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98Y1 - 안경경첩 - Google Patents

안경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698Y1
KR200483698Y1 KR2020160003863U KR20160003863U KR200483698Y1 KR 200483698 Y1 KR200483698 Y1 KR 200483698Y1 KR 2020160003863 U KR2020160003863 U KR 2020160003863U KR 20160003863 U KR20160003863 U KR 20160003863U KR 200483698 Y1 KR200483698 Y1 KR 200483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hinge
hinge member
fold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기
Original Assignee
포에버패션옵티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에버패션옵티칼(주) filed Critical 포에버패션옵티칼(주)
Priority to KR202016000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하고 안경다리에 탄편을 형성하여 안경다리의 절첩이 탄편에 의해 탄력있게 절첩되는 안경경첩의 안경다리에 형성되는 탄편에 의해 경첩의 외부도장 및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에 안경테와 결합하는 고정돌부를 형성하고 타측끝에 회동가능게 결합되는 절첩로울러를 형성하며 가운데에 회동가능케 형성되는 젖힘로울러를 가진 안경테경첩부재와,
안경다리의 일측에 한쌍의 절개선에 의해 분할되는 상하고정구에 회동공을 형성하고 탄편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안경다리,
로 분할 구성하여 안경다리의 상,하부고정구를 경첩부재의 절첩로울러와 젖힘로울러 사이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케 결합하여 안경다리의 절첩시에 절첩로울러가 탄편의 내면을 구름하며 안경다리가 절첩되어 안경다리의 절첩작용의 부드럽게 작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탄편의 끝이 젖힘로울러의 원주면에 위치하므로서 안경다리를 외측으로 젖힘시에 탄편의 끝이 젖힘로울러를 가압하면 탄편의 끝과 밀착하여 회전하므로서 탄편의 끝이 경첩부재에 닿지 않토록 하여 마모 및 스크레치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경첩{Glasses Hinges}
본 고안은 안경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하고 안경다리에 탄편을 형성하여 안경다리의 절첩이 탄편에 의해 탄력있게 절첩되는 안경경첩의 안경다리에 형성되는 탄편에 의해 경첩의 외부도장 및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는 절첩되게 구성되며 그 절첩부는 분할되어 암,수로 구분되는 경첩을 안경다리와 안경테에 각각 부착하여 암수의 경첩을 조립체로 형성함으로써 안경다리와 안경테가 절첩되게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근래에는 상기 절첩구성에 더하여 안경다리가 펴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소폭 젖혀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안경의 착용감을 증대함과 동시에 안경테와 결합되는 안경다리가 접혀지고 펴질 때 일정각 회전되면 젖힘과 펴짐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한것이 선호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안경경첩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 예로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6443호 및 실용신안출원 제20-2010-0001428호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6443호를 보면 통상의 안경렌즈테에 고정되는 고정간(1)과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유동간(2)을 접속시켜 힌지나사(3)로 결합하는 통상의 안경경첩에 있어서 탄력지지부(4a)와 접속부(4b)가 구비되는 탄간(4)의 접속부(4b)를 유동간(2)의 일지점에 고정하고 탄력지지부(4b)는 고정간(1)의 안내부(1a)에 위치되도록 한 구성하고 유동간(2)의 일지점에 탄간(4)의 접속부(4b)를 끼워 압접 또는 용착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게 되며 고정간(1)의 안내부(1a)에는 탄간(4)의 탄력지지부(4a)가 위치되어 안경경첩을 구성하여 안경다리와 결합된 유동간(2)이 외측으로 벌어지면 유동간(2)에 구성된 탄간(4)의 탄력지지부(4a)가 고정간(1)의 안내부(1a)를 따라 탄력을 유지하며 안경다리가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고, 안경다리를 접을시에는 힌지나사(3)를 중심으로 하여 유동간(2)이 회동하고 이 때 탄간(4)의 탄력지지부(4a)는 고정간(1)의 