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539B1 - 안경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539B1
KR102656539B1 KR1020187027666A KR20187027666A KR102656539B1 KR 102656539 B1 KR102656539 B1 KR 102656539B1 KR 1020187027666 A KR1020187027666 A KR 1020187027666A KR 20187027666 A KR20187027666 A KR 20187027666A KR 102656539 B1 KR102656539 B1 KR 10265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lexible member
frame
lug
distanc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646A (ko
Inventor
암펠리오 아르투시
마르코 퀘볼리
Original Assignee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8012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2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sheet typ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Abstract

안경용 프레임은, 각각의 아암들(5)의 관절 연결을 위한 각각의 측부 러그들(4)을 가진 전면 프레임워크(2) 및 전면 프레임워크에 각각의 아암의 관절 연결을 위한, 각각의 러그(4)와 대응되는 아암(5) 사이의 관절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 연결 수단은, 각각의 아암(5)을 위해, 러그(4) 및 아암(5)과는 구조적으로 독립적인 유연성 부재(9)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부재(9)는 아암(5)에 홀딩되고, 대응되는 러그(4)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핀(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응되는 러그와 마주보는 각각의 아암(5)의 단부는 상기 러그의 표면 프로파일과 접촉하고, 상기 러그(4)의 표면 프로파일은, 상기 아암(5)이 힌지 핀(7)에 대한 움직임에서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미리 선택된 각 위치들을 향해 유연성 있게 강요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위치들은 안경을 착용하기에 적합한 아암(5)의 열림 위치와 전면 프레임워크(2) 쪽으로 접힌 아암(5)의 닫힘 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각각의 아암(5)을 위해, 각각의 아암과 대응되는 유연성 부재(9) 사이에 개재된 각각의 거리 요소(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 요소는, 거리 요소(15)의 높이에서, 아암(5)과 유연성 부재(9) 사이에 미리 선택된 거리를 부여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힌지 핀(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때 유연성 부재(9)에 가해지는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을 조절하기 위해, 아암에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Description

안경용 프레임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들을 가진 안경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기술 분야에서, 안경 프레임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전면 프레임워크(frontal framework)에 대한 아암들의 관절 연결은 회전 가능하게 함께 결합된 각개의 핀들(pins)과 아일릿들(eyelets)을 가진 힌지 장치들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장치의 힌지 요소들은 프레임의 아암과 러그(lug)에 적합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유형의 해법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들에서, 통상적으로 몇몇의 제약들, 예를 들어, 힌지 나사 또는 핀의 원하지 않는 풀림, 힌지 관절을 위해 요구되는 다수의 구성 요소들의 제작의 필요, 필요한 구성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큰 덩치, 및 경량 프레임에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은 힌지 장치 자체의 무게를 수반한다.
프레임의 전면 러그에 대한 아암의 관절 연결을 위해 알려진 해법들은 위에서 언급된 유형의 임의의 전통적인 힌지 구조를 위해 제공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얼려진 시스템은, 전면 러그와 마주보는 아암-단부가 충분한 길이에 걸쳐 몇몇의 별개의 부분들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분들에 상호 유연성 거동을 제공한다. 상기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휘어진 단부는, 다른 부분들과 함께, 프레임에 제공된 핀 형성물의 둘레에 아암을 관절 연결 방식으로 홀딩한다.
이러한 해법은, 아암을 몇몇의 부분들로 분할하기 위해 아암의 특별한 기계가공을 요구하면서, 상기 아암의 재료의 유연성 특징들에 반드시 관련된다.
