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477A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477A
KR19980032477A KR1019970050812A KR19970050812A KR19980032477A KR 19980032477 A KR19980032477 A KR 19980032477A KR 1019970050812 A KR1019970050812 A KR 1019970050812A KR 19970050812 A KR19970050812 A KR 19970050812A KR 19980032477 A KR19980032477 A KR 19980032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light
light source
optical
optical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984B1 (ko
Inventor
마사하루 후카쿠사
다이이치 모리
히로시 다니가와
하루히코 고노
미키오 도미사키
세이기 이토
가즈유키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60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060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8048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249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121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82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31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286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375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411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51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473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825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53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08362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4486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3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34Guiding record carriers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4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diameter of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픽업장치는 단일 광빔 경로를 갖고, 그 경로에서 각 기록밀도 및/또는 기록매체 두께에 대한 복수의 광빔종류(예를 들어 파장을 서로 달리하는)중 적어도 하나는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로 진행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
본 발명은 정보를 광기록매체상으로 기록하고/기록하거나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정보가 서로 기록밀도 및/또는 매체 두께를 달리하는 복수의 광기록시스템상으로 기록되고 또는 서로 다른 광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될 필요가 있을 때, 각 기록밀도 및/또는 매체 두께에 대해 광빔 소스, 시준기, 광빔 스플리터, 1/4 파장판, 및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 시스템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밀도를 기록하고 또는 매체 두께를 기록하고 그 크기를 최소화하는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단일 광빔 경로를 갖고, 그 경로에서 각 기록 밀도 및/또는 기록매체 두께에 대한 복수의 광빔 종류중 적어도 하나는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로 진행한다.
복수의 광빔 종류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 광빔 경로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환원해서 단일 광빔 경로가 복수의 광빔 종류를 반대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광기록매체 및 광빔 방출 소자간의 구조 및 크기는 적어져서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광픽업 및 광경로의 패키징의 구성을 예시하는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광원의 주변부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광원의 주변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발광점 및 조준렌즈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콘덴서의 시프트량에 따라 파면 수차량 및 거리비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콘덴서 및 유한 광 시스템의 발광점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7은 6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집적된 광헤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광원 근처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광원 근처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광원 근처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조준렌즈 및 무한 광 시스템의 발광점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콘덴서의 시프트의 유무에 따른 광의 파면 수차량 및 거리비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집적된 광헤드의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 시스템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확산각 변환수단의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수신수단의 구성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원 실장부의 주변부의 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원 실장부의 주변부의 횡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색수차 정정수단의 유무에 따른 렌즈 시프트량 및 파면 수차량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20은 종래의 광픽업 횡단면도.
(제 1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광픽업 및 광통로의 구성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점선은 저밀도 광디스크 재생을 위한 광통로를 나타내며, 실선은 고밀도 광디스크 재생용을 위한 광통로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제 1패키지(1)는 고밀도 광디스크(18)를 위한 광방출소스(2),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된 광수용을 위한 수광수단(3)이 설치되는 기판부(1a) 및 이들 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측벽부(1b)로 구성된다. 기판부(1a) 및 측벽부(1b) 등은 별도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조립공정은 생산성 증가를 위해 단순화 될 수 있다. 제 1패키지(1) 재료로는 금속, 수지, 세라믹이 사용되나 광원(2)에서 발생된 열이 손쉽게 방출될 수 있는 금속이나 세라믹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중에는 Cu, Al 또는 FeNi 합금이나 FeNiCo 같은 Fe 합금같은 고열전도성 금속재료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들 금속은 고주파 중첩회로 등으로부터 나오는 전자기파 같은 노이즈를 차단하는 자기차폐효과를 갖는 외에ㅔ 저가이며, 높은 열방산효율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이들중 특히, Fe, FeNi 합금 및 FeNiCo 합금은 낮은 열저항성 및 양호한 열방산율을 가져서 광원(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는 저가이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광픽업장치를 만들 수 있게 한다.
또한, 제 1패키지(1)는 기판부(1a) 및, 필요하다면 측벽부(1b)를 큰 열용량을 갖는 캐리지와 접촉시킴으로써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따라서, 캐리지와 접하는 기판부(1a)의 면적이 클수록 패키지(2)는 양호한 열방산 효과를 얻는다.
기판부(1a)에는 수광수단(3)으로부터 산술회로(arithmatic circuit)로 전기신호를 전송하며, 광원(2)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1c)가 제공된다. 이들 단자(1c)는 핀형(pin-typed) 또는 프린트형(printed-type)일 수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핀형 단자(1c)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단자(1c)는 금속의 기판부(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없이 기판부(1a)의 다수구멍에 삽입된다. 단자(1c)재료로는 FeNiCo, FeNi, FeCr 등의 합금 사용이 바람직하다.
기판부(1a)와 단자(1c)간 전기적 연결의 방해수단으로 각 단자(1c)와 기판부(1a)와 구멍 사이에 절연코팅이 위치되며, 또한 코팅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재료로 용접밀봉 같이 절연 및 불투광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합밀봉형(matched-sealing type) 또는 압입밀봉형(compressed-sealing type)의 용접밀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들 재료가 극히 저렴한 외에 절연 및 밀봉효과를 얻기 위해 매우 용이하게 준비될 수 있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기판부(1a)에 단자(1c)를 설치하는 공정이 단순화되며 광픽업의 제조가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형의 용접밀봉은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고밀봉 및 절연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광픽업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단자형태도 상대적으로 손쉽게 변형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광원(2)으로는 단색에도 양호한 집광효과, 간섭성(coherence) 및 지향성을 갖는 광원 사용이 바람직한 바, 이는 적당한 형태의 빔스포트(beam spot)가 비교적 용이하게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상, 가스 또는 반도체 레이저광 같은 여러 레이저광이 이들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므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반도체 레이저는 소형이며 용이하게 광픽업을 소형화시키므로 광원(2)으로는 최적이다.
반도체 레이저 광원(2)은 800㎚ 이하의 발진(oscillation)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기록매체에 형성된 트랙의 피치크기와 비슷한 크기를 갖도록 기록매체로 수렴하는 빔스포트를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원(2)의 발진파장이 650㎚ 이하인 경우, 극고밀도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가 재생될 수 있는 극소형의 빔소포트 형성이 가능하여서 대량 저장수단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으며, 특히 고밀도 광디스크상의 기록재생을 위한 광원(2)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이 반도체 레이저로 구성되는 경우, 약 800㎚ 이하의 발진파장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재료로는 AlGaInP, AlGaAs, ZnSe 및 GaN이 있으며, 이중 용이한 결정성장특성을 가져서 고수율 및 고생산성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제작이 용이한 AlGaAs가 특히 바람직하다. 650㎚ 이하의 발진파장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재료로는 AlGaInP, AlGaAs, ZnSe 및 GaN이 있다. 광원(2)으로 이들 재료로 만들어진 반도체 레이저 사용시, 기록매체에 형성되는 빔스포트의 직경이 더욱 감소될 수 있어서 기록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고밀도 광디스크를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들 재료중 특히 AlGaAs가 바람직한 바, 이는 이 재료가 장기간에 걸쳐 안정한 성능을 가지며, 따라서 광원(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광원(2)의 출력은 재생을 위한 경우, 약 2~10(㎽) 범위가 바람직한데, 이는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량의 광을 보장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며,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양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광원이 기록 및 재생 양자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기록시 기록층(record layer)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당량의 에너지가 요구되며, 적어도 25(㎽) 이상의 출력이 필요하다. 출력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광원(2)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힘들어져서 광원(2)과 그 주변부는 고온이 되며, 광원(2)의 수명은 급감되고 최악의 경우 광원(2)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회로는 오작동을 초래하고 전원(2) 자체는 발진파장을 이동시키는 파장의 파동(fluctuation)을 초래하거나 노이즈가 신호에 포함되어서 광픽업장치의 신뢰성이 급감되므로 일정수준 이상의 출력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후의 설명은 광원(2)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150)에 대한 것이다.
광원설치부(150)는 직사각형의 평행 파이프 또는 판형상을 갖되 그 상면 또는 측면에 광원(2)이 설치된다. 기판부(1a) 또는 측벽부(1b)에 위치되는 광원설치부(150)는 광원(2)을 홀딩하는 외에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출시킨다.
열전도도를 고려할 때, 광원설치부(150)와 광원(2) 사이의 접합시 광원설치부(150)의 상부를 고온에서 땜납되기전 Au-Su 같은 땜납 재료로 판금시키는 방법 또는 Au-Sn, Sn-Ag, Sn-Sb 또는 Sn-Pb-In 박막(두께는 수 ㎛에서 수십 ㎛)이 고온에서 압착접합되는 (contact-bonded)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이 광원설치부(150)의 설치면과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는 경우, 광학계의 수차(aberration) 또는 접합효율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은 광원설치부(150)의 예정위치, 예정높이에 및 광원이 접합되는 설치면과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면은 광원설치부(150) 상부에 위치되어서 광원(2)의 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면은 광원(2)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공되며, 전도성 및 저항성면에서 Au의 박막이 전극면을 구성하는 금속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설치부(150)는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 및 광원(2)에의 설치면에서 높은 열전도도 및 광원(2)이 선팽창계수(약 6.5×10-6/℃)에 근사한 선팽창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10×10-6/℃의 선팽창계수 및 100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 예를 들면 AlN, Sic, T-cBN, Cu/W, Cu/Mo 또는 Si, 특히 고출력의 광원(2)이 사용되고 열전도도가 극히 높아야 되는 때는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 및 광원설치부(150)가 동일 또는 근사한 선팽창계수를 갖는 경우, 광원(2)과 광원설치부(150) 사이의 비틀림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는하며, 이는 광원(2)과 광원설치부(150) 사이의 접합된 부위가 떨어지거나 광원(2)에 크랙(crack)이 생기는 단점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선팽창계수들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광원(2)과 광원설치부(150) 사이에 상당한 비틀림이 발생하며, 이는 광원(2)과 광원설치부(150) 사이의 접합된 부위가 떨어지거나 크랙이 광원(2)에 생기는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커진다.
광원설치부(150)의 열전도도가 가능한한 최고치가 되면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은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산될 수 있다.
열전도도가 상기 수준 보다 낮을 경우,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산하기 어려워져서 광원(2)의 온도는 증가하며,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변한다. 따라서,광매체에의 광수렴위치가 미세하게 변화되며, 다량의 노이즈성 요소가 재생된 신호에 포함되거나 광원(2)의 출력이 감소하며, 기록매체에서의 기록재생 작업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으며, 또한 광원(2)의 수명이 감소되거나 최악의 경우 광원(2)이 파손될 수 있거나 다른 문제점들이 손쉽게 발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들 두 관점에서 뛰어난 특성을 갖는 AlN이 사용된다.
광원설치부가 광원(2)에 대한 양호한 접합효과를 갖도록 광원설치부(150)의 상부에 광원설치부(150)로부터 광원(2)까지 Ti, Pt 및 Au의 순서로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i가 광원설치부(150)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Ti층이 형성되기전 부재표면에 표면산화막 또는 Al2O3같은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기판부(1a)상에서의 광원설치부(150) 배열이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광원 원주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기판부(1a)에는 거의 직사각형 평행 파이프 형상을 하는 돌기부(151)가 형성된다. 돌기부(151)의 측부분(151a)을 광원설치부(150)의 측부분(150a)과 접하게 함으로써 광원설치부(150)의 위치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광원설치부(150)가 먼저 기판(1a)의 표면(1f)에 위치되며, 결합재료에 압입되면서 접합재료수단에 의해 정밀하게 모따기되는 돌기부(151)의 측부분(151a)에 접합된다.
이런 구성에 의해, 광원(2)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150)는 보다 쉽게 및 정밀하게 예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서 광특성이 광원(2)의 위치편차에 의해 덜 악화되는 고성능 광픽업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광설치부 위치설정이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 사용으로 수행되나 기판부에 홈부를 배열시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설치부(150)와 기판부(1a) 사이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합재료로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수지 또는 땜납 같은 급속접합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이 요구되는 값 이상의 접합능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금속접합재료 사용시, 기판부(1a)의 표면(1f), 돌기부(151)의 측부(151a) 및 광설치부(150)의 저부(150b) 또는 측부(150a)를 금속으로 사전 판금시키는 것과 같은 양호한 접합효과를 얻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설치부(150)의 저부(150b) 및 돌기부(151)와 접하는 측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각진부(angular portion)는 예정된 반경(R) 또는 날카로운 변부가 제거된 모서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광원 주변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흔히 기판(1a)의 표면(1f)은 돌기부(151) 측부(151a)에 정확하게 직각으로 가로지르지 않는다. 이 경우, 광설치부(150)가 돌기부(151)에 압착될 때 광설치부(150)는 도시된 것처럼 경사져서 광설치부(150)에 설치된 광원(2)으로부터 나오는 광의 광학축의 예정위치로부터 편향되게 되며, 이는 광매체의 예정된 트랙이 광에 의해 조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정밀한 기록도 재생도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 실시예에는 기판부(1a) 및 광설치부(150)의 돌기부(151)에 면하는 각진부가 둥글게 되거나(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됨) 모서리의 날카로운 변부가 제거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되어서 모서리는 기판부(1a) 표면(1f) 및 돌기부(151) 측부(151a)에 의해 형성된 비직사각형 부분과 접히지 않거나 비직사각형 부분과 꼭맞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판부(1a)의 표면(1f)이 돌기부(151)의 측부(151a)에 대해 직각으로 가로지르지 않는 경우에도 광설치부(150)는 정위치에서 기판부(1a)와 접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설치부(150)에 설치된 광원(2)으로부터 나오는 광의 광학적 축의 예저위치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양호한 기록재생특성을 갖는 광픽업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광원설치부(150)에 설치되는 광원(2)은 돌기부(151)에 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기부(151)는 광원(2)으로부터 후방으로 나가는 광(2h)의 연장방향에 형성된다. 이에 대한 설명이 후술될 것이다.
돌기부(151)는 전술한 것처럼 광원설치부(150)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해 사용되므로 광원설치부(150)와 접하기만 하면 어느 면과도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2)으로부터 후방으로 나가는 광(2h)이 표유광(stray light)으로 수광수단 또는 광소자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실시예에서 이 조치는 돌기부(151)에 취해진다.
이 실시예에서 돌기부(151)의 상부(151c)는 광원(2)의 발광점(2g)이 존재하는 단부면(2i)에 대해 경사진다. 상부(151c)에는 고반사율을 갖는 금속 또는 유전체막이 표면 전체에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서 발광점(2g)으로부터 후방으로 나오는 광(2h)을 상부(151c)로 비직각으로 반사시킨다. 단부면(2i)에 대한 돌기부(151) 상부(151c)의 경사각은 광원(2)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확산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원(2)으로부터 후방으로 나가는 광(2h)은 예정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며, 이 광(2h)이 패키지(1)내에서 반사 또는 확산되어서 광소자나 수광수단에 표유광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151)의 상부(151c)는 고반사율을 갖도록 형성되나 고반사율 대신 고소광 모듈러스(extinition modulus)가 적용될 수 있다. 소광 모듈러스를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상부(151c)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소광막을 배열시키는 방법이 있다. 소광막으로는 반투명 유리나 수지물질, Si이나 Ti막, 또는 Si막 또는 Ti막이 예정 두께로 통상 사용된다.
소광막 두께는 입사광 파장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광원이 여러 파장을 가질 때도 소광막이 각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소광막이 사용되는 구성에서 흡수된 광의 에너지 대부분은 열로 변화되며, 따라서 소광막이 형성되는 반사소자재료로는 양호한 열방산 및 고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재료사용으로 반사소자의 온도상승에 의한 소광막 구조의 변화에 따라 주어진 소광효과가 얻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광원(2)의 발광점(2g)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거의 전혀 반사됨이 없이 상부(151c)에서 흡수되며, 발광점(2g)의 광은 표유광으로 광소자에 거의 충돌하지 않아서 양호한 신호특성을 갖는 광픽업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돌기부(151) 상부(151c)는 광반사 타입의 예에서 광원(2)의 단부면(2i)에 대해 경사지게 되나, 이 경우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광설치부(150)는 광원(2)이 수광소자(3)에서처럼 동일한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거나 광원이 직접 기판에 위치된다면 위치될 필요가 없다.
제 1패키지(1)의 구멍(1d)에는 제 1광소자(5)가 접합된다. 제 1광소자(5)는 광원(2)으로부터 나오며, 기록매체상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수단(3)의 예정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광소자(5)가 다수의 경사면을 가지며, 회귀광이 각 경사면에 형성된 광소자를 사용하여 유도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제 1광소자(5)는 제 1경사면(5a) 및 제 2경사면(5b)을 포함한다. 또한, 제 1경사면(5a)상의 반거울(half mirror) 및 편광분리(편광빔 분할기)막과 제 2경사면(5b)상의 입사광을 수광수단(3)으로 안내하는 반사수단(7)으로 구성되는 광통로 분할수단(6)이 제공된다. 데이터가 고밀도 광디스크에 재기록될 수 있다면, 광디스크는 극히 높은 에너지로 조사되어야 하며, 따라서 광원(2)으로부터 나온 광은 가능한한 효율적으로 광디스크로 안내되어야 한다. 따라서, 편광분리(편광빔 분할기)막으로 만들어지며, 1/4 파장판(4)과 결합되는 광통로 분할수단(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이것이 광이용 효율을 개선하며, 기록 및 재생을 위해 다수 종류의 광디스크 사용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단은 광원(2)으로부터 나오는 광의 양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서 광원(2)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광디스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1/4 파장판(4)은 선형편광으로 입사하는 광을 타원편광으로 바꾸는 변환기역할을 하며, 타원편광의 회전방향이 기록매체상에서의 반사로 인해 역전된다면 타원편광은 전술한 입사편광방향에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선형편광으로 변환된다.
반사수단(7)의 위치예 [예를 들면, 비점수차(astigmatism)를 갖는 초점에러 신호를 형성하는] 목적을 만족시키는 광소자를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초점에러신호가 칼날방식(knife edge method)으로 형성되면, 반사수단(7)위치에 칼날을 형성할 수 있는 광소자가 제공되며, 초점에러신호가 비점수차방식(astigmatism method)을 사용하여 얻어지면, 반사수단(7)위치에 비점수차를 형성할 수 있는 광소자가 제공된다. 이들 광소자가 제 1광소자(5)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광소자들이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한데, 이는 홀로그램이 렌즈로 만들어지는 광소자의 경우보다 광소자를 얇게 만들어서 제 1광소자(5)를 용이하게 보다 소형으로 및 얇게 만들기 위해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 1광소자(5)는 전체가 평행한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수차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양호한 재생신호 또는 초점 트래킹신호들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 1광소자(5)는 그 상·하부가 투과된 광의 광학축에 정확하게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초점이 맞지 않은 스포트에 의해 초래된 재생신호의 악화 및 비점수차(astigmatism)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이다.
제 1광소자(5) 재료로는 유리나 수지 같은 고광투과율을 갖는 재료사용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 1광소자(5)를 통해 투과된 광의 광학특성 악화 및 광의 양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복굴절이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투과된 광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1광소자(5) 재료로 유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파장분산, 즉 BK-7 같이 고아베수(Abbe's number)를 갖는 광학유리 사용이 바람직한데, 이는 파장의 파동에 의해 초래되는 구변수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이다.
제 1광소자(5)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광소자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주사위 형상의 프리즘이 선형접합되거나 광소자들이 판성분의 예정위치에 형성되는 그후 각 판성분들이 주어진 형상으로 절단되도록 적층되는 방법의 사용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방법들이 양호한 생산성을 얻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생산성 및 고수율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후자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광소자(5)는 이 실시예에서 측벽(1b)에 배열된 구멍(1d)을 밀봉하도록 제 1패키지(1)의 측벽(1b)에 직접 접합되나, 제 1패키지(1)가 제 1광소자(5)와 이격될 수도 있다. 이들을 상호 이격위치시킴으로써 패키지(1) 높이가 불균일한 경우, 문제점이 되는 광원(2)과 제 1광소자(5) 사이의 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제 1광소자(5)에 의해 수광수단(3)으로 안내된 광의 광학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신호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2패키지(8)는 저밀도 광디스크용 광원(9) 및 수광수단(10)이 설치되는 기판부(8a) 및 이들 소자들을 밀봉하도록 배열되는 측벽부(8b)로 구성된다. 이후의 설명은 제 1패키지(1)와 다른점에 초점을 맞추어 제 2패키지(8)를 설명한다.
먼저, 제 2패키지(8)의 재료로는 광원(9)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한다는 점에서 제 2패키지(8)와 마찬가지로 금속이나 세라믹 사용이 바람직하다.
제 2패키지(8) 재료의 열전도도는 제 1패키지(1) 재료의 열전도도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고밀도 광디스크(18)용 광원(2)은 저밀도 광디스크(19)용 광원(9)과 동일 또는 보다 큰 출력을 가지므로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열량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열량과 같거나 보다 크기 때문이다. 광원들의 홀딩 및 열방출을 위한 부분들이 동일한 열전도도를 갖도록 이 패키지가 구성되며, 광원(2)의 열방산량이 광원(9)의 것과 동일하지 않게 되어서 광원(2)의 온도가 광원(9)의 온도보다 높게 되어 광원(2, 9) 사이의 작동조건에 불균형이 초래되고, 따라서 때로는 광원(2)수명이 광원(9)수명과 달라지고, 이에 의해 광픽업장치의 신뢰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 2패키지(8) 재료의 열전도도가 제 1패키지(1) 재료의 열전도도 보다 작거나 같게 되면, 광원(9) 온도가 광원(9) 온도 보다 크게될 가능성이 감소하게 되어서 광원(2)과 광원(9) 사이의 작동조건 차이가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문제점들이 초래됨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패키지(1)는 제 2패키지(8)의 캐리지와 접촉하는 면적과 다른 접촉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접촉면적이 제공되면, 면적이 더 큼에 따라 시간당 보다 많은 열방출이 가능케 되어서 발생된 열량의 차이가 각 패키지간의 열전도도 차이에 의해 해소될 수 없는 차이를 극복하고 양호하게 해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특히 제 1패키지(1)가 캐리지와 접촉하는 면적이 더 크게 된다.
