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497B1 -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497B1
KR100327497B1 KR1020000028973A KR20000028973A KR100327497B1 KR 100327497 B1 KR100327497 B1 KR 100327497B1 KR 1020000028973 A KR1020000028973 A KR 1020000028973A KR 20000028973 A KR20000028973 A KR 20000028973A KR 100327497 B1 KR100327497 B1 KR 10032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oltage level
signal
disconnect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430A (ko
Inventor
구민식
김강옥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2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497B1/ko
Priority to TW089121958A priority patent/TW484115B/zh
Priority to US09/811,416 priority patent/US6518879B2/en
Priority to JP2001148270A priority patent/JP3944362B2/ja
Publication of KR2001010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6Monitoring of the line circuits, e.g. signalling of line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7/00Measuring arrangement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e.g. bridge
    • G01R17/02Arrangements in which the value to be measured is automatically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와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가 개시된다.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복수의 감지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기의 현재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기 전압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감지기 전압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기를 연결하는 라인의 단선 또는 화재발생을 각각 나타내는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1 경보부는 상기 단선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감지기를 연결하는 라인이 단선되었음을 알리고, 제2 경보부는 상기 화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린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의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라인과 공통라인의 사이에 접속되는 종단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언제나 감지라인, 공통라인 및 화재 감지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LINE INTERRUPTION AND FIRE SUPERVISORY APPARATUS FOR A FIRE ALARM SYSTEM AND AN FIRE ALARM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건물,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는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재경보장치를 설치하도록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화재경보장치에서 화재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의 선로 배선 상태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기(1)와 발신기(2)의 사이에는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화재 감지기(3, 4, 5)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3, 4, 5)는 상기 중계기(1)와 발신기(2)의 사이에서 상호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선로가 배설된다.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3, 4, 5)에 의해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화재발생을 알리는 감지신호가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로부터 상기 중계기(1)로 제공된다. 상기 중계기(1)는 화재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방재센터 또는 통제센터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상술한 화재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3, 4, 5)는 화재경보장치의 설치 장소의 규모에 따라서 그 수가 크게 증가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3, 4, 5)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선로의 길이 또한 그 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통상, 화재경보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는 화재 감지기용 선로의 라인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저항(6, 7)이 설치된다. 종단 저항은 반드시 상기 선로의 말단, 즉 도 1에서 참조 부호 "B"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화재경보장치를 설치하는 설비 업체는 선로의 단선에 따른 유지보수, 설비점검의 수고를 덜기 위하여 상기 종단 저항을 상기 선로의 선단, 즉 도 1에서 참조 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상기 종단 저항(6)의 설치 위치(A)와 상기 발신기(2)의 사이에서 선로의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중계기(1)의 위치에서 볼 때 상기 선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감지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A"와 발신기(2)의 사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4, 5)는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없고,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화재경보를 발생할 수 없다.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감시장치(LINE INTERRUPTION DEVICE FOR A FIRE ALARM SYSTEM)"라는 제목으로 카오루 타카하시(Karou Takahash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86,293호"는 라인의 길이와 화재 감지기의 수에 관계없이 라인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 단선 감시장치를 개시한다.
상술한 장치에 따르면, 전원공급단절 이전의 전원/신호 라인의 전압레벨은 전원공급단절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의 라인 전압레벨을 비교되고, 이 결과에 의거하여 화재 감지기용 전원/신호 라인의 오픈/단락이 분별된다.
