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71A -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371A
KR20220022371A KR1020200103472A KR20200103472A KR20220022371A KR 20220022371 A KR20220022371 A KR 20220022371A KR 1020200103472 A KR1020200103472 A KR 1020200103472A KR 20200103472 A KR20200103472 A KR 20200103472A KR 20220022371 A KR20220022371 A KR 2022002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im
weight
manufactur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612B1 (ko
Inventor
김식
Original Assignee
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식 filed Critical 김식
Priority to KR102020010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frames for spec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38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림(11)의 측단면이 휘어지게 형성된 안경테를 구비한 후, 상기 림(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보조림금형을 구비한 다음, 상기 캐비티(110)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원료를 넣어 보조림(30)을 제조하는 보조림 제조단계(S100); 상기 보조림(20)의 휘어짐과 대응되게 일측면이 휘어지도록 형성된 캐비티를 가지는 플레이트제조금형을 구비한 후,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소재를 넣고, 플레이트(30)를 사출하는 플레이트사출단계(S200); 사출된 상기 플레이트(30)를 렌즈가공장치로 고정한 후, 원하는 크기로 적살 및 연마하여 렌즈(31)를 가공하는 렌즈가공단계(S300); 가공된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1코팅단계(S400); 가공된 렌즈(31)를 광학 및 충격검사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코팅단계(S500); 상기 제1,2코팅단계(S500, S600)에서 코팅된 보조림 및 렌즈를 실온 또는 건조장치에 넣어서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0); 상기 코팅된 렌즈(31)를 상기 코팅된 보조림(20)의 내측에 끼움하는 끼움단계(S700);로 이루어짐으로, 플레이트(30)를 초기 제작시 휘어지게 형성하여 렌즈(31) 가공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됨과 아울러, 이러한 렌즈(31)를 보조림(20) 또는 안경테(10) 림(11)에 끼움할 시, 정밀한 고정이 가능하여 사용 중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uxiliary rim for eyeglass frames with improved lens bonding}
본 발명은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림에 별도의 보조림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림에 끼워지는 렌즈를 가공 시, 렌즈의 소재가 되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를 굴곡지게 형성하여 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렌즈의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림에 결합 시, 이탈없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렌즈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안경렌즈는 유리,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수정의 네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안경렌즈는 가공 후 안경테의 림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안경렌즈는 안경판매처의 요청에 따라 그 재질, 크기, 두께가 결정되기 마련인데, 현재까지 안경렌즈를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를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고정시켜서 가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안경렌즈 가공방법은 최초 상기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가 휘어져 있는 상태가 아닌 직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안경렌즈를 원하는 형태로 정교한 가공이 어려웠으며, 이렇게 가공된 안경렌즈를 안경테의 림에 끼움 시, 끼워지지 않거나, 끼워진다고 하더라도 정교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들이 사용 중 상기 안경렌즈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고, 심지어 안경렌즈가 이탈됨과 동시에 낙하되어 파손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안경렌즈를 가공 시, 안경판매점에서 판매되는 안경테의 림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안경테의 림에 삽입되어 정교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안경렌즈를 정밀 가공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이용하여 정밀가공하나, 이 또한 최초 안경렌즈를 가공하기 위해 사출성형되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가 휘어지지 않고 직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모든 안경렌즈가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907384호(특) 안경 렌즈 가공기에 구비된 프레임 리더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의 가공 형상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안경 렌즈의 가공 형상에 따라, 안경 렌즈 가공기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단계; 