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52A -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52A
KR19990033852A KR1019970055286A KR19970055286A KR19990033852A KR 19990033852 A KR19990033852 A KR 19990033852A KR 1019970055286 A KR1019970055286 A KR 1019970055286A KR 19970055286 A KR19970055286 A KR 19970055286A KR 19990033852 A KR19990033852 A KR 1999003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
belt
vibration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852A/ko
Publication of KR1999003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5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seat belt)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시트벨트에 진동을 부여하여 안전장치의 기능 이외에 운전자의 피로회복을 위한 마사지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20)상에 버클(50)을 갖춘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10)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0)와; 구동모터(70)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선택하는 제어스위치(80)와; 구동모터(70)의 축(72)단부에 그 축(72)과 편심회전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편심축(74)과; 상기 버클(50)과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후단이 편심축(74)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하며 벨트(20)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체결구(6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벨트에 진동을 일으키게 되므로 운전자의 경직된 근육을 풀거나 앉은 자세에서 피로한 신체에 마사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seat belt)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시트벨트에 진동을 부여하여 안전장치의 기능 이외에 운전자의 피로회복을 위한 마사지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화물의 운송수단 또는 사람들의 이동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주행성능의 급격한 발달로, 고속으로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고시 중상 또는 사망에 이르는 중대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개발시에는 안정성에 많은 관심과 노력이 투자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수단으로는 차체의 측면 등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 도어의 침입량을 줄여 차체의 손상정도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승객을 보호하는 임팩트빔(impact beam)과 같은 차량 차체에 대한 수단이 있고, 한편으로는 정면충돌시 등에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전면유리를 통해 차량외부로 튕겨나가 중상이나 사망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벨트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시트벨트는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현재 국내는 물론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제화되어 운전자 및 승객은 필히 시트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주로 2점식 또는 3점식등이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3점식 시트벨트는 착석자의 하복부를 가로지름과 동시에 가슴부분을 대각선 형태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시트벨트의 일단은 시트의 일측하단에 제공되는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수직 상부로 연장되어 차체의 측벽에 설치되는 고정구를 경유하여 다시 지지체상에 고정된다. 시트벨트는 지지체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항시 지지체내로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벨트상에는 시트의 타측 하단에 제공되는 체결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이 제공된다.
따라서, 시트벨트의 사용할 때에는 착석자는 버클을 잡아당기면 시트벨트가 탄성지지수단의 탄성력을 이기며 지지체로부터 풀려나오게 된다. 시트벨트를 충분히 잡아당긴 상태에는 버클을 체결구에 결합한 후 손을 놓게 되면 상기 탄성지지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체로 감겨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시트벨트는 착석자의 하복부 및 가슴부를 압박하며 충돌시 등에 시트로부터 튕겨나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2점식 시트벨트는 3점식 시트벨트와 큰 차이가 없으나 벨트가 착석자의 하복부만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시트벨트의 일단은 시트의 일측하단에 제공되는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자유상태로 유지하여 그 단부에 시트의 타측 하단에 제공되는 체결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이 제공된다. 시트벨트는 지지체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항시 지지체내로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기술은 시트벨트가 단순히 안전의 기능만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수단의 목적과 더불어 필요시 운전자의 피로회복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시트벨트에 진동을 유발하여 마사지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20: 시트벨트
30: 지지체 40: 고정구
50: 버클 60: 체결구
70: 구동모터 72: 모터축
74: 편심축 76: 스냅링
80: 제어스위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상에 버클을 갖춘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선택하는 제어스위치와; 구동모터의 축단부에 그 축과 편심회전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편심축과; 상기 버클과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후단이 편심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하며 벨트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3점식 시트 벨트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트벨트(20)의 일단은 시트(10)의 일측하단에 제공되는 지지체(3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수직 상부로 연장되어 고정핀(32)에 의해 차체의 측벽(2)에 설치되는 고정구(40)를 경유하여 다시 지지체(30)상에 고정된다. 시트벨트(2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지체(30)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항시 지지체(30)내로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벨트상에는 시트의 타측 하단에 제공되는 체결구(6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50)이 제공된다.
그리고, 시트의 내측에는 제어스위치(80)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 되는 구동모터(70)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스위치(80)는 구동모터(70)의 작동선택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70)의 축(72)단부에는 편심축(74)이 연결되어 있으며, 편심축(74)의 단부는 시트(10)의 측면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체결구(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편심축(74)의 단부에는 스냅링(76)이 제공되어 체결구(60)의 이탈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장기간 운전 또는 피로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의사에 따라 제어스위치(80)가 온되면, 구동모터(7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편심축(74)에 연결되어 있는 체결구(60)가 왕복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버클(50)에 의해 체결구(60)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0)가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진동은 착용자에게 전달되어 신체에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경직된 근육등이 풀리게 되고, 나아가서 하복부 및 가슴등에 마사지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20)의 진동은 편심축(74)의 편심량 및 구동모터(70)의 회전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마사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시트벨트(20)는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신체를 압박하는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평상시와 같이 안전수단으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작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의 실시예에서는 3점식 벨트의 예를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체결구의 유동을 유발토록하는 것으로서 이와 다른 형식 즉, 2점식 벨트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는 시트의 내부에 편심축을 갖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버클과 결합하는 체결구를 편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체결구가 왕복운동하며, 벨트에 진동을 일으키게 되므로 운전자의 경직된 근육을 풀거나 앉은 자세에서 피로한 신체에 마사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벨트(20)상에 버클(50)을 갖춘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10)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0)와;
    구동모터(70)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선택하는 제어스위치(80)와;
    구동모터(70)의 축(72)단부에 그 축(72)과 편심회전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편심축(74)과;
    상기 버클(50)과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후단이 편심축(74)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하며 벨트(20)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체결구(6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KR1019970055286A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KR19990033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86A KR19990033852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86A KR19990033852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52A true KR19990033852A (ko) 1999-05-15

Family

ID=6604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286A KR19990033852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09B1 (ko) * 1999-10-19 2005-12-21 양문칠 좌석 벨트 마사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2742B1 (ko) * 2006-08-21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를 이용한 경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09B1 (ko) * 1999-10-19 2005-12-21 양문칠 좌석 벨트 마사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2742B1 (ko) * 2006-08-21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를 이용한 경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3852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진동장치
JP3116227B2 (ja) シートベルトの長さ記憶装置
KR200156292Y1 (ko) 진동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시트밸트
KR200180458Y1 (ko)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15631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이송장치
KR100196173B1 (ko)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KR20000007741U (ko) 마사지 가능한 안전벨트 기구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KR940000524Y1 (ko) 차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휴대용 안전장치
KR200272618Y1 (ko) 안전벨트
KR960009485Y1 (ko) 자동차의 3도어용 안전벨트지지대
KR0135006Y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판넬로 내장된 어린이용 시트
KR0175243B1 (ko)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접촉 노이즈 방지용 구조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100323094B1 (ko) 시트 벨트의 복부 조임 방지 고리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
KR910006989Y1 (ko) 차내 승객을 보호하는 안전망장치
KR19980021844U (ko) 어린이용 안전밸트
KR20050038686A (ko) 졸음운전 방지용 자동차 헤드레스트
KR920002676Y1 (ko) 자동차용시트의 헤드레스트
JPH04303054A (ja) ベルト一体シート装置
KR0134238Y1 (ko) 자동차 시트벨트 소음방지용 센터 필라
KR940007890Y1 (ko) 안전벨트부착식 에어백
KR0154629B1 (ko) 안전도를 고려한 조향기어 하우징
KR19990041280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