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528A - 엔진 마운팅 브라켓 - Google Patents

엔진 마운팅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528A
KR19980025528A KR1019960043668A KR19960043668A KR19980025528A KR 19980025528 A KR19980025528 A KR 19980025528A KR 1019960043668 A KR1019960043668 A KR 1019960043668A KR 19960043668 A KR19960043668 A KR 19960043668A KR 19980025528 A KR19980025528 A KR 1998002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mounting
engine
rigidit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528A/ko
Publication of KR1998002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528A/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마운팅 브라켓의 강성을 강화하여 강성 부족으로 인한 진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한 엔진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용접 장착되던 지지부재(8)를 마운팅 브라켓(2)과 일체로 주물형성하여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장착공(6)의 내부는 태핑을 하고, 마운팅 브라켓(2)의 좌측면에 형성된 장착공(6)의 외주에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16)가 삽입되는 홈(18)을 형성하여 기종에 따라 볼트(4)와 스프링 와셔(16)를 교체하여 마운팅 브라켓(2)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 마운팅 브라켓.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을 차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엔진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운팅 브라켓의 강성을 강화하여 강성 부족으로 인한 진동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한 엔진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 기관의 부품의로서 엔진 마운팅의 취부 되는 것으로서, 엔진 마운팅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완화, 흡수하여 차량의 탑승자에게 양호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된 구조인 것이다.
상기한 엔진 마운팅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고유 진동 주파수 영역을 변화 시켜서 진동 소음이 감소되게 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프레스 성형된 마운팅 브라켓(2)의 좌 우 측면에는 볼트(4)가 장착되는 장착공(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중심 면에는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을 엔진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4)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공(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엔진 본체와의 결합 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마운팅 브라켓(2)의 일 측면에는 복수개의 장착공(6)이 형성된 지지부재(8)가 용접되어 있다.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중심 면에 형성된 장착공(6)과 지지부재(8)의 장착공(6)으로 볼트(4)가 체결되어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은 엔진 본체에 장착된다.
제4도는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러버의 체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마운팅 브라켓(2)으로 마운팅 러버(10)를 삽입하고, 상기한 마운팅 러버(1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2)과 마운팅 브라켓(2)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6)은 동심상으로 배치하고, 상기한 마운팅 러버(10)의 관통공(12)과 마운팅 브라켓(2)의 장착공(6)으로 볼트(4)를 삽통하여 마운팅 브라켓(2)의 일 측에서 너트(14)로 고정함으로써, 상기한 마운팅 러버(10)를 마운팅 브라켓(2)에 장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서 마운팅 브라켓(2)을 엔진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부재(8)가 용접되고, 마운팅 러버(10)를 마운팅 브라켓(2)에 장착하기 위하여 볼트(4)와 너트(14)가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기한 지지부재(8)와 마운팅 브라켓(2)의 용접부위의 강성이 취약하여 차량의 주행 시에 발생되는 진동 소음이 증가하게 되어 진동 소음을 흡음하는 다수개의 댐퍼(DAMPER)가 사용되고, 볼트(4)와 너트(14)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다른 기종에 대한 호환성이 없어서 마운팅 브라켓(2)의 공용화가 가능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의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한 엔진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함에 두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지지부재가 용접 장착되던 마운팅 브라켓을 지지부재를 일체로 주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의 장착공의 내부에 태핑(TAPPING)을 하고, 마운팅 브라켓의 좌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의 외주에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마운팅 브라켓의 지지부재가 마운팅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마운팅 브라켓의 강성이 확보되어 진동 소음이 대폭 감소되고, 차량의 기종에 따라 치수가 변화되는 볼트에 따라 스프링 와셔를 교체하면 마운팅 브라켓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과 엔진 러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과 엔진 러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운팅 브라켓4 : 볼트
6 : 장착공8 : 지지부재
10 : 마운팅 러버12 : 관통공
14 : 너트16 : 스프링 와셔
