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968Y1 - 자동차의 리트렉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트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968Y1
KR200173968Y1 KR2019980000580U KR19980000580U KR200173968Y1 KR 200173968 Y1 KR200173968 Y1 KR 200173968Y1 KR 2019980000580 U KR2019980000580 U KR 2019980000580U KR 19980000580 U KR19980000580 U KR 19980000580U KR 200173968 Y1 KR200173968 Y1 KR 200173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retractor
spring
retraction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285U (ko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이형찬
주식회사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찬, 주식회사삼송 filed Critical 이형찬
Priority to KR2019980000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9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2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6)의 일단에는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2)의 인출을 방지하는 메카니즘부(8)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인출된 시트벨트(2)를 프레임(6)의 내측으로 되감아 주는 리트렉션부(12)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부(12)의 스프링 커버(80) 내측에 그 일단의 삽입홈(54)이 스프링 플레이트(40)의 삽입공(42)을 관통하여 샤프트(10)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아답터(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 아답터(50)의 외주면 일측에 이 제 1 아답터(50)와 일체로 된 구동기어(52)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52)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피동기어(62)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리트렉션 스프링(70)의 일단이 걸림되어 고정된 제 2 아답터(60)를 구비함으로써 시트벨트의 길이는 일정하고, 리트렉션부에 구비된 리트렉션 스프링의 중량 및 부피를 줄여 상기 리트렉터의 전체적인 중량 및 부피를 절감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트렉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트렉터의 일측면에 구비된 리트렉션부에 기어비를 이용하여 인출된 시트벨트를 리트렉터내로 되감아 주므로써 리트렉션부의 중량 및 부피를 저감시켜 리트렉터의 전체적인 중량 및 부피를 절감시키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대책으로 시트벨트를 마땅히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시트와 소정거리 이격된 센터필라의 하단부에 고정형성된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어 시트의 일측에 구비된 버클에 체결됨으로써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리트렉터에 구비된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리트렉터의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렉터(4)의 프레임(6) 내측에는 시트벨트(2)가 다수회 감김되어 구비되고, 이 시트벨트(2)의 일끝단은 리트렉터(4)의 프레임(6)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샤프트(10)에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10)의 양끝단은 프레임(6)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프레임(6)의 일단에는 차량의 충돌시 시트벨트(2)의 인출을 방지하게 되는 메카니즘부(8)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인출된 시트벨트(2)를 리트렉터(4)의 프레임(6)내로 되감아 주는 리트렉션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리트렉션부(12)는 스프링 커버(26)와 리트렉션 스프링(24)과 아답터(18), 그리고 스프링 플레이트(14)로 이루어졌다.
상기 스프링 커버(26)는 리트렉션부(12)의 외측을 이루며, 이 스프링 커버(26)가 프레임(6)에 장착되어 상기 리트렉션부(12)가 프레임(6)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커버(26)의 내부 일측에는 걸림홈(28)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28)에 스프링 커버(26)의 내측에 구비된 리트렉션 스프링(24)의 외측 일단이 걸림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24)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감김되어 구비되며, 이 리트렉션 스프링(24)의 내측 일단은 아답터(18)의 외주면 일측에서 그 내측의 삽입홈(20)으로 관통형성된 걸림공(22)에 걸림되어 구비된다.
상기 아답터(18)의 삽입홈(20)은 샤프트(10)의 일끝단과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샤프트(10)의 일단이 아답터(18)의 삽입홈(20)에 삽입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아답터(18)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24)이 소정량 감김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커버(26)의 일단에는 스프링 플레이트(14)가 체결고정되며, 이 스프링 플레이트(14)의 중앙부에는 관통된 삽입공(16)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6)을 통해 아답터(18)의 삽입홈(20) 일측이 돌출되어 샤프트(10)의 일단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자동차의 리트렉터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벨트(2)의 일측을 잡고 당겨 이 시트벨트(2)를 리트렉터(4)로부터 인출되게 하여 시트벨트(2)의 일측에 걸림되어 구비된 텅어세이(미도시)를 시트의 일측에 구비된 버클(미도시)에 삽입하여 고정되게 한다.
