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576A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576A
KR20170025576A KR1020150122232A KR20150122232A KR20170025576A KR 20170025576 A KR20170025576 A KR 20170025576A KR 1020150122232 A KR1020150122232 A KR 1020150122232A KR 20150122232 A KR20150122232 A KR 20150122232A KR 20170025576 A KR20170025576 A KR 2017002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eyeglass
elastic plate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5012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576A/ko
Publication of KR2017002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때 탄력적인 단속감을 주어 쉽게 안경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핀이 탄성에 의해 걸려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때 탄력적인 단속감을 주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탄성에 의해 안경다리와 안경테를 결합시키고 안경다리를 회전시켜주는 힌지핀이 빠지지 않도록 하여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간편하며, 별도의 고정수단인 나사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A)에 일측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힌지공(1)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2)와, 상기한 힌지(2)의 일단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안경다리(B)의 끼움홈(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탄성판(4)과, 상기한 끼움홈(3)에 삽입된 힌지(2)의 힌지공(1)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관통공(5)과, 상기한 관통공(5) 및 힌지공(1)에 삽입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가운데 부분에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되어 탄성판(4)에 의해 힌지공(1)과 걸림부(6)가 밀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힌지핀(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OF SPECTACLE FRAME FOR TEMPLE}
본 발명은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때 탄력적인 단속감을 주어 쉽게 안경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핀이 탄성에 의해 걸려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렌즈가 결합 되는 안경테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안경테 및 안경다리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한 안경다리는 안경테에 설치된 힌지를 통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안경을 착용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펴고 안경을 보관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힌지는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한 힌지부재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나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힌지는 오랜 기간 안경을 사용할 때 힌지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안경다리가 헐거워져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안경다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힌지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교체함으로써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힌지부재를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구성이 복잡하고 안경제작이 번거롭고 용접부위의 파손으로 인한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번 : 100616031000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칠때 탄력적인 단속감을 주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탄성에 의해 안경다리와 안경테를 결합시키고 안경다리를 회전시켜주는 힌지핀이 빠지지 않도록 하여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간편하며, 별도의 고정수단인 나사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에 일측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와, 상기한 힌지의 일단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안경다리의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탄성판과,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된 힌지의 힌지공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한 관통공 및 힌지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가운데 부분에 직경이 작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탄성판에 의해 힌지공과 걸림부가 밀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힌지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사이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판을 위치시킨 후 힌지에 탄성을 인가하도록 하여 힌지핀의 걸림부가 힌지공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힌지에 형성된 각진 단속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금속제 안경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금속제 안경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금속제 안경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제5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A)에 일측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힌지공(1)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2)와, 상기한 힌지(2)의 일단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안경다리(B)의 끼움홈(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탄성판(4)과, 상기한 끼움홈(3)에 삽입된 힌지(2)의 힌지공(1)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관통공(5)과, 상기한 관통공(5) 및 힌지공(1)에 삽입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가운데 부분에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되어 탄성판(4)에 의해 힌지공(1)과 걸림부(6)가 밀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힌지핀(7)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힌지(2)와 