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581A - 낙석 등을 막아내고 그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낙석 등을 막아내고 그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581A
KR19980018581A KR1019970038251A KR19970038251A KR19980018581A KR 19980018581 A KR19980018581 A KR 19980018581A KR 1019970038251 A KR1019970038251 A KR 1019970038251A KR 19970038251 A KR19970038251 A KR 19970038251A KR 19980018581 A KR19980018581 A KR 19980018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rotective device
tube
colum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179B1 (ko
Inventor
베른하르트 아이허
크사버 포프
Original Assignee
니클라우스 캘러, 베른하르트 아이허
팟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230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1566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클라우스 캘러, 베른하르트 아이허, 팟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니클라우스 캘러, 베른하르트 아이허
Priority to KR101997003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1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1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81A/ko
Priority to ES09801738U priority patent/ES1040741Y/es
Priority to PE1998000661A priority patent/PE47999A1/es
Priority to ARP980103995A priority patent/AR016613A1/es
Priority to BR9804402-8A priority patent/BR9804402A/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을 막아내는 방호장치를 현장상황에 따라 예상되는 낙석 충격에너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더욱이 그와 같은 효과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호가 필요한 산지에 일정한 필요간격으로 세워 설치되고, 기초부가 힌지를 통해서 산지에 고정된 기둥(1)의 열을 가지며, 각 기둥의 상부와 기둥열의 산쪽 산지부와의 사이에는 보조로우프(5)가 당겨져 있으며, 또한 기둥열 전체에 걸쳐 그의 계곡쪽에 둘러처져 있으며, 기둥사이에서 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팽팽히 처져있는 유지로우프(11,12)에 의해서 상·하로 유지된 망상체(13)가 설치되어 있는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13)를 다수의 링부재(13a)를 조합해서 구성하고, 더욱이 각기 인접하는 링부재(13a)의 내주쪽이 접촉하도록 상호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낙석 등을 막아내고 그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본 발명은, 낙석, 눈사태 등을 막아내고, 도로나 선로(線路)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으로서, 특히 낙석 등의 고운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방호장치로서 특허공고 평성 3-45161호에 제시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종래장치는, 산지의 일정한 필요 장소에 힌지부를 통해서 세워 설치한 복수의 기둥에, 각 기둥에 걸쳐 복수의 대들보를 가로로 상하방향으로 늘어놓아 고착해서 방호벽을 설치하고, 다시 각 기둥의 상부와, 방호벽 산쪽사면의 일정한 필요장소와의 사이에 보조로우프를 달아매고, 이 보조로우프의 중도에 로우프 끝단부를 겹쳐서 체결부재로 죄여 붙이고, 로우프 끝단부 중복(重複)부에 로우프간의 마찰저항이 생기도록 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래장치로는, 방호벽이 강성이기 때문에, 방호벽이 받는 낙석의 에너지는, 기둥 및 방호벽의 변형에 의해서 일부 흡수되지만, 그의 량은 근소하고, 대부분의 에너지 흡수는 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로우프 끝단부 중복부의 체결에 의한 마찰저항만으로는 150~200KJ 이상의 큰 낙석에너지의 흡수는 곤란하며, 대중량 암석이 낙하할 염려가 있는 지역에는 설치할 수 없다.
또한, 다른 종래장치로서, 산지의 일정한 필요장소에 고정적으로 세워 설치한 기둥에, 각 기둥에 걸쳐 횡로우프를 팽팽하게 맞닿게 하고, 각 횡로우프는 복수의 로우프편을 맞붙이도록 구성하고, 각 로우프편의 끝단부에 중복부분을 설치하고, 이 중복부분에 로우프와의 사이에서 미끄럼 마찰이 생기는 완충구를 설치한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장치에 있어서도, 산쪽에 보조로우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로우프의 중도에는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장치도, 로우프와 완충구 사이에서의 미끄럼 마찰에 의해서 에너지 흡수를 행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 종래장치에 있어서도, 에너지 흡수는 주로 로우프와 완충구와의 사이의 미끄럼 마찰에 의존하고 있으며, 흡수가능한 운동에너지는, 상기의 종래장치와 비교해서 증가하지만, 최대한 400~500KJ까지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현장의 상황에 맞춰서 흡수해야할 운동에너지의 설정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는 동시에, 종래장치에 의해서 달성되는 이상의 운동에너지 흡수를 행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이와같은 효과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장치를 정면에서 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방호장치를 측면에서 본 개략도.