이때,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벨트(2)를 당기면 이 시트벨트(2)를 당기는 힘이 리트렉션 스프링(24)의 탄발력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 시트벨트(2)의 일단이 고정된 샤프트(10)가 리트렉터(4)의 프레임(6)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시트벨트(2)가 인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에 의해 시트벨트(2)가 인출될 시는 이 샤프트(10)의 일단이 스프링 플레이트(14)의 삽입공(16)을 통해 아답터(18)의 삽입홈(20)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아답터(18)는 샤프트(10)와 동일하게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아답터(18)의 회전에 의해 이 아답터(18)의 걸림공(22)에 연결된 리트렉션 스프링(24)은 아답터(18)의 외주면에 감김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24)은 그 일단이 아답터(18)의 걸림공(2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스프링 커버(26)의 걸림홈(28)에 걸림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24)에는 원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소정의 탄발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24)은 시트벨트(2)의 텅어세이가 버클에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원상태로는 복원되지 못하고, 다만 시트벨트(2)를 당겨 이 시트벨트(2)가 운전자나 탑승자의 몸을 시트(미도시)에 밀착시켜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충돌시는 리트렉터(4)의 프레임(6) 일단에 구비된 메카니즘부(8)가 시트벨트(2)의 인출을 방지하게 되고, 리트렉션부(12)의 리트렉션 스프링(24)이 상기와 같이 그 탄발력으로 인해 샤프트(10)를 역회전시켜 상기 시트벨트(2)를 리트렉터(4)내로 계속해서 당기게 되므로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체는 계속해서 시트에 밀착되어 부상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상기 리트렉터(4)내로 시트벨트(2)의 인입시는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24)이 그 탄발력으로 인해 역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이 리트렉션 스프링(24)의 일단에 연결된 아답터(18)를 동일한 방향으로 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아답터(18)의 역회전으로 인해 리트렉터(4)의 프레임(6) 내측에 구비된 샤프트(10)도 상기 아답터(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역회전되어 상기 시트벨트(2)를 리트렉터(4)내로 인입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자동차의 리트렉터는 이 리트렉터의 일단에 구비된 리트렉션부의 리트렉션 스프링은 상기 리트렉터내에 구비되어 샤프트에 감김된 시트벨트의 최대 인출량에 대응하게 감김되어 리트렉션부의 스프링 커버내에 구비되는데, 상기 리트렉션부는 그 내측에 구비된 리트렉션 스프링에 의해 그 전체적인 중량 및 부피가 크므로 상기 리트렉터의 전체중량과 부피를 크게 되고, 그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트렉터내에 구비된 시트벨트의 인출량은 동일하게 하고, 리트렉션부의 리트렉션 스프링의 중량 및 부피를 줄여 상기 리트렉터의 전체적인 중량 및 부피를 절감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트렉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프레임의 일단에는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의 인출을 방지하는 메카니즘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인출된 시트벨트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되감아 주는 리트렉션부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부의 스프링 커버 내측에 그 일단의 삽입홈이 스프링 플레이트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아답터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 아답터의 외주면 일측에 이 제 1 아답터와 일체로 된 구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피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리트렉션 스프링의 일단이 걸림되어 고정된 제 2 아답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제 2 아답터의 피동기어가 제 1 아답터의 구동기어보다 일정한 기어비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아답터에 그 일단이 고정된 리트렉션 스프링은 상기 시트벨트의 인출시 상기 제 2 아답터의 외주면에 감김되도록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김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리트렉터에 구비된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리트렉터의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터의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터의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션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시트벨트의 인출시 리트렉션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시트벨트의 인입시 리트렉션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시트벨트 4: 리트렉터
6: 프레임 8: 메카니즘부
10: 샤프트 12: 리트렉션부
14: 스프링 플레이트 16: 삽입공
18: 아답터 20: 삽입홈
22: 걸림공 24: 리트렉션 스프링
26: 스프링 커버 28: 걸림홈
40: 스프링 플레이트 42: 삽입공
50: 제 1 아답터 52: 구동기어
54: 삽입홈 60: 제 2 아답터
62: 피동기어 64: 체결홈
70: 리트렉션 스프링 80: 스프링 커버
