 운송체(315)를 구비한다. 운송체(315)는 프레임(322)에 부착된 브라켓(320, 321)에 배치된 휠(316-319)을 가진다. 운송체(315)의 반대측은 4개의 유사위치된 휠을 가진다.
휠(316, 317)은 저널(332, 333)에 의해 플랫폼(327)에 배치된 휠(330, 331)에 트랙(329)을 따라 차례로 이동되는 버기(328)의 플랫폼(327)에 배치된 레일(326)로 지지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버기(328)의 반대측은 트랙(도시 않음)에 올라탄 휠을 부가적으로 구비한다. 트랙(329)은 빌딩 구조부(336)에 배치된다.
휠(318, 319)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343)의 플랫폼(342)에서 지지되는 레일(340)에 의해 지지를 받으며, 프레임은 종래 종류의 스타일(stiles : 344)과 브레이스(braces : 345)를 구비한다. 카 프레임(343)은 로프로 카 프레임과 균형추에 접속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트랙션 장치와 같은 수단으로 또는 다른 적절한 모터 수단으로 수직 모션을 위한 승강통로(345)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사용된 엘리베이터 성질은 본 발명과는 관련성이 없다. 다른 버기(346)는 빌딩에서 지지된 다른 트랙에서 유사하게 이동될 것이며 부가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술된 본원과 같이 제출된 출원건에서, 버기(328, 346)는 각각 그 위에 배치된 주 선형 모터를 가지고, 캡(313) 밑에 운송체(315)는 그 길이방향으로(도 1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선형 모터를 가진다. 선형 변위 변환기는 버기(328)로 부터 카 프레임(343)으로 또는 그 역으로 캡(313)이 이동하도록 선형 모터의 동작을 콘트롤 하는데 사용된다.
도 18 을 참고로, 레일(340)은 레일(326)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하프-랩 일시적 죠인트를 제공하도록 외측부에 구성된다. 도 18 에서, 레일(326, 340)의 소량의 겹침(348)이 2.5cm(일 인치) 정도로 설명되었지만; 5 내지 7cm(2 또는 3인치) 겹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버기(328)는 레일(340)과 레일(326) 사이에 어떠한 방해도 없는 모션으로 전적으로 포획되게 완충부(도시 않음)를 가진다.
318 과 319와 같은 휠(316, 317)의 스페이싱과 운송체(315)의 반대측에 다른 쌍의 휠의 스페이싱은 일 휠(316, 318) 또는 다른 휠(317, 319)이 항시 레일(349, 350)의 전체 섹션으로 지지되도록 상당히 크다. 유사하게, 가이드 롤러(도시 않음)는 각 쌍의 일 롤러 또는 다른 롤러가 항시 레일(326, 340)의 평평한 내측부 모서리(351, 352)에 있도록 충분하게 이격진다. 따라서, 레일의 스카프 동작과 휠과 롤러의 스페이스 동작의 조합은 부드러운 올라타기를 제공한다. 또한, 부드러움과 정숙함은 레일 단부에 제공되는 다양한 테이퍼로 향상되기도 한다. 도 1 내지 도 14 의 실시예에서, 동작부는 급속하고 신뢰성 있게 승객을 수송하는데 필요한 상대적으로 긴 셔틀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도 15 내지 도 17 의 실시예는 다른 방법으로 작동되며,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필요로 하는 어떠한 위치라도 호출되며 캡이 없는 위치로 이동될 것이며, 그후 이들은 캡을 수용한 후에 이들을 희망의 레벨로 이송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와 그 카 프레임은 셔틀로 언급될 것이며, 운송체는 버기로 언급된다.
