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311Y1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11Y1
KR200156311Y1 KR2019970023230U KR19970023230U KR200156311Y1 KR 200156311 Y1 KR200156311 Y1 KR 200156311Y1 KR 2019970023230 U KR2019970023230 U KR 2019970023230U KR 19970023230 U KR19970023230 U KR 19970023230U KR 200156311 Y1 KR200156311 Y1 KR 200156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belt
fixed
screw portion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968U (ko
Inventor
김종복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3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1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트로부터 풀려 나오는 벨트를 탑승자의 어깨 위에서 방향 전환토록 하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가 고정된 필라에 있어서, 나사공(11a)(12b)이 형성된 지지부재(11)(12)를 체결부재로 트림(13)의 일측면에 고정토록 한 지지부(10)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원주면에 나사부(21)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나사부(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가동축(20)과; 상기 체결나사부를 삽입하기 위한 암나사공(31)을 구비하고 힌지부(32)(32a)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홀딩용 부재(33)가 탄성부재(34)를 매개체로 고정된 가이더부(30)를 구비하되, 나사부(21)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커버(40)를 구비하며, 이탈방지용 부재(51a)(51b)를 구비한 종동기어(5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2)와 이 종동기어에 맞물려 가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공(53a)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피동기어(53)로 구비된 가동부(50)를 트림에 고정토록 하는 것으로 안전벨트 착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경유하여 방향이 전환된 벨트의 일측에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벨트 가이더를 형성하고 이 가이더가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토록 하여 수월하게 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고 발생시 차내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전벨트와 에어백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주행중 안전벨트의 착용은 현재 법령으로 그 착용을 의무화토록 하고 있다.
이 안전벨트는 도 3 의 시트 벨트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벨트는 후로워 패널이나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내부에 벨트(110)를 보관하기 위한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00)와 벨트(110)상의 웨빙가이드(105) 및 탑승자의 어깨상부로부터 벨트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필러(130)에 고정된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120) 및 시트벨트 버클(140)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되는 삽입구(125)로 구비되며, 벨트의 단부는 시트벨트 슬라이딩 바(150)에 고정이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비된 시트 벨트의 착용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왼손이나 오른손으로 벨트(11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삽입구(125)를 잡아당기게 되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00)의 내부에 말려있던 벨트가 풀리면서 손에 쥔 삽입구(125)의 단부를 시트벨트 버클(140)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주행중 급제동이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록킹부(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벨트가 고정이 되면서 승객이 전방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해체시는 시트벨트 버클(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그 내부에 있는 걸림부가 이격이 되면서 삽입구(125)가 빠지게 되어 해체가 된다.
그러나, 2도어 차량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될 때는 그 구조상 필라의 앞부분에 프론트 시트의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상체를 뒤로 돌린 상태에서 벨트를 손으로 잡아당겨 착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고 자칫, 허리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어퍼 행커 플레이트 커버를 지나 방향이 전환된 벨트의 일측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더와 가이더의 이동수단을 구비시켜 벨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벨트 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시의 종단면 예시도로서,
2a는 평상시 시트 벨트를 착용하기 전이며,
3b는 시트 밸트가 탑승자의 어깨근처까지 이동한 상태이다.
도 3 은 종래 고안에 따른 시트 벨트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 11,12 : 지지부재
11a,12b : 나사공 13 : 트림
20 : 가동축 21 : 나사부
22 : 체결나사부 30 : 가이더부
31 : 암나사공 32,32a : 힌지부
33 : 홀딩용 부재 34 : 탄성부재
40 : 더스트커버 50 : 가동부
51 : 종동기어 51a,51b : 이탈방지용 부재
52 : 모터 53 : 피동기어
53a : 나사공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체결부재로 트림의 일측면에 고정토록 한 지지부와 나사공에 결합되는 원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나사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가동축과 체결나사부를 삽입하기 위한 암나사공을 구비하고 힌지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홀딩용 부재가 탄성부재를 매개체로 고정된 가이더부를 구비하되, 나사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커버를 구비하며, 이탈방지용 부재를 구비한 종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이 종동기어에 맞물려 가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공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피동기어로 구비된 가동부를 트림에 고정토록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트로부터 풀려 나오는 벨트를 탑승자의 어깨 위에서 방향 전환토록 하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가 고정된 필라에 있어서, 본 고안은 트림(13)의 일측에 벨트를 고정하고 있는 가이더부(30)를 가동부(50)의 작동으로 이동시키는 가동축(20) 및 이를 고정하는 지지부(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0)는 가동축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공(11a)(12b)이 형성된 지지부재(11)(12)를 구비하여 체결부재로 트림(13)의 일측에 고정한다.
