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659B1 -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659B1
KR100235659B1 KR1019970038711A KR19970038711A KR100235659B1 KR 100235659 B1 KR100235659 B1 KR 100235659B1 KR 1019970038711 A KR1019970038711 A KR 1019970038711A KR 19970038711 A KR19970038711 A KR 19970038711A KR 100235659 B1 KR100235659 B1 KR 10023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le
seat belt
shaf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238A (ko
Inventor
안성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3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6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에 리트렉터로부터 풀려 나오는 벨트를 탑승자의 어깨위에서 방향 전환토록 하는 어퍼 앤커 플레이트 커버가 고정된 필라에 있어서, 필라(10)의 일측에 삽입공(11)을 형성하여 중앙에 구멍(21)과 양측으로 체결돌기(22)(23)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커버(20)를 삽입하며, 상기 커버(20)의 내측으로 도어 스위치(SW1)에 연결된 ECU(70)와 모터(30)를 고정하기 위하여 모터 고정구(40)를 체결부재(50)로 고정하되, 상기 모터의 축(31)은 단부에 체결나사부(31a)와 회전 방지용 돌기(31b)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에 결합되는 축삽입공(60)과 구멍(62) 및 어퍼 앵커 플레이트 고정용 구멍(64)을 일체로 형성한 로드(60)로 구성하며, 버클 내부에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스위치(SW2)로 구성되어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시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색인어]
시트벨트, 버클, 리트렉터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이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라의 일측에 고정되어 벨트의 방향 전환시키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탑승자가 안전벨트 착용시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장, 단거리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편의성으로 많이 보급되어 있고 제작 및 조립의 정밀도로 고속주행이 가능토록 하여 더욱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커지고 사고 발생시 그 피해액 및 손해가 더더욱 커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 발생시 차내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통상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인 사이드 미러, 룸 밀러, 차폭등과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인 브레이크 장치 그리고 충돌시 2차충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벨트와 에어백 등을 구비하여 출고되고 있으며, 주행중 안전벨트의 착용은 현재 법령으로 그 착용을 의무화 하도록 하고 있다.
이 안전벨트는 제3도에 도시한 필라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 벨트는 후로워 패널이나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내부에 벨트(110)를 보관하기 위한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00)와 벨트(110)상의 웨빙가이드(105) 및 탑승자의 어깨상부로부터 벨트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필터(130)에 고정된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120) 및 시트벨트 버클(140)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되는 삽입구(125)로 구비되며, 벨트의 단부는 시트벨트 슬라이딩 바(15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비된 시트벨트의 착용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왼손이나 오른손으로 벨트(110)상에서 슬라이딩 바(150)로 이동하는 삽입구(125)를 잡아당기게 되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00)의 내부에 말려있던 벨트가 풀리면서 손에 쥔 삽입구(125)의 단부를 시트벨트 버클(140)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주행 중 급제동이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록킹부(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벨트가 고정이 되면서 승객이 전방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해체시는 시트벨트 버클(140)의 일축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그 내부에 있는 걸림부가 이격이 되면서 삽입구(125)가 빠지게 되어 해체가 된다.
그러나, 차량이 탑승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될 때 2도어 차량의 경우는 필라의 앞부분에 프론트 시트의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상체를 뒤로 돌린 상태에서 밸트를 손으로 잡아당겨 착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를 방향 전환시키는 모터를 이용하여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점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이동장치의 분해 사시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
제2a도는 탑승자가 시트에 앉기 전이며.
제2b도는 탑승자가 시트에 앉은 후이다.
