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233A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233A
KR20150142233A KR1020140070637A KR20140070637A KR20150142233A KR 20150142233 A KR20150142233 A KR 20150142233A KR 1020140070637 A KR1020140070637 A KR 1020140070637A KR 20140070637 A KR20140070637 A KR 20140070637A KR 20150142233 A KR20150142233 A KR 2015014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spring
eyeglass frame
hinge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698B1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4007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69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의 끝에 철심형 스프링이 장착되어 안경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핀을 지지하면서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탄력적인 단속 감을 주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다리가 회전 이동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질때 탄력적인 단속 감을 주는 구성을 갖으면서, 안경다리가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회전 중심인 회전핀이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간편하며, 별도의 고정수단인 나사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가 끼워지도록 되는 안경테(1)의 양측 끝 부분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안경다리(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 내부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작동공간(a)의 후면이 외부로 개방되며, 작동공간(a)의 후면 쪽에 안경다리(2)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어 후면 개방부 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프링(2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3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면 개구부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로 이루어져,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탄력적인 단속 감을 줄뿐 아니라, 안경다리가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회전핀이 스프링에 지지되는 구조여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도록 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고 외관이 간결하며 조립도 간편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이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OF SPECTACLE FRAME FOR TEMPLE}
본 발명은 안경테의 끝에 철심형 스프링이 장착되어 안경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핀을 지지하면서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탄력적인 단속 감을 줄뿐 아니라 안경다리가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회전핀 중간이 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안경다리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렌즈가 결합 되는 안경테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로 구성되는바, 상기한 안경테 및 안경다리는 합성수지재 또는 두꺼운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한 안경다리는 안경테에 설치된 힌지를 통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안경을 착용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펴고 안경을 보관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힌지는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한 힌지부재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나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힌지는 오랜 기간 안경을 사용할 때 힌지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안경다리가 헐거워져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안경다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힌지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교체함으로써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힌지부재를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구성이 복잡하고 안경제작이 번거롭고 용접부위의 파손으로 인한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번호 : 200250419 KR 등록번호 : 10114961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다리가 회전 이동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질때 탄력적인 단속 감을 주는 구성을 갖으면서, 안경다리가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회전 중심인 회전핀이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간편하며, 별도의 고정수단인 나사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가 끼워지도록 되는 안경테의 양측 끝 부분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안경다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작동공간의 후면이 외부로 개방되며, 작동공간의 후면 쪽에 안경다리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하로 회전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와; 안경테 힌지부의 작동공간 내부에 장착되어 후면 개방부 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프링과; 안경테 힌지부의 회전구멍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과; 안경테 힌지부의 후면 개구부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안경다리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의 끝 부분이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경다리가 스프링에 의해 탄발력을 받아 접거나 펼칠 때 탄력적인 단속 감을 줄뿐 아니라 안경다리가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회전핀이 스프링에 지지되는 구조여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도록 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고 외관이 간결하고 조립도 간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안경테 힌지부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안경다리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소정각도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외측으로 더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의 회전핀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제3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3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제4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의 안경다리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 제4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의 회전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제5실시 예의 회전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 제5실시 예의 안경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8는 본 발명 제6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전핀의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제7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제8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 제9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 제9실시 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 제9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 제9실시 예의 안경다리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 제9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 제9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외측으로 더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 제10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 제10실시 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 제10실시 예의 회전핀이 회전구멍과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 제10실시 예의 회전핀이 관통구멍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 제10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 제10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 제10실시 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외측으로 더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 제10실시 예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 일측 상하로 회전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작동공간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힌지부의 회전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의 일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과; 상기 힌지부의 상하 회전구멍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되는 제2힌지부가 통상의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가 끼워지도록 되는 안경테(1)의 양측 끝 부분이 후방으로 굴절 되게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안경다리(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 내부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작동공간(a)의 전면과 후면 및 내측이 외부로 개방되며, 작동공간(a)의 후면 쪽에 안경다리(2)의 선단이 삽입되는 확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개부가 위치되는 연장부 끝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어 후면 확개부 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프링(2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일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3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상하 회전구멍(b)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방 및 내측 개방부를 통해 작동공간(a) 내부에 스프링(20)을 장착하고, 안경다리 힌지부(40)를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면 회전구멍(b) 사이에 삽입한 다음, 회전구멍(b)으로 회전핀(30)을 삽입시키면 회전핀(30) 중간의 홈이 안경다리 힌지부(40) 중간의 절개부를 통해 노출되어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회전핀(30)의 중간 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경다리 힌지부(40)가 회전핀(30)에 의해 안경테 힌지부(10)에 연결되어 회전핀(3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회전핀(30) 중간이 스프링(2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20)은 탄성을 갖는 금속이 다중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 절곡부가 안경테 힌지부(10)의 작동공간(a) 전면 개구부에 기밀하게 끼워지고, 후반 절곡부가 작동공간(a) 내에서 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장착된다.