또한, 히로시 오우치(Hiroshi Ouchi)에게 허여된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가 배설된 알람라인의 단선을 화재감시기능의 중단없이 수행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장치에 따르면, 상기 종단 저항의 설치 위치에 따라 선로의 단선 상태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없고, 화재 감지기의 선로의 단선 상태와 화재 발생 상태를 구분하여 화재경보를 제어할 수 없다. 또한, 화재의 발생시에 상기발신기(2)에 부착되는 표시등이 항상 점등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연기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화재의 경우 옥내 소화전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옥내 소화전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옥내 소화전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화재 감지기의 라인 단선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옥내 소화전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 감지기의 선로 배선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신호입출력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전원공급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동작검증부 및 제1 검출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제2 검출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상태표시부, 리셋부, 발진부 및 제어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경보구동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 및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를 갖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재수신기 200 : 중계기
400, 401, 402 : 화재 감지기 500 : 종단 저항
600 : 단선검출회로 700 : 점멸 표시등
800 : 단선 경보기 610 : 신호입출력부
620 : 전원 공급부 630 : 동작 검증부
640 : 제1 검출부 650 : 제2 검출부
660 : 제어부 670 : 리셋부
680 : 상태 표시부 690 : 경보 구동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는,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수단과,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의 현재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고, 이 감지기 전압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의 단선 또는 화재발생을 각각 나타내는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단선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이 단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경보수단과, 그리고 상기 화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2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은, (i) 화재 감지기의 현재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은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ii)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으면,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제1 단선검증신호와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제2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및 제2 단선검증신호의 전압레벨에 대하여 각각 반대되는 전압레벨로 나타나면,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이 단선되었음을 나타내는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그리고 (iii) 상기 제1 및 제2 단선검증신호의 전압레벨과 관계없이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한 전압 레벨로 나타나면,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는, 화재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1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단선검증신호에 응답하여서 검증확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검증수단과, 상기 제1 감지기 전압신호 및 상기 검증확인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화재 감지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1 라인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제 1 및 제2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검출수단과, 상기 화재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2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2 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검출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단선검증신호를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한 결과에 따라서 발생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1 라인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제1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발생을 알리기 위한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3 검출신호를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비교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3 라인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제2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선검증신호는 로우레벨의 전압신호와 하이레벨의 전압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대로 제공된다. 상기 제2 경보수단은 점멸동작을 수행하여 발광하므로써 화재발생 상태 및 위치를 경보한다.
이와 같은 화재 경보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화재 감지기의 평상시의 전압레벨은 제어부에 의해 기준전압레벨로서 기 설정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의 동작전압 레벨과 비교된다.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어부는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여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감지라인과 공통라인의 선로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신호를 기 설정된 다른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지라인 및 공통라인의 선로의 단선여부 및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화재경보시스템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갖는 화재경보장치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는 감지라인(LN1)과 공통라인(LN2)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중계기(200)와 발신 단자대(30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발신 단자대(300)에는 상기 감지라인(LN1)과 접속된 지구단자(DET_T), 상기 공통라인(LN2)과 접속된 공통단자(COM_T), 응답단자(RSP_T), 전화단자(TPN_T), 경종/표시등 공통단자(DAM_T), 표시등 단자(DLP_T) 그리고 경종단자(ABL_T)가 배설된다. 상기 감지라인(LN1)과 공통라인(LN2)의 사이에는 종단저항(50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는 하기한 표 1과 전압특성을 갖는 감지기들이 사용된다.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는 평상시에 18 내지 26 볼트, 바람직하게는 24 볼트의전압특성을 나타내고, 화재를 감지한 동작시에는 0 볼트에서 4.7볼트 사이의 동작전압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발신 단자대(300)의 단자들 중에서 지구단자(DET_T), 공통단자(COM_T)와 전화단자(TPN_T), 경종/표시등 공통단자(DAM_T) 그리고 표시등 단자(DLP_T)는 각각 단선검출회로(600)의 감지라인단자, 공통라인단자, 접지단자 그리고 전원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단선검출회로(600)는 상기 감지라인단자 및 공통라인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신호의 전압레벨을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여서 상기 화재 감지기(400, 401, 402)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두 라인(LN1, LN2)의 단선을 체크한다. 또한, 상기 단선검출회로(600)는 상기 감지라인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다른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여서 화재발생을 체크한다. 상기 감지라인 또는 공통라인의 단선시에 상기 단선검출회로(600)는 단선구동신호(T1, T2)를 상기 화재 수신기(100) 또는 상기 중계기(200)로 제공한다. 화재시에는 상기 단선검출회로(600)는 단선구동신호(T1, T2)와 화재구동신호(L2)를 함께 발생한다.
