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494B1 - 안경용 스프링 힌지 - Google Patents

안경용 스프링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494B1
KR100704494B1 KR1020050115975A KR20050115975A KR100704494B1 KR 100704494 B1 KR100704494 B1 KR 100704494B1 KR 1020050115975 A KR1020050115975 A KR 1020050115975A KR 20050115975 A KR20050115975 A KR 20050115975A KR 100704494 B1 KR100704494 B1 KR 10070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n
hinge
insertion groove
ca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Priority to KR102005011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494B1/ko
Priority to JP2006262951A priority patent/JP2007156428A/ja
Priority to US11/543,113 priority patent/US20070121061A1/en
Priority to CNA2006101422538A priority patent/CN1975512A/zh
Priority to DE102006048590A priority patent/DE102006048590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의 미미에 각기 구비되고 힌지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탄력수단(40)이 힌지핀(30) 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부재(10)와, 탄력수단(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캠이 형성되는 제2부재(20)로 이루어지고, 제1부재(10)는 힌지핀(3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일단부에 핀구멍(31)이 형성되고, 제2부재(20)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간에 일정 폭의 삽입공간이 절개되게 되며, 상기 삽입공간 사이의 면에 삽입홈(a)이 형성되어, 탄력수단(40)의 일단부가 삽입홈(a)에 끼워져 고정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이다.
탄력수단, 막대형 스프링, 캠, 회전부, 작동공간, 삽입공간, 윤활부재

Description

안경용 스프링 힌지{Eye glasses spring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용 스프링 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용 스프링 힌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용 스프링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부재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로 중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꺾을 때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로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로 중간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로 접은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꺾을 때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1부재의 삽입홈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제1부재 삽입홈의 경사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1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탄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탄력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탄력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삽입홈에 펀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부재 20 : 제2부재
30 : 회전핀 40 : 탄력수단
본 발명은 안경테의 미미와 안경다리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경다리를 탄력적으로 특정 위치에 유지시켜주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략하여 힌지의 크기를 대폭 줄여 주고, 그로 인해 안경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통상적으로 안경다리에 결합되는 세장형의 하우 징 내부에 코일형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에 소정 폭 직선운동을 하는 미끄럼 부재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안경테에 결합되는 장석에 상기 미끄럼 부재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되어, 안경다리를 펴거나 접을 때 일정 각도를 기점으로 하여 일정 방향성을 가지고 회전 이동되게 돼 접은 상태 또는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코일형 스프링이 장착되고 스프링에 미끄럼 부재 등이 별도의 하우징에 어셈블리 형태로 구비되는 구성이어서, 비교적 구성이 복잡하고 하우징이 돌출되어, 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조립공정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었으며, 설계상 제한이 따르는 단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힌지핀을 중심으로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 중 하나에 막대형 탄력수단을 장착하고, 상기 탄력수단에 탄지되는 캠을 상대 부재에 형성시켜 상기 양 부재와 연동되도록 되는 안경테의 미미와 안경다리가 탄력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1) 또는 안경테의 미미(end-piece)(2)에 각기 그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되는 것으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힌지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부재(10)에 막대형 탄력수단(40)이 힌지핀(30) 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고, 막대형 탄력수단 (40)의 돌출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캠(d)이 제2부재(20)에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각 일면이 안경다리(1) 또는 안경테의 미미(2)에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결합되어 안경다리(1)를 접거나 펼치면, 힌지핀(30)을 중심으로 제2부재(20)의 캠(d)이 힌지핀(30)의 동심원상으로 이동하게 되며, 캠(d)의 위치에 따라 막대형 탄력수단(40)과의 접촉상태가 변형되게 되어 제2부재(20)에 작용하는 탄력의 크기와 방향이 바뀌도록 하므로 안경다리(1)가 펼쳐지거나 접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부재(10)는 힌지핀(3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그 일단부에 핀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핀구멍(31) 동심원상의 외주면부를 가지는 한쌍의 회전부(b)가 형성되며, 제2부재(20)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 회전부(b) 사이에 일정 폭의 삽입공간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 사이의 경사면에 드릴링에 의한 삽입홈(a)이 형성되어, 막대형 탄력수단(40)의 일단부가 삽입홈(a)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부 저면에 안경다리(1) 또는 안경테의 미미(2) 쪽에 결합하기 위한 용접부(11)가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c)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10)는 삽입홈(a)의 전방에 구멍이 확대된 작동공간(32)을 형성하여 탄력수단(40)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대형 탄력수단(40)은 일정 탄발력을 가진 판형 스프링이 일정 경사를 가지고 굴절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요홈(41)이 형성되는 그 말단부가 제1부재(10)의 삽입홈(a)에 기밀하게 끼워지고, 그 선단부는 작동공간(32) 및 삽입공간 사이를 통해 일정 길이 돌출되며, 삽입홈(a)에 끼워진 말단부는 제1부재(10)의 결합부(c)에 돌출되게 형성된 용접부(11)를 점용접하면 삽입홈(a)의 내경 일부가 요홈(41) 쪽으로 함몰되어 축방향 및 횡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거나, 도 22에 도시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제1부재(10)의 결합부(c)인 저면을 펀칭하여 삽입홈(a)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요홈(41) 부위가 고정되어 축방향 및 횡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의 삽입공간 사이에서 힌지핀(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단부에 핀구멍(31)이 형성되고, 핀구멍(31) 동심원상으로 회전부(b')가 형성되며, 회전부(b')의 외주면 일부에 캠(d)이 형성된다.
