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699B1 -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699B1
KR100875699B1 KR1020020031322A KR20020031322A KR100875699B1 KR 100875699 B1 KR100875699 B1 KR 100875699B1 KR 1020020031322 A KR1020020031322 A KR 1020020031322A KR 20020031322 A KR20020031322 A KR 20020031322A KR 100875699 B1 KR100875699 B1 KR 100875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rope
loop
protective loop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830A (ko
Inventor
히로시 요시다
카즈오 미나미
마사노리 시오미
Original Assignee
유겐 가이샤 요시다 코조 데자인
닛폰 제니쓰 파이프 가부시키가이샤
카즈오 미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87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4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7925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0741B2/ja
Application filed by 유겐 가이샤 요시다 코조 데자인, 닛폰 제니쓰 파이프 가부시키가이샤, 카즈오 미나미 filed Critical 유겐 가이샤 요시다 코조 데자인
Publication of KR2002009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사이의 벌어짐을 일정하게 규제하면서, 충격흡수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충격흡수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20)와, 지주(20, 20) 사이에 감을 수 있는 길이의 로프재의 단부 가까이를, 여분부위(31, 31)를 남기고 완충구(40)로 파지하여 형성한 복수의 방호루프로 이루어진다. 방호루프(30)를 지주(20, 20) 사이에 다단적으로 감아 횡설(橫設)하였다.
Figure R1020020031322
충격흡수책, 방호루프, 완충구, 연결재, 방호네트, 지주

Description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Fence for absorbing impac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충격흡수책의 정면도.
도 2는 일부를 생략한 지주와 방호루프 권취부의 사시도.
도 3은 완충구의 사시도.
도 4는 완충구의 중앙횡단면도.
도 5는 일부를 생략한 연결재 상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연결재와 방호루프의 교차부의 체결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충격흡수책의 작용설명도.
도 8은 충격을 받았을 때에 있어서의 충격흡수책의 정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IX의 단면도.
도 10은 대비용 책(柵)의 로프의 장출량(張出量)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로서, 도 10a가 충격을 받기 전의 모델도, 도 10b가 충격을 받은 후의 모델도.
도 11은 방호루프의 장출량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로서, 도 11a가 충격을 받기 전의 모델도, 도 11b가 충격을 받은 후의 모델도.
도 12는 8자형으로 감은 다른 방호루프의 감긴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로프를 지주에 감은 다른 방호루프의 감긴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지주 사이에 로프를 다량으로 감은 다른 방호루프의 감긴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지주 사이에 로프를 지그재그로 감은 다른 방호루프의 감긴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지주의 한쪽편에 방호루프를 횡으로 가설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도 16A는 일부를 생략한 충격흡수책의 평면도, 도 16B는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방호네트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충격흡수책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또 다른 충격흡수책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격흡수책(柵) 20 : 지주
30 : 방호루프 31 : 여분부위
32 : 스톱퍼 40 : 완충구
50 : 연결재
본 발명은, 낙석, 눈사태, 토사붕괴 등의 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책 및 충격흡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격흡수책은 경사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와, 이들 지주 사이에 횡으로 가설한 로프재의 방호네트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방호네트로는 마찰저항식의 완충구를 이용하여 로프와 완충구 사이의 접동저항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슬립타입」과, 접동하지 않는 「넌슬립타입」이 알려져 있다.
슬립타입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시킨 로프(d)의 교차부에 완충구(e)를 설치하는 형태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주(f)에 설치한 복수의 완충구(e) 사이에 걸쳐 수평 로프(g)의 단부와 중간부를 파지시키는 형태와, 도 19와 같이 각 지주(f, f) 사이 단위로 수평로프(g)의 양단부를 완충구(e)에 파지시키는 형태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충격흡수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넌슬립타입은 슬립타입에 비해 방호네트에 의한 충격흡수 성능이 낮을 뿐만 아니라, 책 전체를 대형·대용량으로 설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충격흡수 비용이 높아지는 난점이 있다.