광원(9)의 발진파장은 800㎚ 이하가 바람직한데, 이는 광원으로부터 나오며, 기록매체로 수렴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빔스포트가 기록매체에 형성되는 트랙의 피치크기와 유사하도록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광원(9)은 광원(2) 보다 긴 발진파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CD가 재생될 때 약 780㎚에 의해 충분한 크기의 빔스포트가 저밀도 광디스크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광원(9)이 설치된 광원설치부(152)에 대한 것이다.
광원설치부(152)는 그 형상, 설치위치 및 기능에 있는 광원설치부(150)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광원(9)에 의해 발생된 열량이 대개의 경우, 광원(2)의 것과 비교하여 그렇게 크지 않으므로 특성값의 요구조건은 광원설치부(150)의 경우처럼 엄격하지 않다. 따라서, 광원설치부(152)는 광원(9)과 유사한 선팽창계수(약 6.5×10-6/℃) 및 광원(9)에 대한 광원(2)의 출력비를 고려할 때, 광원설치부(150)의 열전도도 보다 1/5 이상인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10×10-6/℃의 선팽창계수 및 20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런 재료로는 광원설치부(150)의 예로서 설명된 재료외에 Mo, Cu, Fe, FeNiCo 합금 또는 FeNi 합금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설치부(152)는 광원설치부(150) 재료인 AlN과 비교하여 매우 저가이며, 상기 면에서 상대적으로 뛰어난 특성을 갖는 Cu, Mo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광원설치부(152)가 기판부(8a) 또는 측벽부(8b)와 접하는 면적은 광원설치부(150)가 기판부나 측면부와 접하는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성의 경우, 광원(9)에 의해 발생된 열량의 방출량보다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량의 기판으로의 방출량을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에서 저저항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사용할 때도 광원(2) 사용시 온도가 광원(9)의 경우보다 훨씬 큰 레벨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광원(2)수명이 광원(9)수명보다 훨씬 짧게 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광픽업장치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원설치부(152)는 제 1패키지(1)의 광원설치부(150) 보다 작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대개의 경우, 광원(2)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150)와 광원(9)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152)의 요구되는 열방산 수준에는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처리하려면 이들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즉, 광원설치부(150)의 열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원설치부(150) 크기가 광원설치부(152)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서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효율적으로 광원설치부(150)로 전도되게 된다.
이런 구성의 경우, 광원(2)에 의해 발생된 열은 전도에 의해 광원설치부(150)로 방출될 수 있으며, 광원설치부(150) 표면으로부터의 복사에 의한 열방산이 전도에 의해 광원설치부(150)로부터 기판부(1a) 또는 측벽부(1b)로의 열방산외에 보다 큰 비율로 이동될 수 있으며, 큰 열방출량을 갖는 광원(2)으로부터의 열이 효율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광원설치부(150)의 전도열량이 광원설치부(152)의 경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성의 경우, 보다 큰 출력을 갖는 광원(2)으로부터의 열을 광원설치부(150)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이 광원(2) 주위에 집적되어서 광원(2) 온도가 증가하여 초래되는 광원(2) 방출광의 파장변이를 억제하게 된다. 또한, 광원(2)의 온도증가는 효율적으로 억제될 수 있어서 광원(2)이 열에 의해 열화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는 광픽업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원설치부에 다른 형상을 부여함으로써 이들이 구별되었으나, 집적되는 열량에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부피에 의해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광원설치부(150)의 표면적이 광원설치부(152)보다 크게 한 경우, 광원설치부(150) 표면으로부터의 복사열량이 증가될 수 있다. 광원설치부(150)의 단위시간당 복사열량이 광원설치부(152)의 경우보다 큰 경우, 광원설치부(150)로부터 외부로 복사에 의해 효율적으로 열이 방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원(2)의 열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두 광원패키지가 사용되었으나, 둘 이상의 패키지가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임의 개수의 광원패키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각 광원설치부의 물리적 특성은 광원패키지에 설치된 광원의 출력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처럼, 광원(2)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150)의 물리적 성질(예를 들면, 열용량, 크기, 부피, 표면적 등)이 광원(9)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152)의 물리적 성질과 다른 경우, 출력이 높으며 고온이 될 광원(2)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광원(2)의 온도증가에 의한 발진파장의 변이 또는 광원(2)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중의 광원(2) 온도는 광원(9)과 거의 동일하다. 즉, 이들중 하나가 극단으로 높은 온도를 갖도록 작동되지 않아서 광원(2, 9)간의 수명차이가 크지 않으며, 광픽업장치는 수명의 큰 변화없이 고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광소자(11)는 제 1광소자(5)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나, 각 경사면에 형성되는 광소자간 차이가 있으며, 이는 후술된다. 제 1경사면(11a)에는 반거울과 편광분리(편광빔 분할기)막으로 만들어진 광통로 분할수단(12)에 제공되며, 제 2경사면(11b)에는 수광수단(10)으로 입사광을 안내하는 반사수단(13)이 제공된다.
이때, 대개의 경우, 고밀도와 저밀도 광디스크 사이에는 신호검출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수광수단(10)의 광수용부 배열은 수광수단(3)의 광수용부 배열과 다른 것이 통상적이다. 광디스크로부터의 광이 수광수단(10)으로 안내될 때, 초점에러신호가 반사수단(13)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반사수단(13)은 각 광디스크를 위해 최적신호를 형성하도록 반사수단과 다른 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보다 정확한 신호형성 및 작동제어가 얻어질 수 있으며, 오작동이 적은 신뢰성있는 광픽업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부(8a)개의 광원설치부(152) 배열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부(1a)에의 광원설치부(150) 배열과 거의 동일하며, 또한 광원설치부(152)에 설치되는 광원(9)은 동일하게 돌기부(153)을 면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배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광원(2, 9)의 발진파장은 서로 다른데, 이는 상이한 기록매체를 처리하기 위해 이 파장들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광원(2)의 경우 630~660㎚이고, 광원(9)의 경우 770~800㎚. 이에 의한 차이점은 후술된다.
일반적으로, 광반사에 사용되는 금속 또는 유전체 물질에서 입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비(반사율) 또는 입사광에 대한 흡수광의 비(소광 모듈러스)는 입사광의 파장에 의존하는 것이 통상이다. 즉, 대개의 경우, 반사율을 파장에 의존한다. 광원(2, 9)의 광이 동일 구성의 반사부재에서 반사되는 경우, 광원(2)과 광원(9)의 광 사이에 반사율비의 차이가 있게 되며, 이는 이 차이가 따른 산란증가 같은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의 상부(153c)에 상부(151c)와는 다른 반사막 또는 소광막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원(2)의 광파장에 대해 큰 반사율(소강 모듈러스)을 갖는 재료의 반사막(소광막)이 상부(151c)에 형성되어, 광원(9)의 광파장에 대해 큰 반사율(소광 모듈러스)을 갖는 재료의 반사막(소광막)이 상부(151c)에 형성된다.
이런 구성이 경우, 광원(2, 9)의 후방 방출광 모두 주어진 방향으로 쉽게 반사될 수 있으며(쉽게 흡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들이 표유광으로 광소자 및 수광수단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광들이 각 패키지내에서 반사 및 산란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2, 9)은 서로 크기 다르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대개의 경우, 광원(2)의 광출력은 광원(9)과 다르다. 이는 주로 기록 및 재생용 기록매체가 동일하지 않으며, 따라서 요구되는 광의 양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원(2)은 광원(9)과 다른 열방출량을 가지며 작동중 온도에 차이가 있게 된다.
작동중 광원온도에 차이가 있을 때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온도변화에 따른 발진파장의 변이 및 그에 따른 광특성의 악화.
-고온에 의한 광원의 열화 또는 파손, 즉 광원수명의 감소.
이들 문제점들은 제품수명 및 신뢰성을 감소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 실시예에서, 이들 문제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2)은 크기, 특히 광원(2)이 다른 부재와 접하는 면적이 광원(9)의 경우와 다른 면적을 갖는다. 광원에 의해 발생된 열은 전도를 통해 광원과 접하고 있는 각 부재로 방출되므로, 예를 들면, 광원(2)의 출력이 광원(9) 보다 큰 경우, 광원(9) 보다 큰 광원(2)의 접촉면은 전도를 통해 단위시간당 광원(2)으로부터 보다 많은 열방출을 가능케 한다. 작동중 광원(9) 온도와 크게 다른 온도를 광원(2)이 갖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서 제품수명 및 신뢰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문제점들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광원(2, 9)에 서로 다른 표면적을 제공하는 것 역시 효과적이다. 열전달 형태로 상술한 전도외에 복사(방사)가 있다. 단위시간 또는 단위면적당 복사열량은 온도에 의존하므로 표면적이 클수록 동일온도에서의 복사열량은 커진다. 따라서, 광원(2) 출력이 광원(9) 보다 큰 경우, 광원(9) 보다 큰 광원(2) 표면적은 광원(9)의 복사열량에 비해 큰 광원(2)의 복사열량을 방생시켜서 작동중 광원(2)과 광원(9)의 온도차이를 감소시킨다.
이런 구성은 상기 문제점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수명 및 신뢰성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처럼,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픽업에서 각 광원출력에 따른 서로 다른 크기의 광원에 의해 서로 다른 열량이 각 광원으로부터 복사될 수 있으며, 광원 도변화에 따른 발진파장의 변이, 그에 따른 광특성의 악화 및 고온에 의한 광원의 열화 및 파손, 즉 광원수명 감소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작동중 광원온도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형태의 광픽업장치가 설치되는 제품수명이 연장되며, 제품 신뢰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제 1패키지(1)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공간, 즉 광원(2) 및 수광수단(3)이 배열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런 구성의 경우, 먼지나 수분이 패키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서 광원(2)과 수광수단(3)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방출광의 광특성 악화를 또한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패키지(1)는 제 1광소자(5)에 의해 밀봉된다. 즉, 제 1광소자(5)의 저부는 제 1패키지(1)에 제공된 구멍(1d)을 밀봉하도록 제 1패키지(1) 측벽부(1b)의 외측면에 접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접합재료는, 예를 들면, 광경화수지, 에폭시수지 또는 접합수지이다.
제 1패키지(1) 내측을 향하는 제 1광소자(5) 저부의 습기에 의한 광특성의 악화 및 수광수단(3) 또는 광원(2)의 산화에 의한 특성열화를 방지하는 면에서 밀봉공간에 건공기나 Ar 가스같은 비활성 가스 또는 N2가스로 사전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광소자(5)가 제 1패키지(1)를 밀봉시키도록 접합재료 사용으로 제 1패키지(1) 측벽부(1b)에 접합되는 구성이 경우, 이 부분을 밀봉하기 위해 종래는 덮개유리가 필요했으나 여기서는 생략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광픽업장치의 구성이 간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광소자의 위치설정 및 접합과 패키지 밀봉을 위한 덮개부재 밀봉의 두 공정군의 제조공정군이 필요하나, 광칙업장치의 제조공정군이 광소자의 위치설정 및 접합의 단일공정군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픽업장치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광소자(5)가 제 1패키지(1)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패키지는 제 1광소자가 패키지내에 포함되는 구성에 비해 소형화될 수 있으며, 광픽업장치의 크기 역시 소형화되며, 광픽업장치 공간의 이용효율이 증가된다.
광소자들이 외측으로 노출되나 제 1광소자(5)의 프리즘들 사이에 위치되는 표면에 배열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광소자들이 대기에 노출되며, 수분흡수로 인해 주어진 성능이 유지될 수 없거나, 광소자들상의 먼지에 따른 특성악화같은 문제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제 1패키지(1)의 내부압력은 부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패키지(1) 측벽부(1b)에 접합된 제 1광소자(5)가 제 1패키지(1) 외측에서 그 내부로 끌려지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되므로, 부압인 것이 제 1광소자(5)와 제 1패키지(1) 사이의 양호한 접합효과를 위해 효과적이다.
다음에는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실시예의 구성에서, 제 1패키지(1)는 제 1광소자(5)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될 뿐만 아니라, 제 1패키지(1)의 구멍(1d)은 차폐부재(85)(도면의 점선) 및 제 1광소자(5)에 의해 밀봉된다. 즉, 차폐부재(85)가 제 1패키지(1) 측벽부(1b)의 구멍(1d)을 제 1패키지 내부로부터 밀봉되도로 배열되며, 제 1광소자(5)는 제 1패키지(1) 측벽부(1b)의 구멍(1d)을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배열되어서 패 내부는 이들 두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이런 구성의 장점이 후술된다. 제 1패키지(1)의 내부압력이 정압인 경우, 내부로부터 접합된 차폐부재(85)는 접합재료를 포함하는 측벽부(1b)에 압착되며, 이는 누출부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런, 부압인 경우, 차폐부재(85)가 측벽부(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결함접합에 따른 누출부 발생 가능성이 증가된다.
반대로 외측으로부터 접합된 제 1광소자(5)가 접합재료를 포함하는 측벽부(1b)에 압착될 때, 제 1패키지(1)의 내부압력이 차폐부재(85)에 반대로 부압인 경우, 누출부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나, 제 1패키지(1)의 내부압력이 정압인 경우, 제 1광소자(5)가 측벽부(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결함접합에 따른 누출부 발생 가능성이 증가된다.
즉, 제 1패키지(1) 측벽부(1b)가 차폐부재(85)와 제 1광소자(5)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들이 배열되어서 제 1패키지(1)의 내부압력이 정압이든 부압이든 측벽부(1b)와 제 1광소자(5)의 적어도 하나가 측벽부(1b)에 압착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며, 따라서 대기압 차이 또는 결함접합에 의한 누출부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구성의 경우, 제 1패키지(1) 내부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제 1패키지(1) 내부에 배열된 광소자, 광원 또는 수광수단이 대기에 노출되거나 수분을 포함하는 조건에 의해 초래되는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고신뢰성을 갖는 광픽업장치를 얻는 것으로 이어진다.
차폐부재(85) 재료로는 광이용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수지나 유리같은 양호한 투명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직경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얇은 차폐부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부(1b)에 대한 차폐부재(85)의 접합력은 측벽부(1b)에 대한 제 1광소자(5)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측벽부(1b)에 대한 직접 제 1패키지(1) 내부를 향하는 차폐부재(85)의 접합력이 제 1광소자(5)의 것보다 크게 하면, 제 1광소자(5)와 측벽부(1b) 사이의 누출부가 설사 누출부가 발생하더라도 제 1패키지(1) 내부로 연장될 정도로 억제될 수 있다. 이것은 제 1패키지 내부로 누출부 발생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실현시키는 수단으로 제 1광소자(5)와 측벽부(1b) 사이의 접합시 사용되는 접합재료에 비해 차폐부재(85)와 측벽부(1b) 사이의 접합시 보다 큰 접합력을 갖는 접합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제 1패키지(1)와 차폐부재(8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A)과 측벽부(1b), 차폐부재(85) 및 제 1광학부재(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B) 사이의 압력차이는 가능한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A)과 공간(B) 사이의 압력차이로 공간(A)과 공간(B) 사이의 차폐부재(85)에는 항상 압력이 가해진다. 만일, 제품을 손으로 나르거나 차에 적재함으로써 초래되는 진동이 이 상태에서 차폐부재(85)로 들어가는 경우, 차폐부재(85)는 심하게 진동하거나 편향되며, 이는 입사광과 차폐부재(85)에 의해 형성된 입사각을 미세하게 변화시키며, 또한 광특성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A)과 공간(B) 사이의 압력(P) 차이는 가능한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P는 0.3(atm)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2패키지(8)와 제 2광소자(1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도 동일 조건이 적용된다.
광통로 분할수단(15)은 광원(2) 및 광원(9)의 방출량을 광디스크로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반거울 및 편향분리(편광빔 분할기)막이 광통로 분할수단(15) 재료로 사용되며, 고비율의 광원(2)으로부터의 광투과 및 고비율의 광원(9)으로부터의 광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광통로 분할수단(15)에서의 광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으며, 광이용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광이용효율 증가는 광원(2)의 방출광의 양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케 하므로 광원(2) 또는 광원(9)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광픽업장치가 설치되는 광디스크장치의 신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파장선택기능을 갖는 반사수단이 상기 특성을 갖는 광통로 분할수단(15)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파장선택기능을 갖는 반사수단은 일정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면서 다른 파장의 빛은 반사시키며, 특히 이 실시에의 경우, 광통로 분할수단(15)은 광원(2)으로부터 나오는 거의 모든 광은 투과시키며, 광원(9)의 거의 모든 광은 반사시키도록 구성되어서 광원(2) 및 광원(9)의 광이용효율은 최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과 광원(9)에 거의 큰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광원(2) 및 광원(9)의 수명은 평균화 될 수 있으며, 광픽업장치의 장기수명을 실현케 한다.
색(chromatic)수차 보정(보상)수단(500)이 광원(9)과 광통로 분할수단(15) 사이에 위치되며,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며, 디스크(19)로 수렴하는 광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색수차를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색수차 보정수단(500)으로 색수차 보정(보상)수단을 갖는 홀로그램 또는 렌즈가 있다; 소형 광픽업장치를 실현하려고 홀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픽업장치에 대한 색수차 보정(보상)수단의 부피비를 효율적으로 낮추며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또한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색수차 보정수단(500)이 배열되면, 광원(2)과 광원(9)의 방출광 사이의 파장차이에 따른 유리재료 등의 굴절지수 변화에 의한 색수차 발생을 보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집광기(condenser)에 의해 집광되는 광이 색수차 존재에 의해 기록매체에 집광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크의 종류와 광원의 파장에 따라 최적 설계되는 대물렌즈의 사용 필요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와 광원의 종류에 따라 대물렌즈가 변하는 구성없이 단일의 집광기(17)만이 고밀도 광디스크(18) 및 저밀도 광디스크(19)상에서의 광원(2) 및 광원(9)의 양광을 양호하게 집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색수차 보정수단(500)이 광원(9)과 광통로 분할수단(15) 사이에 배열되나, 광원(2)으로부터의 공에 대한 실사용량이 광원(9)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실사용량보다 작게 되어서 광원(2)으로부터의 광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성으로 상기 보정수단이 광통로 분할수단(15)과 잡광기(1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색수차 보정수단(500)이 광원(9)과 집광기(17) 사이 어느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는 이러한 구성으로, 소형 광픽업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하도록 광픽업장치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1/4 파장판(4) 및 1/4 파장판(14)은 이 실시예에서 제 1광소자(5)와 제 2광소자(11)에 각각 설치되나, 광디스크와 조준기렌즈(16) 측부의 광통로 분할수단(15)의 단부면 사이의 어느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종래는 두 1/4 파장판이 필요하나, 일 1/4 파장판이 생략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저가의 광픽업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감축면에서 상기 판이 조준기렌즈(16) 측부의 광통로 분할수단(15) 단부면에 먼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준기렌즈(16)는 광원(2) 및 광원(9)의 방출광의 확산각을 입사전 확산광이 되버린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된다.
입사된 광을 집광시켜서 광디스크에 빔스포트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집광기(17)는 초점 및 트래킹방향으로 변화하도록 렌즈구동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조준기렌즈(16)는 집광기(17)로 입사되는 광의 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서 광이용 효율이 증가된다. 따라서, 최대출력보다 훨씬 낮은 출력에서 광원(9)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광원(9) 수명이 연장되고 광픽업장치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이 실시예에서, 조준기렌즈(16) 및 집광기(17)는 고밀도 광디스크(18)와 광원(2)에 대해 최적이 되도록 설계되며, 광원(2)의 발광점(2a)은 조준기렌즈(16)의 초점이 배열된다.
또한, 색수차 보정수단(50)은 이 실시예에서 광원패키지(8) 및 광통로 분할수단(15)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공되나, 광원(9)에 대한 광학축의 조절후 광원패키지(8)에 형성되거나 광통로 분할수단(15)에 일체형으로 집적되거나 광원패키지(8) 측부의 단부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광픽업장치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조준기렌즈(16) 사용대신, 예를 들면, 제 1광소자(5)와 제 2광소자(11)에는 광확산각을 변환시키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조준기렌즈(16)는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정밀한 위치설정이 필요없게 되며 부품수가 감소되어서 생산성이 증가된다.
이들 구성을 갖는 광픽업장치의 작동이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먼저, 고밀도 광디스크(18)가 디스크 유니트의 주축 모터에 설치된다. 대개의 경우, 고밀도 광디스크(18)는 각각 약 0.6㎜ 두께를 가지며, 적층으로 형성되는 두 디스크 기판으로 만들어진다. 이 상태에서 광픽업장치가 작동된다.
광원(2)의 발광점(2a)으로부터 나온 광속(2b)은 광통로 분할수단(6)을 통해 제 1광소자(5)의 제 1경사면(5a)으로 투과되며, 1/4 파장판(4)에서 선형편광으로부터 원형편광으로 그 편광방향을 바꾸며, 광통로 분할수단(15)으로 입사된다. 거의 대부분 광통로 분할수단(15)을 통해 투과된 후, 광속은 조준기렌즈(16)에서 광속(2c)으로 변환되며, 광속(2d)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집광된다. 집광기(17)는 약 0.6의 다수 구멍을 갖도록 설계되어서 고밀도 광디스크(18)의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광을 미세스포트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다음은 도 1을 이용하여 저밀도 광디스크(19) 재생을 위한 전방광의 광통로에 대한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이 실시예서, 저밀도 광디스크(19)는 약 1.2㎛ 두께를 갖는다. 광원(9)의 발광점(9a)으로부터 나온 광(96)은 광통로 분할수단(12)을 통해 제 2광소자(11)의 제 1경사면(11a)으로 투과되고, 1/4 파장판(14)에서 선형편광으로부터 원형편광으로 그 편광방향을 바꾸며, 광통로 분할수단(15)으로 입사된다. 거의 대부분 광통로 분할수단(15)을 통해 반사된 후, 광은 조준기렌즈(16)에서 광속(9c)으로 변환되며, 집광기(17)에 의해 저밀도 광디스크(19)에 광속(9d)으로 도시된 것처럼 집광된다.