얇은 유연성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해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유연성 플레이트는 아암에 부착되고, 힌지 커플링을 통해, 프레임의 전면 러그에 제공된 핀 형성물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해법들에서, 힌지의 구성요소들의 조립과 동시에 플레이트에는 미리 선택된 유연성 사전-부하가 도입되며, 이에 따라 조립 단계를 완료하기 위해 탄성 복귀에 대하여 적절하게 밀어주도록 유연성 플레이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은 몇몇의 경우에 특별한 조립 장비의 사용을 강요당하는 조작자에게 특히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프레임의 전면에 대한 아암의 관절 연결(articulation) 수단을 가진 안경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프레임은 알려진 해법들에 관해 서술된 제약들을 극복하도록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구성되고, 특히, 아암들의 관절 연결 수단과 관련하여, 특히 얇고 가벼운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도록, 특히 가볍고 제한된 두께(bulk)의 프레임에 조립이 쉬운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아암을 만드는 재료와는 독립적으로 아암의 관절 연결 시스템의 유연성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따라 제조된 안경용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관련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료하게 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안경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며,
- 도 1의 프레임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며,
- 도 3은 상기 도면들의 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확대한,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이며,
- 도 4는 도 3의 상세 구성을 확대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 도 5는 도 3의 상세 구성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 도 5a는 도시된 상세 구성의 변형 실시예에서, 도 5와 상응하는 도면이며,
- 도 6은 도 3의 상세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 도 7은 도 6의 상세 구성의 정면도이며,
- 도 7a는 도 3의 상세 구성을 확대한 측면도이며,
-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상세 구성을 조립하는 단계 중,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며,
- 도 9는 조립 단계 중, 프레임의 일부 상세 구성의 부분 사시도이며,
- 도 10과 11은 프레임의 다른 조립 단계 중, 도 9의 상세 구성의 부분 사시도이며,
- 도 12와 13은 조립된 상태에서, 도 3의 상세 구성의 부분 사시도이며,
- 도 14, 15 및 16은 프레임의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축들 중 하나의 둘레로 회전하는 다른 상태에서,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며,
- 도 17은 부분 길이방향 단면과 분리된 부품들을 도시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세 구성의 측면도이며,
- 도 18은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도 17의 상세 구성의 부분 단면 처리된 측면도이다.
위에서 언급된 도면들에 관련하여, 참조번호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안경용 프레임의 전체를 가리키며, 상기 안경용 프레임은 렌즈들(3)을 유지하기 위한 전면 프레임워크(frontal framework)(2)를 포함하고, 전면 프레임워크는 각개의 아암들(5)을 전면 프레임워크에 관절 연결하기 위해 설계된 한 쌍의 서로 반대쪽의 측부 러그들(opposing lateral lugs)(4)을 구비한다.
각각의 아암(5)을 대응되는 러그(4)에 관절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대응되는 아암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각개의 관절 연결 수단(articulation means)을 포함하며, 이는 전체로서 참조번호 6으로 표시된다.
동일한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들로 인해, 아래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상기 아암들 중 오직 하나의 관절 연결 수단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들(5)은 (사용자의 머리에 아암들의 적절하고 편안한 지지를 위해 적합하게 형성된 하나의 아암-단부를 제외하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시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러그는 유사하게 주로 얇은 시트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암의 (그리고 대응되는 러그의) 횡방향 단면은, 안경을 착용한 머리의 관자놀이 영역(temporal zone)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측정된, 아암의 높이의 크기를 가지며, 이는 높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정된 아암의 두께보다 훨씬 크다. 상기 아암을 만드는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의 선택과 함께 얇은 단면의 구성은, 상기 아암의 감소된 두께와 특히 가늘며 가벼운 길이방향 전개로 상기 아암에 전체로서 매우 가벼운 특성을 부여하며, 상기 프레임에 현저한 심미적 영향의 전체 디자인을 부여한다.
위에서 언급된 시트 구조에 따르면, 상기 아암(5)의 두께는 상기 아암의 양 측면들(5a, 5b)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5a)은 상기 아암의 내측면, 즉 사용자의 헤드를 마주보는 측면이며, 상기 측면(5b)은 상기 아암의 반대쪽 외측면이다.
참조번호 5c는, 귀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아암-단부에 대해 길이방향 반대쪽에 배치되어 대응되는 러그(4)와 마주보는 아암(5)의 단부를 가리킨다.
상기 관절 연결 수단(6)은, 상기 러그에, 적어도 하나의 힌지 핀(hinge pin),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힌지 핀들(7)을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러그(4)의 중심 몸체(8)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동축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아암의 관절 연결에서 대응되는 아암(5)과 협동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관절 연결 수단(6)은 유연성 부재(flexible member)를 더 포함하며, 이는 참조번호 9로 표시되고, 상기 러그(4)와 아암(5)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독립적이다.