상기 단선검출회로(600)에는 점멸표시등(700)이 연결되고, 상기 점멸표시등(700)은 상기 화재제어신호(L2)가 발생되면, 점멸발광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점멸표시등(700)의 점멸발광동작은 화재에 의해 연기가 다량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소화전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계기(200)는 상기 발신 단자대(300)에 배설된 상기 단자들로부터 화재 발생, 선로 단선 등과 같은 신호들을 입력받아 화재 수신기(100)로 전송한다. 화재 수신기(100)는 상기 중계기(2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기(400, 401, 402)를 관리하고, 선로의 단선 상태를 방재센터(미도시)에 알리기 위한 단선 경보기(8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중계기(200)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따라 그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발신 단자대(300)에 배설된 상기 단자들로부터의 화재 발생, 선로 단선 등과 같은 신호들이 상기 화재 수신기(100)로 직접 전송된다.
표 1
기 능 별 종 류 별 평 상 시 동 작 시
일반형 열감지기 정온식 (반도체형) 18 ∼ 26 V 0.1∼5 V
정온식 (일반형) 18 ∼ 26 V 0
차동식 (반도체형) 18 ∼ 26 V 0.1∼5 V
차동식 (일반형) 18 ∼ 26 V 0.1∼5 V
방폭형 열감지기 정온식 18 ∼ 26 V 0
연기식 감지기 광전식 18 ∼ 26 V 0.1∼5 V
이온화식 18 ∼ 26 V 0.1∼5 V
발신기 수동식 18 ∼ 26 V 0
회로 전압 - 18 ∼ 26 V 0
이제부터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단선검출회로(600)의 상세한 구성과 이를 이용한 화재경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의 신호입출력부, 전원공급부, 동작검증부, 제2 검출부, 상태표시부, 리셋부, 발진부, 제어부, 경보구동부의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선검출회로(600)의 신호입출력부(610)는 상기 발신 단자대(3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단(CON1)과 상기 단선구동신호(T1, T2)와 화재구동신호(L2)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CON2)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부(620)는 제1 내지 제4 저항(R1, R2, R3,R4), 제1 및 제2 전해 커패시터(EC1, EC2), 제1 커패시터(C1),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제1 다이오드(D1), 제1 인덕터(L1) 그리고 펄스폭 변조기(U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전압(+24V)에 의해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상기 단선검출회로(6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 상기 전원전압(+24V)은 상기 제1 전해 커패시터(EC1), 제2 저항(R2), 펄스폭 변조기(U1), 제1 다이오드(D1), 제1 인덕터(L1), 제2 전해 커패시터(EC2) 그리고 제3 및 제4 저항(R3, R4)에 의해 +5V로 전압강하된다. 이 전압강하된 +5V의 전압은 상기 단선검출회로(600)의 각 구성요소로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작 검증부(630)는 상기 감지라인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의 제1 감지기 전압신호(DET)를 출력한다. 상기 동작 검증부(630)는 상기 제어부(660)로부터 제공되는 단선검증신호(VRY)에 응답하여 제6 저항(R6)을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620)로부터의 동작전압(+5V)에 의해 발광 동작하는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발광 동작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하고, 제5 저항(R5)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전압(+24V)을 출력하는 제1 포토 커플러(PC1)를 포함하여 검증확인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감지기 전압신호(DET)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 내지 26 볼트의 전압레벨을 갖고, 동작시에는 0 볼트 또는 0.1 내지 5 볼트 미만의 전압레벨을 갖는다.