도 3은 망상체, 즉 링네트의 확대척도.
도 4의 (A)는 링네트를 구성하는 링부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B) (C)는 링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낙석의 충격을 받은 링네트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충격을 받은 링부재의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도는 브레이크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둥 2 : 기초대
3 : 보조 로우프 정착용 앵커 4 : 앵커 머리부
5 : 보조 로우프 6 : 브레이크 장치
6a : 루우프 관 6b : 압축 슬리브
7 : 앵커 8 : 앵커 머리부
9 : 측면 상부 앵커 로우프 10 : 측면 하부 앵커 로우프
11 : 상측지지 로우프 12 : 하측지지 로우프
13 : 망상체 13a : 링부재
13b : 체결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항에 기술된 발명은, 방호의 필요가 있는 경사된 곳의 일정한 길이 범위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설치되고, 기초부가 힌지를 거쳐서 산지에 고정된 기둥의 열을 가지며, 각 기둥의 상부와 기둥열 산쪽의 산지부와의 사이에는 보조로우프가 팽팽히 걸쳐 있으며, 또한, 기둥열 전체에 걸쳐서 그 계곡쪽에 돌려처지고, 기둥사이에 있어서 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팽팽하게 가로놓여진 유지로우프에 의해서 상하에서 유지된 망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가 다수의 링부재를, 각각 인접링부재의 내주측이 접촉하도록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수의 링부재를 연결해서 구성한 망상체, 즉 링네트는, 방호장치에 있어서 낙석에 의한 충격을 받으면, 각 링부재가 다른 링부재와의 걸어맞춤장소에서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지고, 예컨대 걸어맞춤장소가 둘레 전체에서 4개의 장소라면, 링부재는 구형으로 변형하고, 이와같이 링부재를 변형시키는 힘이 흡수에너지로 되고, 기둥사이의 링네트에서의 전 링부재의 변형은 극히 큰 에너지 흡수를 완수한다. 또한, 직접적 충격을 받은 링부재로부터 그의 주변의 링부재로의 힘의 전달이 균일하게 행하여지고, 링네트 전체에서의 에너지 흡수가 극히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링부재의 재질, 구성선재(線材)의 굵기, 링부재의 직경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흡수해야할 에너지의 크기에 간단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방호장치는, 망상체를 구성하는 링부재가, 선부재를 복수 돌려감고, 둘레방향의 여러장소를 체결수단에 의해서 선(線)부재를 한다발로 해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부재의 재질, 굵기, 돌려감는 회전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흡수해야할 에너지의 크기에 맞춰서 링네트를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방호장치는, 선부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확대직경부를 갖는 이 형상의 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부재의 변형에 요하는 힘이 증대하고, 따라서 큰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호장치는, 기둥사이에 팽팽히 가로질러 놓여진 유지로우프의 중도에, 상기 유지로우프에 닥쳐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장치가, 겹쳐진 양 끝단부를 견고한 체결부재에 의해서 단단히 고정체결한 루우프관을 가지고 있으며, 유지로우프가 이 루우프관이 중첩된 양끝단부내의 한쪽 끝단부의 관 구멍으로부터 들어가고, 루우프관내를 통하여 다른쪽 끝단부의 관 구멍으로부터 나와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네트에서 감당해내지 못했던 충격에너지는 링네트로부터 유지로우프로 파급하고, 브레이크장치에 의해서 흡수된다. 전달된 충격에너지에 의해서 유지로우프에 미치게 되는 장력은 브레이크장치에서 로우프관의 지름을 축소시키도록 작용하고, 그때 루우프관이 겹쳐진 양 끝단부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견고하게 체결되고 있기 때문에, 루우프관 지름의 축소동작이 생기면, 체결부에서의 루우프관 중첩부의 마찰 및 루우프관과 체결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및, 루우프관 그 자체의 강력한 힘에 의해서 에너지 흡수가 행하여지고, 또한, 루우프관의 지름축소에 요하는 힘도 에너지 흡수로 된다. 이에 따라, 유지로우프에 큰 하중부담을 미치는 일이 없이, 효과적으로 에너지 흡수가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호장치는 산지와 기둥 사이에 뻗어 있는 보조로우프의 중도에, 상기 보조로우프에 닥쳐오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장치가 중첩된 양끝단부를 체결부재에 의해서 견고하게 체결된 루우프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 로우프가 이 루우프관이 중첩된 양끝단부내의 한쪽 끝단부의 관구멍으로 들어가고, 루우프관내를 관통하여, 다른쪽 끝단부의 관구멍으로부터 나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보조로우프에 파급하는 충격에너지가 상기 로우프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장치에 의해서 흡수된다. 