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713B1 -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713B1
KR100613713B1 KR1020040073959A KR20040073959A KR100613713B1 KR 100613713 B1 KR100613713 B1 KR 100613713B1 KR 1020040073959 A KR1020040073959 A KR 1020040073959A KR 20040073959 A KR20040073959 A KR 20040073959A KR 100613713 B1 KR100613713 B1 KR 10061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ir
vehicle
air condition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056A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7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여 그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전환하고 에어컨 송풍기 및 환기 시스템을 작동시켜 유입되는 공기량과 배출되는 공기량이 비슷하도록 제어하여 차량 내부의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항상 실내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환기시스템, 센서, 송풍기, 외기온도

Description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VENTILATION OF AUTOMOBILE INSID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기온도 센서 2 : 외기온도 센서
3 : 에어컨 ECU 4 : 에어컨 송풍기
5 : 에어컨 6 : 환기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는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여 그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전환하고 에어컨 송풍기 및 환기 시스템을 작동시켜 유입되는 공기량과 배출되는 공기량이 비슷하도록 공조시스템과 환기 시스템을 연동시켜 차량 내부의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항상 실내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프레쉬 에어 모드(Fresh air mode)와 재순환 모드 등이 있다. 주행중에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키려면 프레쉬 에어 모드로 전환하여 히터덕트 내의 흡입구를 열어주어, 주행풍에 의해 또는 블로워 모터를 작동하여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실내에서 담배를 피우던지 여러 명이 탑승했을 때 또는 음주자가 있을시에는 기존의 공기순환모드로는 불충분하여, 도어 글래스를 열어 주든지 선루프가 있는 차량은 선루프를 개방하여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시켜 왔다.
또한, 일부 고가의 자동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리어트레이(Rear tray)쪽에 별도의 공기 정화 장치를 부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켜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프레쉬 에어 모드 및 벤트홀(일반적으로 차량 뒷편에 안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행중 차량주위에 형성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얇은 고무판이 열리며 배출 된다.)만으로는 차량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오염된 실내공기를 충분히 그리고 신속하게 환기시켜주지 못했다. 또한, 도어글래스를 열든지 선루프를 개 방시키는 방법은 산간지방이나 해변등지에서 차안의 탁한 공기를 교환해 주는 이외에 상큼한 바깥 공기를 즐길 수 있어 좋으나, 우천시나 먼지가 많은 도로에서는 오히려 먼지와 모래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좋지 않고, 또한 선루프는 고가이어서 별도의 설치비용을 일반 소비자들이 부담을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매연 발생 차량과 경유사용 중대형 차량 뒤에서 주행시에는 오히려 환기보다 오염된 공기유입이 더욱 심하여 프레쉬 에어 모드, 도어글래스 및 선루프 개방 등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소극적인 프레쉬 에어 모드방식이 갖는 단점, 즉 실내의 탁한 공기를 신속하고 충분히 배출시켜주기 위하여 새로운 실외 공기의 유입이 충분치 못한 점을 감안하여 프레쉬 에어 모드에 비하여 신선한 실외공기를 빠르게 유입시키는 동시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운전자가 직접 스위치를 눌러야 하고, 자동차 공조 시스템과 연동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름철에 가열된 차를 탑승했을때 온도를 빠르게 내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창문을 닫은 경우 공기를 빼내주는 양만 조절하면 실내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공기양이 줄어듬) 산소양이 줄어들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여 그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전환하고 에어컨 송풍기 및 환기 시스템을 작동시켜 유입되는 공기량과 배출되는 공기량이 비슷하도록 공조시스템과 환기시스템을 연동시켜 차량 내부의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항상 실내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센싱한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으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의 온도차를 기 설정한 기준치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차가 기준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유입되는 공기양과 배출되는 공기양이 비슷하도록 에어컨 송풍기 단수와 환기 시스템의 송풍기 단수를 유지시켜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동작시키고 에어컨의 송풍기와 환기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온도차가 기준치온도 보다 작은 경우 에어컨을 내기모드로 동작시키고 환기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센싱한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은지 낮은지 비교하되, 상기 일정값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으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의 온도차를 기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되, 상기 기준치 온도는 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여 그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전환하고 에어컨 송풍기 및 환기 시스템을 작동시켜 유입되는 공기량과 배출되는 공기량이 비슷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항상 실내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센싱한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으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의 온도차를 기 설정한 기준치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차가 기준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동작시키고 에어컨의 송풍기와 환기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온도차가 기준치온도 보다 작은 경우 에어컨을 내기모드로 동작시키고 환기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외기온도센서(1)를 통해 외기 온도를 확인하여 그 온도가 25℃ 이상인 여름철에만 작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내기온도센서(2)를 통해 그 입력값이 외기온도보다 5℃ 이상 높은 경우 환기 시스템(6)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에어컨(5)의 모드를 바깥공기가 들어오게끔 외기모드로 바꾸고 에어컨 송풍기(4)가 작동하게 하여 실내 더운 공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한편 외부공기를 냉각 시켜 실내에 유입되게끔 한다.
이때 에어컨 ECU(3)는 들어오는 공기양과 나가는 공기양이 비슷하도록 에어컨 송풍기(4) 단수 및 환시시스템(6)의 송풍기 모터 단수를 유지시켜야 한다. 만약 양이 차이가 나면 실내의 압력이 불균형 해져 자칫 산소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량의 실내온도가 외부온도와 같아지면 에어컨 ECU(3)는 모드를 내기모드로 전환하고, 환기시스템(6)을 정지시켜 실내온도가 목표치(일반적으로 20℃~23℃)에 도달할 때 까지 에어컨을 작동 시킨다.
더운 여름철에 차량의 실내 온도는 보통 50℃~70℃에 이르기 때문에 차에 바로 타는 경우 매우 심한 불쾌감을 일으키는데, 차량의 실내온도를 빠르게 내리기 위해 보통 창문을 열고 에어컨을 작동시키는데 이는 비효율적이고 쉽게 온도가 내려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차안의 뜨거운 공기를 빠르게 빼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을 켬과 동시에 외기온도센서와 차량의 내부온도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감지하고 환기시스템이 자동으로 작동하게 하여 차안의 뜨거운 공기를 바깥으로 빼냄과 동시에 에어컨을 자동으로 틀어주어 차안의 온도는 신속히 내려가서 승객이 바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여 그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전환하고 에어컨 송풍기 및 환기 시스템을 작동시켜 유입되는 공기량과 배출되는 공기량이 비슷하도록 공조시스템과 환기시스템을 제어하여 더운 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빼내고 외부 공기를 유입하게 되어 실내 온도는 신속히 내려가고 차량 내부의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며 항상 실내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센서를 통해 차량의 내기온도와 외기온도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센싱한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으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의 온도차를 기 설정한 기준치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차가 기준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유입되는 공기양과 배출되는 공기양이 비슷하도록 에어컨 송풍기 단수와 환기 시스템의 송풍기 단수를 유지시켜 에어컨을 외기모드로 동작시키고 에어컨의 송풍기와 환기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온도차가 기준치온도 보다 작은 경우 에어컨을 내기모드로 동작시키고 환기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센싱한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은지 낮은지 비교하되, 상기 일정값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기온도가 일정온도값 보다 높으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의 온도차를 기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되, 상기 기준치 온도는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4. 삭제
KR1020040073959A 2004-09-15 2004-09-15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KR100613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59A KR100613713B1 (ko) 2004-09-15 2004-09-15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59A KR100613713B1 (ko) 2004-09-15 2004-09-15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56A KR20060025056A (ko) 2006-03-20
KR100613713B1 true KR100613713B1 (ko) 2006-08-21