안경다리 힌지부(40)는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면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안경다리(2)의 전면에 내측으로 치우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고, 중간 절개부와 연계하여 안경다리(2) 전면과 직각의 제1스프링 접촉면(c)이 형성되고,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직각 위치에 제2스프링 접촉면(d)이 형성되며,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은 회전핀(30)의 외주면과 회전핀(30) 중간 홈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경다리(2)를 펼쳤을 때 도 5와 같이 스프링(20)의 후단 절곡부가 제1스프링 접촉면(c)에 수평하게 접촉되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과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안경다리(2)를 접기 시작하면 도 6과 같이 스프링(20)에 접촉된 제1스프링 접촉면(c)이 벗어나 스프링(20)의 끝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으면 도 7과 같이, 스프링(20)의 후단부가 제2스프링 접촉면(d)에 스프링(20) 후단부가 수평하게 접촉되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과 틈새가 벌어지게 된다.
즉 안경다리(2)를 회전 이동시키면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에 의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에 접촉되는 스프링(20)의 탄발력이 가변되어 단속 감을 갖도록 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거나 펼친 상태에서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최대가 되어 접거나 펼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8은 안경다리(2)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펼치기 위해 소정각도 회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스프링(20)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보이며, 도 9는 안경다리(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소정각도 더 회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 연결부의 종단면도로 회전핀(30)의 중간 홈에 스프링(2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회전핀(30')의 중간에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에 각기 수평을 이루는 직각 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안경다리(2)를 접거나 펼쳤을 때 스프링(20)이 회전핀(30')의 양 직각 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안경다리(2)를 회전 이동시키면 회전핀(30')의 양 직각 면이 만나는 모서리 쪽으로 이동할수록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회전핀(30')의 양 직각 면이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에 각기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억지 끼움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하여 안경다리(2)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은 제3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걸림턱을 갖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쪽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말단부가 장착되고, 걸림턱에 중간이 지지되며, 전면 개방부 쪽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3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개구부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안경테(1')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테 힌지부(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방 개방부를 통해 작동공간(a') 내부에 스프링(20')의 말단부가 고정나사(21)에 의해 고정되고, 안경테 힌지부(10')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회전구멍(b') 사이에 삽입한 다음, 회전구멍(b')으로 회전핀(30)을 삽입시키면 회전핀(30) 중간의 홈이 안경테 힌지부(10') 중간의 절개부를 통해 노출되어 스프링(20')의 선단이 회전핀(30)의 중간 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안경테 힌지부(10')가 회전핀(30)에 의해 안경다리 힌지부(40')에 연결되어 회전핀(3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회전핀(30) 중간이 스프링(2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안경테 힌지부(10')는 안경테(1')의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고, 중간 절개부와 연계하여 안경다리(2')가 펼쳐졌을때 스프링(20') 선단이 접촉되는 제1스프링 접촉면(c')이 형성되고,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직각 위치에 제2스프링 접촉면(d')이 형성되며,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은 회전핀(30)의 외주면과 회전핀(30) 중간 홈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경다리(2')를 펼쳤을 때 도 17과 같이 스프링(20')의 선단 절곡부가 제1스프링 접촉면(c')에 수평하게 접촉되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과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안경다리(2')를 접기 시작하면 스프링(20')에 접촉된 제1스프링 접촉면(c')이 벗어나 스프링(20')의 끝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으면 도 18과 같이, 스프링(20')의 선단부가 제2스프링 접촉면(d')에 스프링(20') 선단부가 수평하게 접촉되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과 틈새가 벌어지게 된다.