2) 슬립타입은 넌슬립타입에 대하여 충격을 받았을 때에 있어서의 방호네트의 변형량이 커지기 때문에, 책의 설치현장이 각종 교통기관시설(도로나 선로)이나 주택 등에 접근하는 경우는 채용이 보류되어, 설치현장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다수의 완충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완충구의 설치작업이나 로프의 파지작업에 많은 번거로움과 시간이 걸린다.
3) 양 타입 모두 공통하는 난점으로는 방호네트가 한겹이고, 게다가 사용가능한 로프의 지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성능의 비약적 향상에 한계가 있다.
4) 방호네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수평로프를 다단적으로 배치한 형태인 경우에는, 수평로프 사이의 벌어짐 방지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나, 적당한 기술이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로프 사이의 벌어짐을 일정하게 규제하면서, 높은 충격흡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충격흡수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충격흡수책의 구성
도 1에 일부를 파단한 충격흡수책(10)의 곡(谷)측에서 산측을 바라본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책(1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복수의 지주(20)와, 이들 지주(20, 20) 사이에 루프상으로 감아 횡설한 방호루프(30)와, 방호루프(30)의 단부 부근을 파지한 마찰저항식의 완충구(40)와, 각 방호루프(30)에 걸쳐 설치한 연결재(50)를 기본 구성요소로 한다.
본 예에서는 각 지주(20)의 상부 사이를 수평장대(60)로 연결함과 동시에, 방호루프(30)군의 한쪽면에 마름모형의 금속망(70)을 장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수평장대(60)이 금속망(70)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2) 지주
도 2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0)는 예를 들면 강철관, 콘크리트 충전강철관, 콘크리트 기둥, 탄성지주 등으로, 방호루프(30)가 감길 예정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지주(20)의 측면에는 U자형의 위치결정용돌기(21)를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적으로 설치하고, 각 위치결정용돌기(21)에 방호루프(30)를 끼워 통과시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주(20)의 상방에 대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위치결정용돌기(21)의 형성피치를 좁게 하면, 작은 지름의 낙석에 대한 포착대응성이 좋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예상되는 낙석의 크기나 눈사태와 낙석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방호루프(30)의 상하방향의 배설간격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결정한다. 또한 돌기 대신 홈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지주(20)의 하부는 지면이나 콘크리트 기반에 쓰러지지 않게 지지시켜도 좋지만, 힌지구조를 채용하여 경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지주(20)를 경도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는, 완충구를 사이에 개재하여 당김로프와 조합시킬 필요가 있다.
3) 방호루프
방호루프(30)는 인장내력이 우수한, 예를 들면 PC강선, PC보다 강선 등의 로프로, 이웃하는 각 지주(20, 20) 사이에 수평방향을 향해 느슨하지 않게 루프상으로 감아, 로프의 양단부 부근의 중합부를 완충구(40)로 파지한다. 로프의 단에는 스톱퍼를 설치하여 완충구(4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한다.
각 방호루프(30)의 완충구(40)의 파지위치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로프범위를 여분부위(31, 31)로 형성한다. 여분부위(31, 31)의 설정 길이에 의해 충격을 받는 때에 있어서의 방호루프(30)의 접동(슬립)거리가 결정된다.
지주(20)가 3개 이상인 경우, 단말의 지주를 제외하고 단말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각 지주(20)에는 양방향에서 방호루프(30, 30)가 감기게 된다.
각 지주(20)가 좌우의 방호루프(30, 30)에 대하여 공유관계가 되도록 방호루프(30)를 횡방향으로 연쇄적으로 감아 가설한다.
또한 지주 사이에 하나의 로프를 횡으로 가설한 종래의 책과 같은 정도의 충격흡수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라면, 방호루프(30)를 구성하는 로프가 다중 배치되게 되고, 또한 루프의 형성범위에 있어서 힘의 전달과 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호루프(30)의 로프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4) 완충구
완충구(40)는 방호루프(30)의 중합부를 파지하고, 방호루프(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파지부의 마찰저항력을 초과했을 때에 로프의 접동을 허용하여 충격력을 감쇠하는 기구이다.
