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139B1 -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139B1
KR100984139B1 KR1020100008283A KR20100008283A KR100984139B1 KR 100984139 B1 KR100984139 B1 KR 100984139B1 KR 1020100008283 A KR1020100008283 A KR 1020100008283A KR 20100008283 A KR20100008283 A KR 20100008283A KR 100984139 B1 KR100984139 B1 KR 10098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witching device
voltage drop
central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주) 이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오엠 filed Critical (주) 이오엠
Priority to KR102010000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39B1/ko
Priority to PCT/KR2011/000579 priority patent/WO201109365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1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4Simultaneous conversion
    • H03M1/78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ladder network
    • H03M1/785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ladder network using resistors, i.e. R-2R lad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장치의 내부에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저항, 유도성리액턴스, 용량성리액턴스, 발광소자, 다이오드 등)를 직렬로 연결하고, 그 임피던스 소자의 사이사이에 딥 스위치를 병렬로 연결하며, 딥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변경되는 전압레벨을 고유 어드레스로 하여 중앙 통제소로 전송함으로써 그에 따라 스위칭 장치의 해당 위치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는,
건축물 내외부의 요소요소에 설치되어 상황의 발생여부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그 동작여부를 중앙 통제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칭 장치는 그 스위칭 연결단에 복수개의 전압강하 수단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각 전압강하 수단의 사이에는 선택수단이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에 의해 전압강하 수단의 전압강하값이 결정되어 그 강하된 후의 전압레벨값이 중앙 통제소로 전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Switching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address}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위칭 장치가 각자 고유한 어드레스를 갖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지기, 조명등, 경보기, 모터 등에 1:1 대응되어 설치된 스위칭 장치에 각자 고유한 어드레스를 가지도록 하여 그 설치 위치 또는 동작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하나의 스위칭 회로에 복수개의 스위칭 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스위칭 장치에 고유 어드레스를 가지도록 하여 해당 스위치의 동작에 연계되는 장치를 복수의 장소에서 동작시킴과 아울러 스위칭 장치의 설치 위치와 동작 및 그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스위칭 장치란, 감지기, 조명등, 경보기, 모터, 스프링 쿨러 등 산업전반에 걸친 안전분야, 방재분야, 제어분야, 방범분야 등에 사용되어 실내가 실외의 필요 부분에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동작 상태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위칭 장치를 화재 감지기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화재 감지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스위칭 장치로 넓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기술분야도 화재 감지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실내의 요소요소에 복수개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게 되는데, 북수개가 설치된 회선감시로 감시대상 면적이 크게는 수백 평방미터로 대단히 넓어 화재시 발화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가 없어 초기대응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최근에는 각각의 화재 감지기에는 마이콤이 내장되어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음과 아울러 화재가 감지되면 스위칭 장치가 동작하고, 이로인해 그 화재 감지기에 내장된 마이콤이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를 중앙 통제소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 통제소는 감지기로부터 전송되어진 고유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그 고유 어드레스와 대응되는 화재 감지기(즉, 화재 감지가 이루어진 화재 감지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경보를 발생하면서 화재 발생위치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를 동작시켜 소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화재 감지기가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 통제소가 미리 알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고유 어드레스에 의해 화재 발생장소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고유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콤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당히 고가이며, 이러한 고가의 화재 감지기가 건축물 내에서 많은 수가 설치되는 경우 그 비용이 대단히 증가하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접근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설치의 필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해 각종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재산과 인명 피해가 증가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스위칭 장치의 내부에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저항, 유도성리액턴스, 용량성리액턴스, 발광소자, 다이오드 등)를 직렬로 연결하고, 그 임피던스 소자의 사이사이에 딥 스위치를 병렬로 연결하며, 딥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변경되는 전압레벨을 고유 어드레스로 하여 중앙 통제소로 전송함으로써 그에 따라 스위칭 장치의 해당 위치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는,
건축물 내외부의 요소요소에 설치되어 상황의 발생여부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그 동작여부를 중앙 통제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칭 장치는 그 스위칭 연결단에 복수개의 전압강하 수단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각 전압강하 수단의 사이에는 선택수단이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에 의해 전압강하 수단의 전압강하값이 결정되어 그 강하된 후의 전압레벨값이 중앙 통제소로 전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압강하 수단은 임피던스 소자이며, 선택수단은 딥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피던스 소자와 딥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 장치가 고유 어드레스값을 가지도록 하여 저렴하게 스위칭 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큰 경제적인 부담을 주지 않고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기존의 스위칭 장치가 연결된 배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의 부담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의 상세 회로도.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이미 언급하였듯이 다양한 스위칭 장치 중 화재 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로서,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이상상황 즉,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위칭 장치(100,110,120,...)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중앙 통제소(200)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스위칭 장치(100,110,120,...)는 화재 감지기로서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도2에서와 같이 절체부(101)가 동작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스위칭 장치(100,110,120,...)로부터 고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전압레벨값이 중앙통제소(200)의 제어부(210)로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입력전압레벨값에 따른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제어기기(300)를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부(240)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이상상황이 발생하는 정보와 그 위치정보는 모니터(230)에 표시됨으로써 관리자가 쉽게 이상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스위칭 장치(100,110,120,...)는 출력되는 전압레벨값으로 고유 어드레스가 설정되는데, 도2에 도시돤 바와 같이 전압강하수단인 임피던스 소자(저항, 유도성리액턴스, 용량성리액턴스, 발광소자, 다이오드 등)와 선택수단인 딥 스위치(102)에 의해 각 각 스위칭 장치(100,110,120,...)의 출력 전압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도면에서는 임피던스 소자를 저항(R1-R9)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이후 설명에서도 저항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체부(101)는 평상시에는 스위칭단(S1)이 제1접점(T1)과 제2접점(T2)을 연결하는 상태로 되고, 접점(T3)과 접점(T4)가 연결되지 않게됨으로써 중앙 통제소(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압강하없이 곧바로 이웃하는 스위칭 장치(110,120,...)와 종단저항(R19)를 통하여 중앙 통제소(200)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중앙 통제소(200)는 이상상황인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한다.
화재로부터 열이 감지되어 스위칭단(S1)이 열에 의해 제1접점(T1)과 제3접점(T3)을 연결하게 되면, 비로소 제1점점(T1)과 제4접점(T4)이 전압강하수단인 저항(R1-R9)을 통하여 폐회로가 구성된다.
이때, 임피던스 소자인 저항(R1-R9)은 직렬로 연결되어 제1접점(T1)과 제4접점(T4)을 연결하게 되며, 각 저항 사이에는 전압강하값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인 딥 스위치(102)의 단자(D1-D8) 일단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딥 스위치(102)의 단자(D1-D8) 타단은 제4접점(T4)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딥 스위치(102)의 각 단자(D1-D8)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R11-R18)는 보호 임피던스 소장이면서 전압강하값을 좀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딥 스위치(102)의 각 단자(D1-D8)의 온/오프에 의하여 스위칭 장치(100,110,1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값이 모두 달라지게 되며, 각 스위칭 장치(100,110,120,...)를 이러한 딥 스위치(102)에 의해 출력 전압레벨값을 설정하여 고정하여 놓게 된다. 즉, 전압레벨값으로 고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절체부(101)의 제1접점(T1)과 제3접점(T3)이 연결되면 딥 스위치(102)의 설정에 의해 전압강하가 이루어진 전압레벨이 출력되어 중앙 통제소(200)로 입력되어지며, 중앙 통제소(200)는 이러한 전압레벨값에 의해 이상상황인 화재 발생 위치를 판단하여 선택부(240)를 통해 제어기기(300)를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스위칭 장치(100,110,120.,,,)가 화재 감지기가 아닌 다른 이상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감지기로 작동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제어부(210)는 제어기기(300)를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조명기기, 긴급호출, 동력기기, 팬코일, 전열기기, 지능형 유도등, 경보기기 및 소화기기, 비상방송 등을 적절히 동작시키게 된다.
100,110,120,... : 스위칭 장치 200 : 중앙 통제소
210 : 제어부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모니터 240 : 선택부
300 : 제어기기 101 : 절체부
102 : 딥 스위치