안내부(1a)를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간(1)의 모서리 지점에 이르면 유동간(2)과 탄간(4)의 접속부(4b)의 타단에 위치하는 탄간(4)의 탄력지지부(4a)는 유동간(2)의 힌지나사(3)로 부터 벌어 지게되어 유동간(2)이 탄력적으로 회동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출원 제20-2010-0001428호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안경다리(1)의 일측에 폭을 분할하는 한쌍의 절개홈(102)을 형성하여 3분할된 분할면을 형성하여 상,하측의 분할면을 걸림편(106)으로 형성하고 가운데의 분할면을 탄편(101)으로 형성하고 안경미미(2)의 상,하 양측에 고정홈(202)을 형성하고 전면 가운데에 받침홈(203)을 형성하며 고정홈(202)과 받침홈(203) 사이에 받침판(201)을 형성하여 탄편(101)이 받침판(201)의 외측에 위치하게 하고 작동편(103)을 고정홈(202)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회동가능케 결합하며 탄편(101)은 꺽임홈(105)에 의해 구분되는 외측이 안경미미(2)의 두께폭 후면에 밀착하고 작동편(103)이 안경미미(2)의 고정홈(202)에 투입되어 걸림편(106)의 후면이 안경미미(2)의 전면과 밀착하고 받침면(104)이 안경미미(2)의 후면과 밀착하여 받침함으로써 안경다리(1)는 외측으로 펼쳐지지 않게 되고 안경다리(1)를 내측으로 절첩하면 안경미미(2)와 안경다리(1)의 밀착면이 이격됨과 동시에 고정홈(202)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고 받침홈(203)이 탄편(101)의 꺽임홈(105)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고정홈(202)과 받침홈(203)사이가 이격되며 탄편(101)이 탄력 있게 휘어지게 되므로 안경다리(1)가 탄력있게 절첩되는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되는 종래의 안경경첩은 간단한 구성으로 안경다리를 탄력있게 절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향으로 소폭 탄력있게 펼쳐지므로 착용감 또한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안경다리를 외향으로 소폭 펼치거나 절첩시에 탄편의 끝과 밀착된 안경미미의 외면을 긁게되어 작동감이 불량하고 안경의 도장 및 코팅층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등 손상되므로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안경의 미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6443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10-000142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안경다리의 절첩시에 탄편이 안경미미에 형성되는 경첩부재의 외면과 부드럽게 접촉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다리의 절첩시 작동감이 우수하고 안경미미에 결합되는 경첩부재의 외면에 발생하는 스크레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경경첩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안경테와 결합하는 고정돌부를 형성하고 타측끝에 회동가능게 결합되는 절첩로울러를 형성하며 가운데에 회동가능케 형성되는 젖힘로울러를 가진 안경테경첩부재와,
안경다리의 일측에 한쌍의 절개선에 의해 분할되는 상하고정구에 회동공을 형성하고 탄편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안경다리,
로 분할 구성하여 안경다리의 상,하부고정구를 경첩부재의 절첩로울러와 젖힘로울러 사이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케 결합하여 안경다리의 절첩시에 절첩로울러가 탄편의 내면을 구름하며 안경다리가 절첩되게 하고 탄편의 끝이 젖힘로울러의 원주면에 위치하므로서 안경다리를 외측으로 젖힘시에 탄편의 끝이 젖힘로울러를 가압하면 탄편의 끝과 밀착하여 회전하므로서 탄편의 끝이 경첩부재에 닿지 않토록 하여 마모 및 스크레치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되는 본 고안의 안경경첩에 따르면 안경다리를 절첩하면 절첩로울러가 탄편의 내면을 밀착하여 구름하므로서 안경다리의 절첩작용의 부드럽게 작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젖힘로울러의 원주면에 탄편의 끝이 밀착하여 구름하므로 안경다리를 외향으로 젖힘하여도 탄편이 경첩부재와 접촉하지 않아 경첩부재의 외면에 발생하는 스크레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감이 우수한 안경경첩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경다리가 외향펼침작동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안경다리절접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에 본 고안의 주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안경다리(2)를 형성하며 일측에 폭을 분할하는 한쌍의 절개홈(21)(21a)을 형성하여 3분할된 분할면을 형성하고 상,하측의 분할면의 끝에 상부 및 하부고정구(23)(24)를 형성하며 가운데의 분할면을 탄편(22)으로 형성하고, 안경(3)의 미미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재(1)의 중앙 상,하면에 상부 및 하부고정구(23)(24)를 결합하며 경첩부재(1)의 돌출단부(1a)는 안경다리(2)측으로 돌출하고 탄편(22)이 경첩부재(1)의 몸체부(12)의 후면에 밀착하여 안경다리(2)의 절첩에 의해 경첩부재(1)의 돌출단부(1a)가 탄편(22)을 버팀하여 탄편(22)이 탄력있게 외향으로 벌어지며 안경다리(2)가 절첩되는 종래의 안경경첩에 있어서:
경첩부재(1)의 몸체부(12) 중앙에 젖힘로울러홈(13)을 형성하며 몸체부(12)의 외부로 부터 젖힘로울러홈(13)을 수직 관통하는 젖힘로울러축공(131)을 형성하여 중심에 축공(171)을 가진 젖힘로울러(17)를 젖힘로울러홈(13)에 투입하여 젖힘로울러회동축(172)을 젖힘로울러축공(131)과 축공(171)에 투입하여 젖힘로울러(17)가 젖힘로울러홈(13)내측에서 회동하게 구성하며 돌출단부(1a)에 절첩로울러홈(15)을 형성하고 절첩로울러홈(15)을 수직 관통하는 절첩로울러축공(151)을 형성하여 중심부에 축공(161)을 가진 절첩로울러(16)를 절첩로울러홈(15)에 투입하고 절첩로울러회동축(162)을 절첩로울러축공(151)과 축공(161)에 투입하여 절첩로울러(16)가 절첩로울러홈(15)내에서 회동하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되는 본 고안은 안경다리(2)의 상,하부고정구(23)(24)가 경첩부재(1)의 젖힘로울러(17)와 절첩로울러(16)의 사이에서 회동가능케 결합된다.
또한 젖힘로울러(17) 및 절첩로울러(16)의 외측 원주면은 도 4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탄편(22)이 경첩부재(1)의 몸체부(12)에 접촉하지 않토록 경첩부재(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탄편(22)의 내면 및 끝단이 젖힘로울러(17) 및 절첩로울러(16)에 밀착하게 구성된다.
또한 탄편(22)은 가운데를 절곡하는 절곡부(221)를 형성하여 안경다리(2)를 접을시에 절첩로울러(16)가 절곡부(221)에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접힘량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도 5 내지 도 6 에서와 같이 안경다리(2)를 절첩하면 경첩부재(1)의 상,하부고정구(23)(24)의 결합위치와 젖힘로울러(17)사이의 거리에 의해 경첩부재(1)의 절첩로울러(16)가 탄편(22)의 내면을 구름과 동시에 가압하게 되므로서 탄편(22)은 탄력을 가지며 상,하부고정구(23)(24)의 외측으로 벌어지며 안경다리(2)는 접혀지게 되는데 이때 절첩로울러(16)의 원주면이 탄편(22)의 절곡부(221)에 도달하면 탄편(22)의 절곡부(221)외측은 절곡되어 휘어 있으므로
절첩로울러(16)의 구름이 정지되며 안경다리(2)가 접혀지게 되고 안경다리(2)를 펼칠시에는 안경다리(2)를 조금만 펼침하여도 탄편(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경다리(2)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4에서와 같이 안경다리(2)가 절첩량을 초과하여 젖힘시에도 탄편(22)의 끝이 절곡부(221)에 의해 휘어져 젖힘로울러(17)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젖힘로울러(17)는 안경다리(2)의 절첩초과량 만큼 회전하며 탄편의 끝을 받쳐주게 되어 안경다리(2)는 복원력을 가지며 외향으로 젖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경경첩은 안경다리(2)에 탄력성을 부가하는 탄편(22)이 경첩부재(1)의 몸체부(12)와 이격되어 회전하는 젖힘 및 절첩로울러(17)(16)와 밀착하고 젖힘 및 밀착로울러(17)(16)는 회전하므로서 안경다리(2)의 절첩시에 작동감이 우수하고 안경다리(2)를 외측으로 젖힘시에 탄편(22)에 의한 경첩부재(1)의 몸체부(12)에 발생하는 스크레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경첩부재 11 : 고정돌부
12 : 몸체부 13 : 젖힘로울러홈
131 : 젖힘로울러축공 14 : 회동공
15 : 절첩로울러홈 151 : 절첩로울러축공
16 : 절첩로울러 161 : 절첩로울러회동공
162 : 절첩로울러회동축 17 : 젖힘로울러
171 : 젖힘로울러축공 172 : 젖힘로울러회동축
18 : 힌지축 2 : 안경다리
21.21a : 절개홈 22 : 탄편
221 : 절곡부 23 :상부고정구
24 : 하부고정구 25 : 힌지축공
3 : 안경

Claims (2)

  1.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안경다리(2)를 형성하며 일측에 폭을 분할하는 한쌍의 절개홈(21)(21a)을 형성하여 3분할하여 상,하측 분할면의 끝에 상부 및 하부고정구(23)(24)를 형성하고 가운데의 분할면을 탄편(22)으로 형성하여 안경(3)의 미미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재(1)의 중앙 상,하면에 상부 및 하부고정구(23)(24)를 결합하며 경첩부재(1)의 돌출단부(1a)는 안경다리(2)측으로 돌출하고 탄편(22)이 경첩부재(1)의 몸체부(12)의 후면에 밀착하여 안경다리(2)의 절첩에 의해 경첩부재(1)의 돌출단부(1a)가 탄편(22)을 버팀하여 탄편(22)이 탄력있게 외향으로 벌어지며 안경다리(2)가 절첩되는 종래의 안경경첩에 있어서:
    경첩부재(1)의 돌출단부(1a)에 절첩로울러(16)가 회동하게 구성하고 절첩로울러(16)의 외측 원주면이 돌출단부(1a)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탄편(22)의 내면과 밀착하고 구름하여 안경다리(2)가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경첩부재(1)의 몸체부(12) 중앙에 젖힘로울러(17)가 회동하게 구성하고 젖힘로울러(17)의 외측 원주면이 몸체부(1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탄편(22)의 끝과 밀착하여 구름하므로서 안경다리(2)가 절첩방향의 반대측으로 소폭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경첩.
KR2020160003863U 2016-07-05 2016-07-05 안경경첩 KR200483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63U KR200483698Y1 (ko) 2016-07-05 2016-07-05 안경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63U KR200483698Y1 (ko) 2016-07-05 2016-07-05 안경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698Y1 true KR200483698Y1 (ko) 2017-06-14

Family

ID=5909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63U KR200483698Y1 (ko) 2016-07-05 2016-07-05 안경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6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8807A (zh) * 2018-04-16 2018-08-14 浙江亨达光学有限公司 眼镜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59Y1 (ko) 2001-06-02 2001-10-17 공병석 안경경첩
KR20100001428U (ko)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비비비솔루텍 밸브 제어용 전동식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59Y1 (ko) 2001-06-02 2001-10-17 공병석 안경경첩
KR20100001428U (ko)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비비비솔루텍 밸브 제어용 전동식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8807A (zh) * 2018-04-16 2018-08-14 浙江亨达光学有限公司 眼镜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654B2 (ja) テレスコピックヒンジ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及び当該フレームのヒンジ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34849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TWI461780B (zh) 眼鏡架及撐邊器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US9651800B2 (en) Temple and eyewear having the same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0483698Y1 (ko) 안경경첩
US20110317123A1 (en) Coupling structure for eyeglasses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21169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EP3403135B1 (en) A flexible hinge with a tension spring
US20060221297A1 (en) Eyeglass temple unit
US20160178929A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Eyeglasses Temple
KR101158202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의 힌지 구조
TWM563563U (zh) 掀合式眼鏡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US10459245B2 (en) Flexible temple structure
TWM537228U (zh) 無螺絲的眼鏡組裝結構
US20180101022A1 (en) Screwless eyeglass structure
TWM494332U (zh) 眼鏡之鉸鏈
US11934040B2 (en) Eyeglass frame having foldable bridge
KR20140001657U (ko) 회전가능한 안경다리를 가진 안경
CN216118257U (zh) 镜架和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