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38U - 안경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38U
KR20210000138U KR2020207000064U KR20207000064U KR20210000138U KR 20210000138 U KR20210000138 U KR 20210000138U KR 2020207000064 U KR2020207000064 U KR 2020207000064U KR 20207000064 U KR20207000064 U KR 20207000064U KR 20210000138 U KR20210000138 U KR 202100001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in
arm portion
frame
specta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7000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암펠리오 아르투시
Original Assignee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사필로 소시에타 아지오나리아 화브리카 이탈리아나 라보라지온 옥치알리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00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2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sheet typ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각각의 아암(4)들이 전면 판과의 관절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각각 측면 러그(3)들이 있는 전면 판(2)을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에 있어서, 각각의 러그(3)들은 상기 힌지 축의 방향으로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표면(3a, 3b)들 사이에서 연장된 힌지 핀(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아암(4)은 제2아암부분(4b)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아암부분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갖는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1아암부분(4a)을 대향하게 구부러지는 상기 제2아암부분(4b)을 포함하고, 상기 핀(6)은 상기 핀(6)에 대해 상기 아암(4)이 힌지형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2아암부분(4b) 사이에 개재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아암부분(4b)은 상기 제1아암부분(4a)을 향하는 볼록 형상의 부분(7)을 가지며, 상기 부분(7)은 상기 아암의 회전 움직임 동안 각각의 아암(4) 및 상기 대응하는 핀(6)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되기 위해 상기 핀(6)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상기 볼록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프레임.

Description

안경용 프레임
본 고안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들을 가진 안경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 각각의 핀들과 작은 구멍 시트들을 가지는 힌지 장치 수단에 의해 수행되어 아암(arm)들을 전면 판에 관절 연결하는 것은 안경용 프레임의 특정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장치들의 상기 힌지 구성요소들은 유리하게 상기 아암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러그(lug)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종류의 해결수단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 가능한 다수의 버전들에서, 전통적으로 몇몇 한계들을 수반하는데, 나사 또는 상기 힌지 핀의 원치 않은 풀림 가능성, 상기 힌지형 관절에 요구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생산한 필요, 상기 필요한 구성요소 부품들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적인 요구사항들뿐만 아니라 가벼운 종류의 프레임들에 사용되기 적합하지 않은 상기 힌지 타입 장치 자체의 무게를 포함한다.
고안의 주요 목적은 여전히 힌지 핀으로 제작되는 상기 아암과 상기 러그 사이의 관절 연결에서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이 구조적인 단순화를 얻게 되고, 동시에 프레임의 열림과 닫힘의 극단의 조건들 사이의 프레임의 모든 위치들에서 안정적인, 안경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기 아암의 힌지형 관절 구조가 조립되기 쉽고, 특히 가늘고 가벼운 프레임들에 사용 가능하도록 특히 낮은 무게 및 작은 치수를 가지며, 그러나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열림과 닫힘의 극단 위치들 및 아암이 움직이는 동안 상대적인 연결의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이다.
위 목적 및 하기에서 더 잘 이해될 다른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라 구성된 안경용 프레임에 의해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안경용 프레임은 각각의 아암들이 전면 판과의 관절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각각 측면 러그들이 있는 전면 판을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으로서, 각각의 러그들은 상기 힌지 축의 방향으로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된 힌지 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아암은 제2아암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아암부분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갖는 제1아암부분 및 상기 제1아암부분을 대향하게 구부러지는 상기 제2아암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핀에 대해 상기 아암이 힌지형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아암부분 및 상기 제2아암부분 사이에 개재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아암부분은 상기 제1아암부분을 향하는 볼록 형상의 부분을 가지며, 상기 부분은 상기 아암의 회전 움직임 동안 각각의 아암 및 상기 대응하는 핀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되기 위해 상기 핀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상기 볼록 형상을 가진다.