안경 렌즈 가공기에 구비된 상기 프레임 리더를 이용하여, 가공된 안경 렌즈의 형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 렌즈의 가공 형상 데이터와 상기 가공된 안경 렌즈의 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얻고, 얻어진 차이값에 따라, 안경 렌즈 가공기의 가공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 렌즈의 가공 형상 데이터와 상기 가공된 안경 렌즈의 형상 데이터는 3차원 형상 데이터이고, 상기 프레임 리더를 이용하여 검출된 안경 렌즈의 가공 형상 데이터 및 가공된 안경 렌즈의 형상 데이터의 차이값은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연산되고, 상기 차이값에 따라 안경 렌즈 가공기의 가공 오차 보정값이 자동으로 갱신되는 것인, 안경 렌즈 가공기의 교정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10-1394231호(특) 원형 렌즈의 형상과 가공될 렌즈 형상 정보로부터, 가공될 렌즈 형상으로부터 렌즈 외곽까지의 최단 거리인 렌즈 가공 깊이를 산출하되, 가공될 렌즈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각도 단위로 다수의 가공 깊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가공 깊이가 산출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렌즈를 다이아몬드 코팅 휠 방향(Y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회전하는 다이아몬드 코팅 휠에 렌즈의 일단을 접촉시키고, 계속하여, 다이아몬드 코팅 휠에 대하여 렌즈를 밀착시켜, 접촉된 위치로부터 가공될 렌즈 형상까지 렌즈를 연삭하는 단계; 상기 다이아몬드 코팅 휠과 렌즈를 이격시키고, 가공 깊이가 산출된 다음 위치로 렌즈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R축 운동) 다음, 다시 렌즈를 다이아몬드 코팅 휠 방향(Y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가공될 렌즈 형상까지 렌즈를 연삭하는 단계; 및 소정 각도 단위로 산출된 상기 다수의 가공 깊이에 대하여, 상기 렌즈의 이격, 회전 및 직선 이동에 의한 렌즈의 연삭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10-1100583호(특) 안경렌즈에 조립 구멍의 위치를 결정하고 형성하여 무테안경용 안경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정확한 구멍 중심선 배향을 위해 고정구에 상기 렌즈를 고정하는 단계, - 조립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조립 구멍에 브리지와 사이드 바 힌지를 장착하는 단계, 및 - 홀더에 관해, 2차원적으로 가공 수단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렌즈에 조립 구멍의 위치를 결정하고 형성하여 무테안경용 안경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원주 에지에 상기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고정구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렌즈의 원주에지와, 상기 렌즈에 비해 크게 형성된 상기 고정 개구 사이에 패킹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구는 두 개 이상의 제 1 가이드 수단을 통해 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장치의 프레임 상의 두 개의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수단과 상호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고정 개구에 배치될 때, 상기 렌즈의 구멍 중심선에 관하여 명확하게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 개구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프레임과 상기 렌즈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 개구내에 탄성 링이 배치되며, 이때 상기 렌즈가 상기 탄성 링에 대해 아래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탄성 링은 상기 고정구가 배치될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안경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안경렌즈를 가공할 시, 렌즈의 구멍 및 정교한 가공이 가능한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를 가공함에 있어서 렌즈의 재료가 되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렌즈가공 장치 등을 이용하여 렌즈를 가공한다고 한 후, 가공된 렌즈를 안경테의 림에 끼워 넣을 시, 안경테의 구조(휘어짐 정도)에 따라 렌즈가 정확히 끼워지지 않거나 억지 끼움되지만, 사용 중 안경테의 림에서 상기 렌즈가 쉽게 이탈되어 렌즈의 파손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안경테의 림에 별도의 보조림을 끼움 구성하되, 상기 보조림의 휘어진 형태에 맞춰서 렌즈의 재료가 되는 플레이트를 휘어지게 형성하고, 그 휘어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림의 내부 공간에 끼워지는 렌즈를 제조한 후, 상기 보조림에 끼움시킴으로, 렌즈의 결합력을 높여 렌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렌즈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안경테의 림에 끼워지며 내부에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테 보조림 제조방법에 있어서, 림(11)의 측단면이 휘어지게 형성된 안경테를 구비한 후, 상기 림(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보조림금형을 구비한 다음, 상기 캐비티(110)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원료를 넣어 보조림(30)을 제조하는 보조림 제조단계(S100); 상기 보조림(20)의 휘어짐과 대응되게 일측면이 휘어지도록 형성된 캐비티를 가지는 플레이트제조금형을 구비한 후,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소재를 넣고, 플레이트(30)를 사출하는 플레이트사출단계(S200); 사출된 상기 플레이트(30)를 렌즈가공장치로 고정한 후, 원하는 크기로 적살 및 연마하여 렌즈(31)를 가공하는 렌즈가공단계(S300); 가공된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1코팅단계(S400); 가공된 렌즈(31)를 광학 및 충격검사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코팅단계(S500); 상기 제1,2코팅단계(S500, S600)에서 코팅된 보조림 및 렌즈를 실온 또는 건조장치에 넣어서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0); 상기 코팅된 렌즈(31)를 상기 코팅된 보조림(20)의 내측에 끼움하는 끼움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림(20)의 내측에는 끼움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31)의 외측에는 상기 끼움홈(21)과 대응되는 끼움테(33)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코팅단계(S400)에서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은 정제수 45중량%,
