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472A -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472A
KR20170075472A KR1020150185162A KR20150185162A KR20170075472A KR 20170075472 A KR20170075472 A KR 20170075472A KR 1020150185162 A KR1020150185162 A KR 1020150185162A KR 20150185162 A KR20150185162 A KR 20150185162A KR 20170075472 A KR20170075472 A KR 2017007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engaging
frame
engaging portion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300B1 (ko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15018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3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나사(6)로 연결되는 안경테(F)와 안경다리(T)의 구조를 변경하여 조립 및 수리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함과 아울러 안경다리(T)의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한 것으로, 안경테(F) 양측 끝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1)와, 상기한 안경다리(T)의 종단에 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2)와, 상기한 제1, 2결합부(1,2)의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1결합부(1)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9)과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고정시키며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을 가압시 탄성이 형성되는 아암부(4)와 타단이 제2결합부(2)에 삽입고정되는 몸체(5)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로 구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의 아암부(4)는 상하 선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1)의 삽입홈(9)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제1결합부(1)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회전부재(10)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안경테(F)의 내벽과 회전부재(10) 사이에 판 힌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는 아암부(4) 사이에 일정 강도를 넘어서는 압력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S AND TEMPLES}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나사로 연결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구조를 변경하여 조립 및 수리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함과 아울러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렌즈가 결합되는 안경테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는바, 힌지로 결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착용할 때는 다리를 펴고, 보관할 때는 안경다리를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힌지는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한 힌지부재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나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힌지는 일정 기간 사용시에 반복 운동에 의해 힌지 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힌지 나사가 풀림에 따라서 안경다리가 헐거워져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이로 인해 안경다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안경다리의 탈부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었으며, 금속제인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힌지부재를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안경제작이 번거롭고 용접부위의 파손으로 인한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번호 : 200250419 KR 등록번호 : 10114961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흰지부재를 통해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힌지부재를 용접으로 결합시키지 않으며, 안경다리를 안경테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여 구성이 단순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해지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테 양측 끝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한 안경다리의 종단에 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한 제1, 2결합부의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1결합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고정시키며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을 가압시 탄성이 형성되는 아암부와 타단이 제2결합부에 삽입고정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아암부는 상하 선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의 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회전부재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안경테의 내벽과 회전부재 사이에 판 힌지가 형성된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는 아암부 사이에 일정 강도를 넘어서는 압력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안경다리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아암부의 각 선단부 중앙에 부착되어 제1결합부의 삽입홈에 결합 및 회전 자제하도록 링 형태 혹은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안경테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안경다리에 형성된 제2결합부에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면 안경다리와 안경테가 결합됨과 아울러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바,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구성을 단순화하며,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하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판 힌지가 회전부재와 안경테 사이에 형성되어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회전수단과 다리가 마모되어 헐거워지지 않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의 안경다리를 펼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의 안경다리를 접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경테(F) 양측 끝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1)와, 상기한 안경다리(T)의 종단에 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2)와, 상기한 제1, 2결합부(1,2)의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1결합부(1)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9)과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고정시키며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을 가압시 탄성이 형성되는 아암부(4)와 타단이 제2결합부(2)에 삽입고정되는 몸체(5)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로 구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의 아암부(4)는 상하 선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1)의 삽입홈(9)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제1결합부(1)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회전부재(10)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안경테(F)의 내벽과 회전부재(10) 사이에 판 힌지(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안경테(F)와 안경다리(T)에 각각 형성된 제1, 2결합부(1,2)에 결합부재(3)의 양단이 위치됨과 아울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됨으로써, 안경다리(T)가 안경테(F)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3)는 아암부(4) 사이에 일정 강도를 넘어서는 압력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압부재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스프링 쐐기(11) 형태로 이루어져 아암부(4) 사이의 간격이 일정량 이상 좁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5)는 안경다리(T)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나사(6)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수용홈(7)이 형성되어 안경다리(T)에 형성된 나사공(8)을 통해 상기 안경다리(T)와 함께 나사(6)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3)는 안경다리(T)에 고정될 때 나사(6)를 사용하지 않고 본딩재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아암부(4)의 각 선단부 중앙에 부착되어 제1결합부(1)의 개방되는 홈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9)에 결합 및 회전 자제하도록 구성되되,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링 형태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경테(F)는 회전부재(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판 힌지(12)가 탄력적으로 회전부재(10)에 밀리도록, 판 힌지(12)와 내벽이 마주하는 면에 일정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3)를 안경테(F)와 안경다리(T)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1, 2결합부(1,2)에 결합부재(3)를 삽입시킨다.
상기 결합부재(3)는 아암부(4)의 선단부 회전부재(10)를 수용하여 상하부를 서로 좁혀지도록 가압한 후에 안경테(F)의 삽입홈(9)에 위치하여 가압한 아암부(4)를 놓음으로써, 안경테(F)와 결합되며, 결합부재(3)의 몸체(5)를 안경다리(T)의 제2결합부(2)에 삽입시킨 후, 일치된 안경다리(T)의 나사공(8)과 결합부재(3)의 나사(6)수용공을 관통하는 나사(6)로 고정시키는 바, 안경테(F)와 안경다리(T)가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경다리(T)는 안경테(F)에 결합되어 제1결합부(1)의 삽입홈(9)에 끼워진 회전부재(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T)와 안경테(F)를 결합부재(3)로 결합시켜 사용하면 안경다리(T)가 마모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안경다리(T)를 안경테(F)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는 아암부(4)를 눌러 회전부재(10)에서 분리시키거나, 안경다리(T)의 나사(6)를 풀면 되므로 간단한 분해조립이 가능하다.
F : 안경테 T : 안경다리
1 : 제1결합부 2 : 제2결합부
3 : 결합부재 4 : 아암부
5 : 몸체 6 : 나사
7 : 나사수용홈 8 : 나사공
9 : 삽입홈 10 : 회전부재
11 : 스프링 쐐기 12 : 판 힌지

