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992A - 빌딩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빌딩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992A
KR19980023992A KR1019970012322A KR19970012322A KR19980023992A KR 19980023992 A KR19980023992 A KR 19980023992A KR 1019970012322 A KR1019970012322 A KR 1019970012322A KR 19970012322 A KR19970012322 A KR 19970012322A KR 19980023992 A KR19980023992 A KR 1998002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rrent
monitoring
telephone lin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991B1 (ko
Inventor
겐이치 후루카와
사토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스기마치 도시타카
세코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마치 도시타카, 세코무 (주) filed Critical 스기마치 도시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2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경보 장치에서 전화 회선의 단선 검출은 판정 불량없이 그리고 낮은 비용으로 행해진다. 회선 전압 감시 회로(23)는 전화 회선(5)이 개방될 때 전화 회선들간의 전압을 감시한다. 상기 전압은 매우 작은 전류에 의해 감시되므로, 노이즈로 인한 이상 검출 불량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상이 검출되면, 회선 단락 수단(13) 이 전화 회선을 단락시키고, 회선 전류 감시 회로(24)가 회선 전류를 감시한다. 이 회선 전류는 비교적 큰 전류에 의해 감지되므로, 노이즈로 인한 판정 불량의 가능성은 작아진다. 이 회선 전류에 의한 감시중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전화 회선은 단선된 것으로 판정되고 통보 수단(25)이 단선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회선 단락의 회수는 커지지 않으므로, 시스템 비용의 증각가 제한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 경보 장치
본 발명은 전화 회선을 이용한 경보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회선의 단선을 감시할 수 있는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 콘도 등에 경보 장치를 설치하고, 이 경보 장치와 원격지의 중앙 감시 센터를 전화 회선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중앙 감시 센터에서 상기 빌딩을 감시함으로써 상기 빌딩을 중앙 감시하는 각종 경보 시스템이 실생활에 응용되어 왔다.
방범 센서, 방재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가 그러한 경보 시스템의 경보 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센서중 어떤 센서가 이사을 검출하면, 상기 전화 회선을 통해 감시 센터측으로 경보가 행해진다. 이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전화 회선이 어떤 이유 등으로 인해 단선되면, 상기 센서가 이상을 검출해도 중앙 감시센터에 경보가 도달하지 않으므로 경보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신호는 경보 장치로부터 감시 센터측으로 예컨대 한 시간 내지 두시간의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상기 감시 센터는 이 신호의 주기적 전송을 감시하게 된다. 이 신호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감시 센터는 상기 전화 회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정하고, 경비원을 해당 빌딩측으로 보내서, 안전을 확인하고 그 상황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한편, 경보 장치측에서는, 상기 전화 회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앞서 언급한 주기 시호의 전송시에 감시된다. 이때, 상기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전화 회선에 단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버저를 울림으로써 상기 전화 회선이 단선되었음을 주위 사람에게 알린다. 주기 신호의 전송들 사이에서, 상기 전화 회선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회선 전류에 의한 단선의 검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회선간의 전압은 상기 전화 회선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감시되며,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화 회선은 단선된 것으로 판정된다.