도 19 에 있어서, 캡을 버기로부터 셔틀로 이송하는 루틴은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358)를 통하여 도달되며, 제 1 스텝(359)은 S 카운트를 제로로 세트한다. 이것은 각각의 셔틀을 위하여 만일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버기가 근처에 있을 경우에 결정되는 계획이다. 따라서, 셔틀의 근처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버기가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루틴은 각각의 셔틀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각의 셔틀은 모든 레벨(이하, F 로 언급된다)을 통하여 진행된다. 스텝(360)은 S 카운터를 증가시키며, 테스트(361)는 상기 S 카운터에 의해 인식된 각각의 셔틀이 후술되는 방법으로 비지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테스트(361)에 따라 각각의 셔틀이 비지일 경우, 이것은 하나의 층에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버기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서비스할 버기가 선택되지 않으며, 테스트(361)의 부정적인 결과는 층 카운터(F)를 제로로 세트하는 스텝(362)으로 진행된다. 그후, 층 카운터는 빌딩의 제 1 층 레벨을 지지하는 스텝(363)에서 증가된다. 스텝(364)은 하나의 층 레벨로부터 다른 층 레벨로 이동될 것이 요구되는 셔틀에 접근중이라는 사실을 표시하는, 층(F)에 대한 버기 위치의 초입초출(first in first out : FIFO) 저장에서의 제 1 버기가 일부의 경계 위치값보다 큰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층(F)상에 버기가 없다면, 테스트(364)의 부정적인 결과는 4층의 모든 것이 테스트 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테스트(365)에 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루틴은 F 카운터가 증가되고 테스트(364)가 셔틀에 가까운 버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364)의 긍정적인 결과는 층(F)를 위한 위치(FIFO)에서의 제 1 버기로 선택된 셔틀의 선택된 버기[B(S)]를 인식하는 스텝(366)에 도달된다. 그후, 테스트(367)는 층(F)와는 다른 층을 위하여 선택된 버기상에 어떤 엘리베이터 카 호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버기는 엘리베이터 서비스가 필요없으며, 테스트(367)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365)를 통과하며, 모든 층이 테스트되지 않을 경우 스텝(363)으로 역전될 것이다. 물론, 만일 엘리베이터에 접근하는 버기가 동일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카 호출을 받았다면, 도 15 및 도 16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동일한 층에서 지속적으로 순환하기 위하여 회전장치나 절환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선택된 버기가 그 현재의 층이 아닌 층에서 엘리베이터 카 호출을 받았다고 가정할 경우, 테스트(367)의 긍정적인 결과는 스텝(368)으로 진행되어 S 가 버기를 F(S)로 픽업하는 층을 인식할 것이다. 스텝(369)은 선택된 셔틀이 층(F)으로 진행되어 선택된 버기로부터 캡을 픽업할 수 있도록 층(F)으로 선택된 셔틀을 위한 목표 층을 세트한다. 스텝(370)은 이 셔틀은 바쁘다(다른 것은 그럴 필요없다)라는 것을 의미하는 비지 S 플래그를 세트하며, 스텝(371)은 선택된 셔틀(S)을 작동 조건으로 세트한다. 그후, 테스트(373)는 초기에는 그렇지 않았지만 셔틀이 층상에 이미 위치되지 않을 경우 셔틀(S)이 층(F)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테스트(373)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374)로 진행되어 위치된 것으로 여겨지는 셔틀이 시스템에서 가장 많은 수의 셔틀(N)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테스트(374)의 부정적인 결과는 프로그램을 테스트(360)로 복귀시켜 S 카운터가 증가되게 한다.
S 의 다음 값에 있어서, 선택된 셔틀은 바쁘거나 바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셔틀의 근방에 버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캡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처리가 이러한 셔틀을 위하여 반복될 것이다. 한편, 상기 셔틀이 처리를 따라 양호하게 위치되며, 만일 바쁠 경우, 테스트(361)의 긍정적인 결과는 프로그램을 안전을 위한 어떠한 구조도 없어서 이러한 버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각각의 버기의 위치를 검사하는 루틴(377)을 통과하게 한다. 그후, 테스트(373)에 도달되어 현재 표시된 셔틀이 현재 인식된 층[F(S)]에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374)는 선택된 셔틀이 작동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테스트(374)는 복귀되고, 그렇지 않다면 테스트(375)는 상기 셔틀을 위한 스텝(366)에서 인식된 버기의 위치가 인식된 층[F(S)]상에 미리 위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 사이에 테스트(374)를 통과하므로써 다른 셔틀이 취급된다. 물론 이것이 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수의 셔틀(N)인 경우, 테스트(374)의 긍정적인 결과는 다른 프로그램이 복귀 포인트(376)를 통하여 복귀되게 한다.