이때, 저밀도 광디스크(19) 재생을 위한 집광기(17)의 초점길이(L2)는 고밀도 광디스크(18) 재생을 위한 집광기(17)의 초점길이(L1) 보다 길게 결정된다. 초점길이간의 차이는 1.0㎜ 이하, 또는 0.6㎜ 이하가 바람직한데, 이는 여러 종류의 광디스크에서 재생시 집광기(17)를 유지시키는 작동자를 크게 구동시킬 필요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점위치는 쉽게 조절될 수 있으며, 기판간의 두께 차이를 매우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기록매체의 상이한 위치에 초점을 맺는 이런 구성의 경우, 동일한 광픽업장치에 의해 기판 두께가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즉 CD-ROM처럼 두께 1.2㎜의 저밀도 광디스크(19)의 데이터 및 0.6㎜ 두께를 갖는 단일 기판의 고밀도 광디스크(18) 또는 단일 기판의 양면 적층의 DVD의 데이터를 동일한 광픽업장치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초점길이(L1) 및 초점길이(L2)는 집광기 같은 광학부재의 가동범위를 셋팅함으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변화될 수 있어서, 적층된 고밀도 광디스크로 만들어진 광디스크 또는 다수의 기록층을 갖는 광디스크의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다음은 고밀도 디스크(18) 또는 저밀도 광디스크(19)로부터의 반사된 광이 검출되는 지점까지의 광통로, 즉 후방통로에 대한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먼저, 고밀도 광디스크(18)의 재생이 설명된다. 고밀도 광디스크(18)로부터 반사된 광은 전방통로와 거의 동일한 광통로를 따라 광통로를 따라 광통로 분할수단(15)을 투과하고, 1/4 파장판에 의해 원형편광으로부터 제 1편광방향에 직각인 선형편광으로 변환되고, 제 1광소자(5)의 제 1입사면(5a)상의 광통로 분할수단(6)으로 입사된다. 광통로 분할수단(6)은 이 실시예에서 편광분리(편광빔 분할기)막으로 만들어지므로 입사광은 거의 전부 반사되며 반사수단(7)으로 안내된다. 반사수단(7)은 일정 목적을 만족시키는 광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초점에러신호를 형성시키는 소자가 제공된다. 따라서, 반사수단(7)에 의해 반사된 광은 고밀도 광디스크(18)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초점에러신호, 트랙에러신호 및 초점에러신호를 형성하면서 수광수단(3)에 집광된다.
다음은 저밀도 광디스크(19)의 재생이 설명된다. 저밀도 광디스크(19)로부터 반사된 광은 전방통로와 거의 동일한 통로를 따라 광통로 분할수단(15)에 의해 반사되고, 1/4 파장판에 의해 원형편광으로부터 제 1편광방향에 직각인 선형편광으로 변환되고, 제 2광소자(11)의 제 1입사면(11a)상의 광통로 분할수단(12)으로 입사된다. 광통로 분할수단은 이 실시예에서 편광분리(편광빔 분할기)막으로 만들어지므로 입사광은 거의 전부 반사되며 반사수단(13)으로 안내된다. 반사수단(13)은 일정 목적을 만족시키는 광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초점에러신호를 형성시키는 소자가 제공된다. 따라서, 반사수단(13)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저밀도 광디스크(19)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초점에러신호, 트랙에러신호 및 초점에러신호를 형성하면서 수광수단(10)에 집광된다.
전술한 것처럼 다수의 광원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 각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발생되는 파면수차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집광기로는 이 파면수차 보정(보상)에 효과적인 수차보정(보상)기능을 갖는 렌즈사용이 필요하며, 이는 각 광속에 맞는 다수의 집광기 사용의 필요성을 초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원(2 또는 9)의 발광점(2a 또는 9a) 및 조준기렌즈 사이의 거리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방지하는 바, 이점이 후술된다.
도 4는 제 1실시예의 발광점 및 조준기렌즈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4에서 참조번호(L3)는 조준기렌즈(16)에서 발광점(2a)까지의 유효초점길이를, 참조번호(L4)는 조준기렌즈(16)에서 발광점(9a)까지의 유효초점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집광기 쉬프트양에 따른 파면수차양과 거리비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즉, L3와 L4의 비가 변화될 때, 집광기로 입사시의 발생되는 파면수차양이 (두꺼운 선으로 도시된) 트래킹방향으로 집광기(17)가 500㎛ 쉬프트하는 경우와 (가는선으로 도시된) 트래킹방향으로 쉬프트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된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의 재생중 집광기는 트래킹방향으로 500㎛의 최대 쉬프트 가능성을 갖는다. 또한, 집광기로 입사된 광을 효과적으로 광디스로 수렴시키기 위해 RMS값으로 0.07λ(λ는 광의 파장) 이하의 파면수차가 허용되며, 집광기(17)로의 입사조건이 가혹하며, 수차양이 상대적으로 큰 발광점(9a)으로부터의 집광기(17) 최대 쉬프트양(500㎛)에서 파면수차양이 0.07λ 이하인 것을 고려할 때, 양 발광점으로부터의 광은 집광기(17)에 입사된 후 집광기(17)의 쉬프트양에 관계없이 광디스크에 수렴될 것이다. 도 3에 명백히 도시된 것처럼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L3와 L4의 비(L4÷L3=H, 이후 H라 함)는 0.50≤H≤0.75 범위가 바람직하다.
H가 이 범위에 있으면, 기록매체에 의해 반사 및 복귀되는 광의 파면수차양을 제한할 수 있어서 뛰어난 신호특성을 얻도록 반사광을 수용하는 수광수단으로 광이 양호하게 입사될 수 있다.
또한, 동일 조건에서 파면수차양이 RMS값으로 0.04λ 이하인 경우, 집광기(17)로의 입사광은 입사광이 어느 발광점(2a 또는 9a)으로부터 나오는 집광기(17)의 쉬프트양에 관계없이 매우 정밀하게 광디스크에 수렴된다. 도 5에 명백히 도시된 것처럼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H의 비는 0.53≤H≤0.70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의 H값을 갖는 광학계 구성의 경우, 모든 광 속의 파면수차는 단일광학계에 여러 형태의 광속을 갖는 광픽업장치에서 이론임계값 이하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광속이 단일집광기(17) 사용으로 광디스크에 집광될 수 있다.
따라서, 집광시 하나의 집광기(17)만이 필요하다. 또한, 다수의 집광기 사용시, 그에 따른 다수의 광학계를 배열시킬 필요가 없으며 렌즈스위치 수단도 불필요하게 되어서 부품수 감소에 따른 생산성 증가, 광픽업장치의 신뢰성 향상 및 복잡한 장치 생략에 따른 작동속도 향상을 이끄는 광픽업장치의 소형화가 가능케 된다.
조준기렌즈(16)를 갖는 무한광학계가 이 실시예에 사용되지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조준기렌즈가 없는 유한광학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유한광학계의 발광점과 집광기 사이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참조번호(L5)가 집광기(17)로부터 발광점(2a)까지의 유효초점길이, 참조번호(L6)가 집광기(17)로부터 발광점(9a)까지의 유효초점길이를 가르키는 것외에는 무한광학계와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하나의 무한광학계이고 다른 하나는 유한광학계인 광픽업장치에서도 동일방식으로 그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고밀도 및 저밀도 광디스크의 두께 차이에 의해 초래된 구면수차의 정도와 동일하며, 이들은 각 상호구면을 상쇄시키는 반대신호를 갖기 때문에, 상기 현상은 전체로 극히 작은 구면수차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색수차 보정장치의 유무에 따른 파면수차양과 렌즈 쉬프트양 사이의 관계도면으로, 색수차 보정 홀로그램(500)이 광원(9)과 조준기렌즈(16) 사이에 배열된 경우(두꺼운 선으로 도시됨) H값이 0.63으로 가정하고, 상기 홀로그램이 배열되지 않은 경우(가는 선으로 도시됨) 집광기(17)가 트래킹방향으로 쉬프트될 때 광원(9)으로부터 방출 및 디스크(19)로 수렴되는 광 속의 파면수차양을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재생시의 집광기는 트래킹방향으로 최대 500㎛ 쉬프트될 수 있다. 도 19에 명백히 도시된 것처럼 이 렌즈 쉬프트양의 범위에서 상기 허용치내에 파면수차양을 한정하려면 색수차 보정 홀로그램(500)의 설치가 필요하다. 색수차 보정 홀로그램(500)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 및 디스크(18)로 수렴되는 광속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광원(9)과 광통로 분할수단(15)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수차 보정 홀로그램(500)이 없는 경우, 렌즈 쉬피트시 파면수차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조준기렌즈(16)와 집광기(17)는 광원(2)의 광파장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므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원(9)의 광속에 색수차가 발생된다. 색수차는 파장에 의한 레즈구성 유리재질 등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초래되며, 이는 렌즈의 굴절능 및 렌즈원주부를 투과한 광속과 렌즈중심부를 투과한 광 속의 초점 위치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색수차 보정수단(500)은 조준기렌즈 또는 집광기렌즈 원주부를 투과한 광 속의 초점위치로부터 이들 렌즈중심부를 투과한 광 속의 초점 위치변화를 보정하여서 렌즈를 투과한 모든 광선이 거의 단일초점위치로 수렴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9)의 발광점(9a) 및 조준기렌즈(16) 사이 최적거리를 갖는 디스크들 사이의 두께차이에 의한 구면수차에 대한 보정과, 광원(9)의 발광점(9a) 및 조준기렌즈(16) 사이 색수차 보정수단이 설치된 광원들 사이의 파장차이에 의한 색수차에 대한 보정이 행해져서 모든 광속의 파면수차는 단일광학계에 여러 종류의 광속을 갖는 광픽업장치에서 허용치 이하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광속은 단일집광기(17) 사용으로 광디스크에 집광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광집적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패키지(20)는 고밀도 광디스크(18)를 위한 광방출 광원(2) 및 저밀도 광디스크(19)를 위한 광방출 광원(9), 수광수단(21) 등이 광매체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기판부(20a), 및 이들 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측벽부(20b)로 구성된다. 기판부(20a) 및 측벽부(20b) 등은 일체형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인 경우, 조립공정이 간단해져서 생산성이 증가된다.
패키지(20) 재료는 제 1실시예의 패키지(1)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패키지(20)는 기판부(20a) 및 필요하다면 측벽부(20b)를 큰 열용량을 갖는 캐리지와 접하게 하여서 광원(2, 9)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따라서, 캐리지와 접하는 기판부(20a)의 면적이 클수록 패키지(20)는 양호한 열방산 효과를 얻게 된다.
기판부(20a)에는 광원(2)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수광수단(21)으로부터 산술회로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단자(20c)가 제공된다. 이들 단자(20c)는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단자(1c)들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패키지(20)에는 여러 조합의 광원(2, 9), 예를 들면 650㎚와 780㎚, 490㎚와 650㎚, 400㎚와 650㎚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일광원의 파장이 더 길고 다른 광원의 파장은 더 짧다. 광원의 수는 둘 또는 셋이 될 수 있다.
패키지(20)의 구멍(20d)에는 광소자(22)가 접합유리 또는 수지같은 접합에 의해 접합된다.
도시된 것처럼, 패키지(20)와 광소자(22)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 즉 광원(2, 9) 및 수광수단(21)이 배열되는 공간은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성의 경우, 먼지나 수분같은 불순물이 패키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광원(2, 9) 및 수광수단(21)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방출된 광의 광학특성의 악화가 또한 방지된다. 또한, 패키지(20) 내부를 향하는 광소자(22) 등의 표면이 습화되어 초래되는 광학특성의 악화 및 광원(2, 9)과 수광수단(21)의 산화에 의한 특성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패키지(20)와 광소자(2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건공기나 Ar같은 비활성가스 또는 N2를 사전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2)이 광원(9)과 다른 패키지에 포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이 동일 패키지의 동일환경에 위치되어서 광원(2)과 광원(9)이 동일 작동조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작동조건차이에 따른 광원(2, 9)간의 수명차이 같은 문제점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서 광픽업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광소자(22)는 광원(2, 9)의 광을 주어진 공통로로 안내하며 고밀도 또는 저밀도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복귀광을 수광수단(21)으로 안내한다.
광소자(22)는 제 1경사면(22a), 제 2경사면(22b), 제 3경사면(22c)을 포함하는 제 1기판(22d) 및 제 1기판(22d)의 단부면과 광원의 측부에 접합되는 제 2기판(22e)으로 구성된다.
광소자(22)는 수차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서 양호한 재생신호 또는 초점 트래킹신호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체적으로 평행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소자(22) 상하부는 초점이 맞지 않는 스포트에 의한 재생신호 악화 및 비점수차 발생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방출된 광의 광학축에 정확하게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소자(22)의 재료로는 이 소자를 투과한 광의 광학특성 악화 및 광의 양 감소지면에서 유리나 수지같은 고광투과율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복굴절을 초래지 않아서 투과된 광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가 광소자(22)의 재료로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의 파동에 따른 구면수차 발생의 방지면에서 저파장분산, 즉 BK-7 같은 고아배수를 갖는 광학유리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광소자(22)는 제 1경사면(22a), 제 2경사면(22b) 및 제 3경사면(22c)에 대해 거의 동일방향으로 거의 동일경사각에 각각 수직벡터를 갖는 구성을 갖는다. 제 1, 제 2, 제 3경사면(22a, 22b, 22c)이 이런식으로 형성되며, 제 1기판(22d) 길이 및 그에 따른 높이방향으로 광소자(22) 길이를 감소시키면서 예정된 광통로길이를 얻을 수 있어서 주어진 광학특성이 유지되면서 광픽업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광헤드의 중력중심이 광소자(22)를 포함하는 패키지(20)가 캐리지에 설치될 때 패키지(20)가 설치되는 영역 근방에 위치되어서 정확한 설치가 얻어질 수 있으며, 접합시 위치변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광소자들이 광이 각 면에서 반사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어서 광이 투과될 때 예정된 광특성이 광소자(22)에 입사된 광에 주어질 수 있다.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동일한 광통로로 안내될 때, 적어도 세 개의 면이 광소자(22)에 동일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두 번이상 반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광이 각 경사면에 형성된 여러 광소자들을 투과함으로써 광이 광소자(22)로부터 투과되기 전에 광원(2)으로부터 나온 광의 광학특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광원(2 또는 9)으로부터 광소자(22)의 방출면까지 긴 길이가 확보될 수 있으며, 반대로 광소자(22)와 기록매체간 거리를 감소될 수 있어서 광픽업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광소자(22)에 기록매체를 조사하는데 필요한 광학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광소자(22)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통로에 특별한 여러 가지 광소자들을 배열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부품수 및 조립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제 3경사면(22a, 22b, 22c)이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우, 주어진 광소자들이 주어진 각도로 사전에 형성 및 절단되어 다수의 평행평판과 결합된 채로 다수의 평행평판을 접합함으로써 광소자(22)가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어서 광소자(22)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예정된 각도에 의해 광학축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어서 축조절에 필요한 시간 및 공정이 감소된다.
제 1, 제 2, 제 3경사면(22a, 22b, 22c)의 입사광에 대한 경사각은 30~6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도가 바람직하다. 제 1, 제 2, 제 3경사면(22a, 22b, 22c)은 각 경사면에 형성된 광소자들의 관점에서 일정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소자들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지 않는 경우, 반사되지 않은 소량의 투과광이 방출된 광 속의 광통로로 들어오며 표유광의 성분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L이 주어진 거리라면, 경사면의 경사각이 30도 보다 작은 경우, 광소자(22)는 적어도 광이 제 1경사면(22a)에서 반사되며, 제 2경사면(22b)에 입사될 때까지 또는 제 2경사면(22b)에서 반사되는 제 3경사면(22c)에 입사도리 때까지 발생되는 입사각 위치의 차이 2L/√3만큼 두껍게 만들어지며, 각기 30도 보다 큰 경우, 동일 길이(L)를 확보하는데 발생되는 입사광 위치의 차이 및 그에 따른 제 1광소자(5)이 부피가 증가되며, 이는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경사면의 경사각이 60도 보다 큰 경우, 광소자(22)의 부피는 언급된 것처럼 너무 크게 증가되어서 광픽업장치의 크기 감소는 더욱 어려워진다.
입사각이 약 45도인 경우, 제 1경사면(22a)에서 반사되고 제 2경사면(22b)에 입사하는 광과, 제 2경사면(22b)에서 반사되고 제 3경사면(22c)에서 입사하는 광에서 입사광의 위치차이는 거의 제로로 감소될 수 있어서 광소자(22)는 소형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광소자(22)의 여러 광학소자들이 설명된다.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학축을 광원측부의 제 2기판(22e) 단부면(22f)에 맞추기 위해 배열되는 확산각 변환(빔축 조절에 따른 광빔 직경 변화율)수단이 광원(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확산(광빔 직경변화)각의 감소, 즉 광원(2)의 발광점(2a)으로부터 나온 광의 광통로를 마치 이 광이 실제위치 보다 훨씬 먼 위치로부터 방출되는 것처럼 변환시키는데 사용되며, 이수단은 광원으로부터 기록매체까지의 광통로를 증가시키도록 발광점을 기록매체로부터 사실상 대향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확산각 변환수단(23)은 광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킨다는 면에서 회절격자, 특히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으로는 4이상의 단(step)을 갖는 계단현상의 단면 또는 톱니모양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광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광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장 선택성을 갖는 필터(24)가 광원(2)으로부터 안내된 광을 거의 완전하게 투과시키며 광원(9)으로부터 안내된 광을 반사한다.
필터(24)를 제 1경사면(22a)에 형성시키면, 광원(9)으로부터 안내된 광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과 전면 간섭함이 없이 반사될 수 있어서 광원(2) 및 광원(9)의 광이 고비율로 기록매체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 및 광원(9)으로부터 나온 광의 양 증가없이 데이터가 기록매체로 기록 및 이로부터 재생될 수 있어서 광원(2, 9)의 수명이 이들을 고출력에서 사용함으로써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원(2, 9)이 저출력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광원(2, 9)의 온도증가가 제한되며, 발진파장이 온도변화시 쉽게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초점을 형성하는 고성능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24)는 광원(9)의 광에 대한 격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양 광원(2, 9)의 광은 단일집광기(17)로 입사되나, 집광기(17)의 입사동공(pupil)은 고밀도 광디스크(18)의 기록영역에 초점을 맞추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집광기(17) 형상 및 재료는 광원(2)의 광이 고밀도 광디스크(18)의 기록영역으로 집광되도록 조절된다.
광원(9)의 광이 이 실시예에서 처럼 이 집광기(17)를 갖는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영역에 초점을 맞추게 하려면, 집광기는 광원(9)으로부터 나오며, 집광기(17)로 입사되는 광의 직경이 광원(2)의 광보다 작도록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중앙부보다 원주부에 보다 강한 집관능을 가지므로, 팽창된 광이 입사되는 경우 초점은 보다 근거리에 형성된다; 그렇게 많이 팽창되지 않은 광이 입사되는 경우 초점은 보다 원거리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영역은 고밀도 광디스크(18) 보다 원거리에 배열되므로 광원(9)에서 집광기(17)까지의 광이 입사구멍을 최적화함으로써 광원(9)의 광이 광원(2)의 광에 맞도록 설계된 집광기(17)를 사용하여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영역에 집광될 수 있다.
입사구멍은 필터(24)로 조절된다. 즉, 필터(24) 크기는 이 필터에 의해 반사된 빛이 집광기(17)의 주어진 직경을 갖도록 조절된다.
필터(24)가 이러한 격막기능을 갖는 경우, 광원(9)으로부터 나온 광의 직경은 정밀조절될 수 있어서, 집광기(17)에 입사된 광의 직경은 주어진 크기로 결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광원(9)의 광이 집광기(17)에 의해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영역에 집광될 수 있다. 또한, 격막이 별도로 배열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감소되며, 격막과 광원(9)위치간 거리조절시간 및 공정이 생갹될 수 있어서 광픽업장치의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격막이 이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 광원(9)으로부터 나왔으나, 필터(24)에 의해 반사되지 않은 광은 직접 제 1경사면(22a)을 투과하여 광소자(22)의 외측으로 방출되므로, 광이 반사되지 않는 경우에도 패키지(20)에서 표유광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24)는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된 후방광이 입사되지 않으나, 저밀도 광디스크(19)를 향하는 전방광이 입사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필터(24)가 이 위치에 배열되며 격막기능을 갖는 경우, 예를 들면, 후방광의 광학축이 집광기(17)의 쉬프트로 예정위치로부터 벗어나더라도 광이 격막을 통과하지 않아서 수광수단에 입사된 원래의 광이 수광수단에 입사된 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며, 광의 양의 불균일한 분포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RF신호가 얻어질 수 있으며, 초점 및 트래킹 서보신호가 보다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24)는 광원(9)의 광에는 영향을 주나 광원(2)의 광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광원(9)의 광에 대한 격막이 광원(2)의 광에 간섭하지 않으며, 광원(2)의 광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다수의 광원이 단일패키지에 포함되며, 다수 광원의 광이 단일 집광기에 의해 주어진 위치에 집광되는 구성의 광픽업장치에서 다수 광원의 광이 서로 악영향없이 집광기로 주어진 직경으로 입사될 수 있다.
편광분리(편광빔 분할기)막(25)은 특정 편광방향으로 빛을 투과시키며 다른 편광방향으로 빛을 반사한다. 이 실시예에서, 편광분리막(25)은 광원(2, 9)의 S편광성분은 투과시키며 P편광성분은 반사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 편광분리막(25)에 의해 투과된 빛은 투과빛의 양이 전혀 감소함이 없이 기록매체로 안내될 수 있어서 광이용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고, 이는 광원(2, 9)의 장수명화로 이끈다.