Figure pat00001
(산화규소) 13중량%,
Figure pat00002
(암모니아) 5중량%, 광택제 15중량%, 용제 8중량%, 보존제 2중량%, 유화안정제 2중량%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대비
Figure pat00003
(산화지르코늄)이 17중량%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코팅단계(S500)에서 렌즈(31)가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시, 렌즈(31)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은 에스테르 수지15중량%, 포름알데이히드0.5중량%, 메틸 에틸 케톤32중량%, 크실렌39.5중량%, 이소부탄올13중량%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대비 크실렌63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에 의하면, 안경테의 보조림을 제조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렌즈를 형성할 시, 렌즈의 재료가 되는 플레이트를 형성된 보조림의 휘어짐과 대응되게 플레이트를 가공한 후, 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렌즈를 가공함으로써, 보조림과의 정밀한 결합을 통해 렌즈가 보조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가지는 한편, 보조림과 렌즈의 표면에 각각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보조림 및 렌즈의 내구성을 높일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림과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림과 렌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림과 렌즈 및 안경테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림에 별도의 보조림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림에 끼워지는 렌즈를 가공 시, 렌즈의 소재가 되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를 굴곡지게 형성하여 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렌즈의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림에 결합 시, 이탈없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렌즈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핵심은 안경의 림 또는 보조림에 끼워지는 렌즈를 가공할 시, 렌즈가공소재로 사용되는 플레이트를 휘어지도록 초기 제작하여 렌즈 가공이 원활함 및 상기 림 또는 보조림에 끼움할 경우, 견고한 고정력으로 사용 중 렌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핵심적인 특징과, 보조림 및 렌즈의 코팅에 대한 핵심적인 특징을 가지는 보조림 제조방법에 과한 기술이다.
따라서, 하기될 안경테, 보조림, 플레이트, 렌즈의 굴곡(휘어짐)으로 설명되는 부분들은 대체적으로 안경테의 측면을 기준으로 림이 일측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림에 끼워지는 보조림의 측면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는 가정 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의 림(11)에 끼워지며 내부에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테 보조림 제조방법에 있어서, 보조림 제조단계(S100), 플레이트사출단계(S200), 렌즈가공단계(S300), 제1코팅단계(S400), 제2코팅단계(S500), 건조단계(S600), 끼움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림제조단계(S100)는, 도 1에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보조림(20)을 제조하는 단계로써, 먼저, 보조림(20)을 사출성형하기 위하여 림(11)의 측단면이 휘어지게 형성된 안경테를 구비한 후, 상기 림(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보조림금형을 구비한 다음, 상기 캐비티(110)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원료를 넣어 보조림(20)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보조림(30)은 안경판매점 등 고객의 요청에 따라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림(30)은 일반적인 안경테(10) 림(11)에 끼워질 수 있는 구성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가변시켜 구성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안경테의 색상이 검은색일 경우, 상기 보조림(20)의 색상을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림(20)의 색상은 최초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에 따라 달리하거나 하기될 제1코팅단계(S400)에서 코팅되는 코팅층에 따라 서로 달리 구성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림제조단계(S100)는, 최초 끼움하려는 안경테 림(11)(휘어진 형태)의 형태 및 크기와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보조림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에 플라스틱 또는 