상기 제1 검출부(640)는 상기 동작 검증부(63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감지기 전압신호(DET)와 제1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한 정전압(+5.1V)을 입력하여 그 차값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차동증폭기(DA1)를 갖는다. 상기 제1 차동증폭기(DA1)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7 저항(R7)과 제2 커패시터(C2)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전압(+24V)과 접지 사이에 직렬연결된 제8 저항(R8)과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차동증폭기(DA1)의 반전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검출부(640)는 상기 제1 차동증폭기(DA1)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9 저항(R9)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전원전압(+24V)에 의해 발광 동작하는 제3 발광 다이오드(LED3)와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LED3)의 발광 동작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하고, 제10 저항(R10)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전압(+5V)을 출력하는 제2 포토 커플러(PC2)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660)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검출신호는 각각 상기 제1 감기지 전압신호(DET) 및 상기 검증확인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가리킨다. 상기 제1 검출신호는 5 볼트 보다 작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검출부(650)는 상기 발신 단자대(300)의 공통단자(COM_T)를 통해서 제공되는 제2 감지기 전압신호(COM)와 제2 제너 다이오드(ZD2)에 의한 정전압(+5.1V)을 각각 비반전 단자(+)와 반전단자(-)의 입력으로 하여 그 차값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차동증폭기(DA2)를 갖는다. 상기 제2 차동증폭기(DA2)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11 저항(R11)과 제3 커패시터(C3)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전압(+24V)과 접지 사이에 직렬연결된 제12 저항(R12)과 제2 제너 다이오드(ZD2)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차동증폭기(DA2)의 반전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검출부(650)는 상기 제2 차동증폭기(DA2)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13 저항(R13)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전원전압(+24V)에 의해 발광 동작하는 제4 발광 다이오드(LED4)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LED4)의 발광 동작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하고, 제14 저항(R14)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전압(+5V)을 출력하는 제3 포토 커플러(PC3)를 포함하여 제3 검출신호(COM_S)를 상기 제어부(660)로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60)는 발진부(662)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동작된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1 검출부(640)로부터의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을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기 설정된 제1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단선검증신호(VRY)를 상기 동작검증부(630)로 제공한다. 즉,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의 평상시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660)로부터 상기 단선검증신호(VRY)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단선검증신호(VRY)를 발생한 결과로서 상기 제1 검출부(64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통라인(LN1)의 선로단선을 나타내는 단선제어신호(R) 또는 화재발생을 나타내는 화재제어신호(Y)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2 검출부(65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3 검출신호(COM_S)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라인(LN2)의 선로단선을 감시하고, 상기 공통라인(LN2)의 단선시에는 상기 단선제어신호(R)를 발생한다.
상기 상태표시부(680)는 상기 제어부(660)의 상기 단선제어신호(R)와 화재제어신호(Y)가 발생되는 단자와 상기 동작전압(+5V)단자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제15 및 제16 저항(R15, R16), 상기 동작전압(+5V)단자와 상기 제어부(660)의 또다른 단자 사이에 직렬연결된 제17 저항(R17)과 제5 발광 다이오드(LED5), 그리고 제4 커패시터(C4)를 갖는다. 상기 제5 발광 다이오드(LED5)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선로의 단선 또는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표시한다.
상기 리셋부(670)는 상기 동작전압(+5V)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전해 커패시터(EC3)와 제18 저항(R18)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해 커패시터(EC3)와 제18 저항(R18)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660)의 리셋단자(RST)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제어부(660)는 자동으로 리셋된다.
도 8은 참조하면, 상기 경보 구동부(690)는 제2 다이오드(D2), 제19 저항(R19), 제1 트랜지스터(Q1) 그리고 릴레이(RELAY DPDT)를 포함하여 단선구동신호(T1, T2)를 발생하기 위한 단선 경보부(691)와 제20 저항(R20)과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화재구동신호(L2)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점멸부(692)를 갖는다. 상기 제19 및 제20 저항(R19, R20)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의 바이어스 저항으로 동작한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는 상기 제19 및 제20 저항(R19, R20)을 통해 각각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단선제어신호(R) 및 상기 화재제어신호(Y)에 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단선검출회로를 갖는 화재경보장치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에 도시된 단선검출회로를 갖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의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제1 감지기 전압신호(DET)가 상기 동작 검증부(630)를 통해 상기 제1 검출부(640)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차동증폭기(DA1)는 하이 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LED3)와 상기 제2 포토 커플러(PC2)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660)에는 하이레벨의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제1 검출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1 검출부(640)로부터 상기 제1 검출신호를 입력받는다(단계 S100).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5 볼트의 전압레벨로 기 설정된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작은값을 갖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02).
단계 S102에서,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작지 않은 값을 나타내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 및 상기 감지라인(LN1)을 정상상태로 인식하고 단계 S100으로 되돌아 간다.