색수차 보정수단(501)은 제 1실시예의 색수차 보정수단(500)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색수차 보정수단(501)은 광원들로부터 대향되는 쪽의 제 1기판 단부면(22d)에 위치되어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학축을 매치시키며,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디스크(19)로 수렴되는 광속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색수차를 보정하는 기능을 한다.
1/4 파장판(26)은 선형편관을 타원형 편광으로 입사광을 변화시키며, 그 회전방향이 역전된 채로 기록매체에 의해 반사된 타원형 편광을 상기 입사방향의 편광에 직각인 선형편광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확산각 변환수단(27)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학축을 매치시키도록 광원 측부의 제 2기판(22e) 단부면(22f)에 배열되며, 광원(9)의 입사광의 확산각을 상쇄시키도록, 즉 광원(9)의 발광점(9a)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통로를 마치 광이 실제위치보다 근거리에서 방출된 것처럼 변환시키도록 사용돠며, 사실상 접근방향의 발광점을 기록매체로 이동시킨다. 확산각 변환수단은 광원(9)의 발광점을 발광점(9a)에서 발광점(9e)으로 이동시켜서 광원(9)에서 기록매체까지의 광통로가 짧아진다. 이 확산각 변환수단(27)은 광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킨다는 점에서 회절격자, 특히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홀로그램으로는 광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광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4단 이상의 계단형상 단면 또는 톱니모양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빔을 형성하는 수단(28)이 입사광을 다수의 광속으로 분리시켜서 반사하도록 사용되며, 특히 이 실시예에서, 이 수단은 확산각 변환수단(27)을 통과한 빛을 세종류의 광속으로 분리시켜서 필터(24)로 반사시킨다. 복수빔 형성수단(28)은 다수의 광속이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회절격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세 종류의 광속, 제로차원 광 및 양 또는 음의 일차원 광이 회절격자에 의해 형성된다. 저밀도 광디스크(19) 트랙이 주어진 위치의 영역이 여기서 형성된 여러 종류의 광속으로 조사되고 복귀광의 양이 서로 비교되어서 저밀도 광디스크(19)트래킹하는 소위 3-빔 방법이 트래킹방법으로 적용된다. 3-빔 방법이 트래킹방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트래킹방법을 위해 필요한 광발생을 위한 광학장치 또는 단순히 반사수단을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분리막(25)에 의해 반사된 광 및 반사수단(29)에 의해 반사된 광을 주어진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반사수단(29, 30)이 사용되며, 이들은 Ag, Au 및 Cu 같은 고반사율의 금속 또는 다양한 굴절지수를 갖는 여러 유전체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기판(22d)의 제 3경사면(22c)에 형성되는 확산각 변화수단(31)은 반사수단(30)에 의해 반사된 광속의 광의 확산각, 즉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방향에서 수렴방향으로 변화시키며, 광을 즉,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된 광속을 수렴방향으로 반사시킨다.
확산각 변환수단(31)은 광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킨다는 점에서 회절격자, 특히 반사형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홀로그램으로는 광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광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4 이상의 단을 갖는 계단형상의 단면 또는 톱니모양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반사형 홀로그램(31)은 광원(2)의 광으로 구성되는 광속의 대부분을 제로차원 광으로 반사시키고, 광원(9)의 광으로 구성되는 광속의 대부분을 양의 일차원 광으로 회절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런 구성에 의해, 광원(9)의 광의 발광점의 전방(기록매체로부터)이동에 의해 수광수단(21)으로의 광원(9) 광속의 발산에 따른 초점 또는 트래킹신호형성 또는 RF신호검출의 어려움을 피할 수 있어서 고성능 광픽업장치가 신뢰성있게 정밀한 신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실현될 수 있다.
광원측부의 제 2기판(22a) 단부면에 위치되는 신호형성수단(32)이 확산각 변환수단(31)으로부터 안내된 광을 광수용수단(21)의 예정된 위치로 안내되고, 초점 및 트래킹신호를 형성하도록 입사광속에 예정된 특성을 부여하는 구성을 갖는다.
다수의 빔형성수단(28) 또는 필터(24)와 거의 같은 높이로 제 1기판(22d) 측부에 위치되는 수광수단(23)은 필터(24)를 지나지 않은 반사광을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으로 및 필터(24)에 의해 반사되지 않은 투과광을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으로 수용하며, 이 신호들은 광원(2) 및 광원(9)의 전력공급 제어회로의 피드백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광원(2) 및 광원(9)의 출력을 제어한다.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며 기록매체로 안내된 전방방출광의 일부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며 기록매체로 안내된 전방방출광의 일부 모두를 수광수단(33)으로 안내하는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동일 수광수단(33)이 저밀도 광디스크(19) 및 고밀도 광디스크(18)의 작동을 감시하는데 사용된다. 즉, 하나의 수광수단이 감시에 필요하므로 부품수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수광수단(33)이 다수의 광원(2, 9) 및 수광수단(21)을 포함하는 광헤드와 일체가 되는 경우, 수광수단(33) 배열을 위한 공간이 광픽업장치로부터 생략될 수 있어서 광픽업장치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수광수단(33)이 용이하고 정밀하게 광원(2, 9)에 위치될 수 있어서 광픽업장치의 생산성이 증가되며 광원으로부터의 방출광의 양이 정밀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플라이어(flyer)와 회전방향의 조절로 캐리지내의 각 부재사이 위치로 광헤드 설치가 완료되어서 광픽업장치 조립시 위치설정공정이 단순화될수 있으며, 따라서 광픽업장치의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다음에는, 광소자(22)가 왜 두 성분, 제 1기판(22d)과 제 2기판(22e)으로 형성되는지에 대한 이유가 설명된다. 제 1기판(22d)은 다수의 경사면을 가지며, 그 위에 다수의 광소자들이 평행위치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 1기판의 여러 광소자들은 입사광의 광학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다. 만일 홀로그래처럼 각도 의존성이 큰 광학소자가 제 1기판(22d)에 형성되며 위치설정이 고도로 정밀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각 허용치(toleramce)는 증가하며, 이는 기록매체로 향하는 광특성의 악화 가능성을 급증시킨다. 이는 또한 신호특성을 악화시켜서 광픽업장치의 성능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각도의존성이 큰 확산각 변환수단(23, 27)은 제 1기판(22d)과 별도로 형성되는 제 2기판(22e)에 형성되어서, 확산각 변환수단(23, 27)이 각각 광원(2) 및 광원(9)으로부터 나온 광의 광학축에 거의 수직으로 위치된다.
이런 배열에 의해, 기록매체로 안내된 광특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광특성악화가 작은 고성능 광픽업장치 제공이 가능하다.
제 2기판(22e)에 배열된 여러 광소자들은 각 기판(22e)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광소자는 주어진 형상으로의 마스크 에칭같은 물리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형성되므로, 마스크의 수 및 에칭횟수 감소면에서 일측방향 형성이 효과적이어서 공정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기판(22e) 모장치(maste)를 되돌릴 필요가 없으므로 위치설정 횟수를 생략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생산성이 증가하고 제조 가격이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확산각 변환수단(23, 27) 밑 신호형성수단(32)은 광원측부의 제 2기판(23e) 단부면(22f)에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광원(2, 9)은 제 2기판(22e)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즉, 이러한 구성에서 광원(2, 9)의 광은 제 2기판(22e)의 표면(22f)으로 입사되며, 기록매체로 안내되도록 광소자(22)에 형성된 여러 광소자에 의해 주어진 특성을 갖는 광속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광원(2, 9)은 광원 측부의 제 2기판(22e)의 표면(22f)이 기준영역으로 생각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광원이 단일 기준영역에 의해 위치될 수 있으며, 광원(2, 9)은 광소자(22)에 형성된 여러 광소자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소자(22)의 여러 광소자들에 대한 광원(2, 9)의 위치변화에 의한 광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2)과 광원(9)간의 위치설정은 단일 기준영역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들간 및 광원과 광소자간의 위치변화가 거의 없어서 양호한 광특성을 갖는 신뢰성 높은 광픽업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2기판(22e)의 광원들에 대향되는 표면(22f)과 광원(2)간의 거리는 표면(22f)과 광원(9)간의 거리와 같다. 광원(2, 9)이 이런 관계로 배열되면, 광원(2, 9)은 예를 들면, 동일 평면부재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광원(2, 9)의 높이정밀도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위치정밀도에 의해 초래되는 광특성의 악화를 방지하여서 양호한 기록 및 재생특성을 갖는 광픽업장치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 광원설치부(34)는 광원(2, 9)이 그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평행파이프 또는 평판을 갖는다. 기판부(20a) 또는 측벽부(20b)의 일부 또는 별도 부재로 기판부(20a) 또는 측벽부(20b)에 위치되는 광원설치부(34)는 광원(2, 9)을 홀딩하는 외에 광원(2, 9)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산한다.
다수의 광원이 동일한 광원설치부에 설치되는 이런 구성의 경우, 광원(2, 9)이 광원설치부(34)에 대해 예정된 관계로 사전 고정될 수 있으므로, 광헤드 조립시 광소자(22)와 광원(2, 9)간 위치설정이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헤드의 생산성이 증가된다. 또한, 이는 광원(2, 9)과 광소자(22)간의 위치변화 가능성을 줄여서 뛰어난 광특성을 갖는 광픽업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원(2, 9)이 광원설치부(34)의 동일표면에 배열되는 경우, 광원(2, 9)은 광원설치부(34)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다른 표면에 위치되는 구성과 비교시, 광원(2, 9)이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에 보다 용이하게 연결 또는 배선(wiring)시 연마될 수 있다. 또한, 광원(2, 9)간의 상대위치설정이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 영역은 극도로 정밀하게 모따기되어야 하나, 다수의 광원을 동일영역에 배열함으로써 단일영역만이 모따기 되므로 제조공정이 감소되고 생산성 증가 및 제조원가 감소가 있게 된다.
광원설치부(34)의 재료는 제 1실시예의 광원설치부(150, 152)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광원(2, 9)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광원 근방의 확대도이다. 광원(2, 9)은 광원설치부(34) 단부면(34a)에 거의 평행배열되며 전극(36a, 36b, 36c)이 역시 이 설치부에 위치된다. 전극(36a)은 광원(12)으로 전원공급에, 전극(36b)은 광원(9)으로 전원공급에, 전극(36c)은 광원(2, 9)의 접지에 사용된다.
패키지(20)의 여러 단자(20c)중 일단자(37a)는 광원(2)으로 전원공급에, 나머지 단자(20c)중 다른 단자(37b)는 광원(9)으로 전원공급에, 또 다른 단자(37c)는 접지에 사용된다.
단자(37a)와 전극(36a)은 와이어본딩 같은 연결부재(38a)에 의해 서로 전기접속되며, 전극(36a)은 동일하게 와이어본딩 같은 연결부재(38c)에 의해 광원(2)의 상부에 전기접속된다. 또한, 단자(37b)와 전극(36b)은 와이어본딩 같은 연결부재(38b)에 의해 서로 전기접속되며, 전극(36b)은 동일하게 외이어본딩 같은 연결부재(38d)에 의해 광원(9) 상부에 전기접속된다. 또한, 전극(36c)은 광원설치부(34)의 단부면(34a)으로부터 기판부(20a)를 향하는 저부(34b)까지 형성되어서, 전극(36c)이 전도성 수지 같이 전도성을 갖는 접합재료 또는 땜납수단에 의해 광원설치부(34)에 기판부(20a)를 접합시킴으로써 자동으로 단자(37c)에 전기접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광원(2, 9)으로 전기공급하는 전극(36a, 36b)은 이렇게 동일평면에 위치되어서 전극(36a)과 단자(37a)간의 연결은 광원설치부(34)의 회전없이 전극(36b)과 단자(37b)간 연결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서, 연결공정에서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단자(37a, 37b)가 연결되는 지점에 전극(36a, 36b)이 위치되는 단부면과 거의 평행한 평면을 형성시키며, 이 평면을 전극에 접합시킴으로써 접합된 평면의 각도가 조절될 필요가 없어서 접합시 작업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들 평면의 거의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경우, 접합장치의 이동거리는 접합시 최소화되어서 역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2, 9) 역시 전극(36a, 36b)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서 전극들과 광원들간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픽업장치의 조립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36a, 36b)은 각각 광원설치부(34) 단부면(34a)의 양 단부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단자(37a)와 전극(36a)간 및 단자(37b)와 전극(36b)간 접속거리를 최소화시켜서 연결부재(38a, 38b)가 전도성을 갖는 다른 부재와 접하게 되어 초래되는 단락, 연결부재의 끊어지는 경우, 너무 길게 되는 것 또는 전극이나 단자가 접합위치를 벗어나는 것과 같은 문제점 발생 가능성이 방지된다.
전극(36a, 36b)과 광원(2, 9)이 이 실시예에서 동일 평면에 배열되나, 전극들이 두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은 두평면, 광원설치부(34)의 상부(34c) 및 단부면(34a)에 형성되고, 단자(37a) 상부의 일부는 연결부재(38a)를 통해 전극(36a)의 상부(34c)의 일부에 연결되고, 단자(37b) 상부의 일부는 연결부재(38a)를 통해 전극(36b)의 상부(34c)의 일부와 연결된다. 이 구성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연결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연결부재(38a) 설치시 실수로 연결부재(38c)의 파손같은 문제점을 완전방지하며, 따라서 광픽업장치의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전극이 두 평면상에 설치되는 광원설치부의 각진 부분은 예정반경(R)으로 둥글게 되어서 각 평면에 형성된 전극들의 신뢰성있는 전기접속을 유지하도록 전극들이 각진부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전극(36c)이 형성되는 단부면(34a) 및 저부(34b)의 각진부분이 둥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 9)의 후방방출광을 위해 반사, 광흡수 또는 산란부재가 제 1실시예의 광원(2, 9)과 동일방식으로 배열된다. 반사부재의 각각이 광원(2) 및 광원(9)의 각각에 설치되거나 하나의 반사부재가 다수의 광원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 광원주위의 확대도이다.
반사부재(35)는 패키지(20)의 기판(20a)에 설치된다; 광원(2)의 발광점(2g)이 존재하는 단부면(2i)에 대향하는 평면(35a)은 광원(2)의 측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되고, 광원(9)의 발광점(9g)이 존재하는 단부면(9i)에 대향하는 평면(35b)은 광원(9)의 측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된다.
반사부재의 재료로는 고반사율을 갖는 금속재료를 사용하거나 광이 입사되는 부분만 또는 평면(35a, 35b)에 고반사율을 갖는 금속이나 유전체 물질 형성전 저반사율을 갖는 저가재료로 반사부재(35)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재(35)의 평면(35a, 35b)의 입사각은 광원(2) 및 광원(9)의 방출광의 확산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광원(2)의 방출광 확산각이 광원(9)의 방출광의 확산각보다 크면 평면(35b)의 경사각(θ2) 보다 큰 평면(35a)의 경사각(θ1)은 저확산각을 갖는 광원(9)의 광뿐만 아니라 고확산각을 갖는 광원(2)의 광이 광소자(22) 또는 수광수단의 예정된 광통로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표유광을 발생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양호한 광특성을 갖는 광픽업장치를 얻을 수 있다.
평면(35a) 및 평면(35b)의 경사각 모두를 θ2로 결정하면 표유광 발생을 급감시키면서 반사부재(35) 제조공정시 양 평면을 형성하기 위해 경사면의 세팅수를 한 번으로 제한할 수 있어서 생산성 향상 및 제조공정 단순화에 따른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더욱이, 광원(2)과 경사면(35a)간 및 광원(9)과 경사면(35b)간 거리를 고려하여 경사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재(35)의 평면(35a, 35b)은 이 실시예에서 도 10에 xy방향으로 경사지나, 광원설치부(34)의 대향방향을 향해 yz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런 구성의 경우, 경사평면들은 반사부재(35)의 단일면에 배열될 수 있어서, 반사부재(35)의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반사부재(35)의 평면(35a, 35b)은 고반사율을 갖도록 형성되나 제 1실시예에서처럼 고반사율 대신 고소광 모듈러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평면(35a, 35b)에 의해 반사된 광이 패키지(20) 측벽부(20b)의 구멍(20d)이 아닌 구멍으로부터 패키지(20) 외부로 방출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광원(2)의 후방방출광을 거의 완전히 패키지(20) 외부로 방출토록 하여서 후방광에 의한 표유광 생성 가능성을 급감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구멍은 유리나 수지같은 투명재료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광원 또는 수광수단이 공기나 수분과 접하여 초래되는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원(2, 9)의 후방방출광은 이 실시예에서 반사부재(35)에 의해 반사 또는 흡수되나, 반사부재(35) 대신 기판부(20a)의 광원(2, 9)에 대향하는 부분에 광원(2, 9)의 단부면(2i, 9i)에 대해 예정된 경사각을 갖도록 절취부(cutouts)가 배열되어서 광원(2, 9)의 광이 절취부에 위치된 반사 또는 광흡수평면에 의해 반사 또는 흡수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의 경우, 반사 또는 흡수평면이 기판부(20a)에 배열될 수 있으며, 반사부재(35)는 생략될 수 있어서 부품수가 감소하고 광픽업장치의 조립공정이 감소된다.
또한, 광흡수면이 기판부(20a)에 절취부없이 광원에 대향하는 기판부(20a)의 표면에 배열되는 경우, 광원(2, 9)의 후방방출광이 흡수될 수 있어서 표유광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의 경우, 반사부재(35) 및 기판부(20a)의 절취부가 배열될 필요가 없어서 기판부(20a)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광픽업장치의 생산성 증가 및 원가감소로 이어진다.
전술한 것처럼, 동일 패키지에 포함된 다수 광원으로부터의 공이 거의 동일 광통로로 안내되도록 다수의 광소자를 갖는 광부재로 입사되는 구성의 경우, 광소자 또는 다른 부품들이 종래의 경우, 이들이 각 광원에 배열되나 단일 유니트에 집중될 수 있어서 각 광원이 별도로 배열되는 광픽업장치와 비교하여 전체 광픽업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각 광부재와 각 광원간의 위치설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의해 생산성이 크게 증가되고 각 광소자간의 설치오류가 최소화되며, 따라서 양호한 광특성이 얻어질 수 있으며, 각 광소자간의 설치오류에 의한 광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양호한 광이용 효율을 갖는 광픽업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광부재 사용으로 다수의 광원에 따른 다수의 광학계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부품수 감소 및 부품의 위치설정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 증가가 가능하다.
두 광원의 광이 패키지(20)에 접합된 광소자(22)의 동일 통로로 안내되는 구성의 경우, 이들이 광헤드 외부에서 통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단일 광통로내로 통합을 위해 더 적은 부재들이 요구되므로 부품수가 감소되며, 광원과 이들 부재간 위치설정에 요구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양호한 생산성을 갖는 광픽업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소자(20)로부터 나온 광의 단일광학축에 의해 광소자(20)의 광방출면에서의 광의 양 감소를 억제하며, 방출된 광의 광학축이 다수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수차발생을 방지하도록 표면연마를 필요로 하는 광방출 표면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연마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조시간이 감축될 수 있다.
더욱이, 광원(2) 방출광과 광원(9)의 방출광의 적어도 하나가 예정된 광통로로 안내되도록 광소자(22)에 의해 수회 반사되므로, 광이 반사없이 안내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광소자(22)로부터의 광통로 길이가 감소될 수 있으며, 광소자(22)가 소형화 될 수 있어서 보다 소형이며, 얇은 광픽업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광원(2)의 광이 광원(9)의 광과 거의 평행하게 방출되는 구성에서, 광소자(20)의 배열위치와 반사횟수의 최적화는 광원(2)으로부터 광소자(20)의 광방출면까지의 거리와 광원(9)으로부터 광방출면까지의 거리간 가장 이상적인 관계를 만들어서 이 광픽업장치의 광특성이 광원(2)의 높이와 기판부(20a)로부터 광원(9)의 높이간 큰 차이없이 양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지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2)의 광속과 광원(9)의 광속간 광소자(20)로부터 방출된 광의 직경이 다른 경우, 집광기(17)로의 입사광의 직경이 변화될 수 있어서, 광원(2)의 광의 수렴위치가 광원(9)의 경우와 상이할 수 있다. 즉, 집광기로 입사되는 광의 직경이 각 광원간 차별화되는 경우, 정보가 기록 및 재생될 수 있도록 단일 집광기 사용으로 상이한 기록영역위치를 갖는 기록매체로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또한, 집광기로 입사하는 광의 확산각을 상이하게 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확산각과 입사광을 위한 상이한 구멍의 조합으로 수렴위치에 놀라운 차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광픽업장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기록매체가 고밀도 광디스크(18)인 경우, 기록 및 재생을 위한 광이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광원(2)의 방출광은 확산각 변환수단(23)에 의해 확산각이 감소된다. 즉, 광의 폭이 감소된다.
이 확산각 변환수단(23)은 고밀도 광디스크(18)를 향해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투과시키므로 데이터 기록을 위해 다량으로 요구되는 고밀도 광디스크(18)상이 패널(panel)광의 양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록 및 재생에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는 광픽업장치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 구성은 광소자(22)의 예정된 광통로 이외의 위치로 포함되는 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광소자(22)의 표유광 성분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표유광이 신호성분을 악화시키도록 수광수단(21)등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케 한다.
확산각 변환수단(23)에 의해 그 폭이 감소된 광은 거의 완전히 필터(24)를 투과하며, 또한 필터뒤에 배열된 편광분리막(25)을 거의 완전히 투과하고, 색수차 보정수단(501)으로 입사된다. 색수차 보정수단(501)은 광원(2)의 방출광에 색수차 보정효과를 전혀 제공하지 않도록 세트되어서 입사광은 전혀 색수차 보정수단(501)의 영향없이 색수차 보정수단(501)을 투과하여 1/4 파장판(26)으로 입사된다.
