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446A -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446A
KR19980036446A KR1019960055014A KR19960055014A KR19980036446A KR 19980036446 A KR19980036446 A KR 19980036446A KR 1019960055014 A KR1019960055014 A KR 1019960055014A KR 19960055014 A KR19960055014 A KR 19960055014A KR 19980036446 A KR19980036446 A KR 19980036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webbing
contact
buckle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450B1 (ko
Inventor
한왕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4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시 착용하는 시트벨트로부터 발생되는 압박감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Relieve Device for Oppression Sensation the Seatbelt)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벨트의 록킹상태에 따라 시트벨트의 웨빙을 느슨하게 당겨줄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및 웨빙홀더 바아등으로 이루어진 압박감 완화시스템을 구성시키므로서,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자동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시 착용하는 시트벨트로부터 발생되는 압박감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Relieve Device for Oppression Sensation the Seatbelt)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트벨트는 벨트와 텅 및 웨빙과 리턴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할수 있도록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시트벨트를 착용시 리턴스프링에 의한 권취력으로 인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심한 압박감을 줌과 동시에 시간이 지날수록 압박감이 가중되므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가끔 한 번씩 시트벨트의 웨빙을 당겨 느슨하게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등 그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트벨트의 록킹상태에 따라 시트벨트의 웨빙을 느슨하게 당겨줄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및 웨빙홀더 바아등으로 이루어진 압박감 완화시스템을 구성시키므로서,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자동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웨빙, 20: 고정패널, 30: 접점스위치, 40: 접점리턴스프링, 50: 솔레노이드, 60: 로드부재, 70: 웨빙홀더 바아, 80: 힌지축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는, 표면이 엠보싱처리되면서 시트벨트의 텅 및 버클의 록킹동작에 따라 리트랙터로 감김동작하는 웨빙과, 상기 웨빙을 고정시키도록 버클내에 장착되면서 표면이 엠보싱된 고정패널과, 시트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는 텅의 삽입상태에 따라 접점스위칭동작하는 접점스위치와, 상기 접점스위치를 리턴시키도록 리턴작용하는 접점리턴스프링과, 감김동작하는 웨빙으로부터 발생되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접점스위치의 접점스위칭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따라 직선로드동작하는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의 직선로드동작에 따라 고정패널에 접촉하여 웨빙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는 웨빙홀더 바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는 웨빙(10), 고정패널(20), 접점스위치(30), 접점리턴스프링(40), 솔레노이드(50), 로드부재(60) 및 웨빙홀더 바아(70)를 포함한다.
상기 웨빙(10)은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것으로서 시트벨트의 텅(1) 및 버클(2)의 록킹동작시 리트랙터(3)의 작용에 의해 리트랙터케이스(4)로 감김동작을 한다.
상기 고정패널(20)은 상기 웨빙(10)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웨빙(10)을 고정시키도록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플라이틱 재질로서 시트벨트의 버클(2)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스위치(30)는 상기 시트벨트의 버클(2)에 삽입되는 텅(1)의 삽입상태에 따라 접점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상기 시트벨트의 버클(2)내에 위치하고, 상기 접점스위치(30)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접점스위치(30)내에는 리턴작용하는 접점리턴스프링(40)이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50)는 상기 접점스위치(30)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구동하면서 상기 웨빙(10)의 감김동작시 발생되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완화시킨다.
상기 로드부재(60)는 상기 시트벨트의 버클(2)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5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50)의 구동에 따라 직선로드운동을 한다.