상기 유연성 부재(9)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구조를 가지며 얇고 유연한 금속 플레이트로 편리하게 만들어진다. 재료의 선택, 시트의 치수 및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상기 유연성 부재(9)는 미리 선택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진다. 바람직한 선택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 부재(9)는 강철(steel), 특히 클래스 "AISI 304" 강철로서, (일반적으로 부품의 적합한 열처리에 의해 얻어진) 탄성 복원 능력과 파손에 대한 저항 능력으로 인해, 탄성 변형을 겪도록 의도된 부품들의 제조에 유리하게 적합한, 대표적으로 스프링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유연성 부재(9)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암(5)에 홀딩되며, 상기 핀(7)과의 힌지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 결합(hinge coupling)을 위해, 상기 유연성 부재(9)는 그 단부들 중 하나에 한 쌍의 핑거들(9a, 9b)을 가지도록 제공되며, 한 쌍의 핑거들은 서로 이격되고, 각개의 핀들(7)과 결합하기 위해 굽혀짐으로써, 힌지 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러그(4)와 마주보는 상기 아암의 단부(5c)는, 상기 아암(5)이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해 미리 선택된 각 위치들(angular positions) 쪽으로 유연하게 제한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상기 러그(4)의 얇은 프로파일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의도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각 위치들은, 안경을 착용하기에 적합한 아암의 열림 위치와, 전면 프레임워크에 접힌 아암의 닫힘 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아암(5)에 유연성 부재(9)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아암(5)에 형성된 관통 구멍(11) 내에 최소의 유격(play)으로 수용될 수 있는 상기 부재의 부분(10)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11)은 폐쇄된 윤곽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아암의 길이 전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더 긴 직사각형이다.
상기 부분(10)은 양단부들에서 각개의 제2 및 제3 부분과 연결되며, 이 부분들은 각각 참조번호 12와 13으로 표시된다. 상기 부분들(12, 13)은, 상기 아암이 러그에 조립이 완료된 때 상기 부분(10)이 상기 구멍(11) 내에 맞물리며 상기 부분들(12, 13)은 각자 상기 아암의 내측면(5a) 및 외측면(5b)과 마주보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부분(10)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부분(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다.
편리하게는, 상기 부분들(10, 12, 13)은 상기 유연성 부재(9)를 만드는 시트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부분들 사이에 대략 90°의 굽힘각도(bending angle)로 굽힘(bending)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12)은 상기 아암의 내측면(5a)과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분(13)은 상기 아암의 외측면(5b)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분(12)은
상기 아암의 내측면(5a)의 표면에 만들어진 오목부(recess)(5d)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부분(13)은, 상기 부분(10)의 반대측에서, 상기 핑거들(9a, 9b)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핑거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13)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을 이루어 전개된다. 도 5a에 도시된 유연성 부재(9)의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부분(13)과 핑거들(9a, 9b) 사이의 연결 영역은 도 5의 예에서 제공된 것보다 더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은 각각의 아암(5)에 각개의 거리 요소(distance element)(15)를 가지며, 이는 상기 아암(5)과 대응되는 유연성 부재(9)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거리 요소의 높이로 상기 아암과 유연성 부재 사이에 미리 선택된 거리를 부여하기 위해, 그리고 그 결과로서 힌지 핀들(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때 유연성 부재(9)에 가해지는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flexible pre-load)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아암에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거리 요소(15)는 유연성 부재를 홀딩하는 영역(상기 부분(10)이 맞물리는 구멍(11)의 둘레 영역)과 상기 핀들(7)과의 힌지 결합된 관절 영역 사이에서 상기 아암(5)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들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아암의 외측면(5b)으로부터 유연성 부재(9)의 부분(13)을 향해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아암에 장착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아암(5)에 만들어진 원형의 관통 구멍(16a) 내에 형성된 하우징(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결합 덕분에, 상기 거리 요소는 하우징(16) 내에서, 아암으로부터 더 작게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위치와 아암으로부터 더 크게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돌출은 상기 아암과 유연성 부재 사이에 설정된 거리를 결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거리 요소(15)는 실린더형의 외부 윤곽(cylinder external profile)을 가진 주 몸체(15a)와, 상기 주 몸체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주 몸체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직경 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탭들(tabs)(17)을 포함한다. 상기 주 몸체(15a)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서로 반대쪽의 노치들(18)이 형성되며, 이들은 상기 거리 요소를 축방향으로 연장된 주축의 둘레로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공구(미도시)에 의해 맞물리도록 설계된 그립핑 표면(gripping surface)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공구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즉 상기 아암의 내측면(5a)에서 그립핑 방식으로 상기 거리 요소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5)의 외측면(5b)에는 한 쌍의 얕은 오목부들(19)이 제공되며, 이들은 상기 구멍(16a)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구멍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정반대쪽에 정렬된다. 상기 오목부들(19)은 상기 거리 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각자의 탭들(17)을 상기 아암으로부터 최소로 돌출되도록 수용한다(도 10).