도 19 의 일련의 루틴의 통과에 있어서, 선택된 층상에서 선택된 버기로 작동중인 일부 셔틀에 있어서, 상기 버기는 그 셔틀을 위하여 층상에 미리 위치될 것이다. 테스트(380)는 선택된 버기의 현재 위치가 적재 위치(도 17 및 도 18 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순서대로 테스트(374)에서 다음 셔틀이 취급될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380)의 긍정적인 결과는 일련의 서브루틴(381-386)에 도달되어 버기의 카 층 록킹부를 록킹하고 그후 캡을 해제하고 카 프레임에서 캡 카 록크를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선택된 버기의 캡 카 록크를 결합해제하므로써 캡이 간섭없이 카 프레임에 인입되게 한다. 서브루틴(383)은 선택된 버기와 셔틀 사이로 캡을 이송시키며, 서브 루틴(384)은 셔틀의 카 프레임상에 캡 카 록크를 록킹하며, 서브 루틴(385)은 셔틀 카 프레임의 카 층 록크를 해제하며, 서브 루틴(386)은 셔틀을 작동 상태로 위치시킬 것이다. 그후, 테스트(374)에서 다음 셔틀이 순서대로 취급된다. 서브 루틴(381-386)은 테스트(374)로의 출구 포인트로 서술되므로, 이동안 기계적인 작동은 프로그램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대기상태가 된다. 각각의 버기의 트랙을 각각의 층에서 선택적으로 유지하므로써, 하나의 셔틀을 위한 처리는 서술된 바와 같이 다른 셔틀의 처리에 끼워질 수 있다.
도 20 에 있어서, 캡을 셔틀로부터 버기로 이송하는 루틴은 엔트리 포인트(390)을 통하여 도달되며, 제 1 스텝(391)은 S 카운터를 제로로 세트한다. 이것은 도 19 의 스텝(359)에서 제로로 세트되는 S 카운터와 유사하다. 스텝(392)은 S 카운터를 증가시키며, 테스트(393)는 선택된 셔틀상에 캡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셔틀은 순서대로 테스트(396)에서 순서대로 취급될 것이다. 만일 캡이 있다면, 테스트(394)는 도 19 의 스텝(369)에서 세트되는 바와 같이 셔틀의 목표 층[F(S)]상에서 카운터에 의해 인식된 셔틀의 실(sill)에 버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테스트(394)의 부정적인 결과는 스텝(395)으로 도달되어 선택된 셔틀과 층에서 실로 선택된 층상에서 여분의 셔틀을 위한 목표를 세트한다. 그후, 다음 셔틀이 순서대로 취급된다.
도 20 에 도시된 루틴의 각각의 통과에 있어서, 캡을 갖는 어떠한 셔틀이라도 테스트(393 및 394)를 통하여 진행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목표 층의 실에 버기가 있을 때 테스트(394)의 긍정적인 결과는 서브 루틴(397)으로 도달되어 목표 층에서 인식된 셔틀의 실에서 버기의 카 층 록크를 록킹하고 셔틀의 카 층 록크를 록킹한다. 서브 루틴(398)는 셔틀(S)의 카 프레임과 실에서의 버기의 캡/카 록크가 결합해제되게 한다. 이송 루틴(399)은 목표 층상에서 셔틀(S)의 실에서 셔틀(S)로부터 버기로 캡을 이송시킨다. 그후, 서브 루틴(400)은 목표 층상에서 선택된 셔틀의 실에서 캡 카 록크를 버기상에 록킹할 것이며, 스텝(401)은 이를 캡에 등록된 카 호출에 의해 표시된 랜딩으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버기를 작동 상태로 세트된다. 스텝(402)은 셔틀(S)을 위한 비지 플래그를 리세트하며, 이것은 셔틀이 일부의 다른 캡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후, 테스트(402)는 각각의 셔틀이 순서대로 취급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만일 그렇다면 다른 프로그램이 복귀 포인트(403)를 통하여 복귀된다. 록킹 루틴과 이송 루틴은 상술의 특허명세서와 미극 특허출원 08/663.869 호에 서술된 형태를 취한다. 상술한 특허는 모두 본원에 참조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11)

  1. 제 1 포인트로 부터 수직 수평적으로 원격진 제 2 포인트와 제 포인트 사이에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 1 포인트로 부터 엘리베이터에 인접한 일 포인트로 수평적으로 운송체에 탑승객 캡내의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운송체로 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프레임으로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포인트와 동일한 수직 레벨로 수직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인트는 상기 엘리베이터로 부터 수평적으로 원격진 지대이며,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부터 상기 제 2 포인트의 레벨에 배치된 제 2 운송체로 상기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로 부터 상기 제 2 포인트로 수평적으로 상기 제 2 운송체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엘리베이터로의 운송체의 모션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모션으로 상기 운송체로 부터 상기 카 프레임으로 환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엘리베이터로의 상기 운송체의 모션을 횡단하는 모션으로 운송체로 부터 카 프레임으로 환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환승층에 제 2 포인트에 제 2 탑승객 랜딩부와 제 1 운송층에 제 1 포인트에 제 1 탑승객 랜딩부와의 사이에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 1 층에 제 1 포인트로 제 1 운송체에 탑승객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포인트에 캡 내로 탑승객을 탑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층에, 엘리베이터의 해치웨이에 인접한 제 3 포인트로 상기 제 1 운송층에서 수평적으로 상기 제 1 운송체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체로 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프레임으로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층으로 부터 상기 제 2 운송층으로 수직적으로 카 프레임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부터 상기 제 2 운송층에 엘리베이터에 인접한 제 2 운송체로 상기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로 부터 상기 제 2 포인트로 상기 제 2 운송층에서 수평적으로 상기 제 2 운송체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빌딩의 제 1 레벨에서의 제 1 환승층에 제 1 포인트로 부터 제 2 빌딩의 제 2 레벨에서의 제 2 환승층에 제 2 포인트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 1 포인트에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1 운송체에 탑승객 캡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포인트에서 상기 캡에 탑승객이 