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881A -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881A
KR19980035881A KR1019960054331A KR19960054331A KR19980035881A KR 19980035881 A KR19980035881 A KR 19980035881A KR 1019960054331 A KR1019960054331 A KR 1019960054331A KR 19960054331 A KR19960054331 A KR 19960054331A KR 19980035881 A KR19980035881 A KR 1998003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protector
impact force
air bag
airbag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제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881A/ko
Publication of KR1998003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881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면충돌시에 엔진 쪽으로 부터 밀려오는 충격력을 인스트루멘트 하단에 설치된 T-바(1)에서 1차적으로 흡수하고, 그 충격력을 다시 분산시키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10)의 공간(S) 내에 에어백(20)을 설치함으로서, 약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은 무릎보호대(10)에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고, 강한 충격력이 발생할 때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된 에어백과 동시에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본 발명은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면충돌시에 엔진 쪽으로 부터 밀려오는 충격력을 인스트루멘트 하단에 설치된 T-바에서 1차적으로 흡수하고, 그 충격력을 다시 분산시키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 내에 에어백을 설치함으로서 약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은 무릎보호대에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고, 강한 충격력이 발생할 때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된 에어백과 동시에 팽창되도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무릎 보호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면 충돌시에 엔진 쪽으로 부터 밀려오는 충격력을 인스트루멘트 하단에 설치된 T-바(1)(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상품명)에서 흡수하고, 그 충격력을 다시 분산시키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10)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릎 보호대는 단순히 그 단면이 “U”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쉽게 구부러짐으로써 강한 충격력을 받을 경우 무릎의 충격량을 재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예기치 못한 사태를 불러 일으켰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정면 충돌시에 엔진 쪽으로 부터 밀려오는 충격력을 인스트루멘트 하단에 설치된 T- 바에서 1차적으로 흡수하고, 그 충격력을 다시 분산시키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의 내부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약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은 무릎보호대에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강한 충격력이 발생할 때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된 에어백과 동시에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무릎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무릎보호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T-바10:무릎 보호대
11:개구부20:에어백
30:케이스40:브라켓트
50:나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인스트루멘트를 지지하는 T-바(1)에 무릎 보호대(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무릎 보호대(10) 내부 공간(S)에는 에어백(20)이 설치되고, 이 에어백(20)의 외주면에는 에어백(20)의 팽창력을 일방향으로 유도(전면 개구된)함과 동시에,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30)가 T-바(1)에 나사(50) 및 브라켓트(4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에어백(20)이 팽창하여 무릎 보호대(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기 위한 개구부(11)가 무릎 보호대(10) 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릎 보호장치는 정면 충돌시에 엔진 쪽으로 부터 밀려오는 충격력을 인스트루멘트 하단에 설치된 T-바(1)에서 1차적으로 흡수하고, 그 충격력을 무릎 보호대(10)가 2차적으로 완하시켜 다시 분산시켜 승객의 무릎을 보호한다.
이때, 경미한 충돌일 경우 상기 T-바(1)에서 완화시키고, 점차 큰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무릎 보호대(10)에서, 아주 큰 충격력이 전달되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된 에어백의 팽창과 동시에 무릎 보호대(10)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20)이 팽창되어 승객의 무릎을 보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릎 보호대(10) 내부 공간(S)에 에어백(20)을 설치함으로써, 차량 정면 충돌시 외부의 충격량이 탑승자의 무릎으로 전달될 때 그 충격량이 1차적으로 무릎보호대에서 흡수하고 큰 충격량일 때, 무릎보호대 내에 설치된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성 향상 및 상품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인스트루멘트를 지지하는 T-바에 무릎 보호대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무릎 보호대 내부 공간에 에어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KR1019960054331A 1996-11-15 1996-11-15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KR19980035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331A KR19980035881A (ko) 1996-11-15 1996-11-15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331A KR19980035881A (ko) 1996-11-15 1996-11-15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881A true KR19980035881A (ko) 1998-08-05

Family

ID=6632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331A KR19980035881A (ko) 1996-11-15 1996-11-15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8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7137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KR19980035881A (ko)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무릎 보호장치
KR100348571B1 (ko)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100475966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380401B1 (ko) 자동차의 감압식 에어백
KR100187820B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KR200177709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장치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0141882Y1 (ko) 자동차용 시트 에어백 장착구조
KR0138820Y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KR19980030536U (ko) 자동차의 에어백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52445U (ko) 차량의 사이드 패널에 구비된 에어백
JP3337516B2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KR20040044307A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46868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19980047183U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9980038281U (ko) 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충돌완충장치
KR19980011314U (ko)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KR19980023467U (ko) 자동차 시트
KR19980038243U (ko) 자동차용 승객 보호 구조
KR19980045277A (ko) 밀림방지용 브라켓트가 취부되는 자동차용 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