Claims (5)

  1. 안경테(F) 양측 끝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1)와, 상기한 안경다리(T)의 종단에 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2)와, 상기한 제1, 2결합부(1,2)의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1결합부(1)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9)과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고정시키며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을 가압시 탄성이 형성되는 아암부(4)와 타단이 제2결합부(2)에 삽입고정되는 몸체(5)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로 구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의 아암부(4)는 상하 선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1)의 삽입홈(9)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제1결합부(1)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회전부재(10)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안경테(F)의 내벽과 회전부재(10) 사이에 판 힌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는 아암부(4) 사이에 일정 강도를 넘어서는 압력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3. 제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는 안경다리(T)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나사(6)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수용홈(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4. 안경테(F) 양측 끝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1)와, 상기한 안경다리(T)의 종단에 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2)와, 상기한 제1, 2결합부(1,2)의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1결합부(1)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9)과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고정시키도록 "ㄷ" 자형으로 형성되되 상하 선단부가 삽입홈(9) 방향으로 돌출되어 양단을 가압시 탄성이 형성되는 아암부(4)와 타단이 제2결합부(2)에 삽입고정되며 안경다리(T)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나사(6)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수용홈(7)이 형성된 몸체(5)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로 구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회전부재(10)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안경테(F)의 내벽과 회전부재(10) 사이에 판 힌지(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는 아암부(4) 사이에 일정 강도를 넘어서는 압력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5. 제2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아암부(4)의 각 선단부 중앙에 부착되어 제1결합부(1)의 삽입홈(9)에 결합 및 회전 자제하도록 링 형태 혹은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150185162A 2015-12-23 2015-12-23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KR10179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62A KR101798300B1 (ko) 2015-12-23 2015-12-23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62A KR101798300B1 (ko) 2015-12-23 2015-12-23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472A true KR20170075472A (ko) 2017-07-03
KR101798300B1 KR101798300B1 (ko) 2017-12-12

Family

ID=5935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162A KR101798300B1 (ko) 2015-12-23 2015-12-23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19B1 (ko) * 2020-01-06 2020-03-25 주식회사 마스카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19B1 (ko) * 2020-01-06 2020-03-25 주식회사 마스카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300B1 (ko)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49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60945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46832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64666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798300B1 (ko)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KR2017002557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90033761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1540755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101883670B1 (ko) 안경용 림과 엔드피스의 조립구조
KR20140049377A (ko) 안경용 힌지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20190083048A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2195381B1 (ko) 금속박판안경용 경첩
KR20190001945U (ko)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71547Y1 (ko) 디자인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안경의 다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