하지만, 상기 회선 전압의 검출은 매우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전화 회선들사이에 높은 저항을 제공하고 이 매우 낮은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환언하면, 회선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행해진 단선의 검출은 회선 전류에 대한 감시에 비해 보다 낮은 전류를 검출함으써 행해지므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따라서 불량 판정의 가능성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회선 전류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지는 단선 감시는 보다 큰 전류값을 사용하여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덜받게 되므로, 단선은 보다 신회성있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기신호의 전송 간격을 단축시키고 그리고 회선 전류에 의한 감시 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전송 회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운용 비용이 증가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전화 회선을 통해 목적지측으로 이상 발생을 통보하는 경보 장치에서, 판정 불량없이 낮은 비용으로 전화 회선의 단선을 검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보 장치가 적용된 경보 시스템의 구조예를 나태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경보 장치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보 장체에 사용되는 회선 전압 감시 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회선 전류 감시 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CPU의 처리 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선 전압 감시 회로의 수정예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중앙 감시 센터2 : 중앙 모니터
3 : 감시 건물4 : 이상 통보 장치
5 : 전화 회선7 : 전화기
8 : 교환기9 : 팩시밀리
10 : 대기소12 : 경보 감시 회로
13 : 회선 단락 회로21 : 단선 판정 회로
22 : CPU23, 26 : 회선 전압 감시 회로
24 : 회선 전류 감시 회로25 : 통보 회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완성되었다. 이러한 이상 검출시, 소정의 목적지측으로 이상의 발생을 통보하는 경보 장치에서, 이 장치는 전화 회선이 개발될 때 이 전화 회선간에 인가된 전압을 감시한다. 회선 전압을 사용한 감시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전화 회선은 단락되고 회선 전류가 감시된다. 이 회선 회로의 감시 중에 어떤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전화 회선이 단락 되었는지를 판정하여 단선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경보 장치는 전화 회선이 개방되었을 때의 회선 전압을 감시하여 회선 전압의 이상을 검출하는 회선 전압 감시 수단; 상기 전화 회선이 단락되었을 때의 회선 전류를 감시하여 회선 전류의 이상을 검출하는 회선 전류 감시 수단; 상기 전화 회선의 D.C. 회로의 단락 동작을 수행하는 회선 단락 수단; 및 상기 회선 전압 감시 수단, 상기 회선 전류 감시 수단 및 상기 회선 단락 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단선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선 전압 감시 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상기 단선 판정 회로는 상기 회선 단락 수단이 상기 전화 회선의 D.C. 회로를 단락시키도록 하고, 상기 회선이 단락되었을 때 상기 회선 전류 감시 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전화 회선에 단선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여 단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회선 전류 감시 수단에 의해 이상 입력이 주어지지 않고 회선이 단락되어 있으면,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전화 회선에 단선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구성에 따라, 전화 회선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단선이 발생하면, 상기 회선 전압은 저하되고, 회선 전압 감시 수단은 이상을 검출하게 된다. 다음에, 전화 회선이 단락되더라도 상기 회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상기 회선 전류 감시 수단은 이상을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단선 판정 수단은 단선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선 전압 감시 수단이 단선이 발생하지 않았는 데도 노이즈로 인해 이상 전압을 검출하게 되면, 상기 전화 회선이 단락될 때 회선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회선 전류 감시 수단은 이 회선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회전 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단선 판정 수단은 단선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단선 신호는 출력되지 않으며, 노이즈로 인한 불량 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회선 전류에 의한 감시는 상기 회선 전압의 감시에 의해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될 때에만 행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회선의 단락 회수가 감소되고 경보 시스템의 운용 비용의 증가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커패시터에 매우 작은 전류를 축적할 수 있고, 그리고 회선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회선 전압으로 인한 매우 작은 전류를 검출하는 대신에,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류를 감시할 수 있다. 이경우에, 상기 방전 전류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은 보다 작아지며, 따라서 상기 호선 전압은 노이즈의 영향이 작은 상태에서 감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노이즈로 인한 동작 불량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회선 전류를 감시하기 위해 회선을 단락시키는 회수도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경보 장치가 적용된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3, 3... 은 경보 장치(4)가 설치되어 있는, 감시 대상인 빌딩을 나타낸다. 각각의 빌딩(3)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경보 장치(4)는 원격의 장소에서 전화 회선(5)과 스위치보드(8)를 통해 감시 센터(1)의 중앙 모니터(2)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 부호 10은 경비원이 대기하고 있는 대기소이다. 이 대기소(10)는 전화 회선(5)과 교환기(8)를 통해 중앙 감시 센터(1)의 중앙 모니터(2)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하에 있느 빌딩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 경보 센서, 방제 경보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6, 6,...)는 상기 경보 장치(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화기(7)와 팩시밀리(9)는 상기 경보 장치(4)를 통해 상기 전화 회선(5)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경보 시스템에서 어떤 센서(6)가 경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경보 장치(4)는 중앙 모니터(2)측으로 경보를 통보한다. 이 경보 수신시, 상기 중앙 모니터(2)는 감시 센터(1)내의 사람에게 경보의 발생을 디스플레이해준다. 상기 감시 센터(1)는 그 종류에 따라 대기소(10)에 경보를 통보하고 경보가 검출된 빌딩측으로 경비원을 보낸다.