이로 인해서, 본 발명은 정해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고, 알려진 해결책과 관련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첫번째 이점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아암의 특정한 형태와 상기 물질의 마모의 결과로부터 잠재적으로 발생하는 연결 이격에 대한 연속적인 보상을 보장하는 탄력적인 사전로딩(preloading)의 결과로서, 가능한 마모 현상들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아암의 적절한 마찰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가져와 줄 수 있는 사실과 관련된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핀의 상기 단면의 특정한 형태의 결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아암이 "탄력적으로 릴리스"되면서 개방 및 폐쇄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이 각각 상기 씌여지고 접히는)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아암의 이러한 움직임은 높은 실용성을 제공하고 사용자(또는 잠재적인 구매자)가 제품에서 높은 수준의 품질 또는 제조 관리를 인식하게 하는 이중의 이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에서 기술한 작동 특성은 상기 프레임에 쉽게 조립할 있는 구조로 얻어지는 것이고, 특히 가늘고 가벼운 프레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한 가벼움과 작은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구조의 단순화 및 장치의 제한된 숫자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특히 전체 치수가 매우 작고 특히 가벼운 유형의 안경을 구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다른 특징들 및 본 고안의 이점들은, 비 제한적인 예로서, 첨부된 도면들의 참조하여,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술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작된 안경용 프레임의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아암들 중 하나를 적절한 상기 프레임의 전면 러그에 관절 연결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전의 도면의 프레임의 세부 사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이전의 도면들의 세부 사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아암의 관절 연결을 이동 순서를 나타낸 도 3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상기 힌지 핀의 상기 조립 순서를 나타낸 이전의 도면들의 상기 프레임의 상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은 각각 상기 힌지 핀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프레임의 상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아암에 대응하는 관절 연결을 위해 상기 러그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의 상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아암이 상기 각각의 러그에 관절 연결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 1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 도 18, 및 도 19는 상기 프레임의 힌지 핀에 대한 상기 아암의 관절 연결 조립의 다른 단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아암의 상기 힌지형 관절 러그의 부분 단면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1, 도 22, 및 도 23은 상기 이전의 도면들의 상기 아암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아암의 상기 힌지형 관절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5, 도 26, 및 도 27은 도 24에 대응하며, 상기 러그에 대해 상기 힌지 핀에 대한 관절 움직임 동안, 상기 아암을 다른 위치들에서 보여준 것이다.
인용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되며 전반적으로 1로 지정된 안경용 프레임은, 렌즈(미도시)를 보유하기 위한 전면 판(2)을 포함하며, 전면 판(2)은 상기 전면 판과 각각의 아암(4)들을 관절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한 쌍의 대향 측면 러그(3)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응하는 러그(3)에 각각의 아암(4)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은 전반적으로 5로 지정되는 각각의 관절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관절 연결 수단은 대응하는 열림과 닫힘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전면 판에 대해 각각의 아암이 관절축 X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아암이 전면 판에 대해 관절식 연결을 생성하는데 적합하다.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의 결과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 판(2)에 대한 상기 아암(4)들의 오직 하나의 상기 관절 연결 수단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러그(3)는 상기 힌지축 X의 방향으로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러그의 한 쌍의 표면(3a, 3b)들 사이에서 연장된 힌지 핀(6)에 제공된다.
각각의 아암(4)은 제2아암부분(4b)으로 연장되며, 제1아암부분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갖는 제1아암부분(4a) 및 도면들, 특히 도 21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와 같은 형태로 가정하여, 제1아암부분(41)과 대향하게 구부러지는 제2아암부분(4b)을 포함한다.
