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58Y1 -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58Y1
KR200180458Y1 KR2019990027681U KR19990027681U KR200180458Y1 KR 200180458 Y1 KR200180458 Y1 KR 200180458Y1 KR 2019990027681 U KR2019990027681 U KR 2019990027681U KR 19990027681 U KR19990027681 U KR 19990027681U KR 200180458 Y1 KR200180458 Y1 KR 200180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assage device
car
presen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배
Original Assignee
신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배 filed Critical 신현배
Priority to KR2019990027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2) 내부에 안마장치가 구비되어, 헤드레스트(2)의 외면에 설치된 스위치(5)의 조작으로 안마장치를 작동시키면, 헤드레스트(2)가 진동하여 사용자의 목 부분을 자극함으로써,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서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졸음 운전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HEADREST OF CAR INCLUDING KNEADER}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안마장치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탑승자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된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인체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가 마련되어 있어서,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탑승자, 그 중에서도 운전자는 장시간의 운전과 고정된 자세가 지속됨으로 인해 신체의 경직이나 피로가 쌓이는 등 무리가 따르는 것이 사실이고, 심할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우려마저 있었다.
특히, 현대인의 생활 습관은 운동부족이 많은데다, 자동차 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인체의 경직과 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 사고는 물론, 성인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다방면으로 해결책을 찾고 있는 상황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내부에 안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운전 중에 또는 탑승 중에 선택적으로 안마장치를 동작시켜서 목의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고 졸음운전의 방지 및 스트레스의 해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내부에 안마장치가 내장되어 자동차의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건전지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고 헤드레스트 외면 일단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안마장치의 동작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시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안마장치를 동작시키면, 헤드레스트가 진동 또는 타격되면서 탑승자의 목을 안마하여 피로를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 - 상기 도 1의 가-가'선 단면도
도 3 -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차 시트 2 ; 헤드레스트
3 ; 모터 4 ; 진동축
5 ; 스위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가-가'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시트(1)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2)의 내부에 안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안마장치는 모터(3)와 진동축(4)으로 되어 있고, 건전지 또는 자동차의 밧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3)를 동작시키는 스위치(5)는 헤드레스트(2)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스위치(5)는 운전석의 스위치판넬에 별도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마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안마장치의 기술을 적용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안마장치를 동작하고자 하면, 스위치(5)를 조작하여 모터(3)를 동작시키고, 모터(3)의 축에 해당하는 진동축(4)이 회전 진동하면서 헤드레스트(2)가 진동하여 사용자의 목 부분을 자극하게 된다.
상기의 진동축(4)은 그 형상에 따라 떨림 또는 타격 등의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자극은 운전에 따른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서, 피로를 회복시키고 졸음 운전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2) 내부에 안마장치가 구비되어, 헤드레스트(2)의 외면에 설치된 스위치(5)의 조작으로 안마장치를 작동시키면, 헤드레스트(2)가 진동하여 사용자의 목 부분을 자극함으로써,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서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졸음 운전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의 내부에 모터(3)와 진동축(4)으로 이루어지는 안마장치가 설치되어 건전지 또는 자동차 밧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 (3)가 헤드레스트(2)의 외면에 설치되는 스위치(5)에 의해 조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19990027681U 1999-12-09 1999-12-09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180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681U KR200180458Y1 (ko) 1999-12-09 1999-12-09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681U KR200180458Y1 (ko) 1999-12-09 1999-12-09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58Y1 true KR200180458Y1 (ko) 2000-05-01

Family

ID=1960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681U KR200180458Y1 (ko) 1999-12-09 1999-12-09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4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39B1 (ko) * 2004-10-21 2008-09-0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투과막, 산소 투과 시트, 및 이들을 포함한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39B1 (ko) * 2004-10-21 2008-09-0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투과막, 산소 투과 시트, 및 이들을 포함한 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0458Y1 (ko)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170017193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KR200415290Y1 (ko) 차량용 진동베개
JP2018070075A (ja) 車両用シート
KR200341954Y1 (ko) 안마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200330587Y1 (ko) 목 안마기가 부착된 헤드레스트
KR100549834B1 (ko) 졸음운전 방지용 자동차 헤드레스트
KR200319563Y1 (ko) 자동차용 졸음운전 방지기
KR200209163Y1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발판
KR200361166Y1 (ko) 자동차용 경추 안마기
KR101038959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착탈되고 지압돌기부를 갖는 보조안착부재.
KR200163357Y1 (ko) 자동차용목베게
KR200379691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142012Y1 (ko) 의자 취부용 베개
KR100410715B1 (ko) 자동차용 시트 바이브레이터
KR19980035805U (ko) 진동 발생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15629U (ko) 자동차용 머리받이장치
KR20040038562A (ko) 차량용 시트의 진동 안마장치
KR0130761Y1 (ko) 안정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200148235Y1 (ko) 암레스트에 운동 기구를 구비한 시트
KR200324069Y1 (ko) 자동차 운전석용 목보호대
KR19980062978A (ko) 진동 발생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JPS625167Y2 (ko)
KR100616536B1 (ko) 음이온 발생 및 안마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헤드레스트.
KR19980017318U (ko) 안마장치가 내장된 차량의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