상기 경보 장치(4)는 상기 중앙 모니터(2)측으로 소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예컨대, 매시간마다) 전송한다. 상기 중앙 모니터(2)는 이 신호의 수신을 감시하고, 주기적 전송이 인터럽트되면 전화 회선(5)에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빌딩으로 경비원을 보낸다.
감시 빌딩으로 보내진 경비원은 안전을 확인하고 주어진 상황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도 2에는 경보 장치(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상기 경보 장치(4)에서, 단선 판정 회로(21)는 상기 경보 장치(4)측에서 전화 회선(5)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해 경보 감시 회로(12)와 전화 회선(5)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각조 센서(6, 6,...)와 팩시밀리(9)가 상기 경보 감시 회로(12)에 접속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경보 감시 회로(12)는 상기 전화 회선(5)을 전화기(7)와 팩시밀리(9)에 접속시킨다. 이룹 센서(6,6)가 이상을 검출하여 신호르 출력하면, 상기 전화 회선은 회선 단락 수단(13)에 의해 단락되고 경보신호가 중앙 모니터(2)측으로 전송된다. 상기 전화 회선(5)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경보 감시 회로(12)는 상기 전화 회선을 주기적으로 단락시키고 중앙 모니터(2)측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보 감시 회로(12) 상기 전화 회선을 주기적으로 단락시키고 중앙 모니터(2)측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보 감시 회로(12)의 구성과 동작은 종래에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선 판정 회로(21)는 경보 장치측에서 전화 회선(5)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 되어 있다. 상기 단선 판정 회로(21)의 입력단자(L1, L2)는 상기 전화 회선(5)에 접속되어 있고, 그 출력단자(L1', L2')는 경보 감시 회로(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입력단자(L1)들중 하나의 입력단자가 상기 회선 전류 감시 회로(24)에 의해 출력단자(L1')들중 하나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입력단자(L2)는 다른 출력단자(L2')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회선 전압 감시 회로(23)는 상기 입력단자(L1)와 상기 입력단자(L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회선 전류 감시 회로(24)의 출력신호와 상기 회선 전압 감시 회로(23)의 출력신호는 CPU(중앙처리장치)(22)측에 입력된다.
버저나 발광 램프를 구비하는 통보 회로(25)는 상기 CPU(2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CPU(22)는 상기 경보 감시 회로(12)의 내부에 있는 회선 단락 회로(13)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회선 단락용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회선 단락 상태를 검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선 전압 감시 회로(23)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입력단자(L1)와 입력단자(L2)간의 전압은 전파 정류기(D1)에 의해 정류되고, 저항기(R1, R2)에 의해 분할된다. 전원(V1)의 전압은 저항기(R3, R4)에 의해 분할된다. 이들 두 분할된 전압은 비교기(CP1)측에 입력되고, 트랜지스터(Tr)는 이 비교기(CP1)의 출력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포토 커플러(PC1)의 포토 다이오드(PD1)는 트랜지스터(Tr)와 전원(V1)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포토 트랜지스터(PT1)는 상기 CPU(2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선 전압이 일정한 값이면,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은 L(low)이고, 트랜지스터(Tr)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포토 다이오드(PD1)를 통해 전류는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포토 트랜지스터(PT1)는 턴오프된다. 대조적으로, 상기 회선 전압이 저하도면, 비교기(CP1)의 출력은 H(high)로 되어,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며, 이에따라 포토 다이오드(PD1)를 통해서 전류는 흘러 포토 트랜지스터(PT1)는 턴온된다.
