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45U -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45U
KR20190001945U KR2020180000360U KR20180000360U KR20190001945U KR 20190001945 U KR20190001945 U KR 20190001945U KR 2020180000360 U KR2020180000360 U KR 2020180000360U KR 20180000360 U KR20180000360 U KR 20180000360U KR 20190001945 U KR20190001945 U KR 201900019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ectacle
spectacle frame
len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2020180000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945U/ko
Publication of KR20190001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테와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용 보조테의 두께를 얇게 설계할 수 있도록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안경용 보조테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 및 렌즈가 견고하게 결합 되고, 제품의 단가도 낮아지게 되며, 안경용 보조테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안경의 외관이 심플 하면서도 심미감이 더해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에 안경의 다리가 연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중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a)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안경테(10)와; 안경테(10)의 내주면 결합홈(a)에 밀착되면서 안경테(10)의 외곽이 수용되는 수납홈(b)이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안경테(10)의 내주면과 같은 형태의 렌즈결합홈(c)이 형성되어, 내주면 렌즈결합홈(c)에 렌즈(20)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안경용 보조테(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The combination of frames and the auxiliary spectacle frame structure}
본 고안은 안경테와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용 보조테의 두께를 얇게 설계할 수 있도록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와 이러한 렌즈를 고정하는 안경테, 그리고 안경테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안경은 안경테와 렌즈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고, 또한 안경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안경을 교체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 안경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경용 보조테로 선출원된 제20-2000-0011995호는 얇은 두께의 안경테와 렌즈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도 안경테의 심미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안경테를 교환하지 않고도 안경의 외관미 변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안경용 보조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고 휨이 가능한 각형 바(Bar)의 외주연에 두께가 얇게 형성된 안경테(11)의 내주연부가 끼워지도록 안경테(11)의 두께에 대응되는 안경테결합홈(13a)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연에는 렌즈(12)의 돌출 외곽부가 결합되도록 렌즈결합홈(13b)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안경용 보조테(13)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안경용 보조테는 각형 바의 안경테가 끼워지도록 안경용 보조테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의 저면과, 안경용 보조테의 내주연에 렌즈가 끼워지는 렌즈결합홈의 상면 사이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져 제품 단가가 높아지거나 상기 두께로 인한 외관이 미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199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안경용 보조테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 및 렌즈가 견고하게 결합 되고, 제품의 단가도 낮아지게 되며, 안경용 보조테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안경의 외관이 심플 하면서도 심미감이 더해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에 안경의 다리가 연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중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안경테와; 안경테의 내주면 결합홈에 밀착되면서 안경테의 외곽이 수용되는 수납홈이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안경테의 내주면과 같은 형태의 렌즈결합홈이 형성되어, 내주면 렌즈결합홈에 렌즈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안경용 보조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안경테의 내주면과 렌즈 사이에 끼워지는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 및 렌즈가 견고하게 결합 되고, 제품의 단가도 낮아지게 되며, 안경의 외관이 심플 하면서도 심미감이 더해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6은 종래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에 안경의 다리가 연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중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a)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안경테(10)와; 안경테(10)의 내주면 결합홈(a)에 밀착되면서 안경테(10)의 외곽이 수용되는 수납홈(b)이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안경테(10)의 내주면과 같은 형태의 렌즈결합홈(c)이 형성되어, 내주면 렌즈결합홈(c)에 렌즈(20)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안경용 보조테(3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안경테(10)의 결합홈(a)은 내주면 중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 상하가 중심을 향해 경사면으로 되는 오목홈으로 형성되며, 안경용 보조테(30)의 수납홈(b)은 중간에 안경테(10)의 결함홈(a)에 밀착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비교적 얇은 안경테(10) 내주면에 비교적 탄성 변형이 용이한 안경용 보조테(30)의 외주면이 끼워져, 안경용 보조테(30)의 수납홈(b)에 안경테(10)의 내주면 및 외곽부가 기밀하게 밀착되게 되며, 안경용 보조테(30)의 내주면 렌즈결합홈(c)에 렌즈(20)의 외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안경테(10)의 내주면과 렌즈(20)가 끼워지는 안경용 보조테(30)의 내주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안경테(10)의 내주면과 렌즈(20) 사이의 안경용 보조테(30) 두께를 적정 두께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안경용 보조테(30)의 전체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10 : 안경테 20 : 렌즈
30 : 안경용 보조테 a : 결합홈
b : 수납홈 c : 렌즈결합홈

Claims (1)

  1. 양측에 안경의 다리가 연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중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a)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안경테(10)와; 안경테(10)의 내주면 결합홈(a)에 밀착되면서 안경테(10)의 외곽이 수용되는 수납홈(b)이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안경테(10)의 내주면과 같은 형태의 렌즈결합홈(c)이 형성되어, 내주면 렌즈결합홈(c)에 렌즈(20)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안경용 보조테(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KR2020180000360U 2018-01-24 2018-01-24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KR201900019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60U KR20190001945U (ko) 2018-01-24 2018-01-24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60U KR20190001945U (ko) 2018-01-24 2018-01-24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45U true KR20190001945U (ko) 2019-08-01

Family

ID=6758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360U KR20190001945U (ko) 2018-01-24 2018-01-24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9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371A (ko) * 2020-08-18 2022-02-25 김식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995U (ko) 1998-12-11 2000-07-05 이정일 안경용 보조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995U (ko) 1998-12-11 2000-07-05 이정일 안경용 보조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371A (ko) * 2020-08-18 2022-02-25 김식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US20170097518A1 (en) Eyeglasses with changeable fram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US10401642B2 (en) Eyeglasses having simulated monolithic lens
KR20190001945U (ko)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KR20110010877U (ko)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US10606102B2 (en) Magnetic connection structure of a spectacle frame for solid connection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70005593A (ko) 안경테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JP2014002386A (ja) 非定形の眼鏡フレーム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0888547B1 (ko) 안경
KR20120033370A (ko) 접는 안경
KR101798300B1 (ko)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102206631B1 (ko) 안경
CN219417919U (zh) 一种镜框可拆分更换的眼镜
CN217213368U (zh) 一种多功能眼镜
CN212694195U (zh) 一种双层镜片眼镜
KR200415602Y1 (ko) 원상 복귀용 접철수단이 구비된 안경
TWM550414U (zh) 眼鏡組裝結構
CN202263356U (zh) 结合太阳镜片之泳镜结构
KR101062269B1 (ko) 안경용 힌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