즉, 안경다리(2')를 회전 이동시키면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에 의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에 접촉되는 스프링(20')의 탄발력이 가변되어 단속 감을 갖도록 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거나 펼친 상태에서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최대가 되어 접거나 펼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걸림턱을 갖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말단부가 장착되고, 걸림턱에 중간이 지지되며, 전면 개방부 쪽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돌출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내측 후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상하에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회전구멍(b")이 형성되며, 상면의 구멍에 회전핀(30")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테(1")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키 역할을 하는 머리부가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안경다리(2")는 선단부 내면에 스프링(20')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나사(21)가 작동공간(a')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회전핀(30")의 중간 홈은 스프링(20')의 선단이 접촉되는 내면과 전면에 직각에 준하는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방 개방부를 통해 작동공간(a') 내부에 스프링(20')을 장착하고,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면 개구부에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선단 돌출부를 삽입한 다음, 회전구멍(b')과 관통구멍(e')으로 회전핀(30")을 삽입시키면 회전핀(30") 중간의 홈에 스프링(20')의 선단이 탄지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회전핀(30")의 머리부가 안경테 힌지부(10")의 상부 키홈에 끼워져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안경다리(2")를 펼쳤을 때, 도 21과 같이 스프링(20')의 선단부가 회전핀(30")의 중간 홈 내측 면과 접촉되고, 안경다리(2")를 접기 시작하면 도 22와 같이 스프링(20')이 각진 회전핀(30") 중간의 모서리를 미끄럼 이동하여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게 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으면 도 23과 같이, 스프링(20')의 선단부가 회전핀(30")의 전면 홈에 수평하게 접촉된다.
즉, 안경다리(2")를 회전 이동시키면 회전핀(30")의 중간 홈 외주면에 접촉되는 스프링(20')의 탄발력이 가변되어 단속 감을 갖도록 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거나 펼친 상태에서 스프링(20')의 탄발력이 회전핀(30")의 홈에 작용하여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6과 도 27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방 개구부에 형성되는 회전구멍(b")이 상부는 회전핀(30')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회전핀(30') 하단부가 관통되는 원형 단면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회전핀(30'") 중간 외주면의 홈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후방으로 굴절되는 안경테(1)의 양측 끝 부분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작동공간(a)의 전면과 후면 및 내측이 외부로 개방되며, 작동공간(a)의 후면 상하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어 후단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프링(2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안경다리(2) 선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상부와 하부에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되고 관통구멍(e')과 통하는 회전구멍(b")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회전구멍(b")에 각이진 키홈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안경테 힌지부(10'")의 관통구멍(e')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후단부가 탄지되는 직각에 준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 회전구멍(b")의 키홈에 삽입되어 키 역할을 하는 머리부가 상단부에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이루어진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걸림턱을 갖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쪽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회전구멍(b")에 키홈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말단부가 장착되고, 걸림턱에 중간이 지지되며, 전면 개방부 쪽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회전구멍(b")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박판으로 형성되는 안경테(1')의 끝 부분의 상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하 절곡부에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통하는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안경테 힌지부(10')의 관통구멍(e')에 관통되게 체결되도록 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지되도록 직각의 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키홈에 끼워져 회전을 제한하는 머리부가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이루어진다.
도 31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외측면에 작동공간(a")과 통하는 개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각기 동심원의 회전핀(30")이 유격을 갖고 관통 가능한 장홈 형태의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는 말단부가 개방홈(22)으로 돌출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보다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선단부가 내측으로 더 벌어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돌출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후면이 개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상하에 회전구멍(b")이 형성되며, 상면의 회전구멍(b")에 키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테(1")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삽입되고, 안경다리 힌지부(40")의 돌출부 관통구멍(e")에 중간 외주면이 유격을 두고 관통되며,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내측판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키 역할을 하는 머리부가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9실시 예는 안경다리(2'")를 펼쳤을 때, 도 33과 같이 스프링(20")의 선단부가 회전핀(30")의 중간 홈 내측 면과 접촉되고, 안경다리(2'")를 접기 시작하면 도 34와 같이 스프링(20")이 각진 회전핀(30") 중간의 모서리를 미끄럼 이동하여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게 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으면 도 35와 같이, 스프링(20")의 선단부가 회전핀(30")의 전면 홈에 수평하게 접촉된다.
이때 회전핀(30")은 스프링(20")의 탄발력으로 인해 안경다리(2'") 전면 돌출부의 관통구멍(e") 일측에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안경다리(2'")가 펼쳐진 상태에서 안경다리(2'")를 소정각도 외측으로 더 회전 이동시키면 도 36과 같이, 안경다리(2'") 전면 돌출부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핀(30")이 관통구멍(e")의 타측에 밀착되어 안경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안경다리가 뒤로 젖혀지게 된다.