도 3, 4에 예시한 완충구(40)는, 탄력강판의 중앙을 접어 단면구근상(斷面球 根狀)으로 형성한 구속판(41)과, 구속판(41) 내에 삽입, 내부공간을 이분하여, 로프의 수용공간을 확보하는 칸막이판(42)과, 구속판(41)의 자유단을 수축방향으로 체결하고, 구속판(41)과 칸막이판(42)에 의해 방호로프(30)를 접면시켜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43)와 너트(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속판(41)에 작용시킨 볼트의 체결력을 양로프에 균등한 구속력으로 작용시켜, 각 로프의 주변면에 접압시킨 구속판(41)과 칸막이판(42)과의 접촉부의 마찰저항에 의해 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감쇠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한 완충구(40)는 한 장의 판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속판(4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균등한 힘으로 구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십킬로그램에 이르는 중량물인 종전의 주철제 완충장치와 비교하여 소형경량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부착이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완충구(40)로는, 예시한 것 외에, 방호루프(30)의 중합부를 파지가능한 복수의 판재와, 이들 판재 사이를 체결가능한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마찰저항식의 완충구도 사용가능하다.
5)연결재
연결재(50)는, 파상(波狀)을 나타내는 가는 띠형상 또는 봉형상의 부재로, 복수의 방호루프(30)에 걸쳐 부착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복수의 방호루프(30, 30)에 걸쳐 연결재(50)를 배치하는 것은, 각 방호루프(30)의 설치간격을 유지하기 위함과, 이웃하는 방호루프(30) 상호간에 힘을 전달하기 위함과, 각 방호루프(30) 전후의 로프가 투과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함 과, 다단적으로 배치한 방호루프(30)의 수충(受衝)공간(영역)을 작게 구획하여 작은 충돌물을 받아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파상(波狀)으로 형성하는 것은, 도 6에 종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충시에 연결재(50)의 신장방향을 향한 변형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각 이웃하는 방호루프(30) 사이에 위치하는 파상부(波狀部)가 직선상으로 늘어났을 때에, 방호루프(30)의 간격이 최대가 되어, 이웃하는 방호루프(30) 사이가 그 이상 벌어지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연결재(50)의 물결상(波狀)은 본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全長)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직선상의 연결재(50)의 일부에 파상(波狀)개소를 형성하여도 좋다.
연결재(50)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강철재 등의 소성변형하는 소재나 탄력강철 등의 탄성변형하는 소재가 사용가능하며, 그 소재는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연결재(50)의 부착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장대(60)에 수하(垂下)한 분기재(51)의 하단에, 서로 대향시킨 한 쌍의 연결재(50, 50)의 상단을 연결한다.
분기재(51)와 각 연결재(50)를 연속소재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체의 것을 용접하거나 하여도 좋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배치한 ㄷ자 형의 간격유지재를 겸한 수판(受板)(52)과, 방호루프(30)의 각 로프를 수용가능한 U볼트(53) 및 너 트(54)와 조합시켜 연결하여도 좋다.
즉, 연결재(50), 분기재(51), 수판(52) 삼부재의 중합부에 볼트구멍을 천설하여 둔다. 로프를 용접한 U볼트(53)를, 이들 삼부재(50, 51, 52)에 끼워 넣어 너트(54)로 체결한다.
최상위를 제외한 다른 방호루프(30)에 대하여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수판(55)과 U 볼트(53), 너트(54)의 조합으로 다단적으로 배치한 로프와 연결재(50)의 교차부를 유지한다.