브레이크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청구범위 제 7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방호장치는 보조로우프의 산지로의 정착장소가 방비장치의 정면에서 보아, 기둥와 기둥 사이의 장소에 놓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보조로우프가 링네트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게 되어, 링네트에 낙석이 충돌해서 네트가 계곡쪽으로 돌출되고, 그 결과 기둥이 네트에 끌어 당겨져서 비탈방향으로 경도했을 때, 보조로우프가 기둥의 경도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으므로 인해서, 보조로우프에 설치한 브레이크장치가 신속히 작용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 8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방호장치는, 보조로우프의 산지로의 정착부에 설치한 앵커머리부가 목 진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해서, 앵커머리부에 결합된 연장방향이 상이한 2개의 보조로우프중 어느 하나의 로우프에 인장력이 작용해도 그의 방향에 추종해서 앵커머리부의 방향이 바뀌어지므로, 인장하중 이외의 하중이 앵커머리부에 미치게 되는 정도가 감소하고, 내구수명이 길어진다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장치를 정면에서 본 개략도로서, 실제로 설치한 상태에서는 지면의 바로 앞쪽이 계곡쪽이며, 지면의 뒤쪽이 산쪽이다. 이 사실은 도 2의 측면도를 참조하면 명백히 알 수 있다.
방호장치는 복수의 금속기둥(1)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기둥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대(2)위에, 혹은 산지의 흙 또는 암반상에 직접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콘크리트기초대(2)상에, 기둥를 세워 설치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기초대(2)상에 금속기판이 부착되고, 금속기판의 상부에 설치한 죠인트부와 기둥하부에 설치한 죠인트부를 힌지식으로 결합하고, 기둥이 기초대에 대해서 경사지게 움직일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경사지게 움직이는 것은 골짜기쪽, 산쪽의 어느 방향으로도 가능하며, 또한 옆방향으로도 행할 수 있다.
산지의 사면 윗쪽에는, 보조로우프 정착용앵커(3)가 산지 또는 암반에 고정되고, 그의 머리부(4)가 도 2에서와 같이 지상에 노출되게 된다. 앵커의 머리부(4)와 기둥(1)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보조로우프(5)가 팽팽히 설치되고, 그의 중도에는 브레이크장치(추후설명)가 설치되어 있다. 각 보조로우프에 설치하는 브레이크장치(6)는 예상되는 낙석의 낙하에너지에 대응해서 설치개수가 변경된다.
양끝단에 있는 단말기둥(1)의 측면에도 앵커(7)가 산지 또는 암반에 고정되고 있으며, 상기 앵커의 머리부(8)와 단말기둥(1)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측면 상부 앵커 로우프(9)가, 그리고 단말기둥(1)의 하부와의 사이에는 측면 하부 앵커 로우프(10)가 팽팽히 펄쳐지고 있다. 낙석의 낙하 에너지가 크다고 예상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앵커로우프(9)에 브레이크장치(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기둥와 기둥 사이의 상부에는 2W 상측지지로우프(11)가 하부에는 하측지지로우프(12)가 각각 팽팽하게 걸처 있으며, 각 로우프의 끝단부는 기둥에 결합되어 있는 상측 및 하측의 지지로우프(11,12)는 각각 다블로 설치해도 좋고,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이 되도록 해도 좋다. 이들 상측 및 하측 지지로우프(11,12)에도, 하기와 같은 브레이크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지지로우프(11,12)에 부착되는 브레이크장치(6)는 예상되는 낙석의 낙하에너지를 고려해서 1개 내지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2W 인접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상기의 상측지지로우프(11)와 하측지지로우프(12)에 의해서 지지된 망상체(13)가 펄쳐덮고 있다. 이 망상체(13)는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링부재(13a)를 각각 인접하는 링부재의 내주측이 접촉하도록 상호연결함으로써 구성되고 있다. 도면에는, 원형의 링부재(13a)만을 사용한 망상체가 제시되고 있으나,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혹은 원형의 것과 다각형상의 것을 복합적으로 조합해서 망상체의 것으로 해도 좋다. 더욱이, 3각형이나 4각형의 링부재와 원형 또는 다각형상링을 복합연결하고, 망형상체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더욱이 다양한 형상의 링부재를 조합해서 망상체를 구성해도 좋다. 윗쪽 및 아랫쪽의 링부재와, 상측지지로우프(11) 및 하측지지로우프(12)와의 연결은, 도 3에서와 같이 각 지지로우프를 링부재(13a)의 고리 가운데를 통해서 행하는 것 외에, 링부재(13a)와 상·하 지지로우프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도시생략)를 사용해서 행하여도 좋다.