참조번호 20은 각각의 탭(17)의 한 쌍의 경사진 벽들을 나타내며, 그 형상은, 상기 거리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회전할 때, 상기 아암의 외측면상에서 상기 거리 요소의 돌출이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탭들(17)은 각자의 얕은 오목부들(19)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아암의 외측면(5b)으로부터 상기 거리 요소(15)가 더 크게 돌출되도록 한다(도 11과 12).
참조번호 21은 (폐쇄된 윤곽,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윤곽을 가진) 추가적인 슬롯 구멍을 가지며, 이는 상기 아암(5)을 관통하고, 대응되는 러그(4)와 마주보는 상기 아암의 자유 단부(5c)에 배치되며, 대응되는 러그(4)로부터 돌출된 톱니(tooth)(22)에 의해 최소의 유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아암의 회전, 즉 상기 아암의 닫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회전과 닫힘 위치를 향한 회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아암을 러그에 대하여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멍들(21, 16a, 11)은 아암 내에서, 자유 단부(5c)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아암의 길이 방향의 전개를 따라서, 서로 일직선이 되어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자유 단부(5c)에서, 한 쌍의 서로 반대쪽의 리세스들(23)의 제공 덕분에, 상기 아암은 감소된 높이를 가지며, 이는 상기 힌지 핀들(7)과 맞물리기 위해 상기 핑거들(9a, 9b)이 상기 아암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리세스들(23) 사이에서 연장된 상기 아암의 단부(5c)는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 중에 상기 러그(4)에 대하여 지탱된다. 특히, 상기 러그는,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각을 이루는 제1 얕은 부분(24)과 제2 얕은 부분(25)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코너(corner)(26)가 확인된다. 상기 톱니(22)는 상기 얕은 부분(25)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다.
위에서 설명된 구조 덕분에, 상기 아암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아암 단부(5c)는 상기 얕은 부분(24)에 대하여 지탱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에 닫힌 위치에서 상기 얕은 부분(25)에 대하여 지탱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아암-단부는 상기 아암이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중에 상기 코너(26)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탱되며, 상기 움직임은 전면 프레임워크에 대한 조합된 회전병진 운동(combined rorotranslatory movement)이며, 이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아암을 전면 프레임워크에 조립하기 위해, 상기 거리 요소(15)는 먼저 상기 아암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6) 내부로 도 9의 상태로 삽입되며, 여기서 상기 탭들(17)은 각자의 얕은 오목부(19) 내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거리 요소는 아암의 외측면(5b)으로부터 최소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의 대략적인 크기는 바람직한 선택으로서 10분의 수 밀리미터, 예를 들어 0.3mm이다.
동일한 단계에서,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연성 부재의 부분(10)이 구멍(11)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유연성 요소가 아암에 결합되며, 동시에 아암을 러그로 가져와서 톱니(22)가 구멍(21)에 맞물린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서, 아암의 부분(10)의 홀딩 영역 주변에서 유연성 부재(9)를 아암에 대하여 회전시키면서, 유연성 부재를 약간 변형시키면 상기 핀들(7)이 유연성 부재의 핑거들(9a, 9b)의 대응되는 단부들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 형태에서, 상기 거리 요소(15)는 유연성 부재(9)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유연성 부재(9)의 부분(13)에 적당한 압력(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이 가해진다.
대체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 요소(15)는 유연성 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유연성 부재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따라서, 어떠한 상기 유연성 부재에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 변형도 초래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유연성 부재의 부분(12)은 아암에 대하여 지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부분(13)은 상기 거리 요소(15)에 의해 가해진 어떠한 압력도 없이 아암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의 조립 단계에서, (공구를 아암의 내측으로부터 거리 요소의 그립핑 표면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거리 요소(15)를 회전시키기 위해 적합한 공구가 사용되며, 이는 아암으로부터 더 크게 돌출되는 위치를 향해 (도 10과 11의 순서로) 움직인다. 서리 요소(15)를 회전시키면, 거리 요소는 아암의 외측면(5b)에 대해 점진적으로 더 크게 돌출되며, 각각의 탭(17)의 경사진 벽들(20)은 거리 요소가 아암의 표면으로부터 더 멀리 움직이도록 하고, 이에 따라 돌출된 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회전은 거리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도 9의 초기 위치에 대하여 대략 90°로 회전될 때까지 적용된다.
