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43Y1 -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43Y1
KR0128043Y1 KR2019960014690U KR19960014690U KR0128043Y1 KR 0128043 Y1 KR0128043 Y1 KR 0128043Y1 KR 2019960014690 U KR2019960014690 U KR 2019960014690U KR 19960014690 U KR19960014690 U KR 19960014690U KR 0128043 Y1 KR0128043 Y1 KR 0128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belt
point seat
fix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235U (ko
Inventor
이득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4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043Y1/ko
Publication of KR980002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벨트의 잠금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2점식 시트벨트는 일단이 시트에 고정되어 타단에 버클(110)이 결합된 제 1 벨트(100)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제 1 벨트(100)와 결속할 수 있도록 타단에 텅플레이트(210)가 결합된 제 2 벨트(200)로 구성되며, 텅플레이트(210)의 내부에는 록킹바(220)가 내장되고 이 록킹바(220)에 제 2 벨트(200)가 감긴 다음 인출되어 그 선단이 제 2 벨트(20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한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벨트(200)의 선단에 잠금수단(230)을 마련하여 상기 제 2 벨트(200)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제1도는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2점식 스트벨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2점식 시트벨트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벨트 110 : 버클
200 : 제2벨트 210 : 텅플레이트
220 : 록킹바 230 : 잠금수단
본 고안은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벨트의 잠금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시트벨트는 고정되는 부위의 수자에 따라 2점식과 3점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전자의 2점식 시트벨트는 고정부위가 2곳이며 착용시 벨트가 골반을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승용차에서는 주로 리어 시트에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후자의 3점식 시트벨트는 고정부위가 3곳이며 착용시 벨트가 가슴과 골반을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으로써 승용차에서는 주로 프론트 시트에 적용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 시사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 요부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는 일단이 시트에 고정되고 타단에 버클(11)이 결합된 제 1 벨트(10)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제1 벨트(10)와 결속할 수 있도록 타단에 텅플레이트(21)가 결합된 제 2 벨트(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텅플레이트(21)의 내부에는 록킹바(22)가 내장되고 이 록킹바(22)에 제 2 벨트(20)가 감긴 다음 인출되어 그 선단에 결합된 가이드(23)에 의하여 제 2 벨트(20)상에 이동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그리하여, 시트벨트의 착용후 시트벨트에 일시적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록킹바(22)가 이동하여 제 2 벨트(20)를 텅플레이트(21)의 내면에 밀착시켜 주므로 시트벨트가 록킹된다.
그런데,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는 제 2 벨트(20)를 당기는 힘이 일정한도 이상으로 크면 록킹바(22)에 의하여 완전히 록킹되지 않고 미끄러져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2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를 몸을 안전하게 잡아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2점식 시트벨트의 제 2 벨트에 보조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시트벨트를 당기는 힘이 일정한도 이상으로 커지더라도 완전한 록킹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2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를 몸을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2점식 시트벨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2점식 시트벨트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2점식 시트벨트는 일단이 시트에 고정되어 타단에 버클(110)이 결합된 제 1벨트(100)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제 1 벨트(100)와 결속할 수 있도록 타단에 텅플레이트(210)가 결합된 제 2 벨트(200)로 구성되며, 텅플레이트(210)의 내부에는 로킹바(220)가 내장되고 이 록킹바(220)에 제 2 벨트(200)가 감긴 다음 인출되어 그 선단이 제 2 벨트(20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한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벨트(200)의 선단에 잠금수단(230)을 마련하여 상기 제 2 벨트(200)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는 일단이 시트에 고정되고 타단에 버클(110)이 결합된 제 1 벨트(100)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제 1 벨트(100)와 결속할 수 있도록 타단에 텅플레이트(210)가 결합된 제 2 벨트(2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텅플레이트(210)의 내부에는 록킹바(220)가 내장되고 이 록킹바(220)에 제 2 벨트(200)가 감긴 다음 인출되어 그 선단에 결합된 잠금수단(230)에 의하여 제 2 벨트(200)상에 이동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예시한 잠금수단(230)은 클립의 일종으로서 제 2 벨트(2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착용시, 시트벨트에 일시적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록킹바(220)가 이동하여 제 2 벨트(200)를 텅플레이트(210)의 내면에 밀착시켜 주므로 시트벨트가 록킹된다. 그리고 시트벨트의 착용시 잠금수단(230)을 잠그면 제 2 벨트(200)를 당기는 힘이 일정한도 이상으로 커지더라도 잠금수단(230)에 의하여 완전히 록킹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2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를 몸을 안전하게 잡아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 2 벨트(200)에 보조 잠금수단(230)을 구비하여 제 2 벨트(200)를 당기는 힘이 일정한도 이상으로 커지더라도 완전한 록킹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동사고시 탑승자의 몸을 안전하게 잡아주어 상해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단이 시트에 고정되고 타단에 버클(110)이 결합된 제 1 벨트(100)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제 1 벨트(100)와 결속할 수 있도록 타단에 텅플레이트(210)가 결합된 제 2 벨트(200)로 구성되며, 텅플레이트(210)의 내부에는 록킹바(220)가 내장되고 이 록킹바(220)에 제 2 벨트(200)가 감긴 다음 인출되어 그 선단이 제 2 벨트(20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한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벨트(200)의 선단에 잠금수단(230)을 마련하여 상기 제 2 벨트(200)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KR2019960014690U 1996-06-03 1996-06-03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KR0128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690U KR0128043Y1 (ko) 1996-06-03 1996-06-03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690U KR0128043Y1 (ko) 1996-06-03 1996-06-03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235U KR980002235U (ko) 1998-03-30
KR0128043Y1 true KR0128043Y1 (ko) 1998-12-15

Family

ID=1945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690U KR0128043Y1 (ko) 1996-06-03 1996-06-03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0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235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8849A (en) Child passenger secur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GB2257195A (en) Restraining belt clamping device
JPH05211908A (ja) 乗物用安全装置及び安全装置用のタング・アセンブリ
US6224105B1 (en) Arrangement for safety-belt
US3317243A (en) Safety belts
KR0128043Y1 (ko) 자동차의 2점식 시트벨트
GB1572630A (en) Threepoint safety belt with double shoulder strap
GB2395465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diagonal belt
US4315638A (en) Transfer device for passive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s
KR012017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버클 보강장치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US5713602A (en) Seat belt for a vehicle
KR0131019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감김방지구
KR1005162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KR20020027901A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JPH09240425A (ja) 自動車用3点式安全ベルト装置
JPS5816767Y2 (ja) シ−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装置
JPH08216827A (ja) 連続3点式シートベルト用タングプレート
KR200145068Y1 (ko) 승객보호용 안전띠
KR19990017897U (ko) 탑승자용 자켓 타입 홀딩장치
KR20030048707A (ko) 차량용 시트벨트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100195033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안전벨트
KR19990023903U (ko) 시트벨트 버클 리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