끼움홈(3)의 사이에 탄성판(4)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7)을 관통공(5) 및 힌지공(1)에 삽입시키게 되면, 탄성판(4)에 의해 안경다리(B)와 힌지(2)가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힌지공(1) 내주면이 힌지핀(7)의 걸림부(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결과적으로는 힌지핀(7)이 힌지공(1) 내주면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힌지핀(7)이 힌지공(1)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면, 종래와 같이 나사가 필요없이 쉽게 안경다리(B)와 안경테(A)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힌지공(1)에는 힌지핀(7)의 걸림부(6)가 걸리도록 오목부(8)가 연속 형성되어 있는 바, 안경다리(B)의 회전 시 힌지핀(7)이 오목부(8)와 힌지공(1)을 타고 넘어가면서 회전하게 되어 안경다리(B)가 일정 각도씩 단속감있게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힌지(2)를 다르게 실시한 도면으로서, 힌지(2)의 선단부에 직각 부분인 단속부(9)를 형성하여, 탄성판(4)이 단속부(9)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안경다리(B)가 급격히 접히거나 급격히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도로서, 안경다리(B)의 끼움홈(3)에 안착홈(10)을 형성하고, 상기한 안착홈(10)에 밀착되도록 직사각형태의 탄성편(11)을 끼운 후 힌지(2)가 탄성편(11)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탄성편(11)이 도 1에서의 탄성판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탄성편(11)과 안착홈(10)으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단순하게 안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4, 5 실시예로서, 금속 안경테에 적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인 바, 도 8은 안경테(C)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공(12)이 형성된 힌지(13)와, 상기한 힌지공(12)과 일치되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된 고정구(15)와, 상기한 관통공(14)과 힌지공(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된 힌지핀(7)과, 상기한 고정구(15)의 관통공(14) 형성부분이 관통되도록 안경다리(D)에 형성된 절개홈(16) 및 상기한 힌지(13)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탄성판(17)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고정구(15)의 돌출된 부분인 관통공(14) 형성부분이 안경다리(D)의 절개홈(16)을 통해 삽입되어 힌지공(12)과 관통공(14)이 일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탄성판(17)이 힌지(13)에 밀착되면서 고정구(15)와 힌지(13)를 벌어지도록 하게 됨으로써, 안경다리(D)와 안경테(C)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안경테(C)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공(12)이 형성된 힌지(13)와, 상기한 힌지공(12)과 일치되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된 고정구(15)와, 상기한 관통공(1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된 힌지핀(7)과, 상기한 힌지(13)에 일단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안경다리(D)에 형성된 결합공(18)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된 탄성판(19)과, 상기한 고정구(15)의 관통공(14) 형성부분이 관통되도록 안경다리(D)에 형성된 절개홈(16)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0은 안경테(C)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공(12)이 형성된 힌지(13)와, 상기한 힌지공(12)과 일치되도록 관통공(20)이 형성되고 안경다리(D)에서 연장 형성된 돌출부(21)와, 상기한 관통공(20)과 힌지공(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된 힌지핀(7)과, 상기한 힌지(12)에 밀착되어 탄성을 인가하도록 안경다리(D)에 형성된 탄성판(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서 안경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힌지(2)를 안경테(A)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시킨 후, 탄성판(4)을 안경다리(B)의 끼움홈(3)에 삽입시켜 탄성판(4)이 힌지(2)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안경다리(B)를 가압하여 관통공(5)과 힌지공(1)이 일치되도록 한다.
관통공(5)과 힌지공(1)이 일치되면 힌지핀(7)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게 되고, 안경테(A)와 안경다리(B)의 결합 시 탄성판(4)의 탄성에 의해 힌지(2)가 뒤로 밀려 힌지핀(7)의 걸림부(6)가 힌지공(1)의 내주면 형성된 오목부(8)에 밀착되게 된다.
힌지공(1)의 오목부(8)에 힌지핀(7)의 걸림부(6)가 밀착되면 힌지핀(7)이 상하방향으로는 빠지지 않게 걸리게 되는 것인 바, 안경다리(B)와 안경테(A)가 쉽게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안경다리(B)와 안경테(A)가 결합되면 안경다리(B)를 접거나 펼치게 되는 바, 안경다리(B)가 회전하면 힌지핀(7)이 오목부(8)에서 이탈하여 힌지공(1)의 내주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단속감을 주게 되고 다시 오목부(8)에 안착되도록 되어 안경다리(B)가 일정 각도씩 단속감있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부분인 단속부(9)를 형성하게 되면 안경다리(B)를 접거나 펼친 위치에서 안경다리(B)가 정지하게 되고, 안경다리(B)를 회전시켜 단속부(9)의 직각 부분인 모서리부를 지나도록 하면 안경다리(B)가 단속감을 주면서 보다 쉽게 안경다리가 급격하게 접혀지거나 급격하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탄성편(11)과 안착홈(10)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바, 탄성편(11)을 안경다리(B)의 안착홈(10)에 삽입시킨 후 힌지핀(7)을 결합시키면 안경의 조립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1, 12: 힌지공 2, 13: 힌지
3: 끼움홈 4, 17, 19, 22: 탄성판
5, 14, 20: 관통공 6: 걸림부
7: 힌지핀 8: 오목부
9: 단속부 10: 안착홈
11: 탄성편 15: 고정구
16: 절개홈 18: 결합공
21: 돌출부

Claims (7)