탑승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빌딩의 제 1 레벨과 제 3 레벨과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엘리베이터의 제 1 레벨에 해치웨이와 제 1 포인트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상기 제 1 운송체에 캡을 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체로 부터 제 1 엘리베이터의 제 1 카 프레임으로 상기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빌딩의 제 1 레벨로 부터 상기 제 1 빌딩의 제 3 레벨로 상기 제 1 카 프레임에 수직적으로 상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1 엘리베이터의 카 프레임으로 부터 상기 제 3 레벨에 상기 제 1 엘리베이터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운송체로 상기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레벨과 상기 제 2 빌딩의 제 3 레벨과의 사이로 연장되는 제 2 엘리베이터의 해치웨이에 인접된 포인트로 상기 제 1 빌딩으로부터 상기 제 2 빌딩으로 상기 제 3 레벨에 수평적으로 제 2 운송체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운송체로 부터 상기 제 2 엘리베이터의 제 2 카 프레임으로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빌딩의 제 3 레벨로 부터 상기 제 2 레벨로 상기 제 2 카 프레임에 수직적으로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에 인접한 제 2 레벨에 배치된 제 3 운송체로 상기 제 2 카 프레임으로 부터 탑승객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포인트로 상기 제 2 엘리베이터로 부터의 상기 제 2 레벨을 따라 상기 제 3 운송체에 수평적으로 상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운송층으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지고 상기 제 1 운송층으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진 제 3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3 탑승객 랜딩부 또는 상기 제 1 운송층으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진 제 2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2 탐승객 랜딩부에서 선택된 랜딩부로 제 1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1 탑승객 랜딩부 사이에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 1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1 랜딩부를 수평적으로 지나가는 제 1 운송체에 탑승객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임의적인 상기 제 1 랜딩부에 등록된 요구에 응답하여 탑승객이 캡에 유입되되게 운송체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모든 층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 1 엘리베이터로 상기 제 1 운송체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체로 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에 카 프레임으로 상기 탑승객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층에서의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캡에 등록에 따라 제 3 운송층 또는 제 2 운송층의 어느 하나인 빌딩에서 선택된 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에서 수직적으로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부터 상기 선택된 층으로 상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서비스 요구로 나타나는 탑승객 랜딩부로 상기 제 2 운송체에서 수평적으로 상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 운송층으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지고 상기 제 1 운송층으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진 제 3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3 탑승객 랜딩부 또는 상기 제 1 운송층으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진 제 2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2 탐승객 랜딩부에서 선택된 랜딩부로 제 1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1 탑승객 랜딩부 사이에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 1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1 랜딩부를 수평적으로 지나가는 제 1 운송체에 탑승객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임의적인 상기 제 1 랜딩부에 등록된 요구에 응답하여 탑승객이 캡에 유입되되게 운송체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제 1 운송층과 제 2 운송층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 1 엘리베이터로 상기 제 1 운송체에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체로 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에 카 프레임으로 상기 탑승객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운송층과 상기 제 2 운송층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에 수직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부터 상기 제 2 운송층에 엘리베이터에 인접한 제 2 운송체로 상기 탑승객 캡을 환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랜딩부의 임의적인 어느 하나로의 서비스를 위해 캡에 등록된 요구에 반응하는 상기 제 2 운송층에 다수개의 제 2 탑승객 랜딩부를 따라 수평적으로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제 3 랜딩부의 임의적인 하나로의 서비스를 위해 캡에 등록된 요구에 반응하여 상기 제 3 운송층과 상기 제 2 운송층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 2 엘리베이터로 수평적으로 상기 제 2 운송체에 탑승객 캡을 이동시켜 상기 제 2 엘리베이터의 카 프레임으로 상기 제 2 운송체로 부터 탑승객을 환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수평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그 안에서 수직적으로 이동가능한 카 프레임을 가진 엘리베이터와;