제3도는 종래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가 필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라 11 : 삽입공
20 : 커버 21 : 구멍
22, 23 : 체결돌기 30 : 모터
31 : 축 31a : 체결나사부
31b : 회전방지용 돌기 40 : 모터 고정구
50 : 체결부재 60 : 로드
61 : 축삽입공 62 : 구멍
64 : 고정용 구멍 70 : ECU
SW1 : 도어 스위치 SW2 : 스위치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라의 일측에 삽입공(11)을 형성하여 구멍(60)과 체결돌기(22)(23)를 구비한 커버(20)를 삽입하며, 상기 커버(20)의 내측으로 도어 스위치(SW1)에 연결된 모터(30)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고정구(40)와 커버(2)를 체결부재(50)로 고정하고, 상기 모터(30)의 축(31)은 체결나사부(31a)와 회전방지용 돌기(31b)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축에 결합되는 축삽입공(61)과 구멍(62) 및 어퍼 앵커 플레이트 고정용 구멍(64)을 일체로 형성한 로드(60)로 구성하고 버틀 내부에 모터와 연결되는 스위치(SW2)로 구성되어 안전벨트를 착용시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이동장치의 분해 사시 예시도로서,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로부터 풀려나오는 벨트를 탑승자의 어깨 위에서 방향 전환 하도록 하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가 고정된 필라에 있어서, 필라(10)의 일축으로 커버(2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을 형성하되, 상기 커버(20)는 그 양측으로 삽입공(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돌기(22)(23)를 양측으로 구비하고 중앙으로 구멍(21)을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상기 커버(20)의 내측으로 모터 고정구(40)에 체결부재(50)로 고정된 모터(30)에 도어 스위치(SW1)의 온/오프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출력(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ECU(70)를 구비하되, 상기 모터(30)에 구비되어 있는 축(31)은 그 단부에 체결나사부(31a)와 회전방지용 돌기(31b)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서, 상기 회전 방지용 돌기(31b)와 상기 로드(60)의 구멍이 너트(미도시)로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시 상기 로드(6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터(30) 단부의 홈과 상기 모터고정구(40) 및 상기 커버(20)를 상기 체결부재(50)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30)를 고정시킨다.
이때 ECU(70)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낮아 모터(30)를 직접적으로 구동하기 어려움으로 트래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그 전압을 높이도록 하였다.
상기 축(31)의 단부에 삽입되는 축삽입공(61)과 회전방지용 돌기(31b)를 삽입하는 구멍(62) 및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구멍(64)을 일체로 형성한 로드(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30)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스위치(SW2)가 구비된 버클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제2도의 작용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나 승객이 시트에 앉아 도어를 달게 됨과 동시에 도어 스위치(SW1)의 단락으로 차내에 승객이 있다는 것을 감지한 ECU(70)은 수초 후에 모터(30)로 전원을 인가하여 이를 구동시키게 되며 모터의 축(31)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그 담부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드(60)의 하부는 승객의 좌측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좌, 우측 손으로 벨트의 일측을 잡아 당겨 자신의 신체에 맞도록 한 다음 벨트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구를 버클에 삽입하게 됨과 동시에 스위치(SW2)가 온이 되어 모터(30)를 역회전시켜 로드(60)를 최초의 상태로 오게 되는 것으로 벨트 착용은 완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라의 일측에 벨트를 방향 전환시키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프론트 시트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착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필라(10)의 일측에 삽입공(11)을 형성하여 중앙의 구멍(21)과 양측의 체결돌기(22)(23)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커버(20)를 삽입하며, 상기 커버(20)의 내측으로 도어 스위치(SW1)에 연결된 모터(30)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고정구(40)와 상기 모터(30)의 단부의 홈을 체결부재(50)로 고정하고, 상기 모터의 축(31)은 체결나사부(31a)와 상기 모터(30)의 단부에 회전 방지용 돌기(31b)를 일체료 형성하고 상기 축(31)에 결합되는 축 삽입공(61)과 구멍(62) 및 어퍼 앵커 플레이트 고정용 구멍(64)을 일체로 형성한 로드(60)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 방지용 돌기(31b)와 상기 로드(60)의 구멍(62)을 나사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KR1019970038711A 1997-08-13 1997-08-13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KR10023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711A KR100235659B1 (ko) 1997-08-13 1997-08-13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711A KR100235659B1 (ko) 1997-08-13 1997-08-13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238A KR19990016238A (ko) 1999-03-05
KR100235659B1 true KR100235659B1 (ko) 1999-12-15

Family

ID=1951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711A KR100235659B1 (ko) 1997-08-13 1997-08-13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6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238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215B2 (en) Seat belt retractor
US4688849A (en) Child passenger secur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US7431119B2 (en) Seat belt retractor
US6691944B2 (en) Seat belt retractor
US4343489A (en) Seatbelt system
GB2257195A (en) Restraining belt clamping device
JP2001187561A (ja) 搭乗者拘束装置用のベルトリトラクタ
KR10023565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US4236730A (en) Seatbelt system
KR20015631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KR100384026B1 (ko)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100265963B1 (ko) 자동 시트 벨트
US4241940A (en) Passive seatbelt system
KR0166178B1 (ko) 자동차 시트 벨트 로커에 설치한 로드 리미터
KR0131019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감김방지구
KR0142252B1 (ko) 리어시트 벨트 체결 보조 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2001456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100337812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충격완화구조
KR19980044020A (ko) 자동차 시트벨트용 버클장착구조
KR19990010533A (ko) 시트벨트의 웨빙 로킹(Locking)장치
KR950004348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풀리용 캡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