방호루프(30)의 각 로프를 연결재(50)의 곡(谷)부에 수용하여 U볼트(53)로 체결함으로써, 로프주위면과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그 체결력은, 로프와 연결재(50) 중 어느 것인가에 체결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대적으로 접동가능하도록 설정하여 두면, 이 접동저항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용]
다음으로 도 7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각종 충격력(F)이 충격흡수책(10)에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충격흡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충돌초기
금속망(70)을 개재하여 다단적으로 배치한 방호루프(30)의 전면(前面)(완충구(40)를 설치하지 않은 측)에 충격력(F)이 작용한다.
이 충격력(F)은, 지주(20)로의 감기는 부분을 통해 방호루프(30)의 배면(완 충구(40)을 설치한 측)으로 전달되어, 방호루프(30)의 루프 전장에 걸쳐 균등한 인장력으로 작용한다.
또한, 연결재(50)가 다단적으로 배치한 복수의 방호루프(30, 30)와 교차하여 작게 구획하기 때문에, 충격력(F)이 작은 낙석이라도 투과시키지 않고 받아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인장력이 방호루프(30)의 완충구(40)의 파지력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는 로프에 접동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방호루프(30)의 루프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이웃하는 방호루프(30, 30)는 지주(20)를 통하여 힘의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격력(F)이 직접 작용하지 않는 부위의 방호루프(30)나 지주(20)에 충격력(F)이 전달되고, 복수의 방호루프(30)와 복수의 지주(20)에 의해 분산하여 지지된다.
2) 충격의 흡수
금속망(70)과 방호루프(30)의 변형강도에 의해 충격력(F)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격흡수책(10)은, 주로 이후 나타내는 복수의 충격흡수작용에 의해 충격력(F)을 흡수하는 것이다.
① 연결재의 변형에 의한 충격흡수작용
충격력(F)은 상하의 방호루프(30) 사이의 간격을 눌러 넓히려고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 힘이 연결재(50)의 변형강도를 초과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재(50)가 변형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신장한다. 이 연결재(50)의 신장시의 변형저항에 의해 충격력(F)을 흡수한다.
연결재(50)의 신장에 수반하여, 상하의 방호루프(30, 30)의 간격은 약간 넓 어지지만, 연결재의 신장이 최대에 달하면, 방호루프(30)의 간격은 일정하게 규제된다.
② 연결재와 로프의 접동에 의한 충격흡수작용
충격력(F)은 교차관계에 있는 방호루프(30)의 로프와 연결재(50)를 로프를 따라 어긋나게 하려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 힘이 방호루프(30)의 로프와 연결재(50)의 교차부를 체결하는 체결력을 초과하면, 양부재(30, 50) 사이에서 접동하여, 이 접동저항에 의해 충격력(F)을 흡수한다.
③ 완충구에 의한 충격흡수작용
충격력(F)이 완충구(40)의 파지력을 초과하면, 방호루프(30)를 구성하는 로프와 완충구(40)와의 사이에서 접동(슬립)하여, 접동 중의 마찰저항에 의해 충격력(F)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④ 방호루프와 지주 사이의 접동저항에 의한 충격흡수작용
로프와 완충구(40)와의 사이의 접동개시에 수반하여, 방호루프(30)의 루프길이가 길어지고, 방호루프(30)와 지주(20)의 측면과의 감기는 부위에 있어서도 접동이 일어난다. 이 감기는 부위의 마찰저항에 의해서도 충격력(F)의 흡수작용이 진행된다.
상기한 복수의 충격흡수작용은, 여분부위(31, 31)가 짧아져서 스톱퍼가 완충구(40)에 당접할 때까지 가능하다.
3) 연결재의 다른 작용
연결재(50)는 충격력(F)의 흡수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호루프(30)의 신장에 수반하여, 한 쌍의 연결재(50, 50)가 각각 로프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당겨져 접혀 횡방향으로 변형한다. 그 결과, 충격을 받기 전까지 서로 겹쳐 있던 한 쌍의 연결재(50, 50)가 서로 벌어져, 다단적으로 배치한 각 방호 루프(30, 30)의 구획 범위를 더욱 작게 변화시킨다.