또한, 그 타단부 저면에 제1부재(10)와 같이 안경다리(1) 또는 안경테의 미미(2) 쪽에 결합하기 위한 용접부(11')가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c')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회전부(b, b')가 각기 힌지핀(30)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제2부재(20)의 회전부(b')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캠(d)도 힌지핀(30)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며(도 6), 막대형으로 연장되는 탄력수단(40)의 상면을 따라 캠(d)이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막대형 탄력수단(40)은 탄력적으로 벤딩되게 되며, 캠(d)에 탄력적으로 미는 힘을 작용시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일정각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대 회전운동을 하게 하며(도 5, 도 7), 캠(d)이 일정 각도 회전되면, 제2부재 (20)의 회전부(b') 일측 혹은 타측에 탄력수단(40)의 선단이 접촉되어 그 저항력이 탄력수단(40)의 탄발력 보다 크게 되어 회전이 억제되게 된다.
도 8은 안경다리(1)가 펼쳐진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더 회전 이동시키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부재(20)의 회전부(b') 외주면 일정 각도에 위치되는 양쪽에 오목면(e,e')이 형성되고, 양 오목면(e, e')이 만나는 부위에 회전부(b')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캠(d)이 형성되며, 일측 오목면(e) 끝과 연속되는 타단부가 직각에 가까운 굴절면(f)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판형의 굽은 탄력수단(40)의 선단이 일측 오목면(e) 끝과 타단부가 연속되는 굴절면(f)에 밀착 가능하도록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부재(10) 또는 제2부재(20)에 일정 이상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캠(d)이 탄력수단(40)을 밀며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며(도 13), 캠(d)과 일측 오목면(e)의 끝에 탄력수단(40)이 접촉되면 회전이 제한되게 되며(도 12), 반대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면 동일한 원리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된 후 반대쪽 오목면(e') 끝과 캠(d)이 탄력수단(4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회전이 억제되게 된다(도 14).
한편,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결합부(c, c')가 동일한 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경우(도 15), 탄력수단(40)의 선단부 끝이 일측 오목부(e) 끝의 굴절면(f)에 걸려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탄력수단(40)의 반발력이 더 커지게 되며, 외력을 제거하면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는 결합부가 동일 선상에 있게 되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는 티타늄을 소재로 제조하는 경우는, 제1부재(10)의 양 회전부(b)의 내면과 제2부재(20)의 회전부(b') 양면에 세라믹과 같은 소재에 의해 코팅한 윤활부재(42)를 구비하여 마찰저항이 적도록 하고 마모율이 줄도록 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막대형 탄력수단(40)이 제1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홈(a)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부재(10)는 힌지핀(3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그 일단부에 핀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핀구멍(31) 동심원상의 외주면부를 가지는 한쌍의 회전부(b)가 형성되며, 제2부재(20)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 회전부(b) 사이에 일정 폭의 삽입공간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 사이의 경사면에 드릴링에 의한 삽입홈(a)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막대형 탄력수단(40)의 일단부가 삽입홈(a)에 경사지게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부 저면에 안경다리(1) 또는 안경테의 미미(2) 쪽에 결합하기 위한 용접부(11)가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c)가 형성된다.