상기 핀(6)은 상기 핀(6)에 대해 상기 아암(4)이 힌지형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아암부분 및 상기 제2아암부분 사이에 개재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제2아암부분(4b)은 상기 제1아암부분(4a)을 향하는 볼록 형상의 부분(7)을 가지고, 상기 부분(7)은 상기 아암의 회전 움직임 동안 각각의 아암 및 상기 대응하는 핀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되기 위해 상기 핀(6)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상기 볼록 형상을 갖는다. 상기 아암(4)들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작은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아암의 상기 단면은, 상기 안경이 착용되었을 때 상기 머리의 관자놀이 영역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측정된, 상기 아암의 높이 치수를 갖고, 이는 상기 높이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측정된 상기 아암의 상기 두께보다 훨씬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들인, 그것이 형성되는 재료의 선택과 함께, 작은 두께를 가진 단면의 형태는 특히 가느다라한 아암의 길이 방향의 범위에 걸쳐 작은 치수로 상당한 경량성을 수반하게 되는 아암의 특성을 일반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당한 미적 영향을 주는 전체적인 디자인을 더 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작은 두께의 금속 플레이트 구조는 특히 상기 아암들 및 상기 프레임의 전면 판을 형성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플레이트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아암의 상기 후크와 같은 형태는 그것을 구부리고, 상기 제1부분에서 그것을 대향하기 위해 구부러진 상기 제2아암부분을 형성하여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기 아암의 플레이트와 같은 구조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아암부분(4a)에서 대략적으로 180°로 상기 제2아암부분(4b)의 구부림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볼록 형상의 상기 부분(7)은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아암부분이 구부러진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아암부분(4b)의 자유로운 단부의 추가적인 굽힘으로 더 얻을 수 있다.
더 상세히, 상기 볼록 형상을 가지는 상기 부분(7)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아암부분의 두 부분(8a, 8b)들은 인접하고 서로 상대적인 각이 있고, 공통의 정점(8c)에서 모이도록 정의되며, 상기 부분(7)은 상기 힌지 핀(6)의 외부 커버와, 접촉 지지되며,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고, 상기 힌지 핀에 대해 회전 자유도를 통해 상기 러그에 대해 상기 아암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핀(6)은 도 1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단면을 가지는 주 부분(6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핀의 외부 커버는 서로 상대적으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각을 이루고 상기 핀의 외부 원기둥 형상이 남겨지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평평한 측면(9a, 9b)들이 있는 캠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캠형 형태 단면은 상기 주 부분(6a)의 길이 방향 범위에 걸쳐 균일하며, 이는 작은 직경 및 작은 길이 방향 범위를 가지는 제2부분(6b)으로 연장된다.
상기 러그에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며, 상기 힌지 핀(6)이 사이에서 가로막는 표면(3a, 3b)들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날개들은 10a, 10b로 지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이 상기 얼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날개(10b) 상에 배치된 상기 날개(10a) 안에는 제한된 연결 유격으로 상기 핀을 통과할 수 있는 치수들을 가지며 상기 핀의 편심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 작은 관통-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대편의 날개(10b) 안에는 상기 핀 부분(6b)의 제한된 연결 유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편심 개구부(11a)에 대해 동일축을 가진 관통-홀(1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의 상기 부분(6a, 6b)들 사이에는 받침대(12)가 정의되며, 상기 받침대(12)는 상기 날개들(10a, 10b)들 사이로 상기 핀의 삽입에 따라 상기 날개(10b)의 표면에 대해 받침대로 움직이도록 의도된다.
일단 상기 핀이 상기 러그의 상기 날개(10a, 10b)들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부분(6b)의 자유 단부는 소성 변형으로 다시 변형되도록 의도되며, 이 변형을 통해 상기 홀(11b)을 통해 상기 핀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데 사용되도록 넓어지거나 커지게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개구부(11a)를 떠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핀이 상기 러그로의 적용을 간단화하기 위해서, 상기 핀(6)은 상기 하부 핀 부분(6b)로부터 동일축으로 연장되는 가는 자루(13)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분(6b) 및 상기 자루(13) 사이에는 상기 핀(6)으로부터 쉽게 상기 자루(13)를 분리시키기 위해 자르거나 부러뜨리는 단면이 되는 감소된 직경의 단면(14)이 제공된다.