1/4 파장판(26)을 투과할 때, 그때까지 선형편광이었던 광은 원형편광으로 변환되며, 이때 조준기렌즈가 있는 경우, 이 렌즈(16)를 지나서 집광기(17)로 입사되기전 평행광으로 변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직접 집광기(17)로 입사되며, 그후 광은 고밀도 광디스크(18)로 수렴된다.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된 복귀광은 다시 1/4 파장판(26)으로 입사되며, 광은 원형편광에서 이 판(26)을 지나며 편광분리막(25)으로 입사할 때 광원(2)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편광방향에 수직인 선형편광으로 변환된다. 이때, 편광방향이 전방통로의 편광방향과 다르므로 광은 편광분리막(25)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수단(29, 30)을 통해 확산각 변환수단(31)으로 입사된다. 확산각 변환수단(31)으로 입사된 광은 전혀 회절되지 않게 반사되고, 예정형상을 갖는 광속은 신호형성수단(32)에 의해 수광수단(21)의 주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초점 및 트래킹신호와 RF신호가 수광수단(21)에 입사된 광에 기초하여 발생되어서 정보가 재생되며 광픽업장치의 최적제어를 수행한다.
기록매체가 저밀도 광디스크(19)인 경우, 기록 및 재생을 위한 광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광원(9)의 방출광과 관련하여 광의 폭박향은 확산방향에서 수렴방향으로 바뀐다. 즉, 광은 확산각 변환수단(27)에 의해 확산광에서 수렴광으로 변환된다.
확산각 변환수단(27)에 의해 수렴광으로 변환된 광은 다수의 빔형성수단(28)에 의해 다수의 빔으로 분할되어 반사되며, 필터(24)로 입사된다. 이때, 광은 필터(24)에 의해 거의 완전히 반사되고, 필터뒤의 편광분리막(25)을 거의 완전히 투과하여 1/4 파장판(26)으로 입사된다.
1/4 파장판(26) 통과시, 그때까지 선형편광이었던 광은 원형편광으로 변환되며, 이때 조준기렌즈가 있는 경우 집광기(17)로 입사전 보다 작은 확산각을 갖도록 광은 조준기렌즈(16)를 통과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광은 직접 집광기(17)로 입사되고, 저밀도 광디스크(19)로 수렴된다. 이때. 집광기(17)로 입사되는 광의 직경은 광원(2)의 광보다 작게 된다.
그후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된 복귀광은 다시 1/4 파장판(26)으로 입사되고, 광은 원형편광에서 이 판(26)을 지나며, 편광분리막(25)을 지날 때 광원(9)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편광방향에 수직인 선형편광으로 변환된다. 이때, 편광방향이 전방통로의 편광방향과 다르므로 광은 편광분리막(25)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수단(29, 30)을 통해 확산각 변환수단(31)으로 입사된다. 확산각 변환수단(31)으로 입사된 광은 거의 완전히 양의 일차원 광으로 회절되어 반사되며, 입사전 확산광이었던 광은 수렴광으로 변환되어 신호형성수단(32)으로 입사된다.
예정형상을 갖는 광속이 신호형성수단(32)에 의해 수광수단(21)의 주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초점 및 트래킹신호와 RF신호가 수광수단(21)에 입사된 광에 기초하여 발생되어서 정보가 재생되며, 광픽업장치의 최적제어를 수행한다.
다수의 광원이 전술한 것처럼 동일 패키지의 상이한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 흔히 각 광원의 방출광은 서로 상당히 다른 파면수차를 발생한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광원(2)의 발광점(2a)과 조준기렌즈간 및 광원(9)의 발광점(9a)과 조준기렌즈간 거리에 대해 최적화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후술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무한광학계의 발광점과 조준기렌즈간의 관계도이다. 도 11에서 참조번호(L7)는 조준기렌즈(16)와 실제발광점(2e)간 유효초점길이를, 참조번호(L8)는 조준기렌즈(16)와 실제발광점(9e)간 유효초점길이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다른 제 2실시예의 집광기 쉬프트 유무에 따른 길이비와 광의 파면수차의 양 간의 관계도이다. (L7) 과 (L8)의 비가 변화될 때, 집광기로 입사시 발생되는 파면수차양이 (굵은 선으로 도시된) 트래킹방향으로 500㎛ 집광기가 쉬프트한 경우와 (얇은 선으로 도시된) 트래킹방향으로의 쉬프트가 없는 경우가 비교된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에서의 재생중 집광기는 트래킹방향으로 최대 500㎛ 만큼 이동가능성을 갖는다. 또한, 집광기로 입사된 광을 효과적으로 광디스로 수렴시키기 위해 RMF값으로 0.07λ(λ는 광의 파장) 이하의 파면수가 허용되며, 집광기(17)로의 입사조건이 가혹하며, 수차양이 상대적으로 큰 발광점(9a)으로부터의 집광기(17) 최대이동량(500㎛)에서 파면수차양이 0.07λ 이하인 것을 고려할 때, 양 발광점으로부터의 광은 집광기(17)에 입사된 후 집광기(17)의 이동량에 관계없이 광디스크에 수렴될 것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도 12에 명백히 도시된 것처럼(L7) 과 (L8)의 비(L8÷L7=H, 이후 H라 함)는 0.50H0.75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파면수차양이 동일조건에서 RMF값으로 0.04λ 이하인 경우, 집광기(17)로의 입사 된 광은 입사광이 어느 발광점(2a 또는 9a)으로부터 나오든 집광기(17)의 이동량에 관계없이 매우 정밀하게 광디스크에 수렴된다. 도 12에 명백히 도시된 것처럼,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H비는 0.53H0.70이 바람직한 바, 이는 신호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H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광학계 배열이 경우, 모든 광 속의 파면수차는 단일 광학계에 여러 형태의 광속을 갖는 광픽업장치에서 이론임계값 이하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광속이 단일집광기(17) 사용으로 광디스크에 집광될 수 있다.
따라서, 집광시 하나의 집광기(17)만이 필요하다. 집광기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집광기들을 위한 스위칭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 감소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광픽업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복잡한 장치 생략에 따른 작동속도 증가 및 광픽업장치의 신뢰성 향상이 가능케 된다.
조준기렌즈(16)를 갖는 무한광학계가 이 실시예에 사용되지만, 유한광학계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는 무한광학계가 사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준기렌즈 배열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체 광픽업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직접된 광헤드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 시스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의 직교 횡단면은 광경로를 직선으로 예시한다.
도 13 및 14에서, 패키지(70)는 고밀도 광디스크(18)에 대해 광을 방출하는 광원(2)과 저밀도 광디스크(19)에 대해 광을 방출하는 광원(9)과,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수단(91)을 실장시킨 기판부(70a)와, 저밀도 광디스크(19) 등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수단(92)과, 상기 부재를 둘러싸기 위해 구성된 측벽부(70b)를 구비한다.
패키지(70)는 제 2실시예에서 설명된 패키지(20)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갖고 그러므로 그 설명은 본원에서 생략된다.
또한, 패키지(70)에 포함된 광원(2 및 9)이 제 2실시예의 그것과 같고, 그 설명은 본원에서 역시 생략된다.
다음에, 제 1광부재(72)는 광원(2 및 9)으로부터 설정된 광경로로 방출된 광을 가이드하기 위해 및 설정된 광경로로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복귀를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광부재(72)는 제 1경사평면(72a), 제 2경사평면(72b), 및 제 3경사평면(72c)을 구비하며, 특히 광 입사 평면을 광 방출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하고 입사광 또는 방출된 광을 상기 평면의 표면상에 거의 수직으로 입사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서, 전송된 광의 광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입사광에 대해 비점 수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종 광 소자는 제 1경사평면(72a), 제 2경사평면(72b), 및 제 3경사평면(72c)상에서 형성된다.
설명은 제 1광부재(72)에 있는 각종 광 소자에 대해 이루어진다.
첫째, 반사막(73 및 74)이 제 1경사평면(72a)상에서 형성된다. 반사막(73)은 광원(2)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으로 방출된 광을 반사하기 위해 사용되고 반사막(74)은 광원(9)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으로 방출된 광을 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사막(73 및 74)의 재료는 양호하게는 Ag, Au 및 Cu 등의 고반사율을 갖는 금속 재료 또는 복수의 교번(alternate)층으로 된 각종 굴절율을 갖는 복수의 유전체 재료이다.
반사막(73 및 74)이 본 실시에에서 개별적으로 구성되지만, 그들은 제 1경사평면(72a)의 거의 모두에 걸쳐 단일의 큰 반사막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사용되면,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반사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반사막을 형성하는 마스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고 제조 원가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제2경사평면(72b)상에, 편광 분리막(75 및 76)이 형성된다.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고 반사막(73)에 의해 반사된 광이 편광 분리막(75)상에 입사되고,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반사막(74)에 의해 반사된 광이 편광 분리막(76)상에 입사된다. 상기 편광 분리막(75 및 76)은 특정한 편광방향을 갖는 광을 전송하고 다른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반사시킨다.
상기 편광 분리막(75 및 76)은 복수의 교번층에서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복수의 유전체 재료로 양호하게 제조되는데 왜냐하면 더 정밀한 PS 분리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편광 분리막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S편광성분을 전송하고 P 편광성분을 반사시킨다.
편광 분리막(75 및 76)의 막 두께는 입사광의 파장에 따라 양호하게 세트된다. 그것은 더 정밀한 PS 분리를 수행하기 위해 입사광의 파장간의 차에 의해 발생된 편광 분리의 불완전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편광 분리막(75 및 76)이 전송된 광량을 거의 감소시키기 않고 기록매체에 광을 가이드하기 위해 효과적이고, 그러므로 광원(2 및 9)의 긴 수명을 얻기위해 사용하는 광 효율을 증가시키고 소출력의 광원(2 및 9)상에서 설정된 패널 광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편광 분리막(75 및 76)이 본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구성되지만, 입사광의 파장간의 적은 차만이 있다면, 그들은 제 2경사평면(72b)의 상부에 전체에 걸쳐 단일의 큰 편광 분리막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사용되면,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편광 분리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편광 분리막을 형성하는 마스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고 제조 원가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편광 분리막이 본 실시예에서 방출된 광 및 복귀 광간의 분리수단으로서 사용되고, 그들 대신에, 하프 미러 또는 다른 분리수단이 요구된 패널 광량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설명은 제 2경사평면(72b)상에서 구성된 다른 광부재에 대해 이루어진다.
도면 번호(77 및 78)는 모니터 광으로 사용하는 홀로그램을 표시하고, 홀로그램(77)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고 반사막(73)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반사된 광 일부를 굴절시키기 위해 반사시킨다. 상기 홀로그램(77)에 의해 굴절되도록 반사된 광이 제 1광부재(72)의 상부상에 실장된 반사부(79)로 가이드되고, 광수신수단(91)상의 모니터 광수신부상에 입사한다. 그후에, 그것은 모니터 광수신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토대로 해서 광원(2)의 전력공급 제어회로를 구동시키고, 광원(2)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하고,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량을 최적값으로 항시되게 하기 위해 제어한다.
홀로그램(78)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반사막(74)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반사된 광 일부를 굴절시키기 위해 반사시킨다. 상기 홀로그램(78)에 의해 굴절되도록 반사된 광이 제 1광부재(72)의 상부상에 실장된 반사부(80)로 가이드되고, 광수신수단(92)의 모니터 광수신부상에 입사된다. 그후에, 그것은 모니터 광수신부로부터의 전기신호를 토대로 해서 광원(9)의 전력공급 제어회로를 구동시키고, 광원(9)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하고,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량을 최적값으로 항시되게 하기 위해 제어한다.
또한, 반사막(81 및 82)은 제 2경사평면(72b)에 최근접한 부분에 있다.
반사막(81)이 광경로 분할수단(83)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것을 설정된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되고, 반사막(82)이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것을 설정된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사막(81 및 82)은 양호하게는 Ag, Au 및 Cu등의 고 반사율을 갖는 금속재료 또는 각종 굴절율을 갖는 복수의 유전체 재료로 제조된다.
마직막으로, 광경로 분할수단(83 및 84)은 제 3경사평면(72c)상에 형성된다.
광경로 분할수단(83)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고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된 복귀 광을 전송 또는 반사시키고, 광경로 분할수단(84)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된 복귀 광을 전송 또는 반사시킨다. 전송된 광량이 광경로 분할수단(83 및 84) 모두에서 반사된 광량과 거의 같게 되도록 하프 미러를 사용하는 것이 본원에서 양호한다.
다음에, 제 2광부재(86)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제 2광부재(86)가 UV 광 경화수지, 에폭시수지, 또는 결합유리에 의해 패키지(70)의 측벽부(70b)에 결합된 채로 패키지(70)의 측벽부(70b)상에 놓여진 개구(70d)를 닥기위해 구성된다. 제 2광부재(86)는 제 1기판(86a) 및 제 2기판(86b)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은 순간적으로 하기에서 설명된다.
첫째, 제 1기판(86a)은 차폐부재(85) 측면의 단부 표면에서 광원(9)으로부터의 광을 갖는 영역에서 형성된 확산각 변환수단(87)을 가진 채로 병렬 평면 형태를 갖는 수지 또는 유리 등의 양호한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확산각 변환수단(87)은 광원(9) 측면에서 제 1기판(86a)의 단부 표면상의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축을 결합하기 위해 광원(9)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확산각을 네가티브로하기 위해, 환언해서, 가시위치와 비교해서 저밀도 광디스크(19)에 더 가까운 위치로부터 방출되는 것처럼 및 근접 방향의 발광점을 저밀도 광디스크(19)로 시프트하는 것처럼 광원(9)의 발광점(9a)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경로를 갖는 광에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것은 광원(9)의 발광점을 진정한 발광점(9a)으로부터 명백한 발광점(9e)으로 명백히 시프트하고, 그러므로 광경로를 광원(9)으로부터 기록매체로 단축시킨다.
확산각 변환수단(87)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축에 거의 수직으로 양호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양호하게 입사광의 광축이 확산각 변환수단(87)의 중앙축을 정밀하게 결합한다. 그러나, 편차는 그들간에 자주 발생한다. 그것과 대적해서, 확산각 변환수단(87)이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축에 거의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입사광의 광축 및 확산각 변환수단(87)간에 허여되는 편차량 범위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한데, 환언해서, 광 특성 저하를 제한할 수 있는 편차량 오차를 최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입사광의 광축 및 확산각 변환수단(87)의 중앙 축간의 위치 설정용 정밀도를 낮게 요구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위치 설정은 쉽게 수행될 수 있고 위치 설정용 시간이 역시 감소된다. 또한, 반대로 편차가 광의 광축 및 확산각 변환수단(87)의 중앙 축간에 발생한다면, 광 특성 저하는 감소될 수 있다. 그것은 초기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지만 결합하는데 사용된 수지 등의 결합 재료의 수명 저하를 갖는 성분 편차에 의해 야기된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게 되고, 그러므로, 긴 주기동안 광 특성 저하를 감소시키는 광픽업장치가 매우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제 2광부재(86) 표면상에 노출된 확산각 변환수단(87)이 제 2광부재(86)의 광원(9)에 가까운 단부 표면상에 형성된 확산각 변환수단(87)으로써 패키지(70)에서 포함될 수 있고, 그러므로 확산각 변환수단(87)의 유전체, 유리, 수지, 또는 다른 재료에서 습기 흡수 또는 산화에 의해 야기된 확산각 변환수단(87)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확산각은 긴 주기동안 우수한 광 특성을 유지하는 광픽업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개선될 수 있다.
확산각 변환수단(87)의 기능 관덤으로부터, 그것은 굴절 격자, 특히 홀로그램으로 양호하게 제조되는데 왜냐하면 광을 매우 효과적으로 전송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홀로그램으로서, 4개 이상의 단계의 계단 형태로 횡단면을 갖거나 톱니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데 왜냐하면 광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확산각 변환수단(87)은 그것을 위치시킨 제 2광부재(86)의 굴절율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재료와 양호하게 접촉한다. 특히, 확산각 변환수단(87)이 홀로그램으로 제조되면, 확산각 변환수단(87)에서 확산각 변환 정도는 홀로그램의 각 슬롯 피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된다. 고정된 피치에서, 커다란 차는 확산각 변환수단(87)을 실장한 광부재의 굴절율 및 확산각 변환수단(87)에 접촉하게 되는 재료의 굴절율간에 발생됨에 따라, 확산 변환 정도는 증가된다.
그러나, 최소 피치는 과정 제한에 기인해서 제한되고, 현재 유익한 라인으로서 대략 1㎛으로 제한되게 된다. 피치가 증가되면, 확산각 변환수단(87)이 더쉽게 제조될 수 있고, 그러므로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제조에 사용된 제조장치를 단순화하기 위해, 작동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것은 양호한 광 특성을 얻기위해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상기 굴절율간의 커다란 차는 더 양호하게 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설명했듯이,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한 번 수렴되고 그 뒤에 확산된 광이 상기 구성에서 콘덴서(17)상으로 입사되고, 확산각 변환수단(87)을 구성하는 홀로그램의 피치를 1㎛ 이상으로 얻기 위해, 0.35 이상의 차만이 광부재 재료의 굴절율 및 확산각 변환수단(87)과 접촉하는 재료의 굴절율기에 필요로 되고, 나중에 더 설명하듯이, 광원(2) 및 시준기렌즈(16)간의 거리의 비를 설정값 이하로 광원(9) 및 사준기렌즈(16)간의 거리로 제한하기 위해 및 홀로그램 피치를 1㎛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0.5 이상의 차만이 제 2광부재(86) 재료의 굴절율 및 확산각 변환수단과 접촉한 재료의 굴절율간에 필요로 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로서, 공기는 본 실시에에서 사용된다. 공기는 수지 등의 고체 몸체 또는 액체와 다른 확산각 변환수단(87)의 미세한 피치중에서 일정하게 분포될 수 있고 그것의 굴절율은 대략 1을 예로 하는 바와 같이 극히 적고, 그러므로, 만족하는 조건으로 분포 편차에 의해 야기된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공기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양호한데 왜냐하면 산화에 의해 야기된 광부재상에 실장된 각종 광 소자의 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확산각 변환수단(87)을 실장시킨 광부재(86)에서 수명의 저하량이 패키지(70)에 포함된 광부재(72)의 그것과 같은 값으로 세트될 수 있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다음에, 확산각 변환수단의 구성이 도면을 참고로 해서 설명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확산각 변환수단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확산각 변환수단(87)에서, 동심원의 패턴들은 주변부에 근접함에 따라 감소된 피치를 갖는 평탄하지 않은 횡단면을 각기 갖는다. 그 패턴들은 건식 에칭 등에서 형성된다. 광 R이 홀로그램 패턴에 입사되면, 피치에 따라 플러스 1차원 회절광(96) 및 마이너스 1차원 광(97)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로 차원 광(95) 및 마이너스 1차원 광(96)을 억제하기 위해 그리고 플러스 1차원 광(97)을 세게 하기 위해, 패턴들은 회절 방향으로 다단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다단은 복수의 마스크 패턴을 준비함으로써 및 레지스트 노출 및 건식 에칭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제로 차원 광(95) 및 마이너스 1차원 광(96)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그러므로 패널 광량 및 신호를 검출하는 요구된 광량이 저출력에서 광원(9)을 사용하기 위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확산각 변환수단(87)은 광원(9)으로부터 가이드되고 저밀도 광디스크(19)상에서 방출된 발광 유속이 확산각 변환수단(87)에서 형성된 구멍보다 큰 패턴으로 제조된다. 확산각 변환수단(87)상에서, 방출된 광 및 복귀 광 모두 입사한다. 특히, 후방향 광은 콘덴서(17)를 시프트하였을 때 방출된 광의 그것과 다른 광경로를 통해 통과한다. 확산각 변환수단(87)이 방출된 광에 대한 구멍을 결합하기 위해 설계되면, 빛의 소멸은 발생되고, 그것에 의해 광수신수단(92)에 입사하는 광량이 감소되고, 그러므로 신호는 재생되기 위해 금지되거나 정확한 서보신호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단점을 피하기 위해, 구멍은 복귀 광이 빛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입사하는 영역으로 확대된다.
다음에, 제 1기판(86a)의 상부에 구성되고 광 경화 수지, 에폭시 수지, 결합 유리 등의 결합 재료에 의해 제 1기판(86a)에 결합되는 제 2기판(86b)은 광원(2) 또는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제 1광부재(72) 및 제 2광부재(86)의 제 1기판(86a)을 경유해 가이드된 광을 설정된 광경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그리고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복귀 광을 설정된 광경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기판(86b)에서, 특히 광을 입사시키는 표면 및 광을 방출시키는 표면이 광의 광축에 거의 수직이고 각 표면이 서로 거의 평행으로 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구성에서, 전송된 광의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입사광에서 비점 수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경사평면(86d) 및 제 2경사평면(86c)이 서로 거의 평행하고, 그 각각은 제 1광부재(72)상에 형성된 경사평면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다.
각종의 광 소자는 제 1경사평면(86d) 및 제 2경사평면(86e)상에 형성된다.
첫째,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이 제 1경사평면(86d)상에 구성된다.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은 편광 방향을 따라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을 전송하는 편광 분리막(88a)과, 그것을 복수의 발광 유속으로 분리하면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빔 분리부(8bb)를 포함하고,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확산각 변환수단(87)을 통해 전송된 광이 편광 분리막(88a)을 통해 거의 완전히 전송되고 빔 분리부(88b)에 입사한다. 그후, 입사광이 빔 분리부에 의해 복수의 발광 유속으로 분리되고 반사된다.
빔 분리부(88b)는 양호하게는 회절 격자로 제조되는데 왜냐하면 복수의 발광 유속 밀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는 3개의 발광 유속 형태가 회절 격자에서 발생된 제로 차원 광과 플러스 및 마이너스 1차원 광으로 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빔 분리부(88b)는 광원(9)으로부터 광에 조리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원(2 및 9) 모두로부터의 광이 단일 콘덴서(17)에 입사되도록 발생되고, 콘덴서(17)의 입사 퓨필(pupil)이 조절되어 광원(2)으로부터의 광이 고밀도 광디스크(18)의 기록 영역상에서 포커스된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서, 콘덴서(17)는 형태 및 재료에서 조절되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고밀도 광디스크(18)의 기록 영역상에서 콘덴스된다.
