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192B1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192B1
KR101934192B1 KR1020170062351A KR20170062351A KR101934192B1 KR 101934192 B1 KR101934192 B1 KR 101934192B1 KR 1020170062351 A KR1020170062351 A KR 1020170062351A KR 20170062351 A KR20170062351 A KR 20170062351A KR 101934192 B1 KR101934192 B1 KR 10193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yeglass
pin
hin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046A (ko
Inventor
신상호
Original Assignee
신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호 filed Critical 신상호
Priority to KR102017006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1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으로 형성되는 안경테 양측 엔드플레이트에 박판의 안경다리 선단이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기능이 더 고급스러울 뿐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주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다리를 접었을 때 안경테에 밀착되어 부피를 대폭 줄임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높이고, 렌즈 조합 및 안경다리 조립 과정이 쉽고 간단하도록 하며,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안경테(1) 양측에 각기 외측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 내주연까지 가는 절개부(slit)(c)가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10)와; 엔드플레이트(10)에 밀착되는 부위인 선단부가 굴절되어 선단부 중앙에 관통구멍(d)이 형성되고, 선단부 외곽에 한 쌍의 판스프링(31)이 분할 구비되어 관통구멍(d)과 선단 외곽인 판스프링(31) 사이에 동심 원호 상으로 작동공간(e)이 구비되며, 관통구멍(d) 외곽을 이루는 작동공간(e) 안쪽 연부 동심원상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걸림턱(h)이 구비되고, 걸림턱(h)과 일정 각도 차를 두고 맞은 편인 판스프링(31) 내면에 탄성돌기(i)가 구비되는 안경다리(30)와; 안경다리(30) 선단부 관통구멍(d)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엔드플레이트(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핀(21)과; 안경다리(30) 선단부의 작동공간(e)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안경다리(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걸림턱(h)과 탄성돌기(i)에 접촉되어 마찰저항이 증가하도록 하는 고정핀(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s and temples}
본 발명은 박판으로 형성되는 안경테 양측 엔드플레이트에 박판의 안경다리 선단이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기능이 더 고급스러울 뿐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주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가 결합 되는 부분인 안경테와, 안경테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로 구성되는바, 상기한 안경테 및 안경다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한 안경다리는 안경테에 설치된 힌지를 통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안경을 착용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펴고 안경을 보관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안경다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힌지를 중심으로 안경테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접힘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힌지는 안경다리와 안경테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재와, 상기한 힌지부재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가 얼굴 형태에 맞게 약간 굴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다리를 접어도 안경테와 밀착되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안경 전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보관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경테의 엔드플레이트에 안경다리 선단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면으로 연결되는 종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는, 안경테의 양측이 상하로 분할되게 구성되고, 분할된 상하 측부에 각기 외측 후방으로 돌출되는 엔드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엔드플레이트 끝에 각기 구멍이 형성되어, 상하 엔드플레이트의 두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어셈블리에 안경다리 선단부가 면으로 접촉되는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는 안경테 내주면에 렌즈가 물리도록 하고, 상하로 분할된 엔드플레이트 구멍이 서로 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힌지를 구멍에 관통시켜 결합하는 구성이어서, 안경테를 제작하는 공정도 비교적 복잡하고, 렌즈 조합 및 상하 엔드플레이트 결합 과정 또한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KR 등록번호 : 10-11491990000 KR 등록번호 : 10-1180586000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다리를 접었을 때 안경테에 밀착되어 부피를 대폭 줄임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높이고, 렌즈 조합 및 안경다리 조립 과정이 쉽고 간단하도록 하며,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안경테 양측에 각기 외측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 내주연까지 가는 절개부(slit)가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부위인 선단부가 굴절되어 선단부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선단부 외곽에 한 쌍의 판스프링이 분할 구비되어 관통구멍과 선단 외곽인 판스프링 사이에 동심 원호 상으로 작동공간이 구비되며, 관통구멍 외곽을 이루는 작동공간 안쪽 연부 동심원상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걸림턱이 