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50U -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50U
KR19990014050U KR2019970027373U KR19970027373U KR19990014050U KR 19990014050 U KR19990014050 U KR 19990014050U KR 2019970027373 U KR2019970027373 U KR 2019970027373U KR 19970027373 U KR19970027373 U KR 19970027373U KR 19990014050 U KR19990014050 U KR 199900140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storing force
seat belt
main sp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광
송주병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27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050U/ko
Publication of KR19990014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50U/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메인 스프링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감쇄시킬수 있는 벨트 긴장력 해소장치를 시트벨트의 보디에 설치하여 탑승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벨트가 감겨진 축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과 동일한 축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의 복원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스프링과; 상기 보조 스프링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의 메인 스프링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스프링을 추가로 장착하여,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보조 스프링의 복원력을 작용시켜서 시트벨트가 가하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해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벨트는 차량의 충돌사고 등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시트에 밀착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시트벨트는 탑승자의 인체에 착용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단부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구속력을 제공하는 텅과, 상기 텅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차체나 시트에 고정되는 버클과, 상기 벨트의 인출시 긴장력을 제공하고, 급정지시 벨트의 인출을 저지하는 보디 등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벨트의 보디에는 벨트의 인출시 긴장력을 제공하는 메인 스프링이 개재되어 탑승자가 벨트를 착용시 탑승자에게 압박감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벨트를 장착한 탑승자는 벨트의 압박감으로 인하여 상당한 불쾌감을 느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벨트의 잠김력을 해소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메인 스프링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감쇄시킬수 있는 벨트 긴장력 해소장치를 시트벨트의 보디에 설치하여 탑승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추가로 적용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작용되는 힘을 도면화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 20 : 메인 스프링
30 : 벨트 40 : 보조 스프링
50 : 스토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는 벨트가 감겨진 축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과 동일한 축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의 복원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스프링과; 상기 보조 스프링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구성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추가로 적용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시트벨트는 벨트에 잠김력을 제공하고, 차량의 급정지시 벨트의 인출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 보디를 구비한다.
상기 보디에는 벨트가 감겨진 축(10)에 고정된 메인 스프링(20)이 구비되어, 상기 벨트(30)가 감기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메인 스프링(20)은 판 형상의 박판 스프링으로, 중앙부에 고정된 축(10)이 상기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일정한 크기의 복원력을 상기 축(10)에 제공하여, 상기 축(10)이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 스프링(20)이 고정된 축(10)의 소정 위치에 보조 스프링(40)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 스프링(40) 또한, 판 형상의 박판 스프링으로 그 중앙부는 상기 축(10)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 스프링(40)은 상기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20)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보조 스프링(40)은 외연으로 다수의 걸림돌기(42')를 형성한 래치휠(42)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보조 스프링(40)은 래치휠(42)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50)에 의해 상기 축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래치휠(42)의 걸림돌기(42')에 맞물리는 상태로 상기 래치휠(42)의 회전을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52)에 상기 래치휠(42)에 록킹된다.
상기 솔레노이드(52)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부(미도시)는 시트벨트의 보디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토퍼(50)가 보조 스프링(40)을 구속하지 않으므로 벨트(30)는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 만을 제공 받는다.
도 2는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벨트에 작용되는 힘을 도시한 것으로,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30)가 보디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벨트에 작용되는 힘을 도시한 것으로,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30)가 비교적 큰 긴장력을 받고 있다.
탑승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는 스토퍼(50)가 보조 스프링(40)을 구속하므로,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과 보조 스프링(40)의 복원력이 벨트(30)에 영향력을 미친다.
도 4는 스위치를 온시키고,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벨트에 작용되는 힘을 도시한 것으로,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을 보조 스프링(40)이 감쇄시킨 상태로 벨트(30)에 긴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벨트(30)의 압박감을 해소시킨 상태로 벨트(30)를 착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스위치를 온시키고, 시트벨트의 착용을 해제시키는 상태에서 벨트에 작용되는 힘을 도시한 것으로, 시트벨트를 헤제시키면 솔레노이드(52)에 전기적 신호가 수신되어 걸림돌기(42')와 맞물려 있던 스토퍼(50)가 하향하여 보조 스프링(40)의 복원력이 벨트(3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인출되었던 벨트(30)가 메인 스프링(20)의 복원력을 받아서 신속하게 보디 내부로 감겨져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는 시트벨트의 착용시 벨트의 긴장력에 의한 압박감을 간단한 조작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시트벨트의 보디 내부에 벨트 압박감 해소장치를 개재시켜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벨트가 감겨진 축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과 동일한 축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의 복원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스프링과; 상기 보조 스프링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보조 스프링의 외측 단부와 결합된 래치휠의 외주연에 형성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맞물려서 래치휠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KR2019970027373U 1997-09-30 1997-09-30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KR199900140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73U KR19990014050U (ko) 1997-09-30 1997-09-30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73U KR19990014050U (ko) 1997-09-30 1997-09-30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50U true KR19990014050U (ko) 1999-04-26

Family

ID=6968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373U KR19990014050U (ko) 1997-09-30 1997-09-30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0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47B1 (ko) * 2006-08-18 2007-12-11 김영규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47B1 (ko) * 2006-08-18 2007-12-11 김영규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590B1 (en) Safety belt
GB2257195A (en) Restraining belt clamping device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H1059122A (ja) 動力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US5072968A (en) Seat belt system with tensionless function and acceleration sensor
KR19990014050U (ko)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KR200177910Y1 (ko) 유아 보호용 4점식 시트벨트
JP2767626B2 (ja) シートベルトの有効拘束限界警報装置
KR0177461B1 (ko) 차량의 시트 벨트에 설치된 나이프장치
JPH0213265Y2 (ko)
KR200147677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고정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0171811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비상해제 장치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960005619Y1 (ko) 안전벨트 길이고정장치
KR100255450B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KR100502629B1 (ko)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KR19990010533A (ko) 시트벨트의 웨빙 로킹(Locking)장치
KR200145068Y1 (ko) 승객보호용 안전띠
KR0177427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25719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웨빙 가이드장치
KR10023565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KR0125124Y1 (ko)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구조
KR19990020796U (ko) 안전벨트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