거리 요소(15)가 처음에는 유연성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아암에 결합되는, 위에서 나타낸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 요소(15)의 차후 추출에 의해 생성된 거리는 유연성 부재(9)에 대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며, (핀들과 아암에 대한 부착 지점에 대하여) 유연성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미리 선택된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을 유도한다. 이러한 더 큰 돌출의 바람직한 값은, 예를 들어, 대략 0.6mm로 선택될 수 있으며, 더 작은 돌출은 0.3mm로 선택된다.
유도된 프리텐셔닝(pre-tensioning)에 기인하여, 상기 유연성 부재(9)는, 아암이 (완전히 열린 위치와 완전히 닫힌 위치 사이에서 45°로 위치한) 불안정한 평형 위치를 통과하여 취한 위치에 따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허용하는 탄성 복원 작용을 가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거리 요소(15)는 (축방향 치수와 관련하여) 상기 아암의 외측으로부터 가장 크게 돌출된 작동 위치로 움직인 때, 내측에서 상기 아암의 내측면과 실질적으로 외견상 같은 높이가 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는 현저한 심미적 이점을 제공한다.
도 14 내지 16은 상기 아암의 움직임으로 도달된 위치들의 순서를 보여준다.
도 14는 상기 아암의 열림 위치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암(5)은 (그 단부(5c)에서) 상기 러그의 얕은 부분(24)과 접촉된다. 이 위치로부터, 상기 아암의 닫힘 위치로의 움직임은 상기 아암을 자동적으로 열림 위치로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탄성 복원을 유도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거동은 불안정한 평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실질적으로 45°) 존재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안정한 평형 위치를 넘으면 탄성 복원 작용은 상기 아암을 전면 프레임워크 상의 닫힘 위치를 향해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다. 닫힘 위치에서, 상기 아암95)은 (그 단부(5c)에서) 상기 러그의 얕은 부분(25)에 대하여 지탱된다. 실제로, 불안정한 평형 위치 주변에서, 열림 또는 닫힘 유형의 "탄성 클릭"이 발생되며, 이는 상기 아암을 (임의의 외부 자극 없이) 자동적으로 각자의 닫힘 또는 열림 위치로 복귀시킨다.
열림 또는 닫힘 움직임에 있어서, 상기 아암(5)은 상기 러그의 코너(26)와 슬라이딩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코너에 대해 회전병진 운동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암의 단부와 상기 러그의 코너 사이에 상기 러그에 대한 상기 아암의 회전병진 운동에 의해 유도된 상대적인 마찰 접촉이 있다. 또한, 닫힘 위치(도 16)와 불안정한 평형 위치(도 15) 사이의 움직임과 그 반대의 움직임에서, 상기 슬롯 구멍(2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톱니(22)는 힌지 결합된 관절 운동을 위한 안내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가장 크게 돌출된 작동 위치에 도달된 때, 상기 하우징(16)으로부터 상기 거리 요소(15)의 분리는 상기 유연성 부재(9)와 상기 아암의 외측면(5b)의 표면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유연성 부재(9)의 탄성 반작용에 의해 방지된다.
도 17과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상기 거리 요소는 나사가 형성된 스템(threaded stem)(15')의 형태로, 예를 들어, 나사가 형성된 스템(15')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스크루드라이버 또는 유사한 공구의 사용을 위한 상부 절개부(upper incision)(30)를 가진 나사가 형성된 실린더형 비드(bead)로서 제조된다. 추가적인 선택으로서, 상기 거리 요소를 작동 헤드와 나사가 형성된 스템을 가진 나사로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나사가 형성된 스템(15')은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부쉬(internally threaded bush)(31)와 나사 체결에 의해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부쉬는 원형 관통 구멍(16a)의 높이에서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상기 아암(5)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부쉬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형의 형태이며, 그 단부 베이스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아암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쉬의 나사가 형성된 내부 구멍은 상기 구멍(16a)과 동축이며, 그 크기는 상기 나사가 형성된 스템(15')이 상기 부쉬 내에 나사 체결된 때 상기 아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이다.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거리 요소는 유연성 부재(9)로부터 멀어지도록 그리고 유연성 부재(9)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연성 부재(9)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리 선택된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된 목적들을 달성하며, 알려진 해법들에 대해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첫째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조립자를 위해 단순화된 절차로 러그와 아암 사이의 관절 연결 요소들의 신속하고 쉬운 조립을 허용하며, 관절 연결 요소들의 조립 후에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이 도입된다는 사실에 있다.