상기 링부재(13a)는, 도 4에서와 같이, 선재를 복수회 돌려감고, 둘레방향의 여러 장소를 체결수단(13b)에 의해서 선재 다발을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체결수단은,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단면 C형의 원통형상의 금구로서 그의 개방부를 통해서 선재 다발에 끼워 박은 후에, 죄어붙임공구에 의해서 선재다발에 고정된다. 선재의 회전수를 가감함으로써, 혹은 선재의 굵기를 선정함으로써 링부재(13a)의 에너지 흡수를 조정할 수 있다. 선재는 예컨대 강제로서, 도 4의(B)에서와 같이 지름이 동일한 환강선재라도 좋고, 도 4의(C)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확대직경부를 갖는 상이한 형상의 환강선재라도 좋다. 도 4의(C)에서 보여주는 상이한 형상의 환강선재를 돌려감아 선재다발이 되게 한 링부재(13a)의 경우, 이 링부재(13a)가 낙석의 충격에너지를 받았을때에 선재가 둘레방향에서 인장력을 받아도 인접하는 선재의 확대직경부가 걸리게 되어, 선재 상호간의 활동이 저지되고, 링부재(13a)의 지름이 변화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극히 큰 충격에너지를 받아서 변형하거나, 파탄하거나 하지 않는 한, 장기에 걸쳐서 계속 본래의 지름의 링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큰 에너지 흡수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링부재(13a)는 와이어 로우프에 의해서 구성된다. 와이어 로우프제의 링부재는, 예컨대,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 로우프를 링형상으로 구부리고, 양 끝단을 죄여붙임 부재에 의해서 죄여붙여서 결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의 링부재(13a)는, 도 4에서와 같이 선재를 돌려감아 제작하는 것이든, 혹은 와이어 로우프로 제작하는 것이든,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틸,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의 링부재(13a)를 연결해서 구성된 망상체(13), 즉 링네트가 낙석에 의한 충격을 받았을 때, 제 3도와 같이 충격력이 충격중심부로부터 링부재로 전달되어 바깥쪽으로 균일하게 뻗어나가고, 그때에 각 링부재가 다른 링부재와의 연결장소에서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지고, 각 링부재가 받는 인장력에 따라서 변형하고, 링네트가 도 5에서와 같이 골짜기쪽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고, 그의 결과 에너지가 흡수된다. 링부재(13a)가 가장 크게 변형한 경우가 도 5에 제시되고 있지만, 받는 힘의 크기에 따라서, 또한 힘이 부가하는 정도에 따라서, 변형의 비율은 상이하게 되고, 또한 변형형상도 달라진다. 이와같은 다수의 링부재(13a)의 변형에 의해서 극히 큰 에너지의 흡수가 달성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링부재의 구성에 의해서, 링네트에서 흡수되는 에너지량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링네트에 의하면, 큰 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지만 상술한 바와같이, 상·하의 유지로우프(11,12) 및 보조로우프(5)에 브레이크장치(6)를 설치함으로써, 방호장치에서의 에너지 흡수능력이 더욱 증대한다. 도 7은, 이 브레이크장치(6)의 구체적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루우프관(6a)과 체결부재(6d)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우프관(6a)에는 상기 유지로우프, 보조로우프의 중도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루우프관(6a)의 양끝단부는 병렬로 중첩되어 있으며, 이 중첩부는 체결부재, 예컨대 압축슬리브(6b)에 의해서 굳게 체결되고, 압축슬리브에 의해서 굳게 체결되고 있는 부분에서 루우프관의 중첩부는 상호 마찰 접촉하고, 또한 루우프관과 압축슬리브의 사이에서도 마찰접촉이 야기되고 있다. 루우프관(6a)은 강성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금속재료,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유지로우프(11,12) 및 보조로우프(5)에 낙석에 의해서 충격력이 파급하고, 이들 로우프에 이상한 장력이 발생하면, 루우프관(6a)의 지름을 축소하려고 하는 힘이 작동하고, 루우프관의 양끝단부는 로우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로우프 장력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압축슬리브(6b)에 의한 공고한 체결장소에 있어서의 루우프관끼리 및 루우프관과 압축슬리브 사이의 마찰력을 초과하면, 상호간에 미끄러짐이 생겨서 충격에 의한 운동에너지는 흡수된다. 루우프관의 변형에 의해서도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행하여진다.