82: 걸림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터의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터의 리트렉션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션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시트벨트의 인출시 리트렉션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시트벨트의 인입시 리트렉션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의 일단에는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2)의 인출을 방지하는 메카니즘부(8)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인출된 시트벨트(2)를 프레임(6)의 내측으로 되감아 주는 리트렉션부(12)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부(12)의 스프링 커버(80) 내측 하단에 그 일단의 삽입홈(54)이 스프링 플레이트(40)의 삽입공(42)을 관통하여 샤프트(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 아답터(50)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40)의 삽입공(42)은 제 1 아답터(50)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54)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스프링 플레이트(40)의 하단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 1 아답터(5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이 제 1 아답터(50)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5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어(52)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피동기어(62)가 제 2 아답터(6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아답터(6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64)에 리트렉션 스프링(70)의 일단이 삽입되어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70)은 스프링 커버(80)에 반시계방향으로 감김된 기존의 리트렉션 스프링(24)과는 달리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김되어 구비된다.
이는 상기 시트벨트(2)의 인출시 상기 제 2 아답터(60)의 외주면에 리트렉션 스프링(70)이 감김되게 하여 상기 시트벨트(2)를 리트렉터(4)내로 인입되게 하는 탄발력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아답터(60)의 피동기어(62)는 제 1 아답터(50)의 구동기어(52)보다 일정한 기어비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70)의 길이를 줄여 이 리트렉션 스프링(70)의 부피 및 중량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리트렉터(4)의 리트렉션부(12)를 구성할 시 설계시나 작업시에 상기 피동기어(62)와 구동기어(52)의 기어비를 요구되는 기어비로 조절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피동기어(62)와 구동기어(52)의 기어비를 변환시켜 리트렉션 스프링(70)의 동일한 회전량에 샤프트(1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동일한 샤프트(10)의 회전수에 리트렉션 스프링(7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트렉터는 이 리트렉터(4)의 일단에 구비된 리트렉션부(12)의 기어비는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나,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피동기어(62)와 구동기어(52)의 기어비를 2:1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벨트(2)를 착용하고자 상기 시트벨트(2)를 소정의 힘으로 당겨 내면 상기 리트렉터(4)의 프레임(6)내에 구비된 샤프트(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시트벨트(2)가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시는 상기 리트렉터(4)의 일단에 구비된 리트렉션부(12)의 제 1 아답터(50)에 형성된 삽입홈(54)에 이 샤프트(10)의 일단이 스프링 플레이트(40)의 삽입공(42)을 통해 삽입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시 상기 제 1 아답터(50)도 이 샤프트(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답터(50)의 회전시는 이 제 1 아답터(50)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5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52)의 회전에 의해 이 구동기어(52)에 치합된 피동기어(6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동기어(62)는 구동기어(5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피동기어(62)가 일체로 형성된 제 2 아답터(60)도 상기 피동기어(6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답터(60)의 회전시는 이 제 2 아답터(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홈(64)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리트렉션 스프링(70)이 상기 제 2 아답터(60)의 회전에 의해 제 2 아답터(60)의 외주면에 감김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70)이 종래와는 달리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김되어 그 내측은 제 2 아답터(60)의 체결홈(6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외측은 스프링 커버(8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82)에 걸림되어 고정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벨트(2)의 텅어세이(미도시)를 시트(미도시)의 일측에 구비된 버클(미도시)에 삽입하여 체결하면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70)은 스프링 커버(80)내에서 인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시트벨트(2)의 해제시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벨트(2)의 텅어세이를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면 상기 스프링 커버(80)내에서 인장된 리트렉션 스프링(70)이 그 탄발력으로 인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 2 아답터(60)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 2 