특히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핀(6)은 상기 러그에 상기 아암이 관절 연결되기 전에 상기 러그에 적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루(13)와 하나로 형성된 상기 핀은 상기 러그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11a) 및 상기 홀(11b)를 통과한다. 이러한 삽입 단계 동안, 상기 자루(13)의 연장부는 상기 러그에 제공된 상기 편측 개구부 및 상기 홀에 상기 핀을 쉽게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핀(6)이 하부 날개(10b)에 대해 대응하는 받침대(12)에 인접하는 도 9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핀은 사용을 위해 제공된 치수로 전체 축 방향 연장 범위를 전체적으로 줄이기 위해 제거된 자루(13) 연장부분을 갖는다. 상기 자루의 분리는 상기 단면(14)를 절단 또는 부러뜨리기로 쉽게 이루어진다(도 10).
일단 상기 자루(13)가 제거되면, 상기 핀 부분(6b)의 하부 단부는 상기 홀(11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도 16의 15로 지정된 상기 핀 부분의 하부 "머리" 또는 "확대" 형태를 얻기 위해 다시 변형된다. 그 결과로, 상기 핀(6)은 러그로부터 제거될 수 없이 상기 러그 안에 차단된다.
상기 반대편의 날개(10a, 10b)들에 대해 수직적으로 범위를 정하며 각각의 러그에 제공되며 16으로 지정된 홀, 상기 힌지축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러그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기 개구부가 있다.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홀(16)은 상기 핀에 대해 상기 아암의 회전 움직임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아암 부분들에 의해 통과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러그(3)는 상기 홀(16)의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아암부분을 인접하도록 의도된 표면(17)을 더 포함하며, 이로 인해 상기 아암의 열림 회전 움직임의 이동 제한의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아암(4) 및 상기 핀(6)의 연결은 상기 아암 및 상기 핀의 조립 동안 발생하는 상기 제1 및 제2아암부분들 사이의 약간의 탄력적인 벌어짐에 의해 얻어진 탄력적인 사전로딩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암은 약간의 탄력적인 벌어짐으로 촉구되기 위해 상기 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핀의 상기 단면의 치수는 안정 위치에서 측정된 경우 상기 아암의 두 가지들 사이의 최대 간격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배열의 결과로, 조립하는 동안 탄력적인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또는 사전로딩이 상기 아암에 설정된다.
상기 탄력적인 사전로딩은 상기 핀에 대해 상기 아암이 회전하는 동안 적절한 마찰의 지속을 보장하며, 마찰은 해당 부분에서 "상기 힌지의 마찰"이라고도 하고, 작동 측면(그리고 상기 제품의 높은 품질의 결과적 인식)에서 더 높은 안정성 및 규칙성을 메커니즘에 부여하기 때문에, 가능한 경우에 항상 추구된다. 그러한 힌지의 상기 마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구성을 유지하고, 조립하는 동안 가해진 탄력적인 사전로딩의 결과로서 정확하게 주어지며, 각각의 물질의 마모로 인해 야기되는 상기 아암의 두께 및/또는 상기 핀의 단면의 치수 변화(감소)의 결과로부터 상기 마찰력의 잠재적인 감소들을 보상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만약 상기 아암의 탄력적인 복원이 상기 마모(예를 들어, 특히 긴 시간이 지남에 따른 지속적인 사용)의 잠재적인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불충분할 때, 적절한 물질로부터 형성된 아암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아암부분을 소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즉 말하자면, 볼록 형상을 가진 부분이 상기 각도를 이루는 부분들을 상기 제1아암부분을 향해 이동시키고 그로 인해 상기 핀의 단면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이 공간이 돌아가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아암부분 및 상기 제2아암부분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 마찰력의 충분한 높은 수치를 회복한다. 상기 러그 내의 상기 아암의 분해 및 재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다.