도 37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경테(1'") 말단부에 돌출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 동심원의 회전핀(30)이 유격을 갖고 관통 가능한 장홈 형태의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안경다리(2'") 선단부에 전면이 개방되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작동공간(a")과 통하는 개방홈(22)이 형성되고, 개방되는 전면 상하에 각기 회전구멍(b)이 일직선 상에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지지되고,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중간 외주면이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 관통구멍(e'")에 유격을 두고 관통되는 회전핀(30)과;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는 말단부가 개방홈(22)으로 돌출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선단부가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는 도 3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2'")를 안경테(1'")에 결합하면 스프링(20")의 선단부는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 외측면에 접촉되고, 회전핀(30)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안경테 힌지부(10'")의 직경이 큰 관통구멍(e'")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핀(30)이 회전구멍(b)과 직경이 큰 관통구멍(e'")에 삽입되면 도 4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20")의 탄력으로 인해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회전핀(30")이 직경이 작은 관통구멍(e'")의 외측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도 44와 같이 회전핀(30)이 안경테 힌지부(10'")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안경다리(2'")를 접기 시작하면 도 41과 같이 스프링(20")이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 모서리를 미끄럼 이동하여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게 되며, 안경다리(2'")를 완전히 접으면 도 42와 같이, 스프링(20")의 선단부가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 전면에 수평하게 접촉된다.
한편, 안경다리(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안경다리(2'")를 소정각도 외측으로 더 회전 이동시키면 도 43과 같이, 스프링(20)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며 좀더 외측으로 벌어져 안경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안경다리가 뒤로 젖혀지게 된다.
1, 1', 1" : 안경테 2, 2', 2" : 안경다리
10, 10', 10", 10'" : 안경테 힌지부 20, 20' : 스프링
21 : 고정나사 22 : 개방홈
30, 30', 30" : 회전핀 40, 40', 40", 40'" : 안경다리 힌지부
a, a', a" : 작동공간 b, b', b" : 회전구멍
c, c' : 제1스프링 접촉면 d, d' : 제2스프링 접촉면
e, e', e", e;" : 관통구멍

Claims (10)

  1. 렌즈가 끼워지도록 되는 안경테(1)의 양측 끝 부분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안경다리(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 내부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작동공간(a)의 후면이 외부로 개방되며, 작동공간(a)의 후면 쪽에 안경다리(2)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어 후면 개방부 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프링(2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3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후면 개구부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안경다리 힌지부(40)는 안경다리(2)의 전면에 내측으로 치우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고, 중간 절개부와 연계하여 안경다리(2) 전면과 직각의 제1스프링 접촉면(c)이 형성되고,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직각 위치에 제2스프링 접촉면(d)이 형성되며,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은 회전핀(30)의 외주면과 회전핀(30) 중간 홈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핀(30')의 중간에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제1스프링 접촉면(c)과 제2스프링 접촉면(d)에 각기 수평을 이루는 직각 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억지 끼움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하여 안경다리(2)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4. 렌즈가 끼워지도록 되는 안경테의 양측 끝 부분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안경다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작동공간(a')의 전면 쪽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말단부가 장착되고, 걸림턱에 중간이 지지되며, 전면 개방부 쪽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3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개구부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안경테(1')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간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테 힌지부(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5.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걸림턱을 갖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말단부가 장착되고, 걸림턱에 중간이 지지되며, 전면 개방부 쪽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돌출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내측 후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상하에 회전핀(30")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회전구멍(b")이 형성되며, 상면의 구멍에 회전핀(30")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테(1")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키 역할을 하는 머리부가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회전핀(30")의 중간 홈은 스프링(20')의 선단이 접촉되는 내면과 전면에 직각에 준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7. 후방으로 굴절되는 안경테(1)의 양측 끝 부분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작동공간(a)의 후면 상하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각기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어 후단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프링(20)과;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안경다리(2) 선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상부와 하부에 관통구멍(e')과 통하는 회전구멍(b")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회전구멍(b")에 각이진 키홈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안경테 힌지부(10'")의 관통구멍(e')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후단부가 탄지되는 직각에 준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 회전구멍(b")의 키홈에 삽입되어 키 역할을 하는 머리부가 상단부에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8.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걸림턱을 갖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쪽에 상하로 회전구멍(b")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회전구멍(b")에 키홈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말단부가 장착되고, 걸림턱에 중간이 지지되며, 전방 쪽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회전구멍(b") 사이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박판으로 형성되는 안경테(1')의 끝 부분의 상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하 절곡부에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통하는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과 안경테 힌지부(10')의 관통구멍(e')에 관통되게 체결되도록 되고,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끝 부분이 탄지되도록 직각의 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키홈에 끼워져 회전을 제한하는 머리부가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9. 