그 때문에, 충격력(F)이 낙석인 경우에는 후속하는 작은 낙석의 투과를 저지하고 같은 방식으로 완충한다.
또한 도 9는 다단적으로 배치한 방호루프(30, 30)가 신장하여 측방향으로 불룩하게 나왔을 때의 책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다단적으로 배치한 방호루프(30, 30) 중, 전면측에 배치한 도면 우측의 연결재(50)가 배면측의 로프(30b, 30c)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돌출을 규제한다.
또한, 방호루프(30)를 구성하는 전면측의 로프(30a)가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 횡으로 수평이동하는 케이스는 적으며, 상하 어느 방향으로 치우쳐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전면측의 로프(30a)가 배면측의 로프(30b, 30c) 사이로 파고 들어가, 방호루프(30)의 설치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로프가 횡방향으로 배열되게 된다. 즉, 충격력(F)의 작용 전과 비교하여 로프(30a, 30b)의 배치간격이 실질적으로 좁아진다.
이상에서는 편의적으로 전면측의 로프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배면측의 로프를 기준으로 하여도 같은 식으로 로프 사이에 다른 로프가 파고 들어가게 된다.
횡방향 로프의 배치간격이 좁아지면, 금속망(70)의 하중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름이 작은 낙석의 포착성이 좋아진다.
4) 로프의 장출량(張出量)이 작은 이유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격흡수책(10)은, 방호루프(30)의 측방향으로의 장출량이 작아도 된다.
도 10은 각 지주에 일단을 고정하여 로프를 배치하고, 양로프의 중합부의 중앙을 도시하지 않은 완충구로 파지하여 구성하는 싱글타입의 대비용 충격흡수책의 모델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0a는 충격을 받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충격을 받은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지주 사이의 거리(L)는 예를 들면 6m, 로프의 여분부위의 거리(1)를 0.5m로 한 경우, 충격을 받은 후의 로프의 장출량△y1은 1.25m가 된다.
도 11은 각 지주 사이에 방호루프를 설치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격흡수책의 모델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여기서, 도 11a는 충격을 받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충격을 받은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지주 사이의 거리(L)를 예를 들면 6m, 로프의 여분부위의 거리(1)를 0.5m로 한 경우, 충격을 받은 후의 로프의 장출량△y2는 0.875m가 된다. 다만,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방호루프의 감기는 부위의 길이는 무시하였다.
이와 같이 접동량(에너지 흡수량)이 같은 경우에 있어서의 로프의 장출량은, 본 발명과 같이 방호루프(30) 쪽이 작아서, 충격흡수책(10)을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격흡수책(10)은 싱글타입에 비하여, 로프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내력의 점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실시예 2〉
이하에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그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위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분기재(51)를 이용하지 않고 한 쌍의 연결재(50, 50)를 복수의 방호루프(30, 30)에 부착하여도 좋다. 이렇게 부착함으로서 분기재(51)를 생략할 수 있어, 구성부품수의 삭감과 장착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복수의 방호루프(30, 30)의 전면과 배면의 양측에 한 쌍의 연결재(50, 50)를 1조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방호루프(30)의 전면(수충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쪽면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작용하는 충격력(F)이 작을 때 적당하다.
또한 연결재(50)는 연속되는 1장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책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연결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연결재(50)를 분할함으로서 운반이나 조합성이 좋아진다.
또한 연결재(50)를 경사방향으로 배치하여 방호루프(30, 30)에 부착하여도 좋다. 연결재(50)의 배치형태로는, 방호루프(30, 30)의 한쪽면에 있어서, 경사방 향을 동일방향으로 일치시켜 배치하거나, 파상(波狀)처럼 상호 경사방향을 변화시켜 배치한다. 또한, 방호루프(30, 30)의 전면과 배면으로 경사방향을 변화시켜 배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3〉
방호루프(30)는 이하에 나타내는 감기 형태여도 무방하다.