상기 웨빙홀더 바아(70)는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서 상기 로드부재(60)와 일측끝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시트벨트의 버클(2)내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로드부재(60)의 직선로드동작에 따라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여 상기 고정패널(20)에 접촉하므로서 상기 웨빙(10)의 유동을 방지시켜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완화시키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시키고자 시트벨트의 텅(1)을 버클(2)에 삽입시키면, 상기 버클(2)내에 설치된 접점스위치(30)에서는 삽입되는 텅(1)에 의해 접점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스위치(30)의 접점스위칭 동작에 따라 솔레노이드(50)가 구동을 하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시트벨트의 버클(2)내에 설치된 로드부재(60)가 상기 솔레노이드(50)의 구동에 따라 상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부재(60)의 일측끝단부에 연결되면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웨빙홀더 바아(70)는 상기 로드부재(60)의 직선운동에 따라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면서 시트벨트의 버클(2)내에 설치되면서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패널(20)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벨트의 록킹시 리트랙터(3)의 작용에 의해 리트랙터케이스(4)로 감김동작하는 웨빙(10)은 표면이 엠보싱처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촉되는 고정패널(20) 및 웨빙홀더 바아(70)사이에서 정지하게 됨에 따라 리트랙터(3)의 리턴스프링에 의한 권취력을 상실시키므로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트벨트의 텅(1)을 버클(2)에서 록킹해제시키면, 상기 텅(1)의 록킹해제에 따라 접점스위치(30)의 접점은 상기 접점스위치(30)내에 설치된 접점리턴스프링(40)에 의해 떨어지게 되므로서, 상기 접점스위치(30)의 접점해제에 따라 솔레노이드(50)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로드부재(60)가 다시 복원되는 직선운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재(60)의 직선복원에 따라 이와 연결된 웨빙홀더 바아(70)가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복원운동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웨빙홀더 바아(70) 및 고정패널(20)에 의해 고정된 웨빙(10)은 다시 리트랙터(3)로 유동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시트벨트의 록킹상태에 따라 시트벨트의 웨빙을 느슨하게 당겨줄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및 웨빙홀더 바아등으로 이루어진 압박감 완화시스템을 구성시키므로서,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자동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표면이 엠보싱처리되면서 시트벨트의 텅 및 버클의 록킹동작에 따라 리트랙터로 감김동작하는 웨빙과, 상기 웨빙을 고정시키도록 버클내에 장착되면서 표면이 엠보싱된 고정패널과, 시트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는 텅의 삽입상태에 따라 접점스위칭동작하는 접점스위치와, 상기 접점스위치를 리턴시키도록 리턴작용하는 접점리턴스프링과, 감김동작하는 웨빙으로부터 발생되는 시트벨트의 압박감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접점스위치의 접점스위칭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따라 직선로드동작하는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의 직선로드동작에 따라 고정패널에 접촉하여 웨빙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는 웨빙홀더 바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KR1019960055014A 1996-11-18 1996-11-18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KR10025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014A KR100255450B1 (ko) 1996-11-18 1996-11-18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014A KR100255450B1 (ko) 1996-11-18 1996-11-18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446A true KR19980036446A (ko) 1998-08-05
KR100255450B1 KR100255450B1 (ko) 2000-08-01

Family

ID=1948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014A KR100255450B1 (ko) 1996-11-18 1996-11-18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96A (ko) * 2001-07-26 2003-02-05 박성규 자동차용 안전벨트 스토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96A (ko) * 2001-07-26 2003-02-05 박성규 자동차용 안전벨트 스토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450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196A (en) Retraction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belt
US6691944B2 (en) Seat belt retractor
US20050173580A1 (en)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a pretensioning device
KR19980036446A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GB2395465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diagonal belt
KR0114527Y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가 내설된 자동차의 리트랙터
KR200147500Y1 (ko) 꼬임방지용 텅플레이트
KR19990004325U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200147677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고정장치
KR19990014050U (ko)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KR100596617B1 (ko) 승용기기의 안전벨트 구조
KR0184406B1 (ko) 차량용 시트벨트 보조구속장치
KR100195033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안전벨트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KR20024447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200322237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200173968Y1 (ko) 자동차의 리트렉터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KR10042788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장치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KR015757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035305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 장치
KR0132314Y1 (ko) 자동차의 이중 로킹해제형 시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