추가적인 이점은, 아암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제조된 유연성 부재를 러그와 아암 사이에 제공하는 것은 아암과 유연성 부재 각각을 위해 상이한 제조 재료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만들고, 상기 프레임의 이 구성요소들 각각의 요구되는 기능상 특징들을 최적화한다는 사실에 있다.
추가적인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상기 아암들의 관절 연결 시스템에서, 나사가 형성된 힌지 나사들 또는 핀들의 제공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유리하게 장시간에 걸쳐 신뢰성이 있으며 프레임의 조립/분해 작업의 단순화를 허용한다는 사실에 있다.
추가적인 이점은, 제조 공정의 단순화와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제한된 수에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극히 콤팩트한 크기와 특히 가벼운 유형의 안경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Claims (13)

  1. 각각의 아암들(5)의 관절 연결(articulation)을 위한 각각의 측부 러그들(4)(lateral lugs)을 가진 전면 프레임워크(2)(frontal framework) 및 상기 전면 프레임워크에 각각의 아암의 관절 연결을 위한, 각각의 러그(4)와 대응되는 아암(5) 사이의 관절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으로서,
    상기 관절 연결 수단은, 각각의 아암(5)을 위해, 상기 러그(4) 및 아암(5)과는 구조적으로 독립적인 유연성 부재(9)(flexible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부재(9)는 상기 아암(5)에 홀딩되고, 대응되는 러그(4)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핀(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응되는 러그와 마주보는 각각의 아암(5)의 단부는 상기 러그(4)의 표면 프로파일과 접촉하고, 상기 러그(4)의 표면 프로파일은, 상기 아암(5)이 상기 힌지 핀(7)에 대한 움직임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워크(2)에 대한 미리 선택된 각 위치들(angular positions)을 향해 유연성 있게 구속되는(constrained) 방식으로 형상화되며, 상기 각 위치들은 안경을 착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아암(5)의 열림 위치와 상기 전면 프레임워크(2) 쪽으로 접힌 상기 아암(5)의 닫힘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용 프레임은, 각각의 아암(5)을 위해, 각각의 아암(5)과 대응되는 유연성 부재(9) 사이에 개재된 각각의 거리 요소(15)(distance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거리 요소(15)의 높이에서, 상기 아암(5)과 상기 유연성 부재(9) 사이에 미리 선택된 거리를 부여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 핀(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때 상기 유연성 부재(9)에 가해지는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pre-load for flexibility)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아암(5)에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유연성 부재(9)는 소정의 유연성을 가진 시트 구조(sheet structur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유연성 부재(9)의 아암을 홀딩하는 영역과 상기 유연성 부재의 상기 힌지 핀(7)과의 관절 연결 영역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아암(5)에 장착되는, 안경용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아암에 만들어진 제1 관통 구멍(16a) 내에 형성된 하우징(1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상기 아암(5)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작게 돌출된 돌출부의 제1 위치와 상기 아암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크게 돌출된 돌출부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더 크게 돌출된 돌출부는 상기 아암(5)과 대응되는 유연성 부재(9) 사이에 설정된 거리를 결정하는, 안경용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5)은 상기 프레임이 착용된 머리와 마주보는 내측과 반대쪽의 외측을 가지며,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아암(5)의 외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거리 요소의 내측에 상기 거리 요소(15)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공구를 위한 그립핑 표면(gripping surface)을 가지는, 안경용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5)의 외측은 상기 제1 관통 구멍(16a)에 인접하여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한 쌍의 얕은 오목부들(19)(superficial recesses)을 구비하며, 상기 얕은 오목부들(19)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거리 요소(15)의 주된 실린더형 몸체(15a)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각각의 탭들(17)(tabs)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탭들(17)은, 상기 제1 위치에 대하여 상기 아암(5)의 외측에서 상기 거리 요소(15)의 더 큰 돌출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얕은 오목부들(19)로부터 분리되는, 안경용 프레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암(5)은 상기 유연성 부재(9)의 제1 부분(10)을 최소의 유격(minimal play)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2 관통 구멍(1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10)은 