또한, 연결재(50)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12는 지주(20, 20) 사이에 방호루프(30)를 평면 八자형으로 배치하여 감은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지주(20)에 대한 방호루프(30)의 감는 각도(감는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접동저항이 증가하여 충격흡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호루프(30)를 지주(20)에 전주면에 1회 또는 여러번 감으면, 방호루프(30)와 지주(20)의 접동저항이 증가하여 충격흡수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4는 지주(20, 20) 사이의 동일 높이로 로프를 2회 이상 감을 수 있는 길이로 한 방호루프(30)를 이용한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는 지주(20, 2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방호루프(30)를 구성하는 로프를 2회 이상 지그재그로 감은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는, 방호루프(30)의 감는 회수가 증가한 분만큼, 충격력의 분산성이 좋아진다.
도 16은 지주(20, 20)의 한 측에 감기용의 돌기체(22)를 다단적으로 설치하고, 이웃하는 이들 돌기체(22, 22) 사이에 방호루프(30)를 감은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하나의 돌기체(22)에 하나의 방호루프(30)를 감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하나의 돌기체(21)에 지주(20) 좌우의 방호루프(30, 30)를 함께 감아 돌기체(21)를 공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충격을 받았을 때에 방호루프(30)가 빠지지 않도록 지주(20)의 수충방향과 대면하는 측에 방호루프(30)를 배치하거나, 돌기체(22)의 선단에 팽출부(膨出部)를 형성하거나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책에 방호루프(30)를 이용한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지주(20, 20) 사이에 완충기능을 가지는 방호루프(30)를 감기 때문에, 충격력의 분산성과 전단내력을 개선할 수 있어, 충격흡수성능이 높은 충격흡수책을 제공할 수 있다.
2) 평면적인 방호네트를 배치하는 책(柵)과 비교하여, 방호루프(30)의 장출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 가장자리 등과 같이 장출량에 제한이 있는 현장에 설치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3) 완충구(40)의 사용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책의 건설에 요하는 시간적, 노력적 및 경제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4) 방호루프(30)를 감는 수에 비례하여 충격력의 분산성능이 증가하기 때문에, 책 전체의 충격흡수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이상은 지주 사이에 방호루프(30, 30)를 감아 구성하는 충격흡수책에 연결재(50)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 사이에 복수의 로프를 다단적으로 횡설한 공지의 각종 충격흡수책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다단적으로 배치한 복수의 로프에 걸쳐, 로프의 교차방향을 향해 파상(波狀)의 연결재를 배치함과 동시에, 다단적으로 설치한 로프와 각 연결재와 교차부를 체결구로 체결한다.
연결재에 의해 로프 사이의 벌어짐을 일정하게 규제하면서, 연결재의 소성변형과 로프와의 접동저항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다.
본 예에 있어서는, 지주 사이에 복수의 로프를 다단적으로 배치한 기존에 설치한, 또는 새로 설치한 충격흡수책에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풍부하다.
또한, 연결재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충격흡수성능이 현격히 향상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지주 사이에 완충기능을 가지는 방호루프를 감기 때문에, 충격력의 분산성과 전단내력을 개선할 수 있어, 충격흡수성능이 높은 충격흡수책을 제공할 수 있다.
2) 평면적인 방호네트를 배치하는 책과 비교하여, 방호루프의 장출량을 저감 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 가장자리 등과 같이 장출량에 제한이 있는 현장에 설치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3) 완충구의 사용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책의 건설에 요하는 시간적, 노력적 및 경제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4) 방호루프의 감는 수에 비례하여 충격력의 분산성능이 증가하기 때문에, 책 전체의 충격흡수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5) 복수의 로프 또는 방호루프에 교차하여, 파상의 연결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로프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 및
    상기 지주 사이에 감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로프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재가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양끝 부분이 완충구로 파지되어 완충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방호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호루프를 상기 지주 사이에 다단적으로 감아 횡설(橫設)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책.