유리소재의 원료를 주입한 후, 보조림을 제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림(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림(20)의 내측에는 끼움홈(21)을 형성되도록 하여, 하기될 렌즈(31)의 끼움테(33)가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져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21)의 경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플레이트사출단계(S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림(20)의 휘어짐과 대응되게 일측면이 휘어지도록 형성된 캐비티를 가지는 플레이트제조금형을 구비한 후,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소재를 넣고, 플레이트(30)를 사출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플레이트사출단계(S200)는 본 발명의 핵심단계 중 하나로써, 통상적으로 안경테 림 또는 보조림은 대부분 측면을 기준으로 일측면이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휘어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렌즈를 가공하기 마련인데, 종래에 렌즈 가공을 보면 평판플레이트를 사출성형한 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렌즈가공장치로 고정하여 정밀가공을 통해 렌즈를 형성하였으나, 렌즈의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편, 정밀가공을 한다고 하더라도 끼움하려는 림 또는 보조림의 굴곡된 부분과 완벽하게 대응시키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최초, 플레이트(30)를 사출성형할 시, 끼움하려는 림 또는 보조림의 측면을 기준으로 휘어짐 정도를 정확히 파악한 후, 그에 휘어짐을 포함한 림 또는 보조림에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플레이트금형을 구비한 후, 상기 캐비티에 플라스틱 또는 유리소재를 원료로하여 주입시키 최종적으로 굴곡진 형태의 플레이트(30)를 형성하게 됨으로, 추후 렌즈로 가공함에 있어서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하나의 플레이트(30)를 사출성형한 후, 하나 이상의 렌즈(31)를 가공하기 때문에, 가공하려는 렌즈(31)보다 1.5배 이상의 크기로 플레이트(30)를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를 제조할 시, 소재가 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소재에 선택적으로 색상을 가질 수 있는 물질을 포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가공단계(S300)는 사출된 상기 플레이트(30)를 렌즈가공장치로 고정한 후, 원하는 크기로 적살 및 연마하여 렌즈(31)를 가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렌즈가공장치는 통상적으로 렌즈를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가공장치로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31)의 외측에는 보조림(20)의 끼움홈(21)과 대응되는 끼움테(33)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테(33)의 경우, 상기 보조림(20)에 형성된 끼움홈(21)의 개수에 따라 대응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가공된 보조림(20)과 렌즈(31)는 각각의 코팅단계를 거쳐서 완성되며 상기 코팅단계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즉, 상기 코팅단계를 거쳐서, 보조림(20) 및 렌즈(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제1코팅단계(S400)는 가공된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코팅단계(S400)에서 상기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은 정제수 45중량%,
Figure pat00004
(산화규소) 13중량%,
Figure pat00005
(암모니아) 5중량%, 광택제 15중량%, 용제 8중량%, 보존제 2중량%, 유화안정제 2중량%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대비
Figure pat00006
(산화지르코늄)이 17중량% 첨가하여 구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보조림(20)은 내구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내구성이란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긁힘, 훼손, 파손으로부터 코팅되기 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보조림의 내구성에 대한 시험(최저1, 최고 10 기준)
구분 시험항목 1회 2회 3회
본 발명의 코팅조건 내구성 8.8 9.2 9.0
임의의 코팅조건 6.5 7.2 7.6
상기 표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조건과 임의의 코팅조건으로 코팅된 보조림의 내구성을 비교한 표로써, 3회에 걸쳐 시험하였다.
1회차에서는 본 발명의 코팅조건의 경우 8.8 임의의 코팅조건은 6.5, 2회차에서는 본 발명의 코팅조건의 경우 9.2 임의의 코팅조건은 7.2, 3회차에서는 본 발명의 코팅조건의 경우 9.0 임의의 코팅조건은 7.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조건으로 코팅이 코팅된 보조림(20)의 내구성은 9.0으로 나타났고, 임의의 코팅조건으로 코팅된 보조림의 내구성은 7.1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제2코팅단계(S500)는 가공된 렌즈(31)를 광학 및 충격검사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써, 상기 제2코팅단계(S500)에서 렌즈(31)가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시, 렌즈(31)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은 에스테르 수지15중량%, 포름알데이히드0.5중량%, 메틸 에틸 케톤32중량%, 크실렌39.5중량%, 이소부탄올13중량%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대비 크실렌63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렌즈(31)의 내구성을 높일 수가 있다.