다음, 단계 S102에서,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작은값, 즉 5 볼트 이하의 값을 나타내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감지라인(LN1)의 단선 또는 화재발생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단선검증신호(VRY)를 상기 동작 검증부(630)로 제공한다(단계 S104). 이때, 상기 단선검증신호(VRY)는 순서에 관계없이 하이레벨의 단선검증신호와 로우레벨의 단선검증신호를 교대로 제공하여야 하는데, 여기에서는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를 먼저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660)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VRY)가 발생되면, 상기 동작 검증부(630)의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PC1)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60)에는 상기 감지라인단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전압신호가 상기 제2 검출신호로서 입력된다.
다음,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0 볼트의 전압레벨로 기 설정된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은값을 갖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06).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VRY)를 상기 동작 검증부(630)로 제공한다(단계 S108).
상기 제어부(660)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VRY)가 발생되면, 상기 동작 검증부(630)의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PC1)는 순차적으로 도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차동 증폭기(DA1)에는 상기 제2 포토 커플러(PC2)에 제공되는 +24의 전압신호가 제공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VRY)의 발생에 의해 상기 제1 검출부(640)로부터 상기 제어부(660)로 제공되는 제2 검출신호는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게 된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VRY)의 발생에 따라서 입력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큰지를 체크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에서,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서,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단선제어신호(R)를 발생한다(단계 S112).
왜냐하면, 상기 단선검증신호(VRY)를 로우레벨과 하이레벨의 전압값으로 제공하였을 때, 상기 단선검증신호(VRY)를 발생한 결과에 의해서 발생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제공된 단선검증신호(VRY)의 전압레벨과 반대되는 전압레벨로 출력된다는 것은 상기 감지라인(LN1)이 단선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 감지기 전압신호(DET)가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작은값으로 나타나더라도 그것이 상기 감지라인(LN1)의 단선이 아닌 화재에 의한 것이라면, 상기 단선검증신호(VRY)의 전압 레벨과 관계없이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은 일정한 값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지 않거나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다는 것은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전압레벨 이하로 강하된 원인이 상기 감지라인(LN1)의 단선에 의한 결과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큰지를 체크한다(단계 S114).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를 상기 동작 검증부(630)로 제공한다(단계 S116).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큰지를 체크한다(단계 S118).
단계 S118에서, 상기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함에 따라서 발생된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118에서, 상기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함에 따라서 발생된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단선제어신호(R) 및 상기 화재제어신호(Y)를 발생한다(단계 S120).
즉,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제1 기준전압레벨 보다 작고,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단선검증신호(VRY)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제2 기준전압레벨 보다 크다는 것은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가 0 볼트 내지 5 볼트 미만의 범위내에서 동작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의 상기 공통라인(LN2)의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제2 감지기 전압신호(COM)가 상기 제2 검출부(650)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60)에는 상기 제2 검출부(650)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압레벨을갖는 상기 제3 검출신호(COM_S)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2 검출부(650)로부터 상기 제3 검출신호(COM_S)를 입력받는다(단계 S122).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제2 검출부(650)로부터의 상기 제3 검출신호(COM_S)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은지를 체크한다(단계 S124).
단계 S124에서, 상기 제3 검출신호(COM_S)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제3 검출신호(COM_S)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전압레벨과 같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단선제어신호(R)를 발생한다(단계 S126).
