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680U -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680U
KR19980018680U KR2019960032092U KR19960032092U KR19980018680U KR 19980018680 U KR19980018680 U KR 19980018680U KR 2019960032092 U KR2019960032092 U KR 2019960032092U KR 19960032092 U KR19960032092 U KR 19960032092U KR 19980018680 U KR19980018680 U KR 199800186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ensor
timer
ca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범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680U/ko
Publication of KR19980018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68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장시간 주차후 운전자의 탑승시 운전자에게 쾌적함 주며 태양열로 인한 내장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일정온도 이하에서 작동하는 제 1 센서와 일정온도 이상에서 작동하는 제 2 센서와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이동시켜 원도우를 오픈 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이동시켜 원도우를 오프 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1 센서와 제 1 릴레이 사이에 장착되어 제 1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1 릴레이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센서와 제 2 릴레이 사이에 장착되어 제 2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2 릴레이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 2 타이머로 구성되어 파워 윈도우 글라스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자동차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태양열로 인한 자동차 실내 내장재의 손상을 방지하며 그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장시간 주차후 운전자의 탑승시 운전자에게 쾌적함을 주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센서 (2) : 제 2 센서
(3) : 제 1 타이머 (4) : 제 2 타이머
(5) : 제 1 릴레이 (6) : 제 2 릴레이
(7) : 제 1 스위치 (8) : 제 2 스위치
(9) : 액튜에이터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도 센서와 타이머를 장착하여 자동차 실내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사응로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를 오픈시켜 자동차 실내 공기를 환기 시켜 주는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차내의 공기는 탑승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차창 외의 신선한 공기(외기)를 끌어 들여 차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줄 필요가 있어 창을 닫고 있어도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장치가 차내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환기장치이다. 환기장치에는 자연 환기 방식과 강제 환기 방식이 있다.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생기는 풍압을 이용하여 차실내로 외기를 끌어들이는 방식을 말한다. 공기를 끌어들이는 입구는 정압이 걸려 있는 곳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는 부압을 발생하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자연 환기 방식이고 전동 팬 등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것이 강제 환기 방식으로 외기를 끌어들이는 입구와, 배출하는 배출구는 자연 환기 방식과 같은 배려로 장치한다. 이와 같이 차내의 공기를 불어내는 구멍을 벤틸레이터라하는데 벤틸레이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ENEL)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차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차내의 공기는 라디에이터 그릴에서 덕트를 통하여 유도되며 리어필러 부근에서 리어펜더부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내의 공기를 환기 시킬 경우, 자동차내에 장착되어 있는 벤틸레이터 등의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차내에 유입시키고 차내의 오염된 공기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차내 공기를 환기시켜 왔었다.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차량의 주행시 또는 사람의 탑승시 벤틸레이터 등의 환기 장치로 외부 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유입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사람의 미 탑승시 즉, 장시간 주차시 자동차의 사이드 윈도우를 비롯한 모든 부위가 닫혀있어 태양열을 영향으로 자동차 실내 온도는 급속도로 상승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곧바로 자동차에 탑승하지 못하고 도어를 열어 놓거나 에어컨을 켜 놓고 밖에서 기다리다 운전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 실내 온도가 하강할때 까지 자동차 외부에서 기다려야 하므로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태양열로 인한 자동차 실내 온도의 상승으로 자동차 실내에 장착된 여러 내장재가 손상을 입으며 그 수명이 단축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장시간 주차후 운전자의 탑승시 운전자에게 쾌적함 주며 태양열로 인한 내장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일정온도 이하에서 작동하는 제 1 센서와 일정온도 이상에서 작동하는 제 2 센서와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이동시켜 원도우를 오픈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이동시켜 원도우를 오프 시키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1 센서와 제 1 릴레이 사이에 장착되어 제 1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1 릴레이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센서와 제 2 릴레이 사이에 장착되어 제 2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2 릴레이를 일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 2 타이머로 구성된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구성및작용]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온도 이하일 때 작동하는 제 1 센서(1)와 일정 온도 