도 18은 본 발명 제1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부재(10)에 형성되는 삽입홈(a)의 전방에 구멍이 확대된 작동공간(32)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막대형 탄력수단(40)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막대형 탄력수단(40)들은 일정 탄발력을 가진 판형 스프링 또는 봉형 스프링이 일정 경사를 가지고 굴절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대형 탄력수단(40) 말단부 외주면에 홈(41)이 형성되거나 요홈(41)이 형성된다.
도 23은 본 발명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안경다리(1)와 안경테의 미미(2)에 직접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에 막대형 탄력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탄력수단에 탄지되는 캠이 상대 부재인 제2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양 부재가 구비되는 안경테의 미미와 안경다리가 탄력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스프링 힌지로서의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가 대폭 줄어들도록 하며, 조립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설계상의 자유도가 높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 쪽에 구비되어 힌지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탄력수단(40)이 힌지핀(30) 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부재(10)와, 탄력수단(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캠(d)이 형성되는 제2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제1부재(10)는 힌지핀(3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일단부에 핀구멍(31)이 형성되고, 제2부재(20)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간에 일정 폭의 삽입공간이 절개되며, 상기 삽입공간 사이의 면에 삽입홈(a)이 형성되어, 탄력수단(40)의 일단부가 삽입홈(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3. 삭제
  4.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 쪽에 구비되어 힌지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탄력수단(40)이 힌지핀(30) 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부재(10)와, 탄력수단(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캠(d)이 형성되는 제2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탄력수단(40)은 일정 탄발력을 가진 판형 스프링 또는 봉형의 막대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그 말단부가 제1부재(10)의 삽입홈(a)에 기밀하게 끼워지고, 그 선단부는 삽입공간 사이를 통해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5.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 쪽에 구비되어 힌지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탄력수단(40)이 힌지핀(30) 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부재(10)와, 탄력수단(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캠(d)이 형성되는 제2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제2부재(20)의 회전부 외주면 일정 각도의 양쪽 위치에 오목면(e,e')이 형성되고, 양 오목면(e,e')이 만나는 부위에 캠(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6.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 쪽에 구비되어 힌지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탄력수단(40)이 힌지핀(30) 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부재(10)와, 탄력수단(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캠(d)이 형성되는 제2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는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의 미미(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7. 제 5항에 있어서, 오목면(e) 끝과 연속되는 타단부가 굴절면(f) 형태로 형성되고, 탄력수단(40)의 선단이 상기 굴절면(f)에 밀착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8. 제 2항에 있어서, 제1부재(10) 또는 제2부재(20)의 회전부에 윤활부재(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9.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삽입홈(a)에 끼워진 탄력수단(40)의 말단부는 제1부재(10)의 결합부(c)인 저면을 펀칭하여 삽입홈(a)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10. 제 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삽입홈(a)에 끼워진 탄력수단(40)의 말단부는 제1부재(10)의 결합부(c) 용접 결합시 삽입홈(a)의 내경이 안쪽으로 함몰되게 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20050115975A 2005-11-30 2005-11-30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070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975A KR100704494B1 (ko) 2005-11-30 2005-11-30 안경용 스프링 힌지
JP2006262951A JP2007156428A (ja) 2005-11-30 2006-09-27 メガネ用スプリングヒンジ
US11/543,113 US20070121061A1 (en) 2005-11-30 2006-10-05 Spring hinge for eyeglasses
CNA2006101422538A CN1975512A (zh) 2005-11-30 2006-10-10 用于眼镜的弹簧铰链
DE102006048590A DE102006048590A1 (de) 2005-11-30 2006-10-13 Federscharnier für Brill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975A KR100704494B1 (ko) 2005-11-30 2005-11-30 안경용 스프링 힌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65U Division KR200409333Y1 (ko) 2005-11-30 2005-11-30 안경용 스프링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494B1 true KR100704494B1 (ko) 2007-04-09

Family

ID=380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975A KR100704494B1 (ko) 2005-11-30 2005-11-30 안경용 스프링 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21061A1 (ko)
JP (1) JP2007156428A (ko)
KR (1) KR100704494B1 (ko)
CN (1) CN1975512A (ko)
DE (1) DE1020060485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233A (ko) * 2014-06-11 2015-12-22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211699B1 (ko) * 2020-09-02 2021-02-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1252B2 (en) 2007-05-04 2021-07-13 E-Vision, Llc Hinge for electronic spectacles
US8979259B2 (en) 2010-07-02 2015-03-17 Mitsui Chemicals, Inc.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US8905541B2 (en) 2010-07-02 2014-12-09 Mitsui Chemicals, Inc. Electronic spectacle frames
US8801174B2 (en) 2011-02-11 2014-08-12 Hpo Assets Llc Electronic frames comprising electrical conductors
US10613355B2 (en) 2007-05-04 2020-04-07 E-Vision, Llc Moisture-resistant eye wear
US8944590B2 (en) 2010-07-02 2015-02-03 Mitsui Chemicals, Inc. Electronic spectacle frames
ITMI20080586A1 (it) * 2008-04-04 2009-10-05 Comotec S A Cerniera a posizioni stabili per occhiali.