이후, 상기 제어부(660)로부터 발생된 상기 단선제어신호(R)는 상기 단선경보부(691)로 제공된다. 상기 단선제어신호(R)에 의해 상기 단선경보부(691)의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상기 릴레이(DPDT)의 동작에 의해 단선구동신호(T1, T2)가 상기 중계기로 제공된다. 따라서, 방재센터(미도시)의 작업자들은 상기 단선 경보기(80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400, 401, 402)의 감지라인(LN1) 또는 공통라인(LN2)이 단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60)로부터 발생된 상기 화재제어신호(Y)는 상기 램프점멸부(692)로 제공된다. 상기 화재제어신호(Y)에 의해 상기 램프점멸부(692)의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면, 상기 점멸 표시등(700)으로 상기 화재구동신호(L2)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점멸 표시등(700)이 점멸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건물내의 사용자들은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제어신호(Y)는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경종(미도시)으로도 제공되어 경종을 울리게 된다. 또한,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단선제어신호(R)는 상기 화재제어신호(Y)와 함께 발생되어 상기 방재센터(미도시)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재 경보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화재 감지기의 평상시의 전압레벨은 제어부에 의해 기준전압레벨로서 기 설정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의 동작 전압 레벨과 비교된다.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어부는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여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감지라인과 공통라인의 선로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신호를 기 설정된 다른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지라인 및 공통라인의 선로의 단선여부 및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화재경보시스템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기의 단선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라인과 공통라인의 사이에 접속되는 종단저항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언제나 감지라인, 공통라인 및 화재 감지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제어신호에 응하여 구동되는 출력부에 의해 점멸 표시등은 점멸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더라도 옥내 소화전의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수단;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의 현재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고, 이 감지기 전압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의 단선 또는 화재발생을 각각 나타내는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단선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이 단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경보수단; 및
    상기 화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2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보수단은 점멸동작을 수행하여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단선검증신호에 응답하여서 검증확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검증수단;
    상기 감지기 전압신호 및 상기 검증확인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의 동작 상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의 라인 단선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검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단선검증신호를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한 결과에 따라서 발생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의 라인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상기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발생을 알리기 위한 상기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각 상기 제1 경보수단 및 제2 경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제공되는 단선검증신호는 로우레벨의 전압신호와 하이레벨의 전압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제어수단은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인가되는 상기 단선검증신호와 반대되는 전압레벨로 출력될 때, 상기 제1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제어수단은 상기 제2 검출신호가 0 볼트 보다 크고, 5 볼트 보다 작은 전압레벨을 유지할 때 상기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제어수단의 동작을 동기시키기 위하여 클럭동기신호를 상기 검출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발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소정 레벨로 강하시켜서 상기 동작검증수단, 검출수단, 그리고 상기 검출제어수단의 동작전압으로서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검출제어수단을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를 갖는 화재경보장치.
  10. (i) 화재 감지기의 현재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기 설정된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은지를 비교하는 단계;
    (ii)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으면,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제1 단선검증신호와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제2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및 제2 단선검증신호의 전압레벨에 대하여 각각 반대되는 전압레벨로 나타나면,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이 단선되었음을 나타내는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제1 및 제2 단선검증신호의 전압레벨과 관계없이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한 전압 레벨로 나타나면,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i)는,
    (i-1) 상기 화재 감지기의 현재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i-2)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은지를 비교하는 단계;
    (i-3)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i-4)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작으면, 단계 (ii)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ii-1) 상기 제1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ii-2) 상기 제1 단선검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단선검증신호의 전압레벨과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동일한지 체크하는 단계;
    (ii-3)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동일하지 않으면, 단계 (iii)으로 진행하고,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동일하면, 상기 제2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ii-4) 상기 제2 단선검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큰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ii-5)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iii)로 진행하고,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크면 상기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은 5 볼트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은 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단계 (iii)는,
    (iii-1) 상기 제1 단선검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큰지를 체크하는 단계;
    (iii-2)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i)로 되돌아가고,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크면, 상기 제2 단선검증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iii-3) 상기 제2 단선검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라인을 통해 피드백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큰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iii-4)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i)로 되돌아가고,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 보다 크면, 상기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감지기 전압신호에 의한 제3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3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감지기 전압신호의 전압레벨과 동일하게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동일한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3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동일하면, 단계 (i)로 되돌아가는 단계; 및
    상기 제3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전압신호의 전압레벨 및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은 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방법.