루우프관(6)의 직경, 벽두께 및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에너지 흡수능력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구에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루우프관이 한번 돌려감은 경우가 제시되어 있으나, 2중 또는 그 이상 돌려감아도 좋다.
상기 보완로우프(5)는 상술한 바와같이, 산쪽에 고정한 앵커의 머리부와, 각 기둥의 상단부 사이에 팽팽히 걸쳐지고 있으나, 이와같은 양태는 제 1도에서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앵커는 설치한 방호장치의 정면에서 보아, 인접하는 2개의 기둥(1)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완로우프(5)는 링네트(13)의 면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된다. 보완로우프의 이와같은 설치방식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어느하나의 링네트(13)에 낙석이 충돌했을때, 링네트는 충격에 의해서 도 5에 제시된 바와같이 전방으로 돌출하지만, 이때 링네트는 상측보조로우프(11)를 통해서 기둥(1)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 경도하는 힘을 미친다. 이 기둥경도 방향은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있는 보완 로우프의 연장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되고, 보조로우프에 효율적으로 장력이 미치게 되므로, 이 보조로우프에 설치하고 있는 브레이크장치(6)도 곧 반응해서, 운동에너지 흡수의 작용을 이행한다. 상기의 앵커는 미국특허 5,321,922호 명세서에 제시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사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앵커머리부(4)(도 2)는 루우프 형상으로 형성되서, 보조로우프(5)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목 진동이 자유자재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2개의 보조로우프에 결합되어 있어도, 장력이 생긴 보조로우프 방향으로 무리없이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장력 이외의 힘의 작용이 걸리는 정도가 적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견디어 낼 수 있다.

Claims (8)

  1. 방호가 필요한 경사진 곳의 소요의 길이 범위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설치되고, 기초부가 힌지를 통해서 산지에 고정된 기둥의 열을 가지며, 각 기둥의 상부와 기둥열 산쪽의 산지부와의 사이에는 보조로우프가 걸쳐처 있으며, 기둥열 전체에 걸쳐서 그의 계곡쪽으로 둘러처지고, 기둥사이에서 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팽팽히 처진 보조로우프에 의해서 상하에서 유지된 망상체가 설치되어 있는,낙석등을 막아내고 그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망상체가 다수의 링부재를 각각 인접하는 링부재의 내주쪽이 접촉하도록 상호간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낙석등을 막아내고 그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망상체를 구성하는 링부재가 선재를 복수회 돌려감고, 둘레방향의 여러곳을 체결수단으로 선재를 다발로 묶어서 고정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선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확대직경부를 갖는 이상한 형상의 선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망상체를 구성하는 링부재가 와이어 로프의 링으로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둥 사이에 팽팽히 처져 있는 유지로우프의 중간에, 상기 유지로우프에 미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장치가 중첩된 양 끝단부를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한 루우프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지로우프가 상기 루우프관이 중첩된 양끝단부중의 한쪽 끝단부의 관속으로 들어가고, 루우프관내를 통해서, 다른쪽 끝단부의 관속으로부터 나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지와 기둥 사이에 팽팽히 처진 보조로우프의 중간에, 상기 보조로우프에 미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장치가 중첩된 양끝단부를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한 로우프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조로우프가 상기 로우프관이 중첩된 양끝단부중 한쪽 끝단부의 관속으로 들어가서, 로우프관속을 통과해서 다른쪽 끝단부의 관속으로부터 나와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조로우프의 산지로의 정착장소가 방비장치의 정면으로 보아 기둥의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난 장소에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조로우프의 산지로의 정착부에 설치한 앵커머리부가 목진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장치.