US20100177277A1 (en) * 2009-01-09 2010-07-15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spectacles and associated electronics
DE102009048496A1 (de) * 2009-08-28 2011-03-03 Reiner Wagner Brille, Vorrichtung mit einem Brillenelement und einem Scharnierteil,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Scharnierteils auf einem Brillenelement
FR2952443B1 (fr) * 2009-11-10 2012-04-20 Surfolding Sas Lunettes a branches a rappel elastique
WO2012003500A2 (en) * 2010-07-02 2012-01-05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EP3264163A1 (en) 2011-08-17 2018-01-03 Mitsui Chemicals, Inc. Moisture-resistant electronic spectacle frames
US9134544B2 (en) 2013-06-24 2015-09-15 Mac Technologies Limited Eyeglasses and frames therefor
ITUB20160923A1 (it) * 2016-02-22 2017-08-22 Safilo S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Montatura per occhiali
CN110007481B (zh) * 2017-11-28 2022-05-17 维索蒂加工业股份公司 用于眼镜框架的弹性铰链以及用于处理该铰链铰接螺丝的方法
JP1613803S (ko) * 2017-12-07 2018-09-18
KR102497666B1 (ko) * 2017-12-28 2023-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D900921S1 (en) * 2019-05-14 2020-11-03 Wen-Tse HUANG Eyeglass magnet connection
USD900922S1 (en) * 2019-05-14 2020-11-03 Wen-Tse HUANG Eyeglass magnet connection
US11662609B2 (en) 2020-01-31 2023-05-30 Bose Corporation Wearable audio device with cable-through hinge
US11513366B2 (en) * 2020-01-31 2022-11-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with double-detent hinge
WO2021211336A1 (en) * 2020-04-17 2021-10-21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with double-detent hinge
CN112130343A (zh) * 2020-10-21 2020-12-25 深圳市深科创投科技有限公司 一种弹性开合机构和带弹性开合机构的眼镜
CN112099236A (zh) * 2020-10-30 2020-12-18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22A (ja) * 1989-06-02 1991-01-14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コンパイルリスト出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495A (en) * 1989-05-26 1991-04-23 Williams Robert D Hinge for eyeglasses
JP3966609B2 (ja) * 1998-04-07 2007-08-29 川本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ヒンジ
US6776484B2 (en) * 2001-03-05 2004-08-17 Salvatore Tribuiani Pair of spectacles with automatic bow opening mechanism
US7108372B2 (en) * 2004-12-22 2006-09-19 High Rainbow Ent. Co., Ltd. Eyeglasses assembly with elastic temp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22A (ja) * 1989-06-02 1991-01-14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コンパイルリスト出力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00662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233A (ko) * 2014-06-11 2015-12-22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02698B1 (ko) * 2014-06-11 2016-03-11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211699B1 (ko) * 2020-09-02 2021-02-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48590A1 (de) 2007-06-21
CN1975512A (zh) 2007-06-06
US20070121061A1 (en) 2007-05-31
JP2007156428A (ja)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494B1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EP2357509B1 (en) Eyeglass frame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47789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N111796435A (zh) 应用于眼镜的新型眼镜脚组件
KR200409333Y1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151667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JP4798936B2 (ja) 眼鏡フレーム、丁番、眼鏡及び丁番の製造方法
KR102604772B1 (ko) 안경용 프레임
CN112334817B (zh) 铰链组件及眼镜架
JP6648016B2 (ja) 眼鏡フレーム
JP3188168U (ja) 眼鏡フレーム
US7077518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JP4022564B1 (ja) 眼鏡
US20190265511A1 (en) Hinge for a spectacles frame comprising at least one internal end stop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2038216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833891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KR200270191Y1 (ko) 티탄 소재 안경 힌지의 탄력 절첩구조
KR10260557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3702383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