렌즈의 내구성에 대한 시험(최저1, 최고 10 기준)
구분 시험항목 1회 2회 3회
본 발명의 코팅조건 내구성 9.4 8.9 9.1
임의의 코팅조건 7.9 8.3 8.5
상기 표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조건과 임의의 코팅조건을 코팅된 렌즈의 내구성을 비교한 표로써, 3회에 걸쳐 시험하였다.
1회차에서는 본 발명의 코팅조건의 경우 9.4 임의의 코팅조건은 7.9, 2회차에서는 본 발명의 코팅조건의 경우 8.9 임의의 코팅조건은 8.3, 3회차에서는 본 발명의 코팅조건의 경우 9.1 임의의 코팅조건은 8.5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조건으로 코팅이 코팅된 렌즈(31)의 내구성은 9.1로 나타났고, 임의의 코팅조건으로 코팅된 렌즈의 내구성은 8.2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제1,2코팅단계(S400, S500)에서 필요에 따라 소량의 색상을 가지는 물질을 넣어 보조림(20) 또는 렌즈(31)에 무색이 아닌 여러 색상으로 표현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1,2코팅단계(S400, S500)에서 보조림(20) 또는 렌즈(31)의 코팅층이 자칫 벗겨질 경우 그 코팅층을 벗겨낸 후 다른 색상을 가지는 코팅층으로 코팅액을 도포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등 다양한 장점들이 있다.
상기 건조단계(S600)는 상기 제1,2코팅단계(S500, S600)에서 코팅된 보조림 및 렌즈를 실온 또는 건조장치에 넣어서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도록 하여, 상기 코팅층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 기타 이물질이 같이 경화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진공건조기에 의해 이물질 등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최고의 품질을 가질 수 있는 보조림(20)과 렌즈(31)를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끼움단계(S700)는 본 발명의 최종단계로써, 상기 코팅된 렌즈(31)를 상기 코팅된 보조림(20)의 내측에 끼움하여 최종적으로 내구성을 가지는 렌즈(31)를 포함하는 보조림(20)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보조림(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 끼움하려는 안경테 림(11)에 끼움시킬 수가 있게 된다.
10 : 안경테 11 : 림
20 : 보조림 21 : 끼움홈
30 : 플레이트 31 : 렌즈 33 : 끼움테
100 : 보조림금형 110 : 캐비티
200 : 플레이트제조금형 210 : 캐비티
S100 : 보조림제조단계 S200 : 플레이트사출단계 S300 : 렌즈가공단계
S400 : 제1코팅단계 S500 : 제2코팅단계 S600 : 건조단계
S700 : 끼움단계

Claims (5)

  1. 안경테의 림에 끼워지며 내부에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테 보조림 제조방법에 있어서,
    림(11)의 측단면이 휘어지게 형성된 안경테를 구비한 후, 상기 림(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보조림금형을 구비한 다음, 상기 캐비티(110)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원료를 넣어 보조림(30)을 제조하는 보조림 제조단계(S100);
    상기 보조림(20)의 휘어짐과 대응되게 일측면이 휘어지도록 형성된 캐비티를 가지는 플레이트제조금형을 구비한 후,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소재를 넣고, 플레이트(30)를 사출하는 플레이트사출단계(S200);
    사출된 상기 플레이트(30)를 렌즈가공장치로 고정한 후, 원하는 크기로 적살 및 연마하여 렌즈(31)를 가공하는 렌즈가공단계(S300);
    가공된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1코팅단계(S400);
    가공된 렌즈(31)를 광학 및 충격검사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코팅단계(S500);
    상기 제1,2코팅단계(S500, S600)에서 코팅된 보조림 및 렌즈를 실온 또는 건조장치에 넣어서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0);
    상기 코팅된 렌즈(31)를 상기 코팅된 보조림(20)의 내측에 끼움하는 끼움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림(20)의 내측에는 끼움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31)의 외측에는 상기 끼움홈(21)과 대응되는 끼움테(33)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단계(S400)에서 보조림(20)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은 정제수 45중량%,
    Figure pat00007
    (산화규소) 13중량%,
    Figure pat00008
    (암모니아) 5중량%, 광택제 15중량%, 용제 8중량%, 보존제 2중량%, 유화안정제 2중량%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대비
    Figure pat00009
    (산화지르코늄)이 17중량%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단계(S500)에서 렌즈(31)가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시, 렌즈(31)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은 에스테르 수지15중량%, 포름알데이히드0.5중량%, 메틸 에틸 케톤32중량%, 크실렌39.5중량%, 이소부탄올13중량%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대비 크실렌63중량%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KR1020200103472A 2020-08-18 2020-08-18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KR10257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472A KR102570612B1 (ko) 2020-08-18 2020-08-18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472A KR102570612B1 (ko) 2020-08-18 2020-08-18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71A true KR20220022371A (ko) 2022-02-25