상기 가동축(20)은 나사공(11a)(12b)에 결합되는 원주면에 나사부(21)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나사부(22)를 일체형하며, 상기 가이더부(30)는 가동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벨트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체결나사부(22)를 삽입하기 위한 암나사공(31)을 구비하고 힌지부(32)(32a)를 구비하여 홀딩용 부재(33)를 고정하되, 상기 홀딩용 부재(33)는 벨트를 고정시키도록 탄성부재(34)를 사용하며, 외측으로 나사부(21)가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커버(40)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50)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회전력으로 가동축을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가동축(20)을 삽입하기 위한 나사공(53a)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피동기어(53)와 이 피동기어(5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2)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종동기어(51)를 구비하되, 동력전달시 피동기어(53)와 종동기어(5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부재(51a)(51b)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60)는 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하여 그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를 ON시킴과 동시에 구동부(50)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52)가 회전하면서 그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종동기어(5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종동기어(51)의 회전으로 이와 접해 있는 피동기어(53)가 회전을 하게 되고 그 중앙에 있는 나사공(53a)이 회전을 하게 되며, 나사공(53a)과 나사부(2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축(20)은 전방(프론트 시트방향)으로 돌출이 되면서 그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더부(30)를 이동시킨다.
이 가이더부(30)의 이동으로 홀딩부재(33)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벨트(60)가 사용자의 어깨 근처로 위치하게 되면 벨트(60)를 손으로 잡아당겨 버클에 삽입하는 것으로 안전벨트는 착용이 된다.
이때, 스위치를 OFF 함과 동시에 모터(52)는 역회전으로 가이더부(30)를 리어시트 방향으로 이동시켜 최초의 상태로 됨과 동시에 정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경유하여 방향이 전환된 벨트의 일측에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벨트 가이더를 형성하고 이 가이더가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벨트착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트로부터 풀려 나오는 벨트를 탑승자의 어깨 위에서 방향 전환토록 하는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가 고정된 필라에 있어서, 나사공(11a)(12b)이 형성된 지지부재(11)(12)를 체결부재로 트림(13)의 일측면에 고정토록 한 지지부(10)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원주면에 나사부(21)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나사부(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가동축(20)과; 상기 체결나사부를 삽입하기 위한 암나사공(31)을 구비하고 힌지부(32)(32a)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홀딩용 부재(33)가 탄성부재(34)를 매개체로 고정된 가이더부(30)를 구비하되, 나사부(21)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커버(40)를 구비하며, 이탈방지용 부재(51a)(51b)를 구비한 종동기어(5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2)와 이 종동기어에 맞물려 가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공(53a)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피동기어(53)로 구비된 가동부(50)를 트림에 고정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이송장치.
KR2019970023230U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KR200156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30U KR200156311Y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30U KR200156311Y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8U KR19990009968U (ko) 1999-03-15
KR200156311Y1 true KR200156311Y1 (ko) 1999-10-01

Family

ID=1950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230U KR200156311Y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68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631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JPH03258637A (ja) ショルダーベルト位置調整装置の螺子軸と駆動ケーブルとの連結装置及び方法
KR100199629B1 (ko) 시트 벨트 길이 기억장치
KR10023565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KR19980044020A (ko) 자동차 시트벨트용 버클장착구조
JPH04349041A (ja) 座席
KR0175243B1 (ko)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접촉 노이즈 방지용 구조
JPH04278863A (ja) シートベルトのショルダーベルト位置調整装置
KR100384026B1 (ko)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KR016025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자동높이조절장치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KR0141621B1 (ko)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KR200152756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퍼 앵커 이동장치
KR2001456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KR0134526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체결용 버클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100195033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안전벨트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200205957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KR200180951Y1 (ko) 자동차용 패시브 시트 벨트
KR19990033852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KR100738154B1 (ko) 시트벨트 록 커버
KR19980040419U (ko) 자동차의 숄더 벨트 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