두 개의 반대쪽 단부들에서 상기 유연성 부재(9)의 제2 부분(12)과 제3 부분(13)에 연결되고, 상기 아암(5)에 상기 유연성 부재(9)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제1 부분(10)이 상기 관통 구멍(11) 내에 맞물린 때, 상기 제2 부분(12)과 제3 부분(13)은 상기 아암(5)의 내측과 외측을 따라서 같은 높이에 놓이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안경용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부재(9)의 제3 부분(13)은, 상기 제1 부분(10)의 반대측에서, 한 쌍의 핑거들(9a, 9b)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핑거들(9a, 9b)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러그(4)에 형성된 실린더형 프로파일의 힌지 핀들(7)의 각각의 쌍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들에서 굽혀진, 안경용 프레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부재(9)는 금속 시트의 형태로 제조되는, 안경용 프레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5)은 대응되는 러그(4)와 마주보는 상기 아암(5)의 자유 단부(5c)에 제공된 제3 관통 구멍(21)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워크에 관한 상기 아암의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회전과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한 회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아암(5)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3 관통 구멍(21)은 상기 대응되는 러그(4)로부터 돌출된 톱니(22)(tooth)에 의해 최소의 유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안경용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1 및 제2 구멍들(21, 16a, 11)은 상기 아암(5) 내에서 상기 아암의 자유 단부(5c)로부터 시작하여 서로 일직선이 되어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각기 연장되는, 안경용 프레임.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러그는, 인접하여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는 제1 얕은 부분(24)과 제2 얕은 부분(2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얕은 부분(24)과 제2 얕은 부분(25)은, 각각 상기 아암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에서, 대응되는 러그와 마주보는 상기 아암의 단부(5c)의 표면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아암의 움직임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상기 단부는 상기 러그의 제1 얕은 부분(24)과 제2 얕은 부분(25) 사이에 형성된 코너(26)(corner)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탱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코너에 대해 회전 병진 운동(rototranslatory motion)을 겪는, 안경용 프레임.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요소(15)는, 상기 아암(5)의 내측에 부착된, 나사가 형성된 부쉬(31)(threaded bush)의 내부로 나사 체결됨으로써 맞물리기에 적합한 나사가 형성된 스템(15')(threaded stem)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15')은 상기 아암의 외측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아암에 제공된 구멍을 통과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암(5)과 상기 유연성 부재(9) 사이에 미리 선택된 거리를 생성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유연성 부재에 가해지는 유연성을 위한 예비-하중을 조절하는, 안경용 프레임.
KR1020187027666A 2016-02-22 2017-02-08 안경용 프레임 KR102656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6A000923A ITUB20160923A1 (it) 2016-02-22 2016-02-22 Montatura per occhiali
IT102016000018058 2016-02-22
PCT/EP2017/052704 WO2017144272A1 (en) 2016-02-22 2017-02-08 Frame for specta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646A KR20180122646A (ko) 2018-11-13
KR102656539B1 true KR102656539B1 (ko) 2024-04-12

Family

ID=5609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666A KR102656539B1 (ko) 2016-02-22 2017-02-08 안경용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01235B2 (ko)
EP (1) EP3420403B1 (ko)
JP (1) JP6937765B2 (ko)
KR (1) KR102656539B1 (ko)
CN (1) CN109073912B (ko)
ES (1) ES2807024T3 (ko)
IT (1) ITUB20160923A1 (ko)
WO (1) WO20171442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5254A (en) * 1962-04-02 1964-08-18 Bausch & Lomb Ophthalmic mounting
US3923384A (en) * 1974-10-03 1975-12-02 Foster Grant Co Inc Self adjusting spectacle frame assembly
IT1172735B (it) * 1983-02-04 1987-06-18 Rino Sartor Cerniera elastica per astine di occhiali
JPH071616Y2 (ja) * 1990-09-12 1995-01-18 將人 竹内 眼鏡用の蝶番
FR2703477A1 (fr) * 1993-03-30 1994-10-07 Piard Gerard Charnière, notamment pour monture de lunettes.