이상일 때 작동하는 제 2 센서(2)와, 상기 제 1 센서(1)와 제 2 센서(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 1 타이머(3) 및 제 2 타이머(4)와 상기 제 1 타이머(3) 및 제 2 타이머(4)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제 1 릴레이(5)와 제 2 릴레이(6)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 센서의 작동 온도를 30℃이하, 제 2 센서의 작동 온도를 40℃이상으로 임의로 설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 1 센서(1)는 자동차 실내 온도가 30℃ 이하일때만 작동하는 센서로 제 1 타이머(3)와 연결되어 있으며, 자동차 실내 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제 1 타이머(3)로 신호를 보내어 제 1 타이머(3)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 2 센서(2)는 자동차 실내 온도가 40℃ 이상일 때만 작동하는 센서로 제 2 타이머(4)와 연결되어 있으며 자동차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이면 제 2 타이머(4)로 신호를 보내어 제 2 타이머(4)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타이머(3)와 제 2 타이머(4)는 제 1 센서(1)와 제 2 센서92)에 의해 각각 작동하는 것으로 제 1 센서(1)와 제 2 센서(2)의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시간 동안 제 1 릴레이(5)와 제 2 릴레이(6)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5)와 제 2 릴레이(6)는 제 1 타이머(3)와 제 2 타이머(4)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액튜에이터(9)를 구동시켜 자동차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차시 즉, 자동차가 잠겨 있을때 태양열의 영향으로 자동차 실내 온도가 40℃이상으로 상승하면 제 2 센서(2)가 자동차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제 2 타이머(4)로 신호를 보내고, 제 2 타이머(4)는 이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시간동안 제 2 릴레이(6)를 작동시킨다. 제 2 릴레이(6)의 작동으로 제 2 스위치(8)가 C에서 D로 이동하면 제 1 스위치(7)의 위치는 자동으로 A에서 B로 이동하므로 사이드 윈도우가 오픈된다.
또한, 자동차 실내 온도가 30℃ 이하로 하강하면 제 1 센서(1)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타이머(3)로 신호를 보내고, 제 1 타이머(3)는 이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시간 동안 제 1 릴레이(5)를 작동시킨다. 제 1 릴레이(5)의 작동으로 제 1 스위치(7)가 B에서 A로 이동하면 제 2 스위치(8)의 위치는 자동으로 D에서 C로 이동하게 되므로 사이드 윈도우는 오프된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자동차 키 온·오프 스위치이다.
[고안의효과]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온도 센서와 타이머 및 릴레이를 이용한 파워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로 자동차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태양열로 인한 자동차 실내 내장재의 손상을 방지하며 그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장시간 주차후 운전자의 탑승시 운전자에게 쾌적함을 주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차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온도 이하에서 작동하는 제 1 센서와,
    일정온도 이상에서 작동하는 제 2 센서와,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작동시켜 원도우를 오픈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이동시켜 원도우를 오픈시키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1 센서와 제 1 릴레이 사이에 장착되어 제 1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1 릴레이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센서와 제 2 릴레이 사이에 장착되어 제 2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2 릴레이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 2 타이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KR2019960032092U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KR199800186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092U KR19980018680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092U KR19980018680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680U true KR19980018680U (ko) 1998-07-06

Family

ID=5397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092U KR19980018680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6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2083A1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080085324A (ko) 버스용 실내 압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3191747A (ja) 自動車用換気システム
KR19980018680U (ko)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13713B1 (ko)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JP2606058Y2 (ja) 車両用換気装置
JPH05286351A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KR200204539Y1 (ko) 차량용 공기 배출장치
JP2606880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13085486A (zh) 车辆用集成式气帘系统及车辆
KR0171723B1 (ko) 자동차용 차실공기 배출장치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JPS62210119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JPH09309323A (ja) 車室用温度調節装置
KR20040095432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19980046250A (ko) 자동차 실내의 환기 장치
KR19980063537U (ko)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JPS6154314A (ja) 太陽電池の出力を利用した車輌室内の換気方法
JP2000142089A (ja) 自動車用換気装置
KR19980043995U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19990025473A (ko) 실내 질식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26028U (ko) 자동차의 레그 룸에 설치된 환풍장치
KR19980066700U (ko) 승합차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