    상기 엘리베이터와 상기 랜딩부와의 사이에서 연장하고 랜딩부에 인접한 다수개의 트랙과 다수개의 승객 랜딩부를 각각 가지며, 서로 수직적으로 원격진 다수개의 운송층과;
    상기 트랙에서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운송체와;
    상기 운송층 사이에 엘리베이터에서 수직적인 이동과 운송층에서의 수평적인 이동을 위한 운송체와 카 프레임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탑승객 캡과;
    상기 운송체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캡을 환승시키는 수평적인 모티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승층에서 선택된 한 층에서 운송체가 수평적으로 그리고 상기 환승층에서 왕복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수직적으로 상기 캡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적 승객운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모티브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로의 상기 운송체의 모션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모션으로 상기 운송체와 상기 카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캡을 환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적 승객운송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모티브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로의 운송체의 모션이 횡단하는 모션으로 상기 운송체와 상기 카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캡을 환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적 승객운송 시스템.
KR1019970060195A 1996-11-14 1997-11-14 수평적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9980042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49,296 US5861586A (en) 1996-06-19 1996-11-14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US8/749,296 1996-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56A true KR19980042456A (ko) 1998-08-17

Family

ID=2501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195A KR19980042456A (ko) 1996-11-14 1997-11-14 수평적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61586A (ko)
EP (1) EP0842888A1 (ko)
JP (1) JPH10167627A (ko)
KR (1) KR19980042456A (ko)
CN (1) CN1099366C (ko)
AU (1) AU735064B2 (ko)
ID (1) ID18834A (ko)
SG (1) SG6445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930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138931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60116271A (ko) 2015-03-27 2016-10-0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586A (en) * 1996-06-19 1999-01-19 Otis Elevator Company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US7198136B2 (en) * 2003-09-11 2007-04-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evice for a multi-sky-lobby system
US20080086954A1 (en) * 2004-07-30 2008-04-17 Otis Elevator Company Minimizing The Stack Effect In Tall Buildings Having Vertical Shafts
US20100183407A1 (en) * 2009-01-21 2010-07-22 Tai-Up Kim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DE102014201804A1 (de) * 2014-01-31 2015-08-06 Thyssenkrupp Elevato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DE102015102563A1 (de) * 2015-02-23 2016-08-25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ehreren Kabinen
DE102015102564A1 (de) * 2015-02-23 2016-08-25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ehreren Kabinen und zusätzlichem Kabinenaufnahmeschacht
JP2018520075A (ja) * 2015-06-05 2018-07-26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Kone Corporation エレベータ群の呼び割当て方法
US10017354B2 (en) * 2015-07-10 2018-07-10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multicar elevator system
CN106395552B (zh) 2015-08-03 2020-03-17 奥的斯电梯公司 无绳电梯系统导轨组件
EP3331799A1 (en) * 2015-08-03 2018-06-13 Otis Elevator Company Intermediate transfer station
EP3334676A1 (en) * 2015-08-11 2018-06-20 Otis Elevator Company Configurable multicar elevator system
AU2016231585B2 (en)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9598265B1 (en) * 2015-09-28 2017-03-21 Smart Lifts, Llc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bile elevator cabins
CN106429732A (zh) * 2016-11-01 2017-02-22 吴德平 一种抽屉式轿厢垂直电梯及运输方法
CN106335829A (zh) * 2016-11-10 2017-01-18 山东建筑大学 一种移动对接立体式连通电梯
US10081513B2 (en) * 2016-12-09 2018-09-25 Otis Elevator Company Motion profile for empty elevator cars and occupied elevator cars
US10494229B2 (en) 2017-01-30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silient design and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WO2018201213A1 (en) * 2017-05-04 2018-11-08 Dayrell Ivan Autonomous mobile lift