도 4에는 회선 전류 감시 회로(2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포토 커플러(PC2)의 포토 다이오드(PD2)는 입력단자(L1)와 출력단자(L1')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 트랜지스터(PT2)의 출력은 상기 CPU(2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화 회선(5)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 포토 트랜지스터(PT2)는 턴온되며,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포토 트랜지스터(PT2)는 턴오프된다.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단선 판정 회로(21)의 CPU(2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런데, 이 단선 판정 회로(21)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경보장치(3)측에서 상기 전화 회선(5)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중앙 감시 센터(1)측의 상기 전화 회선(5)의 단선을 검출하는 프로세스는 종래 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보 감시 회로(12)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상기 전화 회선(5)이 개방되었는지의 여부가 도 5의 스텝(S1)에서 판정된다. 이 판정은 경보 감시 회로(12)내의 회선 단락 회로(13)의 상태를 체크한다. 그 결과가 NO(단락)로 판명되면 상기 흐름은 스텝(S4)으로 진행되며, YES(개방)이면 상기 흐름은 스텝(S2)으로 진행된다.
스텝(S2)에서 상기 회선 전압이 감시된다. 여기서, 상기 회선 전압 감시 회로(23)의 포토 트랜지스터(PT1)의 상태가 체크된다. 전화 회선(5)이 스텝(S2)의 상태하에서 개방되므로, 상기 상태는 상기 회로 전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소정값보다 작으면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환언하면, 상기 상태는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1)가 턴오프되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흐름은 스텝(S3)으로 진행된다.
실제로 단선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노이즈의 영향으로 인해 상기 상태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상기 흐름은 후술되는 스텝(S3)의 단선을 확인하는 동작으로 진행된다.
스텝(S3)에서, 상기 CPU(22)는 경보 감시 회로(12)의 회선 단락 회로(13)측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화 회선은 경보 감시 회로(12)의 내부에서 단락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회선이 단락되면, 필요할 때마다 상기 경보 장치(3)측으로부터 상기 감시 센터(1)측으로 소정의 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스텝(S4)에서, 상기 회선 전류 감시된다. 여기서, 상기 회선 전류 감시 회로(24)의 포토 트랜지스터(PT2)의 상태가 체크된다. 상기 전화 회선(5)이 상기 스텝(S4)의 상태하에서 닫히므로, 상기 회선 전류가 소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상태는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소정값보다 낮으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상태는 포토 트랜지스터(PT2)가 턴온되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고, 흐름은 스텝(S1)으로 복귀한다. 상기 트랜지스터(PT2)가 턴오프되면, 상기 상태는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되고 흐름은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이 회선 전류의 감시가 상기 회선 전압 감시보다 큰 전류를 사용하여 행해지면, 노이즈에 의해 야기된 판정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스텝(S5)에서, 상기 통보 회로(25)는 경보를 출력하여 단선 판정 동작을 완료한다. 결보출력으로서, 버저의 울림과 램프의 발광이 행해지고, 상기 경보 장치(3)측에서는 상기 전화 회선(5)의 단선을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단선의 가능성이 회선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회선 전류를 감시함으로써 단선의 존재가 판정된다. 그러므로, 노이즈로 인해 상기 회선 전압 감시 중에 판정 불량이 발생하면, 상기 전화 회선의 단선은 항상 정확하게 판정될 수 있다. 상기 회선 전류의 감시가 상기 회선이 개방되었을 때 그리고 상기 회선 전압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수행되므로, 상기 전화 회선의 단락 회수가 줄어들 수 있고, 시스템 동작의 비용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단선 판정 회로(21)는 경보 감시 회로(12)로부터 별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단선 판정 회로(21)는 경보 감시 회로(12)내로 조립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보하여, 회선 전압 감시 회로(24)의 수정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서, 심벌 C1 회선 전압으로 인해 흐르는 매우 작은 전류를 형성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회선 전압(D3)을 정류하는 전파 정류기(D3), 정전압회로(CC1), 포토커플러(PC3)의 포토 트랜지스터(PT3) 및 다이오드(D4)가 충전회로로서 상기 커패시터(C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전압 회로(CC1)는 트랜지스터(TR1), 제너 다이오드(ZD1) 및 저항기(R5, R6, R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방전 저항기(R8), 포토 커플러(PC4)의 포토 트랜지스터(PT4) 및 포토 커플러(PC5)의 포토 다이오드(PD5)가 방전 회로로서 상기 커패시터(C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충전 회로의 포토 커플러(PC3)의 포토 다이오드(PD3)와 상기 방전 회로의 포토 커플러(PC4의 포토 다이오드(PD4))는 상기 CPU(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교번적으로 턴온/턴오프된다.
