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957Y1 - 자동차용 시트 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957Y1
KR200205957Y1 KR2020000020832U KR20000020832U KR200205957Y1 KR 200205957 Y1 KR200205957 Y1 KR 200205957Y1 KR 2020000020832 U KR2020000020832 U KR 2020000020832U KR 20000020832 U KR20000020832 U KR 20000020832U KR 200205957 Y1 KR200205957 Y1 KR 200205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ing member
roller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
배창수
Original Assignee
최문
배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 배창수 filed Critical 최문
Priority to KR2020000020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25Belt guides us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 벨트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가 개시된다.
종래에 시트 벨트와 고정부재와의 마찰력 등에 의해 시트 벨트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착용감이 불편하고 착용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은 차체 측에 고정된 권취부 내에 권취됨과 동시에 타단은 차체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고정된 시트 벨트와, 상기 시트 벨트를 지지하는 앵커 및 버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선단에 로킹부(21)가 형성되고, 배면 측에는 시트 벨트(30)와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로울러(40)(60)가 회동 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시트 벨트가 회전되는 로울러에 접촉됨에 따라 시트 벨트의 착용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며, 착용 후에도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착용률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사고시 시트 벨트의 미착용에 따른 인명 피해가 최소화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벨트{Seat belt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벨트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탑승자의 활동이 자유롭도록 함과 동시에 시트 벨트의 착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는 자동차의 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충격력에 의해 2차적으로 차체 등에 부딪힘으로써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탑승자는 의무적으로 착용하여야 한다.
종래 자동차용 시트 벨트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벨트(10)의 일단은 탄성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11)가 형성되어 차체 내에 위치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차체에 고정된 앵커(12)를 통하여 인출되어 있으며, 선단은 차체에 고정된 지지부재(1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 벨트(10)의 중간에는 고정부재(14)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4)는 시트(15)의 일측에 고정된 버클(16)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트(15)에 탑승자가 착석하면 고정부재(14)를 당겨서 그 선단을 버클(16)에 결합시키면 시트 벨트(10)는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고정부재(14)를 버클(16)로부터 분리하면 로킹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 벨트는 고정부재를 버클에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때 고정부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당기게 되는데, 이때 시트 벨트와 고정부재의 마찰력에 의해 그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 후에는 권취부에서 작용하는 권취력과 고정부재와 시트 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탑승자의 활동이 불편하게 되고, 이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운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시트 벨트를 느슨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별도의 시트 벨트 고정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사고시 인명 피해가 크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 벨트 착용 시에도 착용자의 활동이 자유롭고 편리하도록 하여 시트 벨트의 착용을 유도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한 고정부재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앵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고정부재 30: 시트 벨트
40,60,71: 로울러 41: 안내 로울러
42: 경사면 62,63: 측면 로울러
63: 유도 로울러 70: 앵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는, 일단은 차체 측에 고정된 권취부 내에 권취 됨과 동시에 타단은 차체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고정된 시트 벨트와, 상기 시트 벨트를 지지하는 앵커 및 버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선단에 로킹부가 형성되고, 배면 측에는 시트 벨트와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로울러가 회동 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 벨트가 회전되는 로울러에 접촉됨에 따라 시트 벨트의 착용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며, 착용 후에도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착용률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사고시 시트 벨트의 미착용에 따른 인명 피해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고정부재(20)의 선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버클 내에 로킹 또는 해제되는 로킹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0)의 배면 측에는 시트 벨트(3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름 운동하는 로울러(40)가 회동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40)는 양측에 시트 벨트(30)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 로울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로울러(41)는 고정부재(20)에 형성된 요홈(22) 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요홈(22)의 일측면은 안내 로울러(41)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로울러(41)의 내측에는 시트 벨트(30)가 벗어나는 것을 저지하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40)의 양단은 고정부재(20)에 결합된 베어링(50) 내에 고정되어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는 로울러(40)에 시트 벨트(30)가 도 2 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겨진 상태에서 착용자가 고정부재(20)를 잡고 당겨서 도시하지 않은 버클 내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를 당기면 도시하지 않은 권취부 내에 감겨져 있던 시트 벨트(30)가 풀려지면서 인출되는데, 상기 로울러(40)가 베어링(50)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회동됨으로써 시트 벨트(30)와 로울러(40)와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시트 벨트(30)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 벨트(30)를 착용한 후에도 착용자가 움직이게 되면 로울러(40)의 회동 작동에 의해 시트 벨트(30)가 풀려지거나 조여지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편안한 상태가 유지됨은 물론 운전 등의 활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 고정부재(20)의 선단에는 로킹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면 측에는 로울러(60)가 베어링(50)에 의해 회동 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측면 로울러(61)(62) 및 유도 로울러(63)가 회전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 로울러(61)(62) 및 유도 로울러(63)는 로울러(60)의 일측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60)를 통하여 인출된 시트 벨트(3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며, 특히 착용자의 어깨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시트 벨트(30)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로울러(60) 및 측면 로울러(63)에 걸쳐서 시트 벨트(30)가 위치됨에 따라 착용자의 어깨 측으로 위치되는 시트 벨트(30)를 더욱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케 되며, 이에 따라 착용자가 시트 벨트(3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자유롭게 됨은 물론 착용 상태가 더욱 편안하게 유지되고, 사고 시에도 더욱 인명 피해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 벨트(30)를 지지하는 앵커(70)의 하측에는 로울러(71)가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71)는 시트 벨트(30)와 구름 접촉됨으로써 시트 벨트(30)의 인출시나 해제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 벨트(30)의 착용 및 해제가 편리하게 됨은 물론 착용 시에도 착용자의 활동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 벨트가 회전되는 로울러에 접촉됨에 따라 시트 벨트의 착용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며, 착용 후에도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착용률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사고시 시트 벨트의 미착용에 따른 인명 피해가 최소화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단은 차체 측에 고정된 권취부 내에 권취 됨과 동시에 타단은 차체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고정된 시트 벨트와, 상기 시트 벨트를 지지하는 앵커 및 버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선단에 로킹부(21)가 형성되고, 배면 측에는 시트 벨트(30)와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로울러(40)(60)가 회동 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40)(60)는 양측에 일측이 경사진 경사면(42)을 갖는 안내 로울러(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일측면에는 로울러(40)(60)에서 인출된 시트 벨트(30)를 유도하는 측면 로울러(61)(62) 및 유도 로울러(63)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70)는 시트 벨트(30)와 구름 접촉되도록 로울러(7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2020000020832U 2000-07-21 2000-07-21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200205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832U KR200205957Y1 (ko) 2000-07-21 2000-07-21 자동차용 시트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832U KR200205957Y1 (ko) 2000-07-21 2000-07-21 자동차용 시트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57Y1 true KR200205957Y1 (ko) 2000-12-01

Family

ID=1966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832U KR200205957Y1 (ko) 2000-07-21 2000-07-21 자동차용 시트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196A (en) Retraction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belt
JP3754015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US4139215A (en) Automobile safety belt
KR200205957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US4185791A (en) Device for preventing a belt from being pulled from a retractor
JPH0872669A (ja) ヘルメットおよび自動車の安全装置
JP553014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43797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장치
KR100513678B1 (ko) 차량용 4점 지지 시트벨트
KR1005162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JP312611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265938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20014184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JPH0213260Y2 (ko)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JPH043892Y2 (ko)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19980048725U (ko) 시트벨트장치
KR011336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KR0128043Y1 (ko)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KR20015631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KR19980048851U (ko) 시트벨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