Claims (3)

  1. 건축물 내부 또는 외부의 요소요소에 설치되어 상황의 발생여부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그 동작여부를 중앙 통제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칭 장치는 그 스위칭 연결단에 복수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각 저항 사이에는 딥 스위치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딥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값이 결정되며, 감지수단인 절체부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딥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레벨값이 중앙 통제소로 전송되거나 또는 종단저항값만이 중앙통제소로 전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08283A 2010-01-29 2010-01-29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KR10098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83A KR100984139B1 (ko) 2010-01-29 2010-01-29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PCT/KR2011/000579 WO2011093658A2 (ko) 2010-01-29 2011-01-27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83A KR100984139B1 (ko) 2010-01-29 2010-01-29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139B1 true KR100984139B1 (ko) 2010-09-28

Family

ID=4301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83A KR100984139B1 (ko) 2010-01-29 2010-01-29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4139B1 (ko)
WO (1) WO2011093658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576A (ja) * 1995-09-26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受信機による感知器回線断線検出システム
KR100327497B1 (ko) 2000-05-29 2002-03-15 윤종용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JP2002117464A (ja) * 2000-10-06 2002-04-19 Koyama Rescue:Kk 火災現場探知機能付き報知システム
KR20080079911A (ko) * 2007-02-28 2008-09-02 김현우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576A (ja) * 1995-09-26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受信機による感知器回線断線検出システム
KR100327497B1 (ko) 2000-05-29 2002-03-15 윤종용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JP2002117464A (ja) * 2000-10-06 2002-04-19 Koyama Rescue:Kk 火災現場探知機能付き報知システム
KR20080079911A (ko) * 2007-02-28 2008-09-02 김현우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3658A3 (ko) 2011-12-01
WO2011093658A2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CA2727483C (en) Short-circuit isolator
KR20120058953A (ko)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CN103119636B (zh) 借助布置在危险报警器插座中的以电学方式可读取的二端网络、尤其是电阻设置危险报警器的工作方式
KR20080093005A (ko) 화재예방 단자함
US20160043873A1 (en) Dc power distrubution system
KR101527371B1 (ko) 아날로그 전류감응식 주소형 화재 감지시스템
KR102015010B1 (ko)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KR100984139B1 (ko)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스위칭 장치
EP3133569B1 (en) A slave unit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an automatic fire alarm system
KR102141736B1 (ko)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WO2014082166A1 (en) Signaling circuit and method to detect zone status
WO2020152227A1 (en) Connection module for a luminaire
KR102294201B1 (ko) 단선 및 단락을 감시할 수 있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TWI524621B (zh) 電源管理系統及其控制方法
KR100876649B1 (ko) 재해시 대피 방향을 알려주는 대피 유도등
JP6855728B2 (ja) 分電盤
JP6750431B2 (ja) 分電盤
KR102461824B1 (ko) 팬 고장 검출 장치
EP3990932B1 (en) Electrical load grouping
KR101627938B1 (ko) 이상 형광등 감지 시스템
KR100872866B1 (ko)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조광기 시스템
JP6894823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US9619990B2 (en) Smart output protector
KR20050092993A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