KR1019970038251A 1996-08-30 1997-08-12 낙석등을 막아내고 낙석등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KR10060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251A KR100604179B1 (ko) 1996-08-30 1997-08-12 낙석등을 막아내고 낙석등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ES09801738U ES1040741Y (es) 1996-08-30 1998-06-30 Instalacion de proteccion para interceptar el desprendimiento de piedras o similar y para absorber la gran energia de movimiento.
PE1998000661A PE47999A1 (es) 1996-08-30 1998-07-23 Instalacion de proteccion para interceptar el desprendimiento de piedras o similar y para absorber la gran energia de movimiento
ARP980103995A AR016613A1 (es) 1996-08-30 1998-08-12 INSTALACIoN DE PROTECCIoN PARA INTERCEPTAR EL DESPRENDIMIENTO DE PIEDRAS O SIMILAR Y PARA ABSORBER LA GRAN ENERGíA DE MOVIMIENTO.
BR9804402-8A BR9804402A (pt) 1996-08-30 1998-08-12 Instalação de proteção para interceptar o despreendimento de pedras ou similar e para absorver a grande energia de movimen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230994 1996-08-30
JP08230994A JP3131566B2 (ja) 1996-08-30 1996-08-30 落石等を受け止め、その高運動エネルギーを吸収する防護装置
KR1019970038251A KR100604179B1 (ko) 1996-08-30 1997-08-12 낙석등을 막아내고 낙석등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81A true KR19980018581A (ko) 1998-06-05
KR100604179B1 KR100604179B1 (ko) 2006-12-07

Family

ID=6604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251A KR100604179B1 (ko) 1996-08-30 1997-08-12 낙석등을 막아내고 낙석등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213A (ko) * 2017-10-10 2019-04-08 조영제 테트라포트 안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138B1 (ko) * 2000-11-13 2008-08-26 파처 아게 낙석방지시스템을 위한 낙석방지네트
KR101942012B1 (ko) * 2016-11-25 2019-01-2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101997904B1 (ko) * 2017-06-29 2019-07-08 홍용택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935546B1 (ko) *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KR101936857B1 (ko) * 2018-07-04 2019-01-09 오인철 낙석방지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204U (ko) * 1978-02-09 1979-08-21
CH676259A5 (ko) * 1988-10-12 1990-12-28 Isofer Ag
CH681375A5 (ko) * 1988-11-10 1993-03-15 Fatzer Ag
ES2053311T3 (es) * 1990-12-31 1994-07-16 Fatzer Ag Dispositivo para la amortiguacion de choques para un cable solicitado a traccion, en el caso de caida de piedras y acumulaciones de nieve.
JPH0718134B2 (ja) * 1991-08-28 1995-03-01 株式会社エイ・シイ・デイ 衝撃吸収柵
CA2145829C (en) * 1994-04-08 2003-03-18 Bernhard Eich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retaining 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213A (ko) * 2017-10-10 2019-04-08 조영제 테트라포트 안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179B1 (ko)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1566B2 (ja) 落石等を受け止め、その高運動エネルギーを吸収する防護装置
JP5054742B2 (ja) 落石防護柵
JP4704143B2 (ja) 防護柵の施工方法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2009185514A (ja) 衝撃吸収柵
JP6393850B1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JP2023049303A (ja) 防護ネットシステム
JP2004332278A (ja) 雪崩・落石防護装置
KR19980018581A (ko) 낙석 등을 막아내고 그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JP2015081413A (ja) 防護柵
JP2907213B1 (ja) 衝撃吸収柵
JP7202586B1 (ja) 防護柵
JP4156556B2 (ja) 防護柵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2007023566A (ja) 衝撃吸収構造体
JP3944550B2 (ja) 防護柵
JP2002180422A (ja) エネルギー分散型落石防護柵
JP4613245B1 (ja) 防護柵
JP2003105721A (ja) 落石防護柵
JP2019027077A (ja) 落石防護柵
JP2004019369A (ja) 防護柵
JP3433350B2 (ja) 衝撃吸収ネットおよび衝撃吸収方法
KR100875699B1 (ko)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JP4115418B2 (ja) 防護柵
KR102497123B1 (ko) 낙석방지 울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