  1.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A)에 일측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힌지공(1)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2)와, 상기한 힌지(2)의 일단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안경다리(B)의 끼움홈(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탄성판(4)과, 상기한 끼움홈(3)에 삽입된 힌지(2)의 힌지공(1)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관통공(5)과, 상기한 관통공(5) 및 힌지공(1)에 삽입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가운데 부분에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되어 탄성판(4)에 의해 힌지공(1)과 걸림부(6)가 밀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힌지핀(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2.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A)에 일측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힌지공(1)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2)와, 상기한 안경다리(B)의 끼움홈(3)에 형성된 안착홈(10)과, 상기한 안착홈(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힌지(2)가 밀착되어 탄성을 인가하도록 형성된 직사각형태의 탄성편(11)과, 상기한 끼움홈(3)에 삽입된 힌지(2)의 힌지공(1)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관통공(5)과, 상기한 관통공(5) 및 힌지공(1)에 삽입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가운데 부분에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되어 탄성판(4)에 의해 힌지공(1)과 걸림부(6)가 밀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힌지핀(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3. 금속 안경테(C)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공(12)이 형성된 힌지(13)와, 상기한 힌지공(12)과 일치되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된 고정구(15)와, 상기한 관통공(14)과 힌지공(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된 힌지핀(7)과, 상기한 고정구(15)의 관통공(14) 형성부분이 관통되도록 금속 안경다리(D)에 형성된 절개홈(16) 및 상기한 힌지(13)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탄성판(1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4. 금속 안경테(C)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공(12)이 형성된 힌지(13)와, 상기한 힌지공(12)과 일치되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된 고정구(15)와, 상기한 관통공(1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된 힌지핀(7)과, 상기한 힌지(13)에 일단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안경다리(D)에 형성된 결합공(18)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된 탄성판(19)과, 상기한 고정구(15)의 관통공(14) 형성부분이 관통되도록 안경다리(D)에 형성된 절개홈(1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5. 금속 안경테(C)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공(12)이 형성된 힌지(13)와, 상기한 힌지공(12)과 일치되도록 관통공(20)이 형성되고 안경다리(D)에서 연장 형성된 돌출부(21)와, 상기한 관통공(20)과 힌지공(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작은 걸림부(6)가 형성된 힌지핀(7)과, 상기한 힌지(12)에 밀착되어 탄성을 인가하도록 안경다리(D)에 형성된 탄성판(2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공(1, 12)에는 힌지핀(7)의 걸림부(6)가 회전시 걸리면서 회전하도록 오목부(8)가 연속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2)에 직각 부분인 단속부(9)를 형성하여 탄성판이 단속부(9)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안경다리(B)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150122232A 2015-08-29 2015-08-2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70025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232A KR20170025576A (ko) 2015-08-29 2015-08-2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232A KR20170025576A (ko) 2015-08-29 2015-08-2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576A true KR20170025576A (ko) 2017-03-08

Family

ID=5840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232A KR20170025576A (ko) 2015-08-29 2015-08-29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5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19B1 (ko) * 2020-01-06 2020-03-25 주식회사 마스카 안경
CN111665636A (zh) * 2020-06-19 2020-09-15 联想(北京)有限公司 转动连接组件及ar眼镜
KR20220055165A (ko) * 2020-10-26 2022-05-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220162357A (ko) * 2021-06-01 2022-12-08 손진균 렌즈림조정구와 일체로 되는 안경경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31B1 (ko) 2005-08-10 2006-08-28 이희문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힌지부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31B1 (ko) 2005-08-10 2006-08-28 이희문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힌지부 보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19B1 (ko) * 2020-01-06 2020-03-25 주식회사 마스카 안경
CN111665636A (zh) * 2020-06-19 2020-09-15 联想(北京)有限公司 转动连接组件及ar眼镜
KR20220055165A (ko) * 2020-10-26 2022-05-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220162357A (ko) * 2021-06-01 2022-12-08 손진균 렌즈림조정구와 일체로 되는 안경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557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60945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0269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84278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64666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80095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9298018B2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69060Y1 (ko) 고글 렌즈를 이용한 클립안경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20150003956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테
KR20150004511U (ko) 고글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190063506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228931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TWI516826B (zh) glasses
KR10189284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70075472A (ko)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KR20060116788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