CN107500092B (zh) * 2017-08-30 2019-05-10 张凡 管道式个人立体运输装置及其工作方法
EP3974368A1 (en) * 2020-09-29 2022-03-30 KONE Corporatio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12193953B (zh) * 2020-09-30 2021-07-16 杭州海康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资源调度方法及装置
GB2610830B (en) * 2021-09-16 2024-04-24 Urban Mass Ltd A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operating in a cantilevered manner
WO2024033210A1 (de) 2022-08-11 2024-02-15 Inventio Ag Personentransportsystem und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einer pers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729A (en) * 1930-01-29 1933-12-19 Thomas W Cohill Elevator system
DE2618237A1 (de) * 1976-04-26 1977-11-10 Inventio Ag Foerderanlage fuer horizontal- und vertikaltransport
JPS61272A (ja) * 1984-06-12 1986-01-06 Taiyo Ink Seizo Kk インキ組成物
EP0388814B1 (en) * 1989-03-20 1995-08-09 Hitachi, Ltd.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JP2636457B2 (ja) * 1989-05-08 1997-07-30 富士電機株式会社 垂直搬送装置
JP2507275B2 (ja) * 1990-10-17 1996-06-1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循環式エレベ―タの横行移動装置
JP2786755B2 (ja) * 1991-06-06 1998-08-13 株式会社東芝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JP3091587B2 (ja) * 1992-11-24 2000-09-25 株式会社東芝 縦横移動エレベータ
US5749441A (en) * 1996-01-18 1998-05-12 Otis Elevator Company Extra deck elevator shuttle
US5651426A (en) * 1995-11-29 1997-07-29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ous elevator shuttle system
US5758748A (en) * 1995-11-29 1998-06-02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US5655625A (en) * 1995-11-29 1997-08-12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elevator cab commandeering shuttle
US5861586A (en) * 1996-06-19 1999-01-19 Otis Elevator Company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US5773772A (en) * 1996-06-19 1998-06-30 Otis Elevator Company Transferring elevator cabs between non-contiguous hoistways
US5752585A (en) * 1996-07-25 1998-05-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huttle with auxiliary elevators at termin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930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138931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60116271A (ko) 2015-03-27 2016-10-0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67627A (ja) 1998-06-23
US5861586A (en) 1999-01-19
CN1099366C (zh) 2003-01-22
CN1189444A (zh) 1998-08-05
AU735064B2 (en) 2001-06-28
EP0842888A1 (en) 1998-05-20
AU4289397A (en) 1998-05-21
SG64455A1 (en) 1999-04-27
ID18834A (id) 199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2456A (ko) 수평적 및 수직적인 탑승객 운송 방법 및 그 시스템
US5773772A (en) Transferring elevator cabs between non-contiguous hoistways
EP0388814B1 (en)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CN107922158B (zh) 中间转运站
US5758748A (en)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US5823299A (en) Shuttle elevators feeding local elevators
CA2619764A1 (en) Twin elevator systems
JP2008537709A5 (ko)
CN112888647A (zh) 具有第一部分电梯系统和第二部分电梯系统的电梯系统
JP4570482B2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165146A (ja) エレベータシャトル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ャトルシステムの乗客移動方法
US5107962A (en) Vertical transport system in a building
JPH0916515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室の移動方法
US6038980A (en) Transferring freight or passenger cabs between moving bogies
KR19980063701A (ko) 엔 캡, 2엔 랜딩, 및 3엔 덱크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시스템
JP2000185885A (ja) 自走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875112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H069175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KR910006191B1 (ko) 입체창고
JP7249532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07932838U (zh) 一种组合式电梯
JP3426978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H06115857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KR20050029441A (ko) 궤도교통수단용 터미날
GB2180827A (en) Multilevel parking ga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