안경다리(2'") 선단부 내부에 작동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이 개방되며, 외측면에 작동공간(a")과 통하는 개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a")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장홈 형태의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는 말단부가 개방홈(22)으로 돌출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선단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과;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전면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후면이 개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상하에 회전구멍(b")이 형성되며, 안경테(1'") 말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삽입되고, 중간이 안경다리 힌지부(40")의 돌출부 관통구멍(e")에 관통되며, 그 중간 외주면에 스프링(20")의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홈이 각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핀(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10. 안경테(1'") 말단부에 돌출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 동심원의 회전핀(30)이 유격을 갖고 관통 가능한 장홈 형태의 관통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테 힌지부(10'")와;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안경다리(2'") 선단부에 전면이 개방되는 작동공간(a")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작동공간(a")과 통하는 개방홈(22)이 형성되고, 개방되는 전면 상하에 각기 회전구멍(b)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힌지부(40'")와; 안경다리 힌지부(40'")의 회전구멍(b)에 상하 양단이 지지되고,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중간 외주면이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 관통구멍(e'")에 유격을 두고 관통되는 회전핀(30)과; 상기 안경다리 힌지부(40'")의 작동공간(a") 내부에 장착되는 말단부가 개방홈(22)으로 돌출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선단부가 안경테 힌지부(10'")의 돌출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140070637A 2014-06-11 2014-06-11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0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37A KR101602698B1 (ko) 2014-06-11 2014-06-11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37A KR101602698B1 (ko) 2014-06-11 2014-06-11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33A true KR20150142233A (ko) 2015-12-22
KR101602698B1 KR101602698B1 (ko) 2016-03-11

Family

ID=5508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37A KR101602698B1 (ko) 2014-06-11 2014-06-11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6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17B1 (ko) * 2017-04-21 2018-10-26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
KR20190008039A (ko) * 2017-07-14 2019-01-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IT201700103499A1 (it) * 2017-09-15 2019-03-15 Moody Easyview Srl Cerniera per occhiali
KR102211699B1 (ko) * 2020-09-02 2021-02-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210103713A (ko) 2020-02-14 2021-08-24 박찬영 금속제 전용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힌지 연결을 위한 결합구조
KR20220055165A (ko) * 2020-10-26 2022-05-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220112443A (ko) * 2021-02-04 2022-08-11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394B1 (ko) 2019-04-09 2020-06-10 전진오 안경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07Y1 (ko) * 2000-03-08 2000-09-01 김형식 안경 힌지구조
KR200250419Y1 (ko) 2001-07-04 2001-11-16 김영호 스프링이 내장된 안경용 힌지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20031145A (ko) * 2002-04-02 2002-04-26 공병석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0704494B1 (ko) * 2005-11-30 2007-04-09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1149618B1 (ko) 2010-07-08 2012-05-31 우선구 안경다리의 탄성 구조
KR20120115657A (ko) * 2011-04-11 2012-10-19 박영화 안경다리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07Y1 (ko) * 2000-03-08 2000-09-01 김형식 안경 힌지구조
KR200250419Y1 (ko) 2001-07-04 2001-11-16 김영호 스프링이 내장된 안경용 힌지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20031145A (ko) * 2002-04-02 2002-04-26 공병석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0704494B1 (ko) * 2005-11-30 2007-04-09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1149618B1 (ko) 2010-07-08 2012-05-31 우선구 안경다리의 탄성 구조
KR20120115657A (ko) * 2011-04-11 2012-10-19 박영화 안경다리 연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17B1 (ko) * 2017-04-21 2018-10-26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
KR20190008039A (ko) * 2017-07-14 2019-01-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IT201700103499A1 (it) * 2017-09-15 2019-03-15 Moody Easyview Srl Cerniera per occhiali
KR20210103713A (ko) 2020-02-14 2021-08-24 박찬영 금속제 전용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힌지 연결을 위한 결합구조
KR102211699B1 (ko) * 2020-09-02 2021-02-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220055165A (ko) * 2020-10-26 2022-05-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220112443A (ko) * 2021-02-04 2022-08-11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698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9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296022B1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연결구조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2013010275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84278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80095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50144522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41757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90011148A (ko) 박판형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60108990A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241505B1 (ko) 박판의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
JP3198464U (ja) 半縁なし眼鏡フレームと眼鏡レンズとの連結構造及び眼鏡
KR101540755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40049753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연결구조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KR10189284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193419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90083048A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1574557B1 (ko) 안경다리 힌지 접속장치
KR200483698Y1 (ko) 안경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