상기 전화 회선(5)이 단선되지 않고 회선 전압이 정상적이면, 상기 충전회로의 포토 다이오드(PD3)가 턴온된 다음에, 포토 트랜지스터(PT3)가 턴온된다. 이 ON 기간동안에, 상기 커패시터(C1)는 저항기(R7)를 통한 회선 전압으로 인해 매우 작은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다음에, 방전회로의 포토 다이오드(PD4)가 턴온되면, 포토 트랜지스터(PT4)가 턴온되고 방전 저항기(R8)를 통해 커패시터(C1)가 방전된다. 이 방전 전류는 출력 포토 커플러(PC5)의 포토 다이오드(PD5)를 턴온시키고 포토 트랜지스터(PT5)를 턴온시킨다.
상기 CPU(22)는 포토 트랜지스터(PT5)의 턴온이 방전시에(포토 트랜지스터(PT4)가 턴온되었을 때) 검출되면 전화 회선(5)에는 단선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상기 전화 회선(5)이 단선되면, 회선 전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방전 회로의 포토 다이오드(PD3)가 턴온되면, 상기 커패시터(C1)는 충전되지 않으며, 이에따라 출력 포토 트랜지스터(PT5)는 방전동안에 턴오프되게 된다. 상기 CPU(22)는 방전시에 출력 포토 트랜지스터(PT5)의 턴오프가 검출되면 단선의 발생 가능성이 전화 회선(5)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흐름은 도 5의 시퀸스의 스텝(S3)의 처리로 진행되어 회선 전류에 의한 확인이 행해진다.
상기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노이즈의 영향은 매우 작은 전류를 생성하는 커패시터(C1)의 방전 전류의 영향보다 작다, 그러므로, 상기 노이즈로 인한 회선 전압의 판정 불량의 가능성이 보다 줄어들고, 상기 회선 전류를 감시하기 위해 상기 회선을 단락시키는 회수도 또한 줄어들 수 있다.
전화 회선이 조건이 악화되고 노이즈 주파수가 상기 전화 회선에 나타나면, 회선 단락 동작은 자주 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회선 전압 감시 회로(26)에 의한 이상의 판정과 회선 전류 감시 회로(24)에 의한 이상의 다음번 판정의 발생 주파수가 감시되며, CPU(22)가 그 발생 주파수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면 이 CPU(22)는 회선 전압 감시 회로(26)의 커패시터(C1)의 충전/방전 간격이 보다 길어 지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발생주파수가 예컨대 그러한 현상의 발생의 회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산출되며, 이 카운트가 1시간내에 5회를 초과하면 예컨대 상기 커패시터(C1)의 충전/방전간격은 30ms에서 1초까지 다시 설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화 회선의 단선은 목적지측으로 경보의 발생을 통보하는 경보 장치에서 언제나 감시될 수 있고, 그 동작은 판정 불량을 유발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

  1. 이상의 검출될 때 전화 회선을 통해 소정의 목적지측으로 이상의 발생을 통보하는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선이 개방될 때의 회선 전압을 감시하여 이 회선 전압의 이상을 검출하는 회선 전압 감시 수단;
    상기 전화 회선이 단락될 때의 회선 전류를 감시하여 이 회선 전류의 이상을 검출하는 회선 전류 감시 수단;
    상기 전화 회선의 D.C. 회로를 단락시키는 회선 단락 수단; 및
    상기 호선 전압 감시수단, 상기 호선 전류 감시 수단 및 상기 회선 단락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회선 전압 감시 수단이 이상을 검출할 때 상기 회선 단락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전화 회선의 상기 D.C. 회로를 단락시키도록 하고, 다음에 상기 회선 전류 감시 수단이 회선 단락 상태 하에서 이상을 검출할 때 상기 전화 회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정하여 단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선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전압 감시 수단은 사익 전화 회선이 개방될 때의 회선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
    소정의 사이클로 상기 커패시터를 반복적으로 충전 및 방전시키는 수단; 및 방전시에 방전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KR1019970012322A 1996-09-19 1997-04-03 빌딩경보장치 KR100668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8038 1996-09-19
JP24803896A JP3544797B2 (ja) 1996-09-19 1996-09-19 異常通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92A true KR19980023992A (ko) 1998-07-06
KR100668991B1 KR100668991B1 (ko) 2007-05-14

Family

ID=1717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322A KR100668991B1 (ko) 1996-09-19 1997-04-03 빌딩경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544797B2 (ko)