도 17 내지 도 20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러그 상에 상기 아암을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한다.
상기 연결은 도 17에 화살표로 가리킨 바와 같이, 상기 홀(16)을 통해 상기 러그의 외측에서 상기 아암이 삽입됨으로써 제공된다.
상기 러그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아암의 최적 방향은 (상기 러그에 대해 90°를 이루는) "닫힌 아암"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 정확히 아니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신 이 위치에서 살짝 각도 편차가 있는 위치이다.
이러한 진입각도로, 실제로, 상기 핀(6)은 작은 치수의 단면을 상기 아암(4)에 제공하므로 상기 핀에 대한 상기 아암의 인접에 필요한 벌어짐이 미미하다. 그 결과로, 상기 아암의 탄력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적고 조립 작동이 쉽다.
일단 상기 핀이 상기 아암의 후크와 같은 형태의 상기 개구부(이 개구부는 상기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2아암부분(4b)의 자유 단부 사이에서 정의되며 도 24에서 18로 지정됨)를 통해 이동되면, 상기 아암은 회전(도 18) 및 상기 얼굴에 상기 프레임을 착용할 때 적절한 완전하게 열린 위치(도 20)인 조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면 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속 견인 동작(도 19)을 받는다. 이 위치에서 상기 아암(4)은 상기 받침 표면(17)에 받쳐진 상태이고, 상기 핀(6)의 외부 커버의 평평한 표면(9a)은 상기 제1아암부분의 평평한 형상에 대응하는 측면 표면에 대해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이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열린 아암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만든다(도 25). 상기 열린 아암의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폐쇄 방향으로 상기 아암의 회전은 도 26의 상기 중간 지점까지 상기 아암의 또 다른 탄력적인 벌어짐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 위치는 상기 핀이 상기 제1아암부분 및 상기 제2아암부분 사이에서 상기 편심 형태의 결과로 가장 큰 가로지르는 치수를 가질 때이다.
이 위치로부터, 상기 아암의 또 다른 닫히는 회전으로, 상기 아암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정적인 닫힌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야기되며,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러그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핀의 상기 외부 커버의 상기 평평한 표면(9b)은 상기 제1아암부분의 평평한 형상의 표면에 대응하여 접촉을 지지한다. 이러한 배열은 (즉, 아암이 열린 위치에 있는 것과 동일한 탄력적인 사전로딩으로) 아암을 시작 배열로 되돌릴 때 닫힌 아암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만든다.
상기 사전로딩의 존재의 결과로부터 탄력적인 풀림으로 주어지는 상기 아암의 닫히는 그리고 열리는 움직임과 실질적으로 불안정한 평형 상태(상기 핀이 상기 핀의 평평한 표면(9a, 9b)들을 가로지르며 상기 편심 형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아암부분과 접촉하는 곳)의 중간 위치 (도 26)를 통과하는 것은 상기 핀의 편심의 형성으로 인한 결과로 관측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본 발명은 정해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고, 알려진 해결책과 관련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첫번째 이점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아암의 특정한 형태와 상기 물질의 마모의 결과로부터 잠재적으로 발생하는 연결 이격에 대한 연속적인 보상을 보장하는 탄력적인 사전로딩의 결과로서, 가능한 마모 현상들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아암의 적절한 마찰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가져와 줄 수 있는 사실과 관련된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핀의 상기 단면의 특정한 형태의 결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아암이 "탄력적으로 릴리스"되면서 개방 및 폐쇄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이 각각 상기 씌여지고 접히는)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아암의 이러한 움직임은 높은 실용성을 제공하고 사용자(또는 잠재적인 구매자가)가 제품에서 높은 수준의 품질 또는 제조 관리를 인식하게 하는 이중의 이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에서 기술한 작동 특성은 상기 프레임에 쉽게 조립할 있는 구조로 얻어지는 것이고, 특히 가늘고 가벼운 프레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한 가벼움과 작은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구조의 단순화 및 장치의 제한된 숫자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특히 전체 치수가 매우 작고 특히 가벼운 유형의 안경을 구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1: 안경용 프레임
