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239U -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239U
KR19980021239U KR2019960034516U KR19960034516U KR19980021239U KR 19980021239 U KR19980021239 U KR 19980021239U KR 2019960034516 U KR2019960034516 U KR 2019960034516U KR 19960034516 U KR19960034516 U KR 19960034516U KR 19980021239 U KR19980021239 U KR 199800212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 seal
outer panel
sealing
weath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훈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4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239U/ko
Publication of KR19980021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23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 B60J10/85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with additional seals on the body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separately inserted fastening means, e.g. using clips, bead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하단부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사이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밀폐기능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이드 실(1)의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2)에 리브(4)로 구획된 이중 중공형의 웨더 스트립(3)을 클립(7)으로 고정하여 상부밀폐부(5)는 도어(8)의 하단부를 측면밀폐부(6)는 도어(18)의 하단부(8)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2) 사이의 간격(G)을 밀폐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하단부와 사이드 실 사이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는 바디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시 소음, 물, 먼지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바디와 도어 사이의 주위에 도어 사이드 웨어 스트립과 바디 사이드 웨더 스트립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주행시 소음원과 지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도어의 하단부에는 또 다른 밀폐수단을 설치하여 3중으로 밀폐하고 있는 바, 종래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의 하단부의 위치인 도어 인너 패널(12)에 판상의 웨더 스트립(13)을 도어(1)의 폭과 동일하게 클립(14)으로 설치하여 도어(1)를 닫았을 때 그 선단부가 사이드 실(15)의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6)에 접촉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웨더 스트립(13)은 도어(1)의 개폐가 빈번하여짐에 따라 탄성이 약화되어 밀폐기능이 점점 떨어지게 되고, 도어(1)의 하단부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6) 사이의 간격(G)을 차단하지 못하므로 웨더 스트립(13)의 밀폐기능이 떨어졌을 때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도어의 하단부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사이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밀폐기능을 양호하게 한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에 이중 중공형의 웨더 스트립을 고정하여 상부밀폐부는 도어의 하단부의 내측면을, 측면밀폐부는 도어의 하단부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사이의 간격을 밀폐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대응되는 종래의 것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3:웨더 스트립
5:상면밀폐부6:측면밀폐부
8:도어G:간극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실(1)의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2)에 리브(4)로 구획된 이중 중공형의 웨더 스트립(3)을 클립(7)으로 고정하여 상부밀폐부(5)는 도어(8)의 하단부를, 측면밀폐부(6)는 도어의 하단부(8)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2) 사이의 간격(G)을 밀폐토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9는 바디 사이드 웨더 스트립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어(8)를 닫았을 때 그 하단부의 내측면은 웨더 스트립(3)의 상부밀폐부(5)에 접촉되고 하단부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2)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G)은 측면밀페부(6)에 의하여 폐쇄되므로서 이중으로 밀폐되고, 웨더 스트립(3)은 중공형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종래의 판상보다 탄성의 지속시간이 길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어의 하단부와 사이드 실 아웃터 페널 사이를 이중 중공형 웨더 스트립에 의하여 이중으로 밀폐하므로서 밀폐기능이 양호하고, 탄성 지속 시간도 길기 때문에 주행시 소음, 물, 먼지의 실내 유입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쾌적한 탑승이 가능한 효과 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에 이중 중공형의 웨더 스트립을 고정하여 상부밀폐부는 도어의 하단부의 내측면을, 측면밀페부는 도어의 하단부와 실 아웃터 패널사이의 간격을 밀폐하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KR2019960034516U 1996-10-19 1996-10-19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KR199800212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516U KR19980021239U (ko) 1996-10-19 1996-10-19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516U KR19980021239U (ko) 1996-10-19 1996-10-19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239U true KR19980021239U (ko) 1998-07-15

Family

ID=5397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516U KR19980021239U (ko) 1996-10-19 1996-10-19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2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3119A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
EP0172144A1 (en) Sealing strip for motor vehicle doors having rounded edges
KR19980021239U (ko)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밀폐구조
KR850003102Y1 (ko) 자동차의 도어용 웨더 스트립
KR100211041B1 (ko) 자동차 하드탑도어의 시일 구조
KR200162100Y1 (ko) 자동차의 도어 밀폐구조
KR200141969Y1 (ko) 차량용 측면도어하단부 기밀구조
KR200309745Y1 (ko) 자동차 도어용 웨더스트립
KR0112923Y1 (ko) 트렁크밀폐용 웨더스트립
KR970006815Y1 (ko) 트럭 윈도우의 들뜸 방지 구조용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KR20020031577A (ko) 승합차량용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의 수밀구조
KR0128321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200206916Y1 (ko)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KR0177448B1 (ko) 차량의 더스트 유입방지용 실
KR100361687B1 (ko) 자동차용도어의사이드웨더스트립
KR100217534B1 (ko) 실링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오프닝어퍼 웨더스트립 구조
KR19980036054U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밀폐구조
KR19980021205U (ko) 자동차의 도어 밀폐구조
KR19980042151U (ko) 자동차 도어와 실 사이드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외부 웨더스트립
KR19980055352A (ko) 자동차 도어의 외부 웨더 스트립
KR19980021255U (ko) 자동차용 리어 도어 글래스 밀폐 구조
KR19980043541A (ko) 도어프레임 글라스런구조
KR19980017379U (ko) 자동차의 후드 실링 구조
KR19980036388U (ko) 자동차 도어어셈블리의 수밀구조
KR20000001470A (ko) 자동차의 도어 인너 접힘방지 웨더스트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