상기 콘덴서(17)에 의해,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 영역상에서 포커스하기 위해 광원(9)으로부터의 광을 발생시키기 위해, 콘덴서(17)에 입사하는 광원(9)으로부터의 직경은 본 실시예에서 광원(12)으로부터의 광 직경 보다 적게 되기위해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중심부에서 보다 주변부에서 더 강한 콘덴싱 응용을 갖는다. 따라서, 광이 입사에서 확장되면, 그것은 더 가까운 위상에서 포커스하고; 광이 입사에서 많이 확장되지 않으면, 그것은 더 먼 위치에서 포커스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 영역이 고밀도 광디스크(18)의 기록 영역보다 더 먼 위치에서 위치되기 때문에, 입사 개구를 광원(9)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콘덴서(17)로 최적화시킴으로써 광원(2)으로부터의 광에 조절된 채로 설계되는 콘덴서(17)에 의해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 영역상에서 광원(9)으로부터의 광을 콘덴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사 구멍은 빔 분리부(88b)에 의해 조절된다. 환언해서, 빔 분리부(88b)의 크기는 조절되어 빔 분리부(88b)에 의해 반사된 광이 콘덴서(17)상에서 설정된 직경을 갖는다.
상기 조리개 기능을 갖는 빔 분리부(88b)로서,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직격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고, 그러므로, 콘덴서(17)상에 입사하는 광의 직경이 설정된 크기로 세트될 수 있어, 광원(9)으로부터의 광이 콘덴서(17)에 의해 저밀도 광디스크(19)의 기록 영역상에서 콘덴스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가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구성과 비교해서, 소자수는 감소될 수 있고 조리개 및 광원(9)간의 위치 설정의 시간 및 노동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에서 구성된 조리개로써,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에서 빔분리부(88b)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광이 제 1경사평면(86d)을 통해 직접적으로 통과하고 그것은 광부재(86)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그러므로 반사되지 않는 광이 패키지(70)에서 광을 탈선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밀도 광디스크(19)를 향해 방출된 광이 편광 분리막(88a)을 통해 전송되고 빔 분리부(88b)에 입사하는 동안,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된 복귀광이 편광 분리막(88a)에 의해 반사되고, 그러므로, 광이 상기 구성에서 빔 분리부(88b)상에 거의 입사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서 조리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의 빔 분리부(88b)로써, 예를 들어, 복귀 광의 광축이 콘덴서(17)의 시프트에 기인해서 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될지라도, 광이 조리개 기능을 갖는 빔 분리부(88b)상에 입사되지 않아서, 조리개에 의해 광수신수단에 본질적으로 입사되는 광 간섭 또는 광량의 불균형 분포에 의해 야기된 광수신수단상에서의 입사광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를 방지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양호하게는 더 정밀한 RF 신호가 얻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보 신호를 포커스하거나 트랙킹하는 것은 더 정밀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가 방출된 광의 광경로 및 복귀 광의 그것 보두에 있는 위치에서 위치될 수 있고, 광픽업의 공간을 사용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환언해서, 복귀 광을 조리개를 통해 통과하지 않기 위해 다른 광경로를 갖는 것이 불필요하고, 그러므로, 광픽업을 더욱 작게하는 것이 양호하게 실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빔 분리부(88b)는 광원(9)으로부터의 광을 지나가게 하는 광경로에 위치되고, 광원(9)으로부터의 광이 부분(88b)에 입사되는 반면에 고밀도 광디스크(18)를 향해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부분(88b)상에 입사되지 않고, 그러므로 광원(9)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조리개는 광원(2)으로부터의 광을 간섭하지도 않거나 어떤 나쁜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특히 복수의 광원을 단일 패키지에서 포함되게 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단일 콘덴서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콘덴스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 광픽업에서,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양호하게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각 광에 어떤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설정된 직경으로 콘덴서에 입사되도록 발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발생된 복수의 발광 유속이 저밀도 광디스크(19) 트랙의 설정된 위치에서 인가되고, 복귀 광의 양이 저밀도 광디스크(19)상에서 트랙킹하는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세 개의 빔 방법인 트랙킹 방법에 인가되기 위해 서로 비교된다.
세 개의 빔 방법이 트랙킹 방법으로서 사용되지 않으면, 빔 분리부(88b)의 구성 대신에, 조리개 기능을 간단히 갖는 조리개 막이 복수의 빔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조리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기 위해 구성된다.
파장 선택도를 갖는 필터(89)가 제 2경사평면(86e)상에 형성된다. 필터(89)는 광원(2)으로부터 가이드된 광의 대략 80%이상을 전송하고 광원(9)으로부터 가이드된 광의 대략 80%이상을 반사시킨다.
제 2경사평면(86e)상에 형성된 상기 필터(89)로써, 광원(9)으로부터 배출된 광이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거의 전혀 간섭함이 없이 반사될 수 있고, 그러므로 광원(2 및 9)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높은 퍼센티지에서 기록매체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원(2 및 9)으로부터 방출된 광량을 증가시킴이 없이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기록매체로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은 고출력 전력에서 광원(2 및 9)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된 광원(2 및 9) 수명의 감소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광원(2 및 9)이 저출력 전력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광원(2 및 9)의 온도는 거의 증가되지 않고, 그러므로 광원(2 및 9)의 발진 파장이 거의 전혀 시프트하지 않는다. 따라서, 포커싱을 더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고성능 광픽업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기판(86b)에 의해, 광원(2)으로부터의 광 및 광원(9)의 그것이 거의 동일한 광 축에 가이드된다.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광부재상의 광원(9)으로부터의 광의 입사로부터 필터(89)상의 광의 입사까지의 광경로가 제 1광부재(72)를 통해 통과하는 광의 광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거의 수직으로 진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면 번호(90)는 1/4 파장판을 가리키고, 1/4 파장판(90)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고 필터(89)를 통해 전송된 광 및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선형 편광으로부터 타원 편광까지 필터(89)에 의해 반사된 광 모두의 편광 방향을 변환한다.
1/4 파장판(90)은 본 실시예에서 또는 박막에서 도시했듯이 설정된 두께를 갖는 평면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수신수단(91)은 광경로 분할수단(83)을 통해 전송된 광 및 광경로 분할수단(83)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막(81)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광수신수단(92)은 광경로 분할수단(84)을 통해 전송된 광 및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막(82)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한다. 그들 모두는 RF 신호, 모니터 신호, 및 트랙킹 및 포커싱 신호를 발생하는 요구된 위치에서 요구된 형태를 각기 갖는 각종의 광수신부를 요구된 수만큼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수신수단(91 및 92)는 패키지(70)의 기판부(70a)상에서 거의 동일한 평면에서 구성되어, 또한 기판부(70)의 긴 방향이 광수신수단(91 및 92)의 긴 방향과 거의 평행하다.
상기 방법에서, 서로 거의 평행해서 형성된 복수의 광수신수단으로써, 광수신수단이 광픽업에 구성되는 공간을 광픽업을 효과적으로 크기를 줄이기 위해 그들이 각종 위치에서 구성되는 구성과 비교해서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광수신수단의 장치용으로 사용된 패키지에서 동일한 표면으로써, 하나의 표면만이 모서리 절단 작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정밀한 병행을 얻기 위해 모서리 절단되도록 요구되어, 양호한 생산성을 갖는 광픽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광수신수단(91 및 92)이 본 실시예의 기판부(70a)상에서 직접 실장되지만, 예를 들어, 광수신수단은 기판부(70a)상에서 광수신수단 장치판 등의 부재를 경유해서 실장된다.
다음에, 상세한 설명이 광수신수단(91 및 92)에서 광수신부의 장치용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수신수단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에서,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고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수단(91)은 광수신부(91a, 91b, 91c, 91d, 91e, 및 91f)를 구비한다.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수단(92)은 광수신부(92g, 92h, 92i, 및 92j)를 구비한다.
도면 번호(91m 및 92m)는 모니터링하는 광수신부를 표시하고; 광수신부(91m)는 모니터 광에 대해 홀로그램(77)에 의해 분리된 광원(2)으로부터 가이드된 광의 일부를 수신하고, 광수신부(92m)는 모니터 광에 대해 홀로그램(78)에 의해 분리된 광원(9)으로부터 가이드된 광의 일부를 수신한다.
광수신부(91m 및 92m)에 의해 수신된 광량에 따라 발생된 광 전류는 광원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처리회로에 전송되고, 거기에서 광원(2 및 9)으로부터 방출된 광량이 광원(2 및 9)에 공급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광량으로 되도록 유지되도록 유지된다.
상기 광수신수단(91 및 92)는 각 광수신부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회로와, 광원(2 및 9)의 각 정극성 전극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하는 전압 비교기와, 각 광수신부로부터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와, 전압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토대로 해서 각 광수신부를 스우칭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하고, 그 모두는 반도체 처리에서 형성되고, 뒤의 단계에서의 회로 구성은 연결 횟수를 전기 연결에 요구된 단자 또는 전극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회절 결합에 의해 야기된 산출량의 감소를 최소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설명은 광수신수단(91)에서 신호 발생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고밀도 광디스크(18)로부터 반사된 광이 제 1광부재(72)로 복귀하고, 광경로 분할수단(83)을 통해 전송된 광이 영상 형성전에 광수신수단(91)에 도달하고, 영상이 도 16에 도시했듯이 광수신부(91a, 91b, 및 91c)상에서 반달 형태로 형성된다. 광경로 분할수단(83)에 의해 반사된 광이 반사막(81)에 의해 반사되기전 및 광수신수단(91)에 도달하기전에 영상을 형성하고 광수신부(91c, 91d, 및 91f)상에서 반달 형태를 갖는 반사된 영상을 형성한다. 각 광수신부에서 발생된 광전류는 전류전압 변환회로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되고(Va + Vb + Vf) 및 (Vc + Vd + Ve)을 형성하기 위해 가산기로 전송됨과 동시에 직접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Va + Vb + Vf) 및 (Vc + Vd + Ve)간의 차를 고려함으로써, 포커스 에러 신호는 발생된다.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는 소위 스포트 크기 검출(SSD)방법에서 발생된다.
Va, Vb, Vc, 및 Vd는 뒤의 단계에서 신호처리회로에서 전송되고 트랙 에러 신호는 (Va + Vc) 및 (Vb + Vd)간의 위상차의 비교예 의해 얻어진다. 상기 트랙 에러 신호가 소위 다른 위상검출(DPD)방법에서 발생된다. 또한, (Va + Vd) 및 (Vb + Vc)간의 차를 고려해서, 트랙 에러 신호는 또한 얻어질 수 있다(푸쉬-풀 방법).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디스크 형태에 따른다.
그후, 광수신수단(92)의 신호발생방법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저밀도 광디스크(19)로부터 반사된 광이 제 1광부재(72)로 복귀하고, 하프 미러에 의해 형성된 광경로 분할수단(84)을 통해 전송된 광이 영상 정보전에 광수신수단(92)에 도달하고 도면에 도시했듯이 광수신부(92g 및 92h)에서 원형 영상을 형성한다.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의해 반사된 광이 반사막(82)에 의해 반사되기전 및 광수신수단(92)에 도달하기전에 영상을 형성하고 광수신부(92g 및 92h)상에서 광경로 분할수단(84)을 통해 전송된 광이 역으로된 원형 영상을 형성한다. 광원(9)으로부터의 광이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에 의해 세 개의 빔으로 이전에 분할되고, 그러므로 그것은 광수신부(92i 및 92j)상에서 원형 영상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기 위해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의해 분할된다. 각 광수신부에서 발생된 광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전류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된다. 형성된 Vg 및 Vh간의 차를 고려해서, 포커스 에러신호는 고밀도 광디스크(18)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스포트 크기 검출방법에 의해 발생된다. Vi 및 Vj간의 차를 고려해서, 트랙 에러 신호(세개의 빔 방법)가 얻어진다.
광수신수단(92)에서 광수신부의 형태와 다른 형태를 갖는 광수신수단(91)의 광수신부 및 상기 방법으로 각 광수신수단에서 각종 신호의 발생에 인가된 다른 발생 방법으로써, 입사광의 형태가 동일하지 않다면, 광수신부는 입사광의 각 형태에 알맞은 위치에서 구성될 수 있고, 그러므로, 더 정밀한 포커싱 및 트랙킹 신호 또는 RF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더 정밀한 포커싱 및 트랙킹 제어는 복수의 기록매체로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는 광픽업에서 수행될 수 있고, 데이터가 설정된 트랙으로부터 이탈에 기인해서 판독 또는 기록될 수 없는 시간 주기를 감소시키고 정보가 기록매체상에서 포커스안된 광빔에 기인해서 기록 또는 재생될 수 없는 시간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는 시간 주기는 고속 액세스를 갖는 광픽업을 이루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후 기록매체에 가이드된 전방향 방출 광의 일부가 RF 신호 또는 포커싱 또는 트랙킹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광수신수단(91)에서 형성된 모니터용 광수신부(91m)로 가이드되고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후 기록매체에 가이드된 전방향 방출 광의 일부가 RF 신호 또는 포커싱 또는 트랙킹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광수신수단(92)에서 형성된 모니터용 광수신부(92m)로 가이드되는 구성으로써, 광 수신 소자수는 모니터링용 광수신수단이 분리해서 광수신수단(91) 및 광수신수단(92)상에 실장된다.
또한, RF 신호 및 포커싱 및 트랙팅 신호에 대한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광수신수단(91 및 92)에 구성된 모니터링용 광수신부로써, RF 신호 및 포커싱 및 트랙킹 신호에 대한 광수신부가 광수신수단(91 및 92)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위치 관계로 형성되고, 그러므로, 모니터링용 광수신부 및 광원(2 및 9)간의 위치 설정은 광수신수단(91 및 92) 및 광원(2 및 9)간의 위치 설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과정에서 위치 설정의 횟수는 연결의 용이성을 단자로써 개선하기 위해 감소될 수 있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모니터링용 광수신부가 광픽업의 크기를 더 감소시키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 RF 신호에 대한 광수신부 및 포커싱 및 트랙킹 신호에 대한 광수신부를 제외한 반도체 기판상에 실장되는 구성과 비교해서 공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수신수단(91 및 92)은 기판부(70a)상의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크기는 두께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어서, 광픽업을 더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2 및 9) 및 광수신수단(91 및 92)을 집적시킨 광헤드에서 설치되는 모니터용 광수신부와 불화성 가스를 봉입한 봉인된 광헤드에 설치되는 모니터링용 광수신부로써, 예를 들어 모니터리용 광수신부가 공기와 접촉되도록 놓이기 때문에 산화되고 또는 그것이 습기를 흡수하기 때문에 그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방지하고, 광픽업으로부터 모니터링용 광수신부를 설치하는 공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픽업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구성만이 각 부재들간의 위치 설정을 끝내는 광헤드의 캐리지로 플라이어(flyer)의 조절 및 회전 방향으로써 설치를 요구하고, 그러므로 광픽업은 어셈블링중인 위치 설정을 매우 단순화될 수 있어, 광픽업의 생산성이 대단히 증가될 수 있다.
모니터링용 광수신부가 본 실시예에서 광수신수단(91 및 92) 모두에서 설치되고, 광수신수단(91 및 92)의 오직 하나만이 설치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제 2실시예에서 도시했듯이, 동일한 수신부가 그것이 고밀도 광디스크(18)의 동작동안 저밀도 광디스크(19)의 동작동안 있는지를 모니터하는데 사용된다. 환언해서, 오직 하나의 광수신부는 소자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모니터링하는데 요구된다.
또한, 광수신수단(91 및 92)을 제외한 광수신수단이 모니터링용 광수신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 광수신수단(91 및 92)과 거의 같은 평면상에서 실장된다.
또한, 2개의 광수신수단(91 및 92)이 본 실시예에서 광수신수단으로서 구성되지만, 광수신수단 모두는 단일 반도체 기판상에 실장되도록 함께 놓여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이 인가되면, 양호한 생산성을 갖는 광픽업을 이루기 위해 광수신수단의 소자수 뿐만 아니라 광수신수단의 위치 설정수를 감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광수신수단에서 형성되는 증가된 부재가 설명된다.
광수신수단(91 및 92)의 상부에서, 증가된 부재(190 및 191)가 실장된다.
거의 사각형 평면 6면체의 형태를 각기 갖는 상기 증가된 부재(190 및 191)는 광수신수단(91 및 92)상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증가된 부재(190 및 191)는 취급하기 쉽고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의 재료로 제조된다.
실장되는 상기 증가된 부재(190 및 191)로써, 광수신수단(91 및 92)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에서 기판부(70a)를 따라 증가된 부재(190 및 191)를 붙잡아 광원(2 및 9)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광수신수단(91 및 92)의 미세한 위치 설정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 및 9) 및 광수신수단(91 및 92)간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을 더 정밀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고성능 및 매우 신뢰성 있는 광픽업을 실현시키는 고정 위치로부터의 이탈에 의해 야기된 신호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증가된 부재(190 및 191)중 적어도 하나는 제 1광부재(72)의 지지 부재로서 사용된다. 현재, 상기 포인트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증가된 부재(190 및 191)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광원실장부(180 및 181)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부재 실장 영역과 같은 레벨에서 기판부(70a)의 상부로부터 높이를 갖기 위해 형성되는 제 1광부재(72)는 실장될 수 있다. 환언해서, 제 1광부재(72)는 상기 구성에서 광원 실장부(180 및 181)중 적어도 하나 및 증가된 부재(190 및 191)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구성으로써, 광원(2 및 9) 및 광수신수단(91 및 92)간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은 더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반면에 제 1광부재(72)의 설치 에러, 특히 기판(70a)에 대한 병행은 개선될 수 있고, 그러므로 제 1광부재(72)의 설치 정밀도는 더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제 1광부재(72) 및 광원(2 및 9)으로부터 방출된 광축이 서로 거의 수직으로 정밀하게 제조되고, 제 1광부재(72)에 입사하는 광의 특성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제 1광부재(72)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2광부재(86)의 설정된 위치로 정밀하게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양호한 광 특성을 갖는 매우 신뢰성있는 광픽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광원 실장부(180 및 181)는 도 17 및 18을 사용함으로써 설명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원 실장부의 주변부의 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광원 실장부의 주변부의 횡단면도이다.
광원(20)을 실장시킨 광원 실장부(180)의 상부는 광원(9)을 실장시킨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와 같은 평면에 있지 않다. 환언해서, 광원 실장부(180 및 181)가 동일한 기판의 동일한 평면에 있다고 가정하고, 광원 실장부(180)는 광원 실장부(181)의 높이와 다른 높이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서, 후에 설명된 제 1광부재(72)는 더 높은 광원 실장부의 상부상에서 실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 실장부(180 및 181)는 서로 결합된 광원 실장부(180)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광원 실장부(181) 및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상에 실장되는 제 1광부재(72)와 함께 동일한 기판부(70a)에 실장된다.
상기 구성에서,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만이 제 1광부재(72)를 결합하는 것을 끝내도록 요구되고, 그러므로 광원 실장부(180)의 상부의 표면 연마 처리는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 1광부재(72)가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각 상부에 실장되는 구성과 비교해서, 광 특성을 저하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해서, 제 1광부재(72)가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상부 모두상에 설치되면, 광원 실장부(180)는 광원 실장부(181)와 같이 높이를 정확하게 가져야 한다. 광원 실장부(180)의 높이 및 광원 실장부(181)의 높이간의 미소한 차가 있다면, 그것은 제 1광부재(72)가 높이차에 따른 각도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야기한다. 제 1광부재(72)의 상기 기울어짐은 광원(2 및 9)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에서 수차를 발생시키고, 원래 설정되는 광 특성을 올바르게 구비할 수 없으며, 또는 제 1광부재(72)로부터 방출된 광을 설정된 위치로 가이드할 수 없는 단점을 야기한다.
상기 문제에 대적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제 1광부재(72)용 실장 영역은 복수의 광원 실장부의 상부중 하나이고, 그러므로 각 광원 실장부들간의 높이 이탈에 의해 야기된 제 1광부재의 기울어짐이 없어서, 제 1광부재(72)의 설정된 작동력이 광원 실장부중 하나의 상부를 정밀하게 모서리 깍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성으로 광 특성의 저하없이 우수한 성능을 갖는 광픽업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기판부(70a)상에서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장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기판부(70a)는 돌출부(93)를 갖고 또한 광원 실장부(180 및 181)는 기판부(70a)의 표면(70f)상에 놓인다.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실장 위치는 돌출부(93)의 측부(93a)를 기판부(70a)의 표면(70f)상에 실장된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측부(180a 및 181a)와 접촉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돌출부(93)는 사각형 평행 6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93)는 기판부(70a)의 일부로서 또는 기판부(70a)로부터 분리된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돌출부(93)의 측부(93a)는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측부(180a 및 181a)에 관한한은 기울기의 동일한 각도를 갖는다. 또한, 양호하게는 각 표면이 연마 처리 등에서 10㎛ 이하의 평균 표면 거칠음 정도를 갖기 위해 처리된다. 그와 같이, 동일한 처리가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하부(180b 및 181b) 및 기판부(70)의 표면(70f)에 양호하게 인가된다.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광원(2 및 9)을 실장시킨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설정된 위치에서 더 쉽고 더 정밀하게 소자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고성능 광픽업이 광원(2 및 9)의 위치 이탈에 의해 야기된 광 특성의 저하를 감소시켜 얻어질 수 있다.
광원 실장부(180 및 181) 및 기판부(70a)를 결합하는 사용된 결합 재료로서, 양호하게는 UV 광 또는 가시광에 의해 경화되는 납땜 또는 광 경화 수지 등의 금속 결합 재료가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그들 각각은 결합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요구된 값보다 더 큰 결합력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금속 결합 재료가 사용되면, 예를 들어 기판부(70a)의 표면(70f), 돌출부(93)의 측면(93a),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하부(180b 및 181b), 측면(180a 및 181a)에 금속 도금을 이미 인가함으로써 양호한 결합 효과를 갖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양호하다.