아답터(60)의 역회전에 의해 피동기어(62)에 치합된 구동기어(52)가 역회전되면서 상기 제 1 아답터(50)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답터(50)의 역회전에 의해 이 제 1 아답터(50)에 연결된 샤프트(10)가 역회전되어 상기 시트벨트(2)를 리트렉터(4)의 프레임(6)내로 인입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리트렉션부(12)에 구비되는 리트렉션 스프링(70)의 길이를 피동기어(62)와 구동기어(52)의 2:1 기어비로 인해 기존의 리트렉션 스프링(24)의 길이보다 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리트렉션부(12)의 부피 및 중량을 저감시켜 리트렉터(4)의 전체적인 부피와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리트렉터는 리트렉터의 일단에 구비된 리트렉션부에 기어비를 이용하여 시트벨트의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트벨트의 길이는 일정하고, 리트렉션부에 구비된 리트렉션 스프링의 중량 및 부피를 줄여 상기 리트렉터의 전체적인 중량 및 부피를 절감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프레임(6)의 일단에는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2)의 인출을 방지하는 메카니즘부(8)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인출된 시트벨트(2)를 프레임(6)의 내측으로 되감아 주는 리트렉션부(12)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부(12)의 스프링 커버(80) 내측에 그 일단의 삽입홈(54)이 스프링 플레이트(40)의 삽입공(42)을 관통하여 샤프트(10)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아답터(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 아답터(50)의 외주면 일측에 이 제 1 아답터(50)와 일체로 된 구동기어(52)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52)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피동기어(62)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리트렉션 스프링(70)의 일단이 걸림되어 고정된 제 2 아답터(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트렉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 스프링(70)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제 2 아답터(60)의 피동기어(62)가 제 1 아답터(50)의 구동기어(52)보다 일정한 기어비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트렉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답터(60)에 그 일단이 고정된 리트렉션 스프링(70)은 상기 시트벨트(2)의 인출시 상기 제 2 아답터(60)의 외주면에 감김되도록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김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트렉터.
KR2019980000580U 1998-01-19 1998-01-19 자동차의 리트렉터 KR200173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580U KR200173968Y1 (ko) 1998-01-19 1998-01-19 자동차의 리트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580U KR200173968Y1 (ko) 1998-01-19 1998-01-19 자동차의 리트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285U KR19990034285U (ko) 1999-08-25
KR200173968Y1 true KR200173968Y1 (ko) 2000-05-01

Family

ID=1953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580U KR200173968Y1 (ko) 1998-01-19 1998-01-19 자동차의 리트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9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1203A1 (de) * 2022-01-19 2023-07-2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285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944B2 (en) Seat belt retractor
EP0297537A2 (en) Webbing retractor
KR100852291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2003520719A (ja) エネルギー管理安全ベルトレトラクタ
JP3454790B2 (ja) 多点プレテンショナ・システム
KR100850922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US5775618A (en) Tension controlled seat belt retractor
US7240923B2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device
US6863234B2 (en) Seatbelt retractor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KR200173968Y1 (ko) 자동차의 리트렉터
US3347488A (en) Seat belt retractor
US5816522A (en) Tension controlled seat belt retractor
JP403119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483528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S5931485Y2 (ja) パシツブシ−トベルト装置
US4097003A (en) Constant pull safety belt retracting mechanism
JP7354015B2 (ja) プリテンショナ、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H0345446A (ja) プリテンショナー装置付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S5845720Y2 (ja) シ−トベルト巻取装置
KR102664593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048888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가이드 장치
JPS6335464B2 (ko)
KR0114527Y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가 내설된 자동차의 리트랙터
KR100279833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리트렉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