구비되고, 걸림턱과 일정 각도 차를 두고 맞은 편인 판스프링 내면에 탄성돌기가 구비되는 안경다리와; 안경다리 선단부 관통구멍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엔드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핀과; 안경다리 선단부의 작동공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안경다리의 회전 각도에 따라 걸림턱과 탄성돌기에 접촉되어 마찰저항이 증가하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는 절개부를 구비한 안경테로 인해 렌즈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구성이 단순하여 그 제작 및 설계 자유도를 높여주며,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조립과정이 간편하도록 하고, 안경다리의 판스프링 역할이 회전이동을 탄력적으로 억제하여 접은 상태와 펼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하방으로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 양측에 각기 외측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끝 부분 중앙에 힌지구멍(a)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핀구멍(b)이 형성되며,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 내주연까지 절개되어 안경테(1) 내경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가는 절개부(slit)(c)가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10)와; 엔드플레이트(10)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나사(23)가 결합되도록 되는 나사홈이 구비된 힌지핀(21)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상부에 고정핀(22)이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힌지핀(21)이 힌지구멍(a)을 관통하고, 고정핀(22)이 핀구멍(b)을 관통하도록 되는 힌지판(20)과; 엔드플레이트(10)의 내측면에 와셔(24)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는 것으로, 밀착되는 부위인 선단부가 굴절되어 선단부 중앙에 힌지핀(2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d)이 형성되고, 관통구멍(d)과 선단 외곽 사이에 동심 원호 상으로 작동공간(e)이 형성되어 작동공간(e)을 관통하는 고정핀(22)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안경다리(30)와; 안경다리(30)의 선단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힌지핀(21)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고정나사(23)가 외측에서 삽입되는 체결구멍(f)이 중앙에 형성되고, 고정핀(22)이 삽입되는 고정구멍(g)이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판(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안경다리(30)의 선단부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공간(e) 외곽을 이루는 상하 외곽 중간이 분할되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판스프링(31)으로 이루어지며, 작동공간(e)에는 고정핀(22)에 대한 상대적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h)이 관통구멍(d) 외곽을 이루는 안쪽 연부 동심원상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h)과 일정 각도 차를 두고 맞은 편인 판스프링(31) 내면에 각기 고정핀(22)에 대한 상대적 회전이동을 억제하는 탄성돌기(i)가 구비된다.
이러한 안경다리(30)는 작동공간(e) 외곽을 형성하는 판스프링(31)이 고정핀(22)과의 상대적인 접촉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복원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엔드플레이트(10) 외측에서 힌지판(20)의 힌지핀(21)과 고정핀(22)을 끼우고, 엔드플레이트(10) 내측으로 돌출된 힌지핀(21)과 고정핀(22)에 와셔(24)를 끼운 다음, 안경다리(30) 선단부를 결합시키며, 안경다리(30) 선단부를 관통한 힌지핀(21)과 고정핀(22)이 고정판(40)의 체결구멍(f)과 고정구멍(g)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나사(23)를 체결구멍(f)으로 삽입해 힌지핀(21)의 나사홈에 체결하면 안경다리(30) 선단부가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30)를 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엔드플레이트(10)와 안경다리(30) 선단부가 일정 각도로 굴절되는 구성이어서, 일정각도 회전하면 안경테(1)에 접혀지는 상태가 되고,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안경다리(30)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때 안경다리(30)의 작동공간(e) 내에서 고정핀(22)은 안경다리(30) 선단부와 접촉상태가 변하게 되는데, 안경다리(30)를 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키면, 고정핀(22)이 먼저 탄성돌기(i)에 접촉되어 마찰저항이 증가하게 되며, 그 마찰저항 이상의 힘으로 계속 밀면 안경다리(30)의 선단부를 이루는 판스프링(31)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며 더 이동하게 되고, 바로 걸림턱(h)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30)의 위치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경테(1)에 완전히 접혀지는 상태가 되며, 벌어졌던 판스프링(31)이 다시 복원되어 고정핀(22)에 의해 상대적으로 이동이 억제되므로 접혀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안경다리(30)를 회전 이동시키면 고정핀(22)에 탄지된 판스프링(31)이 벌어지면서 도 9와 같이 이동하다가 안경다리(30)가 완전히 펼쳐질 즈음 반대쪽 탄성돌기(i)에 고정핀(22)이 접촉되어 마찰저항이 증가하게 되며, 그 마찰저항 이상의 힘으로 계속 밀면 판스프링(31)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며 더 이동하게 되고, 이어 걸림턱(h)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3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되며, 벌어졌던 판스프링(31)이 다시 복원되어 고정핀(22)의 상대적 이동이 억제되므로 펼쳐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경다리(30)가 완전히 펼쳐지거나 완전히 접히는 과정에서 마찰저항의 변화로 인해 작동 상의 단속 감을 주어 접거나 펼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1) 상하를 당기면 가는 절개부(c)가 함께 탄력을 갖고 벌어져 렌즈를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와셔(24)는 힌지판(20)의 힌지핀(21)과 고정핀(22)이 통과하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원형 판으로 형성된다.