결합 재료는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측면에만 또는 기판부(70a)의 측면(돌출부(93))에만 인가될 수 있고 그것은 양 측면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93)와 접촉하여진 광원 실장부(180 및 181)의 하부(180b 또는 181b) 및 측면(180a 또는 181a)에 의해 제조된 각도부는 양호하게는 설정된 반경(R)을 갖거나 코너의 예리한 에찌를 제거한 코너를 갖는다.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기판부(70a)의 표면(70f) 및 돌출부(93)의 측면(180a)이 오른쪽 각도에서 횡단하지 않을 지라고 광원 실장부(180 및 181)를 정확한 위치로 기판부(70a)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광픽업은 광원 실장부(180 및 181)에 실장되는 광원(2 및 9)으로부터 방출된 설정된 광의 광축으로부터 이탈없이 양호한 기록 또는 재생을 갖는다.
또한, 광원 실장부(180 및 181)에 실장된 광원(2 및 9)은 제 2실시예에 관한한 같은 방법으로 돌출부(93)를 직면시키기 위해, 환언해서, 광원(2)으로부터의 후방향 방출 광(2h) 및 광원(9)으로부터의 후방향 방출 광(9h)의 연장 방향에서 돌출부(93)를 형성하기 위해 양호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광원 실장부(180)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광원 실장부를 형성하고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에서 제 1광부재(72)를 결합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것이 하기에서 현재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 실장부(180)상에 실장된 광원(2)은 고밀도 광디스크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해 구비되고 광원 실장부(181)상에 실장된 광원(9)은 저밀도 광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매우 큰 출력 전력(보통 25nw 또는 그 이상인 출력)을 갖는 광원이 광디스크에서 기록할 때 사용되고, 반면에 광디스크상의 재생이 큰 출력을 갖는 광원을 필요치 않으나 보통 수-mw 급의 광원을 요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광원으로부터 배출된 열이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다.
광부재가 광원 실장부의 상부에 놓이는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배출되고 광원 실장부를 경유해서 전송된 열이 문제로 되기 쉽다. 특히, 큰 출력을 갖는 광원(2)으로부터 배출된 열량은 상당히 높고, 그러므로 광원(2)의 활성 동작에서 제 1광부재(72)의 온도 및 광원(2)의 불활성 동작에서 제 1광부재(72)의 온도간에는 큰 차가 있으며, 그것은 제 1광부재(72)가 광 유리로 제조된 제 1광부재(72)의 왜곡으로 인한 설정된 광 특성을 유지할 수 없고 또는 결합부가 복수의 박충된 프리즘으로 제조된 제 1광부재(72)의 각 프리즘간의 결합된 영역상의 왜곡으로 인해 크랙하기 때문에 제 1광부재(72)가 파괴되는 단점을 야기한다.
상기 문제에 대비해서, 본 실시예에서, 광원(9)을 실장한 광원 실장부(181)가 상설된 단점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광원(2)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광원 실장부(180)를 경유해 제 1광부재(72)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 높은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에 실장된 제 1광부재(72)를 실장시킨 광원 실장부(180)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형성된다.
큰 출력 전력을 갖는 광원이 광픽업에 설치될지라도, 안정된 광 특성을 갖는 고성능이며 매우 신뢰성 있는 광픽업을 실현하기 위해 광원에 의해 발생된 열 효과에 의해 야기된 단점을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상설했듯이, 제 1광부재(72)는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에 실장된다. 제 1광부재(72) 및 광원 실장부(181)간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 결합 재료로서, 프린트된 유리 결합 재료, 에폭시 수지, 또는 광 경화 수지를 이미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광 경화 수지는 양호한 작동력을 갖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광으로 방사할 때까지 경화되지 않고 강한 결합력을 갖고, 그러므로 그것은 정확한 위치 설정을 요구하는 제 1광부재(72)를 결합하는데 최적이다. 광 경화 수지에서, 작동시간의 감소로 인한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효과적이기 때문에 고에너지를 갖는 광을 인가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으로 고체화할 수 있는 가시광 또는 UV 광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성된 오목부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광원 실장 영역 및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에 의해 형성된 각도부에서, 오목부(82)는 결합중인 제 1광부재(72) 및 광원 실장부(181)간의 결합 영역을 지나치게 흐르는 결합 재료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형성된다.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182)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갖는 결합 재료의 과대 흐름에 의해 야기된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 1광부재(72)의 결합에서 광원 실장부(181)로 지나치게 흐르는 결합 재료를 제 1광부재(72)의 광 입사 영역으로 지나치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양호한 광 특성을 갖는 광픽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 및 제 1광부재(72)의 하부에 인가된 결합 재료가 광원의 측면에서는 적게 인가되고 반대측에서는 그 이상으로 인가되는 분포를 갖는 것이 양호하고, 그 인가된 영역이 오목부(182)의 양측인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방법에서 결합된 결합 재료의 과대 흐름을 최소화하는 동안 충분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결합 재료를 인가하는데 효과적이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신뢰성은 광픽업의 광 특성의 개선에 더해져서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광부재가 광원에 가까운 위치로 구성될 때 큰 효과를 발휘한다. 환언해서, 본 실시예에 도시했듯이, 광원 실장부가 광부재 및 광원 모두를 실장시킨 영역으로서 역할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 범위를 고려해서 광원 실장부 및 제 1광부재간의 결합 영역을 거의 만지면서 통과하는데 왜냐하면 광원이 일반적으로 매우 얇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영역에서 결합 재료의 과대 흐름이 광 특성을 많이 저하시킨다.
또한, 설정된 광경로 외부에 있는 디스크에 원래 가이드될 수 없는 광이 결합 재료의 과대 흐름에 의해 분산 또는 분산되지 않고, 그러므로 상기 구성은 상기 광 종류가 광을 빗나가게 되도록 설정된 광경로로 포함되는 가능성을 충분히 감소하는데 효과적이다.
오목부(182)가 본 실시예에서 광원 실장부(181)의 상부의 측면(181c)에 대해 단부에서 측면(181c)과 거의 평행한 슬롯을 갖고, 광원 실장부(181)의 측면(181c) 및 상부에 의해 제조된 각도부는 사각형 또는 테이퍼로 되도록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가 본 실시예에서 광원 실장부중 하나에서 구성되지만, 그들이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다면 광원 실장부 모두에서 오목부를 구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다음에, 전력을 광원(2 및 9)에 인가하는 방법이 하기에서 설명된다.
광원 실장부(180)의 표면(180a)상에서, 전극(94a) 및 전극(94b)은 서로 멀리 구성된다.
전극(94a)은 전력을 광원(2)에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 결합 또는 방법에서 전력을 광원(2)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 단자(70h)에 그리고 와이어 결합 또는 다른 방법에서 광원(2)의 애노드측의 표면에 연결된다.
또한, 전극(94b)은 전극(94a)으로부터 멀게 구성된다. 광원(2)이 그것의 상부상에 실장되어 전극(94b)이 광원(2)의 그라운드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광원(2)의 캐소드측의 표면과 접촉한다.
광원 실장부(180)의 기판부(70a)에 반대하는 영역상에서, 전극(94c)이 형성된다. 전극(94c)은 전극(94b)에 연결되고, 광원 실장부(181)가 기판부(70a)에서 설치될 때 기판(70a)상에 형성된 전극(94d)과 접촉하게 된다.
광원 실장부(181)의 영역(181a)의 측면에서, 전극(94c) 및 전극(94d)이 형성되고, 광원 실장부(181)의 기판부(70a)상에 반대하는 영역의 측면에서 또한 있고, 전극(94g)이 형성된다.
전극(94e)이 전력을 광원(9)에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 결합 또는 다른 방법에서 전력을 광원(9)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 단자(70i)에 그리고 와이어 결합 또는 다른 방법에서 광원(9)의 애노드측의 표면에 연결된다.
또한, 전극(94f)이 전극(94c)으로부터 멀리 구성되고 전극(94g)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원(9)이 그위에서 실장된다. 전극(94f)은 광원(9)의 그라운드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광원(9)의 캐소드측의 표면과 접촉한다.
광원 실장부(181)의 기판부(70a)에 반대하는 영역상에서, 전극(94h)이 형성된다. 전극(94h)이 전극(94g)에 연결되고, 광원 실장부(181)는 기판부(70a)에서 설치될 때 기판(70a)상에 형성된 전극(94d)과 접촉하게 된다.
전극(94d)은 전극(94h)과 단일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그후, 광픽업을 그라운드시키는 방법이 하기에서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70a)는 판 형태를 갖는 금속, 수지, 세라믹 또는 다른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는 광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전송된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양호한 열 분산 특성을 갖기 때문에 양호하다.
현재 일실시예는 기판부(70a)가 절연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70a)는 단자(70c)를 구성시켜 통과하고 전극(94i)을 광원(2 및 9)에 대해 접지되도록 하는 호올을 갖는다. 상기 전극(94i)은 전극(94d 및 94h)에 연결된다. 그후, 전극(94i)은 기판(70a)의 광원 실장부를 실장시킨 영역의 측면에서 표면(정면)으로부터 기판부(70a)의 측면을 통해 기판부(70a)의 광원 실장부를 실장시킨 영역의 반대 측면에서 표면(하부)으로 통과하고 하부에서 그라운드 단자(70j)에 연결된다.
광원(2 및 9)이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70a) 주위에서 통과하는 그라운드 단자(70j)에 연결되지만, 그라운드 단자(7j)용 호올이 제 2실시예에 관한한 동일한 방법으로 기판부(70a)상에서 구성되어, 그라운드 단자(70j)가 기판부(70a)를 통해 통과하고 그후 그 호올을 통해 통과하는 단자는 와이어 결합 또는 납땜 방법에서 기판부 또는 광원 실장부상에 실장된 전극에 연결된다.
기판부(70a)가 금속 재료로 제조되면, 그라운드로서 사용된 전체 기판부(70a)로써, 기판부(70a)의 하부에 연결된 그라운드 단자(70j)가 기판부(70a)를 경유해 기판부(70a)의 전극(94i)에 연결된다.
어느 경우에서, 그라운드 단자(7j)는 호올을 통해 기판부(70a)의 정면에 구성되고, 그것은 전극(94i)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설했듯이, 공통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광의 그라운드에 대한 전극으로써, 하나만의 단자(70j)가 단자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요구된다. 복수의 광원을 단일 패키지로 구성시키는 광헤드를 설계할 때 자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패키지 기판의 단자 구성상에서 단일 패키지 및 제한해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헤드에 종래에 발생하는 단자수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경감하는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단일 광원 실장부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했듯이 개별적으로 광원 실장부에서 구성된 그라운드에 대한 각 전극을 갖는 단일 광원에 대응하면, 상기 구성은 양호한데 왜냐하면 그라운드 단자가 환언해서 광원 실장부의 수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 각 그라운드 전극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어서, 그라운드 단자수가 효과적으로 감속될 수 있다.
또한, 광원(2 및 9)을 전극상에 직접적으로 놓아두어진 구성으로써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와 접촉하고, 그것은 와이어 결합용 연결 수단에 의해 전극을 광원에 연결하는 과정을 가질 필요가 없고, 그러므로, 광헤드의 제조 광정수는 광헤드의 생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다음에, 패키지(70), 환언해서, 광원(2 및 9) 및 광수신수단을 구성시킨 공간에 의해 봉입된 공간 내부에 봉인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구성은 먼지 또는 습기 등의 불순물로 하여금 패키지 내부로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어서, 광원(2 및 9) 및 광수신수단의 성능은 유지될 수 있고 방출된 광의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패키지(70)는 제 2광부재(86)에 봉인된다. 환언해서, 제 2광부재(86)의 제 1기판(86a)의 하부는 패키지(70)상에 구성된 개구(70d)를 닫기위해 패키지(70)의 측벽부(70b)의 외부 표면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용 재료로서, 광경화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결합 유리는 종종 사용된다.
봉인된 공간에서 N2 가스, 건조 공기, 또는 Ar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봉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광원의 산화 또는 광수신수단에 의해 야기된 특성 저하 또는 패키지(70)에서 제 1광부재(72)의 표면상의 습기 응축에 의해 야기된 각종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제 2광부재가 패키지(70)를 봉입하기 위해 결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패키지(70)의 측벽부(70b)에 결합되는 구성이 상기 부분을 닫기 위해서만 종래에 사용되었던 커버 유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것은 본원에서 생략될 수 있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구성이 소자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광픽업의 제조가 종래에 전체적으로 2개의 과정, 즉 광부재를 위치 설정으로써 결합되게 되는 과정과 패키지를 닫는 커버 부재를 결합되게 하는 과정을 종래에 요구하지만, 상기 2개의 과정으로부터 이전의 단일 과정으로의 광픽업의 제조 과정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제조과정이 광픽업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순화 될 수 있다.
또한, 제 2광부재(86)가 패키지(70)의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패키지는 패키지에 포함되는 구성과 비교해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광부재의 경사평면수는 요구된 광 소자를 단일 광부재에서 형성시키는 구성과 비교해서 많이 감소될 수 있고, 그러므로 광픽업의 크기는 폭 방향에서 특히 많이 감소될 수 있어, 광픽업의 공간을 이용하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픽업의 크기를 더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요구된 광 시스템의 거의 모두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광부재를 갖는 단일 헤드에서 실장되어, 픽업 어셈블리 과정은 사용자에 친근한 광픽업을 이루기 위해 많이 단순화 될 수 있다.
제 2광부재(86)에서, 외부에 노출된 영역에서 광 소자가 구성되지 않고, 그러므로 예를 들어 광 소자가 둘러싸인 공기에 노출되고 습기를 흡수하기 때문에 설정된 성능이 유지될 수 없거나 그 특성이 광 소자상의 먼지로 인해서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에서, 패키지(70)의 내부 압력이 양호하게는 네가티브이다. 제 2광부재(86) 및 패키지(70)간에 양호할 수 있는 결합 효과를 만드는데 효과적인데 왜냐하면 힘이 패키지(70)의 측벽부(70b)에 결합된 제 2광부재(86)가 패키지(70)의 내측을 향해 패키지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방향으로 인가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더 양호한 구성을 갖는 일실시예는 설명된다. 상기 구성에서, 패키지(70)는 외부로부터의 제 2광부재(86)에 의해서만 닫혀지지 않으나, 차폐부재(86) 및 제 2광부재(86)는 패키지(70)의 개구(70d)를 닫기 위해 사용된다. 환언해서, 차폐부재(85)는 패키지(70)의 측벽부(70b)상에서 개구(70d)를 닫기 위해 놓아지고, 차폐부재(85)는 상기 2개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패키지(70)의 내부 공간을 봉인하기 위해 패키지(70)의 외측으로부터 패키지(70)의 측벽부(70b)상에서 개구(70d)를 닫기 위해 놓아진다.
상기 구성의 장점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패키지(70)의 내압이 포지티브이면 내측으로부터 결합된 차폐부재(85)는 결합재료를 포함하는 측벽부(70b)에 프레스되고, 누출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패키지(70)의 내압이 네가티브이면, 압력이 차폐부재가 측벽부(70b)로부터 멀리 있는 방향으로 인가되어, 그러므로 그것은 누출이 결함있는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패키지(70)의 내측 압력이 누출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차폐부재(85)에 반대로 네가티브이면 외측으로부터 결합된 제 2광부재(86)는 결합 재료를 포함하는 측벽부(70b)에 프레스되나, 패키지(70)의 내측 압력이 포지티브이면, 압력은 제 2광부재(86)가 측벽부(70b)에서 멀리있는 방향으로 인가되고, 그것은 누출이 결함있는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환언해서, 패키지(70)의 측벽부(70b)가 차폐부재(85) 및 제 2광부재(86)간에 놓이게 되도록 구성된 차폐부재(85) 및 제 2광부재(86)로써, 압력이 패키지(70)의 내측 압력이 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인지간에 차폐부재(85) 및 제 2광부재(86)중 적어도 하나가 측벽부(70b)로 프레스되는 방향으로 인가되고, 그러므로 대기 압력 또는 결함있는 결합에 의해 야기된 누출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으로써, 패키지(70)의 내측의 공기-견고도는 개선될 수 있어서, 패키지 내부에 구성된 광원, 광 수신 소자, 또는 광 소자중 어느 것이 공기와 접촉해서 놓이거나 습기를 포함하는 상태에 의해 야기된 단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은 매우 신뢰성있는 광픽업을 이룰수 있게 한다.
차폐부재(85)의 재료에 대해, 사용하는 광의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수지 또는 유리 등의 양호한 투명성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얇은 차폐부재는 광 직경의 확장을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그 강도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정도로 양호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85)를 측벽부(70b)에 결합하는 힘은 차폐부재(86)를 측벽부(70b)에 결합시키는 힘과 양호하게는 다르다. 특히 제 2광부재(86)의 결합력 보다 크게 되는 패키지(70)의 내측을 측벽부에 직접적으로 직면시키는 차폐부재(85)의 결합력으로써, 제 2광부재(86) 및 측벽부(70b)간의 누출은 누출이 발생한다 할지라도 패키지(70)의 내측에 도달하기 위해 금지된다. 누출을 패키지(70)의 내측으로 발생시킬 가능성을 주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구성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제 2광부재(86) 및 측벽부(70b)간의 결합에 사용된 결합 재료의 결합력과 비교해서 차폐부재(85) 및 측벽부(70b)간의 결합의 더 큰 결합력을 갖는 결합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양호하게는 압력차는 패키지(70) 및 차폐부재(8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A 및 측벽부(70b), 차폐부재(85), 및 제 2광부재(8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B간에 가능한한 적다. 압력은 공간A 및 공간B간의 압력차에 기인해서 공간A 및 공간B간의 차폐부재(85)에 항시 인가된다. 손수레 및 물건을 실은 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상태에서 차폐부재(85)로 들어가게 되면, 차폐부재(85)는 많이 진동하거나 구부러지고 그것은 입사광 및 차폐부재(85)에 의해 형성된 입사각을 미세하게 변화시키고, 그것은 또한 광 특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압력차는 차폐부재(85)의 변형을 유발하고, 그것에 의해 수차는 광 특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발생된다.
상기 관점에서, 압력(P)차는 공간A 및 공간B간에 양호하게는 가능한한 적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와 달리, 특별히 P는 양호하게는 0.25(atm)이하인데 왜냐하면 개구가 개구에서 복수의 광경로를 필요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상기 방법에서, 공간A 및 공간B간의 압력차에 의해 야기된 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광픽업의 동작이 설명된다.
기록매체가 고밀도 광디스크(18)이면, 광이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경우에,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1광부재(72)상의 제 1경사평면(72a)상에 형성된 반사막(73)에 의해 처음 반사되고 제 2경사평면(72b)상에 형성된 편광 분리막(75)에 입사한다. 상기 편광 분리막(75)은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선형 편광을 반사하고 오른쪽각으로 그것과 크로스하는 편광방향으로 광을 전송하고, 그러므로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반사된다.
나중에, 제 1광부재(72)로부터 방출된 광이 차폐부재(85)를 통해 전송되고, 제 2광부재(86)의 제 1기판(86a)을 통해 전송되고, 제 2광부재(86)의 제 2기판(86b)의 제 2경사평면(86e)상에 형성된 필터(89)를 통해 또한 전송되고, 제 2광부재(86)로부터 방출되고 1/4 파장판(90)에 입사한다. 1/4 파장판(90)에 입사하는 광이 선형편광으로부터 타원형 편광으로 그 편광 방향으로 변환되고 1/4 파장판(90)으로부터 방출된다.
나중에, 시준기렌즈가 있으면,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시준기렌즈(16)를 통해 통과하고 콘덴서(17)에 입사하기전에 거의 평행 광으로 변환되고,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콘덴서(17)에 입사하고, 광이 고밀도 광디스크(18)로 수렴된다.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되는 복귀 광이 1/4 파장판(90)에 다시 입사한다. 상기 광이 고밀도 광디스크(18)에 의해 반사될 때 입사 방향에 반대인 타원형 편광의 회전 방향을 갖고, 그러므로 1/4 파장판(90)을 통해 통과할 때, 그것은 타원형 편광으로부터 광원(2)으로부터의 방출된 광의 편광 방향과 거의 오른쪽 각으로 크로스하는 선형 편광으로 변환된다. 환언해서, 광이 S 편광에서 광원(2)으로부터 방출되고, 그것은 P 편광에서 광부재에 입사한다.
1/4 파장판(90)을 통해 통과하는 광이 제 2광부재(86)에 입사하고, 제 2기판(86b)의 제 2경사평면(86e)상에서 필터(89)를 통해 거의 완전히 전송되고, 제 2광부재(86)로부터 방출되고, 차폐부재(85)를 통해 또한 전송되고, 제 1광부재(72)에 입사한다.
그후 광이 제 1광부재(72)의 제 2경사평면(72b)상의 편광 분리막(75)에 입사한다. 입사광이 그 편광 방향에서 방출된 광과 오른쪽 각으로 크로스하기 위해 지향되고, 그러므로 광이 편광 분리막(75)을 통해 거의 완전히 전송되고 그후 제 1광부재(72)의 제 3경사평면(72c)상의 광경로 분할수단(83)에 입사한다. 상기 광경로 분할수단(83)은 입사광의 거의 절반을 전송하고 입사광의 다른 절반을 반사시킨다.
그런후, 광경로 분할수단(83)에 의해 전송된 광이 목적에 따라 신호 발생을 제공하기 위해 제 1광부재(72)하에서 광수신수단(91)의 설정된 위치로 구성된 광수신부에서 설정된 형태를 갖는 발광 유속에서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광경로 분할수단(8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제 1광부재(72)의 제 2경사평면(72b)상에서 반사막(81)에 의해 반사되고 그후 목적에 따라 신호 발생을 제공하기 위해 광 수신수단(91)의 설정된 광수신부에서 설정된 형태를 갖는 발광 유속으로 형성된다.