18 : 삽입 홈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 예에서 제3도와 제4도를 통해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마운팅 브라켓(2)은 지지부재(8)를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과 일체로 주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좌 우 측에 돌출 형성된 면에는 볼트(4)가 장착되는 장착공(6)이 내주에 태핑이 되어 각각 1개씩 형성되고, 좌측면에 형성된 장착공(6)의 마운팅 브라켓(2)의 외주 측에는 상기한 장착공(6)과 동심 상으로 볼트(4)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스프링 와셔(16)가 삽입되는 삽입 홈(18)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중심 면과 지지부재(8)의 소정 개소에는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을 엔진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4)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공(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중심 면과 지지부재(8)에 형성된 장착공(6)으로 볼트(4)가 체결되어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은 엔진 본체에 장착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러버와 마운팅 브라켓의 결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마운팅 브라켓(2)으로 마운팅 러버(10)가 삽입되고, 상기한 마운팅 러버(1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2)과 마운팅 브라켓(2)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6)은 동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 홈(18)으로 볼트(4)의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스프링 와셔(16)가 차량의 기종에 맞게 삽입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장착공(6)과 마운팅 러버(10)의 관통공(12)으로 기종에 따라 적당한 볼트(4)를 나선 운돝 시켜서, 상기한 마운팅 러버(10)를 마운팅 브라켓(2)에 장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 브라켓(2)의 지지부재(8)가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마운팅 브라켓(2)의 강성이 확보되어 댐퍼를 사용하지 않고도 진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차량의 기종에 따라 치수가 변화되는 볼트(4)에 따라서 스프링 와셔(16)를 교체하면 마운팅 브라켓(2)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이 적용된 마운팅 브라켓을 사용할 경우, 마운팅 브라켓의 지지부재가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운팅 브라켓의 강성이 확보되어 진동 소음이 대폭 감소되는 것이므로, 다수개의 댐퍼가 장착되지 않게 되어 생산비가 대폭 감소되고,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볼트의 종류에 따라 스프링 와셔를 교체하면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러버의 체결이 가능하게 되어, 마운팅 브라켓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은 차량에 따른 호환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을 차체에 장착하는 엔진 마운팅 브라켓에 있어서,
    지지부재(8)를 일체로 마운팅 브라켓(2)을 주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2)의 장착공(6)의 내부에 태핑을 하고, 마운팅 브라켓(2)의 좌측면에 형성된 장착공(6)의 외주에 스프링 와셔(16)가 삽입되는 삽입 홈(1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1019960043668A 1996-10-02 1996-10-02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19980025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68A KR19980025528A (ko) 1996-10-02 1996-10-02 엔진 마운팅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68A KR19980025528A (ko) 1996-10-02 1996-10-02 엔진 마운팅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528A true KR19980025528A (ko) 1998-07-15

Family

ID=6632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668A KR19980025528A (ko) 1996-10-02 1996-10-02 엔진 마운팅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5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498B1 (ko) 자동차용방진장치
JP3427188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マウント
KR19980025528A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
JP3613928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JPH09291965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マウント構造
KR20050027694A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JP2005147226A (ja) 減衰機能付き締結部材およびその締結部材を用いた防振装置
KR100333862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KR100391662B1 (ko) 자동차의 예비타이어를 이용한 동적댐퍼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0371964B1 (ko) 상용차용트랜스미션마운팅브라켓트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00361923B1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00210304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KR19980084024A (ko) 차량 엔진마운팅용 브라켓의 구조
JPH11311290A (ja) ダンパーマウント
KR19980062037U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JPS591849Y2 (ja) エンジンリヤマウントの防振支持装置
KR19980035909A (ko) 자동차의 러버 마운팅 조립구조
KR19980022062A (ko) 다이내믹 댐퍼
KR19980062112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19980021046U (ko) 자동차의 진동감소를 위한 러버마운트구조
KR19980044610U (ko) 오일팬의 잡음 방지구조
KR19980049687A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9980049686A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