  17. 화재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1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단선검증신호에 응답하여서 검증확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검증수단;
    상기 제1 감지기 전압신호 및 상기 검증확인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화재 감지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1 라인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제 1 및 제2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검출수단;
    상기 화재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2 감지기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2 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검출수단;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단선검증신호를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단선검증신호를 제공한 결과에 따라서 발생되는 상기 제2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1 라인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제1 단선제어신호 또는 화재발생을 알리기 위한 화재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3 검출신호를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과 비교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재 감지기의 제3 라인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제2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값의 전압레벨은 5 볼트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의 전압레벨은 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제공되는 단선검증신호는 로우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전압신호와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갖는 전압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동작검증수단으로 인가되는 상기 단선검증신호와 반대되는 전압레벨로 출력될 때, 상기 제1 단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단선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이 단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경보수단; 및
    상기 화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2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KR1020000028973A 2000-05-29 2000-05-29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KR10032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73A KR100327497B1 (ko) 2000-05-29 2000-05-29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TW089121958A TW484115B (en) 2000-05-29 2000-10-19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ine disconnection and fire and a fire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US09/811,416 US6518879B2 (en) 2000-05-29 2001-03-20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ine disconnection and a fire, and a fire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JP2001148270A JP3944362B2 (ja) 2000-05-29 2001-05-17 ライン断線および火災発生監視装置、これを有する火災警報装置ならびにライン断線および火災発生監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73A KR100327497B1 (ko) 2000-05-29 2000-05-29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430A KR20010107430A (ko) 2001-12-07
KR100327497B1 true KR100327497B1 (ko) 2002-03-15

Family

ID=1967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73A KR100327497B1 (ko) 2000-05-29 2000-05-29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18879B2 (ko)
JP (1) JP3944362B2 (ko)
KR (1) KR100327497B1 (ko)
TW (1) TW48411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39B1 (ko) 2010-01-29 2010-09-28 (주) 이오엠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KR101185580B1 (ko) * 2010-09-02 2012-09-24 주식회사 영승이엔지 화재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73B1 (ko) * 2002-09-12 2005-09-30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자동식 소화기의 온도센서 접속확인장치
GB2440965B (en) * 2006-08-16 2010-12-08 Tube Lines Ltd Electrical safety device
KR100877420B1 (ko) * 2008-05-26 2009-01-07 조용택 감지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의 중계기 및그의 화재 관리 방법
JP6395126B2 (ja) * 2014-02-13 2018-09-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受信機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火災報知設備
KR101777378B1 (ko) 2016-02-05 2017-09-11 나흥주 자동화재 탐지설비
CN106448014B (zh) * 2016-08-27 2018-10-30 无锡蓝天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带冗余设计的船用火警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21572B1 (ko) 2021-10-15 2024-01-08 (주)아성교역 화재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392A (ja) 1982-02-04 1983-08-10 ニツタン株式会社 火災報知装置
JP2721916B2 (ja) 1989-06-29 1998-03-04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断線監視装置
US5670937A (en) * 1995-05-16 1997-09-23 General Signal Corporation Line monitor for two wire data transmi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39B1 (ko) 2010-01-29 2010-09-28 (주) 이오엠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KR101185580B1 (ko) * 2010-09-02 2012-09-24 주식회사 영승이엔지 화재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18879B2 (en) 2003-02-11
JP2002024953A (ja) 2002-01-25
KR20010107430A (ko) 2001-12-07
TW484115B (en) 2002-04-21
JP3944362B2 (ja) 2007-07-11
US20020000914A1 (en) 200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7905A (en) Fire alarm system
NO159323B (no) Overvaakningsanlegg med flere varslere som ligger i kjede til en varslingslinje.
CN103703637A (zh) 具有用于监控过电压保护元件的测量装置的过电压保护设备
KR100327497B1 (ko)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JP3695635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CA2122173C (en) Alarm system
CN102016946A (zh) 用于报告系统的功能监测的监测装置、报告系统以及用于监测的方法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1527371B1 (ko) 아날로그 전류감응식 주소형 화재 감지시스템
US9024616B2 (en) Signaling circuit and method to detect zone status
KR101214299B1 (ko) 오경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r형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및 오경보 판정 방법
EP0677829B1 (en) Fire alarm system
KR102294201B1 (ko) 단선 및 단락을 감시할 수 있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US66060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vision
JP2004133770A (ja) 火災報知設備および火災感知器
EP0991042A2 (en) Signall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JP3205801B2 (ja) 防災設備の端末のリモコン操作方法及び装置
NZ505693A (en) Alarm responsive to environmental stimuli such as smoke , alarm communicable with other external devices via a fourth terminal
KR20150047061A (ko) 이중 경로 화재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경로 화재 감시 시스템
GB2065348A (en) Multiple alarm condition detection and signalling
JP2004094720A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3223365B2 (ja) 火災報知機の線路監視用の終端器
KR20220004238A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GB2349519A (en) Bipolar LED indicator; fire alarm systems
JPH05474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