Family

ID=3713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959A KR100613713B1 (ko) 2004-09-15 2004-09-15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01B1 (ko) * 2006-09-04 2008-06-0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모터 컨트롤 내기 온도센서 제어 방법
CN117818277A (zh) * 2022-09-29 2024-04-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房车空调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326A (ja) 1986-11-21 1988-06-06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H07266839A (ja) * 1994-03-30 1995-10-17 Nippon Climate Syst:Kk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KR970010190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자동차 실내의 과열 공기 외부 배출시스템
KR19990011752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실내온도 자동 제어방법
KR20000000897U (ko) * 1998-06-18 2000-01-15 홍종만 자동차의 실내온도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326A (ja) 1986-11-21 1988-06-06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H07266839A (ja) * 1994-03-30 1995-10-17 Nippon Climate Syst:Kk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KR970010190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자동차 실내의 과열 공기 외부 배출시스템
KR19990011752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실내온도 자동 제어방법
KR20000000897U (ko) * 1998-06-18 2000-01-15 홍종만 자동차의 실내온도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56A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801B1 (ko)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JPS6117684B2 (ko)
WO2010061648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4684718B2 (ja) 車両用換気装置
CN212708837U (zh) 车辆空调系统
KR100613713B1 (ko)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KR20070028937A (ko) 자동차의 정차시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80085324A (ko) 버스용 실내 압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70023073A (ko) 버스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6598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5755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15118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8169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H05286351A (ja) 車両用換気装置
JPH0719860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00007074A (ko) 차량 실내용 먼지 제거 시스템
KR100453639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JPH053892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53146B1 (ko) 자동차의 실내온도 자동조절방법
KR1012209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및 템프 도어 제어 방법
KR20050099674A (ko) 버스용 자동 실내환기 시스템
KR19980022812U (ko) 자동차용 승객룸 환기장치
KR101250273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의전환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