KR (1) KR100668991B1 (ko)
CN (1) CN1119775C (ko)
AU (1) AU722707B2 (ko)
MY (1) MY125066A (ko)
SG (1) SG54475A1 (ko)
TW (1) TW322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4241B2 (ja) * 2005-04-01 2010-07-14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相手応答自動検出方法および相手応答自動検出装置
JP6468064B2 (ja) * 2015-05-11 2019-02-1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制御装置、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通信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0382312B2 (en) * 2016-03-02 2019-08-1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etecting and locating process control communication line faults from a handheld maintenance tool
JP2020166474A (ja) * 2019-03-29 2020-10-08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システム、分散型火災報知システム、火災受信機、及び電話中継器
CN110753163B (zh) * 2019-10-28 2021-05-18 上海市共进通信技术有限公司 用于光网络终端voip功能模块的保护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096A (ja) * 1982-10-12 1984-04-17 東京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加入回線の断線監視装置
US4737776A (en) * 1986-08-07 1988-04-12 Wallace Wireman Circuit for detecting cut telephone service line and transmitting signal over telephone trunk line
US4922529A (en) * 1988-12-06 1990-05-01 Kiel David J Automatic hangup apparatus for restoring service to off-hook telephones
US4998271A (en) * 1989-08-28 1991-03-05 Venture Technologies, Inc. Telephone accessory
JP2832196B2 (ja) * 1990-11-30 1998-12-02 群馬綜合ガードシステム 株式会社 電話回線断線検知装置
JPH06223290A (ja) * 1993-01-26 1994-08-12 Atsumi Denki Kk 断線検知システム及び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5066A (en) 2006-07-31
AU1513997A (en) 1998-03-26
CN1177160A (zh) 1998-03-25
JPH1097693A (ja) 1998-04-14
JP3544797B2 (ja) 2004-07-21
KR100668991B1 (ko) 2007-05-14
SG54475A1 (en) 1998-11-16
AU722707B2 (en) 2000-08-10
TW322565B (en) 1997-12-11
CN1119775C (zh)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5057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monitoring apparatus
JPH0518159B2 (ko)
EP0616308B1 (en) Alarm System
KR100668991B1 (ko) 빌딩경보장치
US4506253A (en) Supervisory and control circuit for alarm system
KR100327497B1 (ko)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EP0991042A2 (en) Signall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US4646065A (en) Fault-tolerant control system
JP2831298B2 (ja) 異常監視装置
US64965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resetting a computer
JP6773373B2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2802014B2 (ja) 防災監視装置の電話回路
JP3838772B2 (ja) 電源障害情報通知機能を備えた通信装置
JPH0870345A (ja) 通信回線の断線検出回路
JP3908617B2 (ja) 監視装置
JPH06223290A (ja) 断線検知システム及び電話装置
JPH06266990A (ja) 防災監視装置
JP4447505B2 (ja) 電話回線異常検出装置
JP3756536B2 (ja) 公衆通信回線の監視方法及び装置
JPH06282778A (ja) 防災監視装置の過電圧保護装置
JP3710006B2 (ja) 電話回線の極性検出回路
CN116718948A (zh) 一种配电设备的控制回路断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010077606A (ko) 수배전반 경보신호 송출회로
KR950000526B1 (ko) 전화 고장자동감지 경보기
KR200357429Y1 (ko) 원격 감시 및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01

Effective date: 200609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