KR102570612B1 KR102570612B1 (ko) 2023-08-24

Family

ID=8049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472A KR102570612B1 (ko) 2020-08-18 2020-08-18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448A (ko) * 2003-07-21 2003-08-06 이병우 합성수지 안경테의 금속박막층 형성방법
KR20100043007A (ko) * 2008-10-17 2010-04-27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모듈용 렌즈
KR20110035543A (ko) * 2009-09-30 2011-04-06 이상탁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KR20160037490A (ko) * 2014-09-29 2016-04-06 이석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이 구비된 안경테
KR20190001945U (ko) * 2018-01-24 2019-08-01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448A (ko) * 2003-07-21 2003-08-06 이병우 합성수지 안경테의 금속박막층 형성방법
KR20100043007A (ko) * 2008-10-17 2010-04-27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모듈용 렌즈
KR20110035543A (ko) * 2009-09-30 2011-04-06 이상탁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KR20160037490A (ko) * 2014-09-29 2016-04-06 이석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이 구비된 안경테
KR20190001945U (ko) * 2018-01-24 2019-08-01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용 보조테의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612B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88893A (en) Lens
JP6321665B2 (ja) 光学レンズ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ようなレンズを製造する組立体
US10668590B2 (en)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including compensating for relative positioning shift between first and second reference frames
US7586697B2 (en) Lens device and lens holding method
US20050286017A1 (en) Method for the parallax-free centering of an optical element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4921962B2 (ja) 眼鏡レンズの機械加工のための装置、固定具、包装材及び方法
JP2006056246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モールドのガスケット及びガスケットの設計方法
EP0545615B1 (en) Polymer bifocal lens production process
KR102570612B1 (ko)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의 보조림 제조방법
US20120224809A1 (en) Optical fiber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ptical fiber and lens substrat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201957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phthalmic molds
CN110877239B (zh) 一种钨钢模仁和型套的抛光方法
KR100964579B1 (ko) 편광렌즈 제조 방법
CN209514179U (zh) 镜筒夹持模具
KR20090066610A (ko) 웨이퍼 렌즈의 정렬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웨이퍼렌즈
US5178801A (en) Method of molding a plastic lens
US8778237B2 (en) Mold for forming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634309B1 (ko) 렌즈 성형용 사출 금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금형
US10288907B2 (en) Moul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equipped with an insert
KR200347020Y1 (ko)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KR20130020509A (ko) 안경테
TWI398338B (zh) 光學模仁加工補償方法
KR100964014B1 (ko) 토릭렌즈용 발라스트 몰드 및 이를 이용한 토릭렌즈 제조방법
US1142238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spectacle lens and semi-finished spectacle lens
KR101809839B1 (ko) 렌즈 성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