  2.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복수의 지주;
    이웃하는 지주의 상부 사이에 연접한 수평장대; 및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감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로프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재가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여분부위를 남겨둔 채, 양끝 부분이 완충구로 파지되는 복수의 방호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호루프를 지주를 공유하면서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연쇄적으로 감아 횡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책.
  3. 제 1항에 있어서, 지주를 공유하면서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방호루프를 연쇄적으로 감아 횡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책.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호루프가 지주 사이에 여러번 감을 수 있는 로프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책.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단적으로 배치한 복수의 로프에 걸쳐, 로프의 교차방향을 향해 파상의 연결재를 배치하여, 상기 다단적으로 배치한 로프와 이 연결재와 교차부를 체결구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책.
  6. 삭제
  7.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 사이에 감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로프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재가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여분부위를 남겨둔 채, 양끝 부분이 완충구로 파지되는 방호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지주 사이에 감아 횡설한 방호루프의 완충작용과, 방호루프와 지주의 접동저항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방법.
  8. 로프의 단부 가까이를 완충구로 접동가능하게 파지하여 방호루프를 형성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 사이에 상기 방호루프를 다단적으로 감아,
    상기 복수의 방호루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상기 연결재를 교차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방호루프와 연결재의 교차부를 체결구로 체결하고,
    상기 방호루프에 의한 완충작용과, 방호루프와 지주의 접동저항과, 연결재의 소성변형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재에 의해 로프 사이의 벌어짐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방법.
KR1020020031322A 2001-06-04 2002-06-04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KR100875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8778 2001-06-04
JP2001168778A JP3692457B2 (ja) 2001-06-04 2001-06-04 衝撃吸収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2001379254A JP3860741B2 (ja) 2001-12-12 2001-12-12 衝撃吸収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JP-P-2001-00379254 2001-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30A KR20020092830A (ko) 2002-12-12
KR100875699B1 true KR100875699B1 (ko) 2008-12-23

Family

ID=2879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322A KR100875699B1 (ko) 2001-06-04 2002-06-04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5699B1 (ko)
TW (1) TW5332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365B1 (ko) * 2009-03-20 2012-05-03 최희택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낙석 방지책 및 가드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998B2 (ja) * 2006-12-27 2008-12-03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衝撃吸収防護柵
KR100847736B1 (ko) * 2008-02-05 2008-07-23 (주)엠케이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847735B1 (ko) * 2008-02-05 2008-07-23 (주)엠케이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가드레일
TWI512214B (zh) * 2013-03-20 2015-12-11 Kanamori Co Ltd 鋼索的把持金屬零件及使用該金屬零件的衝擊力吸收構造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0804U (ja) * 1984-05-30 1985-12-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落石防止柵における落石防止用ワイヤロ−プの固定装置
WO1987000878A1 (en) * 1985-07-31 1987-02-12 Gianangelo Cargnel Flexible barrier for arresting falling rocks
JPH01116105A (ja) * 1987-10-29 1989-05-09 Igeta Seiko Kk 駐車場用ガードケーブル