2: 전면 판
3: 러그
4: 아암
4a: 제1아암부분
4b: 제2아암부분
5: 관절 연결 수단
6: 힌지 핀
7: 부분
8a, 8b: 제2아암부분의 두 부분들
9a, 9b: 한 쌍의 평평한 측면들
10a, 10b: 한 쌍의 날개들
11a: 관통-개구부
11b: 관통-홀
12: 받침대
13: 자루
14: 단면
15: 핀 부분의 하부 "머리" 또는 "확대" 형태
16: 홀
17: 표면
18: 개구부

Claims (9)

  1. 각각의 아암(4)들이 전면 판과의 관절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각각 측면 러그(3)들이 있는 전면 판(2)을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에 있어서,
    각각의 러그(3)들은 상기 힌지 축의 방향으로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표면(3a, 3b)들 사이에서 연장된 힌지 핀(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아암(4)은 제2아암부분(4b)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아암부분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를 갖는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1아암부분(4a)을 대향하게 구부러지는 상기 제2아암부분(4b)을 포함하고, 상기 핀(6)은 상기 핀(6)에 대해 상기 아암(4)이 힌지형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2아암부분(4b) 사이에 개재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아암부분(4b)은 상기 제1아암부분(4a)을 향하는 볼록 형상의 부분(7)을 가지며, 상기 부분(7)은 상기 아암의 회전 움직임 동안 각각의 아암(4) 및 상기 대응하는 핀(6)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되기 위해 상기 핀(6)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상기 볼록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을 가지는 상기 부분(7)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아암부분(4b)은 공통의 정점(8c)에서 모이고 인접하고 서로 상대적인 각이 있는 두 부분(8a, 8b)들을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은 상기 아암 및 상기 핀의 조립 동안 발생하는 제1 아암부분(4a) 및 제2아암부분(4b) 사이의 약간의 탄력적인 벌어짐에 의해 얻어진 탄력적인 사전로딩(preloading)에 의해 상기 핀(6)에 연결된, 안경용 프레임.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핀(6)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갖고, 서로 상대적으로 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과의 관계에서 열림 및 닫힌 위치 각각에서 상기 아암(4)의 안정적인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1아암부분(4a)의 평평한 표면 부분에 대응해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의도된 한 쌍의 표면(9a, 9b)들을 가지는 측 커버를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평평한 표면(9a, 9b)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각을 이루는, 안경용 프레임.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하나에 있어서,
    러그(3)는 상기 아암의 열림 회전 움직임의 이동 제한의 형태를 정의하는 상기 제1아암부분(4a)의 인접 표면(17)을 포함하는, 안경용 프레임.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핀(6)에 대한 상기 아암(4)의 회전 움직임 동안 상기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2아암부분(4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 가능한 상기 힌지 축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각각의 스루-홀(16)이 각각의 러그(3)에 제공되는, 안경용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은 상기 스루-홀(16)을 통해 상기 아암으로 삽입되어 상기 핀(6)에 관절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 안경용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은 상기 제1아암부분(4a) 및 상기 제1아암부분을 대향하는 상기 제2아암부분(4b)의 자유 단부 사이에서 정의된 상기 아암의 개구부(18)을 통해 상기 핀이 통과함으로써 상기 힌지 핀(6)과 관절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 안경용 프레임.