US5959715A (en) * 1995-04-28 1999-09-28 Chevassus S.A. Resilient hinge for spectacles
JPH10133153A (ja) * 1996-10-30 1998-05-22 Shiyuuyuu: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2975361B1 (ja) * 1998-11-10 1999-11-10 株式会社タケダ企画 眼鏡用のバネ蝶番
FR2815728B1 (fr) * 2000-10-20 2003-12-26 Nouvelle Idc Internat Design C Charniere elastique sans vis pour montures de lunettes
US6585372B1 (en) * 2002-04-08 2003-07-01 Koji Nagayoshi Link structure between a temple arm and a bracket for eyeglasses
ITMI20030187U1 (it) * 2003-04-16 2004-10-17 Vecellio Creppe Elvia Cerniera per aste di occhiali
JP4469939B2 (ja) * 2005-07-21 2010-06-0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ファイバセンサ漏液検知装置
KR100704494B1 (ko) * 2005-11-30 2007-04-09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안경용 스프링 힌지
ITBL20070028A1 (it) * 2007-11-27 2009-05-28 Roberto Cargnel Montatura snodata di occhiali, con elementi assemblati per mezzo di filo
WO2012070907A2 (ko) * 2010-11-26 2012-05-31 Kim Young H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AT510581B1 (de) 2011-02-07 2012-05-15 Redtenbacher Praezisionsteile Ges M B H Federscharnier für eine brille
TWI407186B (zh) * 2011-08-19 2013-09-01 Eakau Internat Optical Electronic Co Ltd 眼鏡結構
ITMI20110413U1 (it) * 2011-12-23 2013-06-24 Visottica Ind Spa Montatura per occhiali provvista di una disposizione di astina bistabile e astina per tale montatura.
ES2758439T3 (es) * 2012-03-02 2020-05-05 Safilo S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Bisagra resiliente para gafas
US8827444B1 (en) * 2012-11-02 2014-09-09 Wing-Cheong Koo Screw-free connection structure for a frame and temples of eyeglasses
TWM470276U (zh) * 2013-09-06 2014-01-11 si-yi Zhang 鏡框與腳架無螺絲之銜接裝置
ITPD20130304A1 (it) * 2013-11-12 2015-05-13 Zione Occhiali S P A Montatura per occhiali
FR3022042B1 (fr) * 2014-06-06 2017-09-01 Jrl Monture de lunettes a branches amovibles clipse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4569A1 (en) 2019-03-28
CN109073912A (zh) 2018-12-21
US10901235B2 (en) 2021-01-26
KR20180122646A (ko) 2018-11-13
JP2019505851A (ja) 2019-02-28
ES2807024T3 (es) 2021-02-19
WO2017144272A1 (en) 2017-08-31
CN109073912B (zh) 2020-06-26
EP3420403B1 (en) 2020-05-06
JP6937765B2 (ja) 2021-09-22
EP3420403A1 (en) 2019-01-02
ITUB20160923A1 (it)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657B2 (ja) メガネ
JP6437081B2 (ja) 固定デバイス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20190271857A1 (en) Elastic hinge for spectacle frame temples, with locking clip engaged on the body of the carriage
JPH10133153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7085338B2 (ja) ブレスレットの長さの調節用装置
US4605293A (en) Spectacle frame with resilient hinges
KR102656539B1 (ko) 안경용 프레임
CN115245228A (zh) 表带和钟表
EP3394664B1 (en) Hinge for eyeglasses
KR102604772B1 (ko) 안경용 프레임
JPH10213781A (ja) 眼鏡のフレーム用の弾力性を備えたヒンジ
US10588384B2 (en) Device for the comfort-adjustment of the length of a bracelet
EP1524547B1 (en) Elastic hinge particularly for monobloc temples
CN112313562B (zh) 用于眼镜的柔性镜腿
JP4022564B1 (ja) 眼鏡
EP1726985A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JP3074704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20210000138U (ko) 안경용 프레임
JP3193712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09333Y1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IT201800002442A1 (it) Cerniera elastica per astine di montature di occhiali
ITTO970283A1 (it) Cerniera per occhiali
JP2003121798A (ja) メガネフレーム
ITPD980206A1 (it) Cerniera a doppio scatto per occhi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