고정판(40)의 체결구멍(f)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핀(21)이 삽입되는 쪽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고정나사(23)가 삽입되는 쪽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중간에 단턱이 형성되며, 그로 인해 힌지핀(21)의 삽입 정도가 일정한 위치로 제한되게 된다.
1 : 안경테 10 : 엔드플레이트
20 : 힌지판 21 : 힌지핀
22 : 고정핀 23 : 고정나사
24 : 와셔 30 : 안경다리
31 : 판스프링 40 : 고정판
a : 힌지구멍 b : 핀구멍
c : 가는 절개부 d : 관통구멍
e : 작동공간 f : 체결구멍
g : 고정구멍 h : 걸림턱
i : 탄성돌기

Claims (3)

  1. 삭제
  2.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 양측에 각기 외측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끝 부분 중앙에 힌지구멍(a)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핀구멍(b)이 형성되며,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 내주연까지 절개되어 안경테(1) 내경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가는 절개부(slit)(c)가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10)와; 엔드플레이트(10)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나사(23)가 결합되도록 되는 나사홈이 구비된 힌지핀(21)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상부에 고정핀(22)이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힌지핀(21)이 힌지구멍(a)을 관통하고, 고정핀(22)이 핀구멍(b)을 관통하도록 되는 힌지판(20)과; 엔드플레이트(10)의 내측면에 와셔(24)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는 것으로, 밀착되는 부위인 선단부가 굴절되어 선단부 중앙에 힌지핀(2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d)이 형성되고, 관통구멍(d)과 선단 외곽 사이에 동심 원호 상으로 작동공간(e)이 형성되어 작동공간(e)을 관통하는 고정핀(22)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안경다리(30)와; 안경다리(30)의 선단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힌지핀(21)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고정나사(23)가 외측에서 삽입되는 체결구멍(f)이 중앙에 형성되고, 고정핀(22)이 삽입되는 고정구멍(g)이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판(40)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안경다리(30)는 작동공간(e) 외곽을 이루는 상하 외곽 중간이 분할되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판스프링(31)으로 이루어지며, 작동공간(e)에는 고정핀(22)에 대한 상대적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h)이 관통구멍(d) 외곽을 이루는 안쪽 연부 동심원상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h)과 일정 각도 차를 두고 맞은 편의 판스프링(31) 내면에 각기 고정핀(22)에 대한 상대적 회전이동을 억제하는 탄성돌기(i)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판(40)은 힌지핀(21)이 삽입되는 구멍과 힌지핀(21) 끝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나사(23)가 삽입되는 구멍의 직경이 상이하여, 단턱을 갖는 체결구멍(f)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170062351A 2017-05-19 2017-05-1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93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51A KR101934192B1 (ko) 2017-05-19 2017-05-1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51A KR101934192B1 (ko) 2017-05-19 2017-05-1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46A KR20180127046A (ko) 2018-11-28
KR101934192B1 true KR101934192B1 (ko) 2018-12-31

Family

ID=6456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351A KR101934192B1 (ko) 2017-05-19 2017-05-1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1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46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60269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296022B1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연결구조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3188234U (ja) ネジ無し眼鏡
KR10184278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41757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11187919B2 (en) Temple assembly for spectacles and the spectacles
KR10180095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93419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151667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7002557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60108990A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JP3198464U (ja) 半縁なし眼鏡フレームと眼鏡レンズとの連結構造及び眼鏡
JP2004524588A (ja) 眼鏡フレーム、丁番、眼鏡及び丁番の製造方法
KR20140035106A (ko) 안경 장석의 회전구조
JP3188168U (ja) 眼鏡フレーム
KR1020995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89284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21497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2215224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JP3090155U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装置
KR20190083048A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