KR2020207000064U 2018-04-27 2019-04-18 안경용 프레임 KR2021000013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1800004951A IT201800004951A1 (it) 2018-04-27 2018-04-27 Montatura per occhiali
IT102018000004951 2018-04-27
PCT/IB2019/053222 WO2019207431A1 (en) 2018-04-27 2019-04-18 Frame for specta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38U true KR20210000138U (ko) 2021-01-19

Family

ID=6357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64U KR20210000138U (ko) 2018-04-27 2019-04-18 안경용 프레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06819B2 (ko)
JP (1) JP3231980U (ko)
KR (1) KR20210000138U (ko)
CN (1) CN214174754U (ko)
DE (1) DE212019000267U1 (ko)
ES (1) ES1258371Y (ko)
FR (1) FR3080689B3 (ko)
IT (1) IT201800004951A1 (ko)
WO (1) WO20192074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852A (en) * 1887-08-23 William ramsay
IT8553881V0 (it) * 1985-10-02 1985-10-02 Lorenzo Poz Mario D I De Cerniera per montature di occhiali
US5959715A (en) * 1995-04-28 1999-09-28 Chevassus S.A. Resilient hinge for spectacles
US5818568A (en) * 1997-05-07 1998-10-06 Eye-Protor Kobayashi Inc. Eyeglass frame assembly having screw-less hinges
US6116733A (en) * 1997-06-05 2000-09-12 The Beta Group Hinge connection for a temple piece of an eyeglass frame
AT406201B (de) * 1997-09-17 2000-03-27 Silhouette Internat Schmied Gm Scharniergelenk zwischen einem bügel und einem bügelbacken eines brillengestells
JP4004191B2 (ja) * 1999-09-01 2007-11-07 株式会社ニコンアイウェア ネジ無し丁番を有する眼鏡
EP1319971B1 (en) * 2000-09-22 2006-01-25 Nikon Eyewear Co., Ltd. Glasses with screwless hinges
FR2830823B1 (fr) * 2001-10-15 2004-02-27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fermoir de securite
NZ589698A (en) * 2010-12-03 2013-07-26 Francis William Austin Eyeglass Hinge Assembly which allows removal of the arms
US8827444B1 (en) * 2012-11-02 2014-09-09 Wing-Cheong Koo Screw-free connection structure for a frame and temples of eyeglasses
DE102013007173B4 (de) * 2013-04-24 2015-12-03 Joachim Bischoff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rillengest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7431A1 (en) 2019-10-31
ES1258371Y (es) 2021-03-08
US20210231971A1 (en) 2021-07-29
JP3231980U (ja) 2021-05-13
DE212019000267U1 (de) 2020-12-03
CN214174754U (zh) 2021-09-10
FR3080689A3 (fr) 2019-11-01
FR3080689B3 (fr) 2020-11-20
IT201800004951A1 (it) 2019-10-27
ES1258371U (es) 2020-12-14
US11906819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9085B2 (ja) 眼鏡ヒンジ
JP4727657B2 (ja) メガネ
CA1037751A (en) Self adjusting spectacle frame assembly
US6353965B1 (en) Guiding sheath assembly for a hinge of an eyeglass frame
US20130114039A1 (en) Magnetic hinge
JP2012519307A (ja) テレスコピックヒンジ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及び当該フレームのヒンジ
JPH10133153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JPS6136973Y2 (ko)
US4605293A (en) Spectacle frame with resilient hinges
EP0744645A1 (en) Improved eyeglasses frame
KR20210000138U (ko) 안경용 프레임
KR102604772B1 (ko) 안경용 프레임
JPH11295663A (ja) 眼鏡用ヒンジ
JP3345407B2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
EP3069192B1 (en) Spectacle frames
US7533986B2 (en) Temples of eyeglass frame
KR20040030600A (ko) 안경테, 힌지, 안경 및 힌지의 제조 방법
KR10221497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NL2003562C2 (en) Head accessory, such as eyeglasses or a headphone, as well as method for connecting attaching elements to the main portion of a head accessory.
JP2001133734A (ja) 眼鏡の丁番構造
EP1835327A1 (en) Hinge, particularly for a frame for spectacles
KR10258884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CN109073912B (zh) 一种用于眼镜的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