US5207302A (en) * 1990-12-31 1993-05-04 Fatzer Ag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retched cable, particularly for cable retaining rock wall fences, rock fill retaining grids or fences, snow fences, and the like
US5299781A (en) * 1991-07-10 1994-04-05 State Department Of Highways, State Of Colorado Flex post fence
JPH06173221A (ja) * 1991-08-28 1994-06-21 A Shii D:Kk 衝撃吸収柵
JPH0726519A (ja) * 1993-07-07 1995-01-27 Hiroshi Yoshida 衝撃吸収柵
JPH0754316A (ja) * 1993-08-18 1995-02-28 Hiroshi Yoshida 衝撃吸収柵
JPH0797804A (ja) * 1993-07-16 1995-04-11 A Shii D:Kk 衝撃吸収柵用の端ストッパ
JPH08246420A (ja) * 1995-03-07 1996-09-24 Kozai Kanaami Seisakusho:Kk 落石防護柵のワイヤロープの間隔維持具及び固定用座金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落石防護柵
JPH11148118A (ja) * 1997-11-17 1999-06-02 Civil:Kk ガードケーブル
JP2000045233A (ja) * 1998-07-28 2000-02-15 Nihon Samicon Kk 衝撃吸収柵
JP2000273828A (ja) * 1999-03-26 2000-10-03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防護柵
JP2001049625A (ja) * 1999-08-04 2001-02-20 Masuo Kanda 落石防護柵
KR200216256Y1 (ko) * 2000-08-19 2001-03-15 김복성 펜스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0804U (ja) * 1984-05-30 1985-12-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落石防止柵における落石防止用ワイヤロ−プの固定装置
WO1987000878A1 (en) * 1985-07-31 1987-02-12 Gianangelo Cargnel Flexible barrier for arresting falling rocks
JPH01116105A (ja) * 1987-10-29 1989-05-09 Igeta Seiko Kk 駐車場用ガードケーブル
US5207302A (en) * 1990-12-31 1993-05-04 Fatzer Ag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retched cable, particularly for cable retaining rock wall fences, rock fill retaining grids or fences, snow fences, and the like
US5299781A (en) * 1991-07-10 1994-04-05 State Department Of Highways, State Of Colorado Flex post fence
JPH06173221A (ja) * 1991-08-28 1994-06-21 A Shii D:Kk 衝撃吸収柵
JPH0726519A (ja) * 1993-07-07 1995-01-27 Hiroshi Yoshida 衝撃吸収柵
JPH0797804A (ja) * 1993-07-16 1995-04-11 A Shii D:Kk 衝撃吸収柵用の端ストッパ
JPH0754316A (ja) * 1993-08-18 1995-02-28 Hiroshi Yoshida 衝撃吸収柵
JPH08246420A (ja) * 1995-03-07 1996-09-24 Kozai Kanaami Seisakusho:Kk 落石防護柵のワイヤロープの間隔維持具及び固定用座金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落石防護柵
JPH11148118A (ja) * 1997-11-17 1999-06-02 Civil:Kk ガードケーブル
JP2000045233A (ja) * 1998-07-28 2000-02-15 Nihon Samicon Kk 衝撃吸収柵
JP2000273828A (ja) * 1999-03-26 2000-10-03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防護柵
JP2001049625A (ja) * 1999-08-04 2001-02-20 Masuo Kanda 落石防護柵
KR200216256Y1 (ko) * 2000-08-19 2001-03-15 김복성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365B1 (ko) * 2009-03-20 2012-05-03 최희택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낙석 방지책 및 가드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3256B (en) 2003-05-21
KR20020092830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936B1 (ko) 충격 흡수 방호 배리어
JP2020012249A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JP6518849B1 (ja) 防護柵
JP3860741B2 (ja) 衝撃吸収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2004162486A (ja) 防護柵
JP3668964B2 (ja) 防護柵
KR100875699B1 (ko)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JP5793633B1 (ja) 防護柵
JP3427152B2 (ja) 衝撃吸収用ネット及び衝撃吸収方法
JP7027124B2 (ja) 防護施設、エネルギー吸収面材及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7202586B1 (ja) 防護柵
JP3692457B2 (ja) 衝撃吸収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2649894B2 (ja) 衝撃吸収柵
JP3511610B2 (ja) 保護構造物
JP3668965B2 (ja) 防護ネット及び防護柵
JP4156556B2 (ja) 防護柵
JP2005240388A (ja) 多段エネルギー吸収落石防護柵
JP2003003425A (ja) 衝撃吸収防護柵
KR100604179B1 (ko) 낙석등을 막아내고 낙석등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JP2018145719A (ja) 衝撃吸収体
JP2000273828A (ja) 衝撃吸収防護柵
JP7377582B1 (ja) 衝撃吸収柵
JP6979838B2 (ja) 緩衝装置及び落石防護装置
JP2002030617A (ja) 衝撃吸収ネットおよび衝撃吸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