기록매체가 저밀도 광디스크(19)이면, 광이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경우에,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1광부재(72)상의 제 1경사평면(72a)상에 형성된 반사막(74)에 의해 처음 반사되고 제 2경사평면(72b)상에 형성된 편광 분리막(76)에 입사한다. 상기 편광 분리막(76)은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선형 편광을 반사하고 오른쪽각으로 그것과 크로스하는 편광방향으로 광을 전송하고, 그러므로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반사된다.
나중에, 제 1광부재(72)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2광부재(86)의 제 1기판(86a)의 하단 표면상에 형성되는 확산각 변환수단(87)에 입사한다. 상기 확산각 변환수단(87)에 의해,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확산각이 변환되어 확산된 광이 제 2기판(86b)으로부터 방출되고, 또한 제 2광부재(86)의 제 2기판(86b)의 제 1경사평면(86d)상에서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에 입사하고, 편광 분리막(88a)을 통해 전송되고, 빔 분리막(88b)에 의해 반사될 때 단일 메인 빔 및 2개의 측면 빔으로 분리되고, 그후 제 2경사평면(86e)상의 필터(89)에 입사한다. 상기 필터(89)는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및 광원(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그러므로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으로부터 필터(89)에 입사하는 광이 거의 완전히 반사되고 제 2광부재(86)로부터 방출된다.
나중에,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1/4 파장판(90)에 입사한다. 1/4 파장판(90)에 입사하는 광이 선형 편광으로부터 타원형 편광으로 그 편광 방향으로 변환되고 그후 1/4 파장판(90)으로부터 방출된다.
계속해서, 시준기렌즈가 있으면, 광원(9)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시준기렌즈(16)를 통해 통과하고 콘덴서(17)에 입사하기 전에 적은 확산각을 갖는 광으로 변환되고,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콘덴서(17)에 입사하고, 광이 고밀도 광디스크(18)로 수렴된다.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되는 복귀 광이 1/4 파장판(90)에 다시 입사한다. 상기 광이 저밀도 광디스크(19)에 의해 반사될 때 입사 방향에 반대인 타원형 편광의 회전 방향을 갖고, 그러므로 1/4 파장판(90)을 통해 통과할 때, 그것은 타원형 편광으로부터 광원(9)으로부터의 방출된 광의 편광 방향과 거의 오른쪽 각으로 크로스하는 선형 편광으로 변환된다. 환언해서, 광이 S 편광에서 광원(9)으로부터 방출되고, 그것은 P 편광에서 광부재에 입사한다.
1/4 파장판(90)을 통해 통과하는 광이 제 2광부재(86)에 입사하고, 제 2기판(86b)의 제 2경사평면(86e)상에서 필터(89)에 의해 거의 완전히 반사되고, 제 1경사평면(86d)상에서 복수의 빔(88)을 형성하는 수단에 입사한다. 상기 경우에, 입사광이 그 편광 방향에서 거의 오른쪽 각에서 방출된 광과 크로스하기 위해 지향되고, 그러므로 입사광이 빔 분리부(88b)상에 거의 입사하지 않고 편광 분리막(88a)에 의해 반사되고, 제 2기판(86b)으로부터 방출되고, 그후 제 1기판(86a)상의 확산각 변환수단(87)상에 입사한다.
확산각 변환수단(87)상에서 확산각으로서 입사하는 광이 확산각 변환으로써 수렴된 광으로 변환되고, 제 2광부재(86)로부터 방출되고, 또한 차폐부재(85)를 통해 전송되고, 그후 제 1광부재(72)상에 입사한다.
그후 광이 제 1광부재(72)의 제 2경사평면(72b)상의 편광 분리막(76)에 입사한다. 입사광이 그 편광 방향에서 방출된 광과 오른쪽 각으로 크로스하기 위해 지향되고, 그러므로 광이 편광 분리막(76)을 통해 거의 완전히 전송되고 그후 제 3경사평면(72c)상의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입사한다. 상기 광경로 분할수단(84)은 입사광의 거의 절반을 전송하고 입사광의 다른 절반을 반사시킨다.
그런후,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의해 전송된 광이 목적에 따라 신호 발생을 제공하기 위해 제 4광부재하에서 광수신수단(92)의 설정된 위치로 구성된 광수신부에서 설정된 형태를 갖는 발광 유속으로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광경로 분할수단(84)에 의해 반사된 광이 제 2경사평면(72b)상에서 반사막(82)에 의해 반사되고 그후 목적에 따라 신호 발생을 제공하기 위해 광수신수단(92)의 설정된 광수신부에서 설정된 형태를 갖는 발광 유속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복수의 광원이 동일한 패키지로 구성될 때, 각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많은 경우에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큰 파면 수차를 갖고, 따라서 최적화는 광원(2 및 9)의 발광점(2a 또는 9a) 및 시준기 렌즈간의 거리에 대해 수행된다. 그러나, 개념은 제 2실시예와 같고, 그러므로 설명은 본원에서 생략된다.
내용 없음.

Claims (48)

  1. 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제 1광빔을 방출하는 제 1광빔 소스와,
    제 2광빔을 그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제 2광빔 소스와,
    정보가 반사후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판독되도록 표면에 반사된 후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검출기를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제 1 및 2광빔이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 소스 및 광빔 검출기를 수납하고 제 1 및 제 2광빔중 어느 하나가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로 진행하도록 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제 1 및 제 2광빔중 어느 하나가 단일 광빔 경로에서 진행하고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 광빔 경로로부터 광빔 검출기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으로 제 1 및 2광빔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멍을 커버하는 광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그 컨테이너는 광빔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밀봉해서 봉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의 광빔 축을 따라 제 1 및 2광빔 중 어느 하나의 직경의 변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광빔 직경변화 속도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며, 광빔 직경변화 속도조절부재는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노출된 표면을 갖고, 그 노출된 표면을 접촉하는 물질의 굴절율이 광빔 직경 변화 속도조절부재의 그것보다 적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물질 및 광빔 직경 변화 속도 조절 부재간의 굴절율 차는 0.35 내지 0.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및 2광원 모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 소스 및 광빔 검출기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전기적으로 그라운드된 부재가 컨테이너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광빔 검출기는 공통 평면상에서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 1광빔을 검출하는 공통 평면상의 위치는 제 2광빔을 검출하는 공통 평면상의 다른 위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 소스 및 광빔 검출기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공통 평면이 컨테이너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를 실장하기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와, 제 2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제 2광빔 소스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제 1광빔의 전력이 제 2광빔의 그것보다 크고,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의 열 에너지 흡수값이 제 2광빔 소스 베이스의 그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의 양이 제 2광빔 소스 베이스의 그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의 표면 영역이 제 2광빔 소스 베이스의 그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 베이스로부터의 열 에너지 전송 속도는 제 2광빔 소스 베이스로부터의 열 에너지 전송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열 에너지 속도는 제 2광빔 소스 베이스로부터의 방사 열 에너지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를 실장하기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와, 제 2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제 2광빔 소스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제 1광빔의 전력이 제 2광빔의 그것보다 크고, 거리가 서로 반대되는 제 1 및 2광빔 소스 베이스의 표면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접촉 영역이 서로 반대되는 제 1 및 2광빔 소스 베이스의 표면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와, 제 2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제 2광빔 소스 베이스와,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의 광빔 직경, 진행 코스, 광빔 직경 변화 속도, 편광 및 색수차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도록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처리부재를 더 구비하며, 제 1광빔의 전력이 제 2광빔의 그것보다 크고, 광처리부재는 제 2광빔 소스 베이스상에서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광 처리 부재가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상에서 지지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제 1광빔 소스 베이스와, 제 2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제 2광빔 소스 베이스와,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의 광빔 직경, 진행 코스, 광빔 직경 변화 속도, 편광 및 색수차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도록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처리부재를 더 구비하며, 광 처리 부재는 제 1 및 2광빔 소스 베이스중 하나상에 실장되고 제 1 및 2광빔 소스 베이스중 다른 하나상에서 지지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를 포커스하는 대물 렌즈와,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빔용 색수차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대물렌즈 및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간에 구성된 색수차 보상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색수차 보상 부재가 홀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색수차 보상 부재가 제 1 및 2광빔 소스중 하나 및 대물렌즈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제 1광빔에 대한 색수차 보상도는 제 2광빔에 대한 색수차 보상도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5.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광빔 소스와,
    정보가 반사된 후 광빔으로부터 판독되도록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검출기와,
    광빔이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로 진행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광빔 소스 및 광빔 검출기를 수납하는 컨테이너와,
    광빔이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으로 광빔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멍을 커버하고 컨테이너상에 실장된 광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광빔 부재가 경사 표면 및 그 경사 표면상의 광 소자를 포함하여 광빔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컨테이너상에 구성되고 반대측의 구멍을 광빔 가이드 부재로 커버하는 차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구멍의 가스 압력 및 광빔 소스와 광빔 검출기를 둘러싼 가스 압력간의 차가 0.3at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9. 제 1방향의 제 1광빔, 및 제 2방향의 제 2광빔을 광 기록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광빔 소스와,
    정보가 반사된 후 광빔으로부터 판독되도록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검출기를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제 2광빔을 수신하는 수신 표면을 포함하고, 그 수신 표면이 제 2방향에 수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0. 광빔을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광빔 소스와,
    정보가 반사된 후 광빔으로부터 판독되도록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검출기와,
    광빔이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광빔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광빔 검출기는 광빔 가이드 부재를 실장시킨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1. 광빔을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광빔 소스와,
    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광빔 소스 베이스와,
    광빔 소스 베이스를 실장시킨 기판을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기판은 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적어도 2개의 기판 표면을 갖고, 적어도 2개의 기판 표면이 서로 평행하지 못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광빔 소스 베이스는 기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광빔 소스 베이스는 금속 및 광 경화에 의해 경화된 수지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기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4. 제 1광빔을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광빔 소스와,
    광빔 소스를 실장시킨 광빔 소스 베이스와,
    정보가 반사된 후 광빔으로부터 판독되도록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검출기와,
    광빔이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광빔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빔 장치는 광빔 가이드 부재의 접촉 표면이 광빔 소스 베이스의 접촉 표면으로 고정되는 조인트 부재를 갖고, 광빔 가이드 부재 및 광빔 소스의 적어도 하나가 접촉 표면에 인접한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광빔 소스가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6.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광빔 소스와,
    정보가 반사된 후 광빔으로부터 판독되도록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광빔 검출기와,
    광빔을 포커스하는 대물 렌즈와,
    광빔 소스로부터의 광빔용 색수차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제 1광빔 소스 및 대물 렌즈간에 구성된 색수차 보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 소스 및 광빔 검출기를 수신하고 제 1 및 제 2광빔중 어느 하나가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 검출기로 진행하도록 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며, 컨테이너가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구멍과 그 구멍을 밀봉해서 봉인하는 투명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8. 청구항 1에 있어서, 광빔의 적어도 하나가 표면을 향해 진행하고 그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광빔의 검출기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으로 제 1 및 2광빔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및 2광빔 소스 및 광빔 검출기, 및 광빔 가이드 부재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며, 광빔 가이드 부재가 컨테이너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9.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제 1광빔을 방출하는 제 1광빔 소스와,
    제 2광빔을 그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제 2광빔 소스를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제 1 및 2광빔을 포커스하는 대물 렌즈를 더 구비하고, (제 2광빔 빔 소스 및 대물 렌즈간의 제 2광빔의 광빔 축을 따른 길이/제 1광빔 소스 및 대물 렌즈간의 제 1광빔의 광빔 축을 따른 길이)는 0.50 및 0.75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제 2광빔의 파장이 제 1광빔의 그것보다 더 길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1. 청구항 39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빔용 색수차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대물 렌즈 및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간에 구성된 색수차 보상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2. 청구항 39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가 표면을 향해 있는 실제적으로 공통 단일 광빔을 따라 진행하는 방법으로 광빔 가이드가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하게 되도록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해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 및 대물 렌즈간에 구성된 광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3. 청구항 39에 있어서, 제 1광빔이 제 1광빔 소스로부터 대물 렌즈로 실제로 똑바로 진행하고 제 2광빔이 제 1광빔 소스 및 대물 렌즈간에 적어도 한 번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4. 광기록매체의 표면을 향해 제 1광빔을 방출하는 제 1광빔 소스와,
    제 2광빔을 그 표면을 향해 방출하는 제 2광빔 소스를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광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제 1 및 2광범의 평행 광선을 형성하는 시준기를 더 구비하고, (제 2광빔 빔 소스 및 시준기간의 제 2광빔의 광빔 축을 따른 길이/제 1광빔 소스 및 시준기간의 제 1광빔의 광빔 축을 따른 길이)는 0.50 및 0.75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제 2광빔의 파장이 제 1광빔의 그것보다 더 길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6. 청구항 44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빔용 색수차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시준기 및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간에 구성된 색수차 보상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7. 청구항 44에 있어서, 제 1 및 2광빔중 어느 하나가 표면을 향해 있는 실제적으로 공통 단일 광빔을 따라 진행하는 방법으로 광빔 가이드가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하게 되도록 제 1 및 2광빔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해 제 1 및 2광빔 소스중 적어도 하나 및 시준기간에 구성된 광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8. 청구항 44에 있어서, 제 1광빔이 제 1광빔 소스로부터 시준기로 실제로 똑바로 진행하고 제 2광빔이 제 1광빔 소스 및 시준기간에 적어도 한 번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19970050812A 1996-10-01 1997-10-01 광픽업장치 KR100306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60391 1996-10-01
JP8260391A JPH10106016A (ja) 1996-10-01 1996-10-01 光ピックアップ
JP8280481A JPH10124912A (ja) 1996-10-23 1996-10-23 光ピックアップ
JP96-280481 1996-10-23
JP9012169A JPH10208283A (ja) 1997-01-27 1997-01-27 光ピックアップ
JP97-12169 1997-01-27
JP97-31621 1997-02-17
JP9031621A JPH10228666A (ja) 1997-02-17 1997-02-17 光ピックアップ
JP96-31621 1997-02-17
JP9037584A JPH10241185A (ja) 1997-02-21 1997-02-21 光ピックアップ
JP97-37584 1997-02-21
JP9051330A JPH10247336A (ja) 1997-03-06 1997-03-06 光ピックアップ
JP97-51330 1997-03-06
JP9082592A JPH10275359A (ja) 1997-04-01 1997-04-01 光ピックアップ
JP97-82592 1997-04-01
JP97-83623 1997-04-02
JP08362397A JP3864486B2 (ja) 1997-04-02 1997-04-02 光ピックアップ
JP8637997 1997-04-04
JP97-86379 1997-04-04
JP97-86377 1997-04-04
JP8637797 1997-04-04
JP16695597 1997-06-24
JP97-166955 1997-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77A true KR19980032477A (ko) 1998-07-25
KR100306984B1 KR100306984B1 (ko) 2001-11-30

Family

ID=2758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812A KR100306984B1 (ko) 1996-10-01 1997-10-01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256283B1 (ko)
KR (1) KR100306984B1 (ko)
CN (3) CN1100315C (ko)
DE (2) DE1974352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926B1 (ko) * 2000-07-13 2004-03-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광 픽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994B1 (en) * 1996-05-27 2006-05-02 Sony Corporation Optical pickup device with a plurality of laser couplers
US6496465B1 (en) * 1998-06-09 2002-12-17 Barry G. Broome Monolithic CD/DVD read/write head
JP3638210B2 (ja) * 1998-06-15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ホログラムレーザユニ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AU1078800A (en) * 1998-11-06 2000-05-29 Hitachi Maxell, Ltd. Optical disk, disk substrate, and drive
JP3635523B2 (ja) * 1999-02-03 2005-04-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導波路素子及び光ピックアップ
JP2001010107A (ja) * 1999-06-25 2001-01-16 Asahi Optical Co Ltd マルチビーム光源走査装置
TW476951B (en) * 1999-10-01 2002-02-21 Alps Electric Co Ltd Optic component and composite optic unit containing the same and optic pick-up device containing said unit
JP4074419B2 (ja) * 2000-03-14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の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WO2001074529A2 (en) * 2000-03-30 2001-10-11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pass micromachining of multilayer workpieces
US7050380B2 (en) * 2000-04-18 2006-05-23 Ricoh Company, Ltd. Optical element, optical pickup unit, and optical disk drive unit
TW554179B (en) * 2000-08-18 2003-09-21 Shell Int Research Optical device
US20030214898A1 (en) * 2002-04-15 2003-11-20 Tetsuya Ogata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rive using the same
CN1324585C (zh) * 2002-06-03 2007-07-04 索尼株式会社 双波长光学元件
KR100529313B1 (ko) * 2003-04-30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모듈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TWI346952B (en) * 2003-07-07 2011-08-11 Panasonic Corp Objective lens,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DE10330945A1 (de) * 2003-07-08 2005-02-0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Optischer Abtaster mit Mikrooptik zur Strahlkombination
US7175087B2 (en) * 2003-07-25 2007-02-13 Nidec Sankyo Corporation Method of analyzing astigmatic difference and method of correcting the spot diameters for an optical device and spot analysis system
WO2005055216A1 (ja) * 2003-12-04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光学情報再生装置
CN100350474C (zh) * 2004-05-10 2007-11-21 索尼株式会社 光拾取器
JP4944026B2 (ja) * 2005-04-14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及び光情報処理装置
EP1886309B1 (en) * 2005-05-30 2009-01-21 Thomson Licensing Compact pickup for micro optical drive
JP4696794B2 (ja) * 2005-09-06 2011-06-08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JP4821372B2 (ja) * 2006-03-03 2011-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CN101405800B (zh) * 2006-03-20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头及光盘装置
JP2008041191A (ja) * 2006-08-08 2008-02-21 Funai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出力の補正装置
JP2015065634A (ja) * 2013-08-28 2015-04-09 株式会社リコー 光照射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38494B2 (en) 2013-11-26 2017-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ime distance of arrival based mobile device location detection with disturbance scrutiny
JP6500474B2 (ja) * 2015-02-09 2019-04-1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学分析装置
US10371625B1 (en) * 2015-06-23 2019-08-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a reflective surface as being associated with a threat optic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3664B1 (fr) * 1980-05-28 1985-06-28 Thomson Csf Dispositif optique d'enregistrement-lecture sur un support d'informations et systeme de memoire optiqu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2642530A1 (fr) 1989-01-30 1990-08-03 Seiko Epson Corp Mecanisme de focalisation et tete optique
EP0452793B1 (en) * 1990-04-12 1998-01-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having a hologram associated with the objective lens
DE69124822T2 (de) * 1990-04-27 1997-10-0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Lichtemittierende Halbleitervorrichtung mit Fresnel-Linse
US5191204A (en) 1991-10-28 1993-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beam optical system and method with power detection of overlapping beams
US5295125A (en) * 1992-02-03 1994-03-15 Hitachi, Ltd. Optical head device for recording/reproduction for recording medium using plural light spots
US5499262A (en) * 1992-03-18 1996-03-12 Rohm Co., Ltd.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 unit
US5615200A (en) * 1992-09-10 1997-03-25 Kabushiki Kaisha Toshiba Light beam shaping device to change an anisotropic beam to an isotropic beam for reducing the size of an optical head
JPH06131688A (ja) * 1992-10-20 1994-05-13 Hitachi Ltd 2レーザ光ヘッド及び記録再生装置
US5513121A (en) * 1993-01-11 1996-04-30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head
US5483511A (en) * 1993-02-17 1996-01-09 Vixel Corporation Multiple beam optical memory system with solid-state lasers
US5360761A (en) * 1993-05-07 1994-11-01 Xerox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closely spaced dual diode lasers
JPH07140381A (ja) * 1993-11-18 1995-06-02 Sony Corp コマ収差補正方法
KR0171078B1 (ko) * 1994-05-13 1999-04-15 배순훈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 비임을 동시에 각각 발생하여 한쪽면에 복수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광 픽업 시스템
KR0123094B1 (en) 1994-05-13 1997-11-12 Daewoo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system
JPH087321A (ja) 1994-06-21 1996-01-12 Sony Corp 受発光素子
JP3240846B2 (ja) 1994-08-12 2001-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ヘッド
KR100213282B1 (ko) * 1994-12-27 1999-08-02 전주범 다층 디스크용 광 픽업
WO1996030903A2 (en) * 1995-03-29 1996-10-03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unit comprising a radiation source, a detector and a grating, and scanning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unit
US5783818A (en) * 1995-05-08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grated type optical pickup having packaging with gas-tight seal
JP3882210B2 (ja) * 1995-09-13 2007-02-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装置
US5864523A (en) * 1995-11-10 1999-01-26 Kabushiki Kaisha Toshiba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US5663944A (en) * 1995-12-29 1997-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tical cavity laser light beam monitored by reflection of a half mirror, with application in optical pick-up
JP3062099B2 (ja) * 1996-02-06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
JPH1064097A (ja) * 1996-08-21 1998-03-06 Minebea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926B1 (ko) * 2000-07-13 2004-03-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광 픽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43521A1 (de) 1998-04-02
US6266314B1 (en) 2001-07-24
DE19743521C2 (de) 2001-09-06
CN1178367A (zh) 1998-04-08
DE19743516A1 (de) 1998-04-09
US6256283B1 (en) 2001-07-03
CN1179596A (zh) 1998-04-22
DE19743516C2 (de) 1999-09-02
CN1100315C (zh) 2003-01-29
CN1122983C (zh) 2003-10-01
KR100306984B1 (ko) 2001-11-30
CN1474388A (zh)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477A (ko) 광픽업장치
US6556533B1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373801B1 (ko) 반도체레이저장치및이를이용한광픽업장치
JP3199650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20070007748A (ko)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광 픽업
US7616531B2 (en) Integrated optical unit, adjusting method therefor, and optical pickup
JP2001034996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9980032476A (ko) 광픽업장치
JP3520735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3867396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106016A (ja) 光ピックアップ
US20040151087A1 (en) Light receiving device, light detecting device, and optical signal reproducing device
JPH1027374A (ja)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JPH10208275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320810A (ja)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110786A (ja) 光ピックアップ
JP3379292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73672A (ja) 光ピックアップ
JP3482747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1110773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275359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1102531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334494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124912A (ja) 光ピックアップ
JP3536485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ガイ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